KR101630678B1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Google Patents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678B1
KR101630678B1 KR1020150132659A KR20150132659A KR101630678B1 KR 101630678 B1 KR101630678 B1 KR 101630678B1 KR 1020150132659 A KR1020150132659 A KR 1020150132659A KR 20150132659 A KR20150132659 A KR 20150132659A KR 101630678 B1 KR101630678 B1 KR 101630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haft
hole
coupled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관
Original Assignee
윤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관 filed Critical 윤여관
Priority to KR1020150132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6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73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drawer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성하는 수납유닛의 인출/삽입 및 차단기의 개폐동작시 하나의 조작핸들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수납유닛의 인출 및 차단기의 개폐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출 및 삽입 동작이 이루어지는 수납유닛(100)과; 수납유닛(100)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수납유닛(100)의 인출 및 삽입 동작시와, 수납유닛(100)의 내부에 갖추어지는 차단기(210)의 조작을 겸해서 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조작핸들(110)과; 상기 수납유닛(100)의 내부에 갖추어지는 취부패널(130)에 구비되면서 상기 하나의 조작핸들(110)의 조작에 따라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 전달 조립체(140)와; 상기 취부패널(130)의 저면에 구비되면서 동력전달 조립체(140)에 의해 수납유닛(100)의 동작시 좌,우로 이동하면서 수납유닛(100)의 록킹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록킹-해제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 조립체(140)는, 조작핸들(110)의 연결축(111)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기어부(142)와, 상기 기어부(141)의 하부에 편심,결합되어서 기어부(141)의 회전동작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부재(143)와, 상기 록킹-해제부(150)를 동작시키도록 이동부재(143)와 연결되어 이동부재(143)의 이동에 따라 동시에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조작링크(145)와, 차단기(210)의 조작을 위해 조작핸들(110)을 누르면 조작핸들(110)의 연결축(111)이 삽입되어 조작핸들(110)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해제부(150)는, 상기 조작링크(145)의 동작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제 1,2걸림바아(151)(153)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Receiving Unit Assembly and Motor Control Cente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성하는 수납유닛의 인출/삽입 및 차단기의 개폐동작시 하나의 조작핸들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수납유닛의 인출 및 차단기의 개폐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CC(Motor Control Center; 모터 제어반)는 각종 산업설비에 구비되는 모터를 운전함에 있어서 전원을 중앙에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러한 MCC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차단기, 복수의 커넥터(1차 내지 3차 커넥터), 릴레이, CT(current transformer), 표시램프, 조작 스위치 등이 구비되고, 이러한 구조의 기능은 보수관리의 난이도 및 안전성을 좌우한다.
이러한 MCC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C(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납유닛(10)들이 인출가능하도록 서랍식으로 구비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수납유닛(10)들을 인출함에 따라 차단기 및 커넥터의 분리가 이루어져서 전기적 접속상태가 해제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납유닛(10)은 전면커버(11)에 수납유닛(10)의 내부에 구비된 차단기를 조작하는 조작핸들(12)과, 유닛 수용실에 수납유닛(10)을 꺼내거나 넣을 수 있는 인출 손잡이(13)가 갖추어져 있다.
또한, 전면커버(11)의 일측에는 수납유닛(10)을 인출시키고자 하는 인출핸들(14)이 갖추어진다.
따라서, 수납유닛(10)의 인출이 필요한 경우, 수납유닛(10)의 내부에 갖추어진 전기적 접속을 위한 커넥터의 접속상태를 해제시켜서 인출하는데, 인출핸들(14)을 회전시켜서 인출시키게 된다.
또한,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를 조작하기 위한 차단기 조작핸들과, 수납유닛의 인출 및 삽입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인출핸들이 각각 갖추어져서, 수납유닛의 인출/삽입 동작 및 차단기 개폐동작을 각각 조작핸들 및 인출핸들로 조작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2개의 핸들(조작핸들/인출핸들)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그 만큼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작비용도 상승하는 요인이 되었고, 복수의 수납유닛이 갖추어진 MCC에서의 수납유닛의 작동시, 번거로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 10-1440264호(공고일 : 2014.9.1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조작핸들을 통해 수납유닛의 인출/삽입 동작이 가능함과 동시에, 수납유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차단기의 개폐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출 및 삽입 동작이 이루어지는 수납유닛과; 수납유닛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수납유닛의 인출 및 삽입 동작시와, 수납유닛의 내부에 갖추어지는 차단기의 조작을 겸해서 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조작핸들과; 상기 수납유닛의 내부에 갖추어지는 취부패널에 구비되면서 상기 하나의 조작핸들의 조작에 따라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 전달 조립체와; 상기 취부패널의 저면에 구비되면서 동력전달 조립체에 의해 수납유닛의 동작시 좌,우로 이동하면서 수납유닛의 록킹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록킹-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 조립체는,
조작핸들의 연결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의 하부에 편심,결합되어서 기어부의 회전동작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록킹-해제부를 동작시키도록 이동부재와 연결되어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동시에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조작링크와, 차단기의 조작을 위해 조작핸들을 누르면 조작핸들의 연결축이 삽입되어 조작핸들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차단기 조작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해제부는,
상기 조작링크의 동작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제 1,2걸림바아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 조립체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서 취부패널에 고정되는 브래킷과, 상기 연결축, 기어부와 이동부재가 지지되면서 결합되도록 브래킷의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판과, 상기 차단기 조작 회전축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푸시판과, 상기 차단기 조작 회전축의 외주면에 삽입되면서 상기 푸시판과 브래킷의 내주면 사이에 탄지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어부의 원주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기어부의 하부에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기어부의 하부측 원주면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단부가 삽입되어 편심되게 결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한쪽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면서 2개의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한쪽 장공에는, 지지판에 고정되는 연결편이 관통,결합되면서 이동부재가 결합되어서 지지판에 고정된 연결편이 장공내에서 이동하여 이동부재의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이동부재의 다른쪽 장공에는 지지판의 하단부를 지나서 연결편을 통해 조작링크와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한쪽면에는 스토퍼가 돌출,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차단기 조작 회전축에는, 차단기 조작 회전축의 내부에 출입가능하게 삽입되는 조작핸들의 연결축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연결돌기가 끼워져서 연결축의 회전력이 차단기 조작 회전축에 전달되도록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차단기 조작 회전축에는 브래킷의 한쪽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기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핀이 결합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록킹-해제부의 제 1걸림바아는 취부패널의 저면에 형성되면서 조작링크의 좌.우 이동에 따라 직선 이동하면서 취부패널의 한쪽 단부로만 노출되어 가이드 레일의 제 1,2걸림공에 걸림 및 해제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 1걸림바아와 제 2걸림바아 사이에는 피니언 기어가 결합되어서 제 1걸림바아의 이동에 따라 제 2걸림바아가 반대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2걸림바아는 취부패널의 양쪽 단부로 노출되어 가이드 레일의 제 1,2걸림공에 걸림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또한, 취부 패널에는 2개의 장공이 형성되고, 한쪽 장공에는 이동부재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하며, 다른쪽 장공에는 조작링크의 하부가 관통되어 이동가능하도록 하면서 제 1걸림바아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어서 제 1걸림바아를 좌,우로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연결축이 관통,결합되는 푸시판의 결합공의 둘레면 상,하에는 누름돌기가 지지판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연결축이 관통하는 지지판의 관통공의 상,하부에는, 상기 푸시판의 누름돌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기어부의 관통공의 상,하부에는 연결축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고, 연결축이 축방향으로 이동시에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절개홈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하는 MCC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조작핸들을 마련하여 수납유닛의 인출 및 삽입 동작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차단기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구조가 단순화되고, 그에 따라 코스트가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핸들의 조작시, 동력전달 조립체와 록킹-해제부의 메카니즘을 통해 수납유닛의 인출 및 삽입시, 제 1,2걸림바아로의 동력전달이 확실하게 이루어져서 각 단계별 동작 수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MCC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상태에서 수납유닛이 약간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구조에서 수납유닛의 양쪽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걸림부재를 더 구비한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a의 반대쪽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의 수납유닛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내부 구조를 도시한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의 동력전달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반대측에서 본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의 동력전달 조립체를 이루는 케이스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의 취부패널과 동력전달 조립체 및 록킹-해제부의 구조를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의 동력전달 조립체를 통해 조작핸들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을 알 수 있도록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서 제 1전달기어의 회전으로 스위치 구조체의 스위치판이 이동하여 접속되는 모습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9c는 도 9b의 상태에서 조작핸들을 더 회전시킨 상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9d는 도 9c의 상태에서 조작핸들을 더 회전시킨 상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핸들의 동력이 전달되는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서 차단기의 조작을 위해 조작핸들을 누른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10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10b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의 취부패널 저면에 구비되는 록킹-해제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b는 도 12a로부터 조작핸들을 약간 회전시킨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c는 도 12b로부터 조작핸들을 약간 더 회전시킨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d는 도 12c로부터 조작핸들을 약간 더 회전시킨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에서 조작핸들을 단계적으로 조작시 제 1,2걸림바아의 위치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가 MCC에서의 접속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차단기의 스위치를 조작(개폐동작) 하기 위한 차단기 개폐기구부의 일 예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로부터 수납유닛이 약간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는 전면커버(101)와, 이 전면커버(101)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측면판(102)과,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판(103)과, 전면커버(101)의 마주보는 후방에 형성되는 후면판(104)으로 이루어져서 그 내부에 수납실을 형성하는 수납유닛(100)이 제공된다.
상기 수납유닛(100)은 MCC의 타입에 따라 여러가지 구조로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전면커버(101) 대신에 개폐가능한 도어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판(104)은 수납유닛(100)을 형성함에 있어서,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MCC의 타입에 따라 수납유닛(100)에 후면판(104)이 있는 구조와 없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납유닛(100)을 구성함에 있어서, 판으로 전면, 측면 후면 및 저면을 구성하지 않고, 프레임으로 연결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일부는 판으로 형성하고, 일부는 프레임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전면커버(101)에는 수납유닛(100)의 인출 및 삽입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차단기(210)의 개폐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조작핸들(110)이 갖추어진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유닛(100)의 양 측면에는 수납유닛(100)의 인출 및 삽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수납유닛(100)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안내해주는 가이드 레일(120)이 구비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가이드 레일(120)은 MCC에 설치,고정되어서 상기 수납유닛(100)의 인출 및 삽입동작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레일(120)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6)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고정판(106) 없이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로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120)의 끝단부에 걸림공(120a)이 형성되고, 측면판(102)에는 걸림부재(105)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걸림부재(105)는 중앙에 회동축(105a)이 형성되어서 걸림부재(105)가 시소와 같이 회동축(105a)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결합되고, 회동축(105a)을 기준으로 걸림부재(105)를 나누어지는 제 1,2걸림편(105b)(105c)중 제 1걸림편(105b)의 중량이 제 2걸림편(105c)보다 많이 나가서 제 1걸림편(105b)쪽으로 하향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걸림편(105b)은 가이드레일(120)의 걸림공(120a)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절곡된 록킹편(105d)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재(105)는 회동축(105a)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제 1,2걸림편(105b)(105c)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 1걸림편(105b)쪽에는 절곡된 구조의 록킹편(105d)이 형성되어서 제 2걸림편(105c)쪽보다 무게가 무거워서 항상 록킹편(105d)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120)를 따라 수납유닛(100)이 인출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걸림부재(105)의 록킹편(105d)은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려는 힘에 의해 가이드 레일(120)의 상면에 접촉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가이드 레일(12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걸림공(120a)과 걸림부재(105)의 록킹편(105d)이 만나면, 록킹편(105d)은 걸림공(131a)이 삽입되면서 록킹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수납유닛(100)은 인출시 소정의 거리만큼 인출이 이루어지면, 자동적으로 걸림부재(105)에 의해 록킹이 이루어짐에 따라 수납유닛(100)이 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아 수납유닛(100)의 완전 분리에 따른 낙하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수납유닛(100)을 완전히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걸림부재(105)를 가이드 레일(120)의 걸림공(120a)으로부터 상승시켜서 빼낸 다음, 수납유닛(100)을 잡아당기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가이드 레일(120)의 단부측에는 간격을 두고 2개의 제 1,2걸림공(121)(122)가 형성되어서 후술하는 록킹-해제부(150)의 제 1,2걸림바아(151)(153)가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수납유닛(100)의 양쪽 측면판(102)의 하부에는 롤러(102a)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이드 레일(130)의 절곡부 안쪽에 끼워져서 수납유닛(100)의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또한, 전면커버(101)에는 수납유닛(100)을 인출 및 삽입시, 파지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01a)가 형성된다.
또한, 수납유닛(100)의 전면커버(101) 안쪽 하부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부패널(130)이 갖추어지는데, 상기 취부패널(130)은 전면커버(101)의 폭방향(정면에서 보았을때 가로길이)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취부패널(130)의 한쪽에는 수납유닛(100)의 인출 및 삽입 동작과, 차단기(210)의 개폐동작을 모두 가능하도록 해주는 하나의 조작핸들(11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 조립체(140)가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취부패널(130)의 저면에는 수납유닛(100)의 록킹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록킹-해제부(150)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동력전달 조립체(14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서 취부패널(130)에 고정되는 브래킷(141)과, 상기 브래킷(141)의 내부에 갖추어지면서 조작핸들(110)의 연결축(111)에 결합되어 조작핸들(110)의 회전 조작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는 기어부(142)와, 상기 기어부(141)의 안쪽면에 편심되게 결합되면서 기어부(141)의 회전동작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부재(14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축(111), 기어부(142)와 이동부재(143)가 지지되도록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지지판(144)과, 상기 지지판(144)의 반대면에 결합되면서 이동부재(143)의 하부에 연결되어서 이동부재(143)의 좌,우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록킹-해제부(150)를 동작시키는 조작링크(145)를 포함한다.
또한, 수납유닛(100)의 내부에 갖추어지는 차단기(210)의 조작을 위해 조작핸들(110)을 누르면 조작핸들(110)의 연결축(111)이 삽입되어 조작핸들(110)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과, 상기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푸시판(147)과, 상기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의 외주면에 삽입되면서 상기 푸시판(147)과 브래킷(141)의 내주면 사이에 탄지되는 탄성부재(14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어부(142)의 원주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본 실시 예에서는 4개)의 삽입홈(142a)(142a-1)(142b)(142c)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돌기부(142d)가 돌출,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부(142)의 하부측 원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결합홈(142e)이 형성되어서 상기 이동부재(143)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핀(143c)으로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기어부(142)는, 연결축(111)이 결합되어 회전시에는 함께 회전되고, 연결축(111)이 축방향으로 이동시에는 기어부(142)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기어부(142)의 관통공(142f)내의 상,하부에는 절개홈(142g)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절개홈(142g)에 연결축(111)의 연결돌기(111a)가 삽입되어 축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고, 원주방향으로는 연결축(111)과 동시에 회전되도록 걸림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143)는 한쪽 방향(세로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면서 2개의 장공(143a)(143b)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재(143)의 한쪽 장공(143a)에는 지지판(144)에 고정되는 연결편(144a)이 관통,결합되면서 이동부재(143)가 결합되어서 지지판(144)에 고정된 연결편(144a)이 장공(143a)내에서 이동하여 이동부재(143)의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143)의 다른쪽 장공(143b)에는 조작링크(145)와 연결되도록 연결편(145a)이 관통되어 결합되고, 이때에는 지지판(144)의 하부 끝단부를 공간부를 관통해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144)의 한쪽면에는 스토퍼(144b)가 돌출,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에는 축방향(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절개부(146a)가 형성되어서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의 내부에 출입가능하게 삽입되는 조작핸들(110)의 연결축(111)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연결돌기(111a)가 끼워져서 연결축(111)의 회전력이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에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조작핸들(110)의 연결축(111)의 앞쪽에는 조작핸들(110)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합핀(111b)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연결축(111)과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의 외주면에는 각각 고정와셔(111c)(146c)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에는 걸림핀(146b)이 결합되어서 브래킷(141)의 한쪽 외주면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에는 차단기(210)를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결바아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록킹-해제부(1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부패널(130)의 저면에 형성되면서 조작링크(145)의 좌.우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제 1걸림바아(151)와, 상기 제 1걸림바아(151)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52)의 반대편에 맞물려서 제 1걸림바아(151)의 이동에 따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제 2걸림바아(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걸림바아(151)는 취부패널(130)의 한쪽 단부쪽으로만 노출되도록 연장,형성되고, 제 2걸림바아(153)는 취부패널(130)의 양쪽 단부쪽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 1,2걸림바아(151)(153)는 취부패널(130)의 저면에 브래킷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1걸림바아(151)의 한쪽 단부와 제 2걸림바아(153)의 양쪽 단부에는 각각 경사면(151b)(153a)가 형성되어서, 가이드레일(120)의 제 1,2걸림공(121)(122)의 보다 원활하게 출입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취부패널(130)에는 2개의 장공(131)(132)이 형성되어서 한쪽 장공(131)에는 이동부재(143)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하고, 다른쪽 장공(132)에는 조작링크(145)의 하부가 관통되어 이동가능하도록 하면서 제 1걸림바아(151)에 형성된 결합공(151a)에 결합되어서 제 1걸림바아(151)를 좌,우로 직선 이동가능케 한다.
상기 조작링크(145)는 하부가 절곡된 구조를 가져서 상기 취부패널(130)에 형성된 2개의 장공(131)(132)간의 간격에 적합하게 지지판(143)을 중심으로 조작링크(145)의 상부가 직선형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조작링크(145)의 절곡된 하단부와 이동부재(143)의 하부가 연결편(145)을 통해 서로 연동되도록 결합되면서 취부패널(130)의 2개의 장공(131)(132)에 각각 삽입가능하도록 간격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축(111)이 관통,결합되는 푸시판(147)의 결합공(147a)의 둘레면 상하에는 누름돌기(147b)가 안쪽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푸시판(147)의 원주면에는 후술하는 탄성부재(149)가 탄지되도록 하는 복수의 삽입홈(147c)이 형성되어서 차단기(210)의 조작을 위해 조작핸들(110)의 회전시, 푸시판(147)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회전상태를 알 수 있도록 소리가 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축(111)이 관통하는 지지판(144)의 관통공(144c)의 상,하부에는 상기 푸시판(147)의 누름돌기(147b)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144d)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브래킷(141)의 한쪽 외부면에는 스위치 조립체(160)가 결합되는데, 이 스위치 조립체(160)는, 본체부(161)와, 스위칭 동작을 하는 스위치판(1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61)에는 스위치 버튼(161a)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판(162)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푸시핀(162a)이 형성되어서 브래킷(141)의 한쪽 측면 및 지지판(144)을 관통하여 출입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기어부(142)의 원주면에 형성된 돌기부(142d)와 만나면 눌리도록 하여, 스위치판(162)이 브래킷(141)의 한쪽면으로부터 밀려서 스위치판(162)의 하단부가 본체부(161)의 스위치 버튼(161a)을 눌러서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판(162)의 하단부에는 스위치버튼(161a)을 누를 수 있도록 스위치버튼(161a)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62b)가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 조립체(160)는 스위칭 동작에 따라 수납유닛(100)의 현재상태(인출/삽입 상태 등)를 알려주도록 한다.
또한, 상기 브래킷(141)의 상단부에는 대략 "V"자형으로 절곡된 판스프링 구조를 가지는 탄성부재(149)가 탄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브래킷(141)의 양쪽에는 브래킷(141)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지지판(144)을 지지하도록 하는 간격유지편(141a)이 결합(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141)은 취부패널(130)에 분해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144)의 양쪽 측면은 간격 유지편(141a)에 끼워져서 지지되고, 지지판(144)의 상단부는 브래킷(141)의 상면에 끼워져서 확실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브래킷(141)의 한쪽 측면에는 돌기(141b)가 돌출,형성되어서 차단기 조작을 위한 조작핸들(110)의 조작시,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의 걸림핀(146b)이 소정의 각도로만 회전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100)의 커넥터 및 차단기와의 접속관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평면도로서, 1차 커넥터(200), 차단기(210), 2차 커넥터(220), 3차 커넥터(230)의 접속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2차 커넥터(220)는 암 커넥터(221)와 숫 커넥터(222)로 접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3차 커넥터(230)도 암 커넥터(231)와 숫 커넥터(232)로 접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4에서 1차 커넥터(200)는 부스바(300)와 접속되고, 수납유닛(100)의 인출시 분리된다.
또한, 도 14에서 1차 커넥터(200)가 접속되면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고, 2차 커넥터(220)가 접속되면, MCC의 1차 커넥터(200)를 통해 공급된 외부 전원이 분기되어 각 부품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고, 3차 커넥터(230)가 접속되면, 별도의 외부 보조전원을 공급받아서 수납 유닛 내부의 각종 표시등(예를 들어 LED 등)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져서 점멸되도록 한다.
도 14에서 수납유닛(100)의 우측에 도시된 부분은 MCC 본체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으로서, 수납유닛(100)의 인출 및 투입동작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 차단기(210)는 조작핸들(110)과 핸들축(111)을 통해 연결되는데, 차단기(210)의 앞쪽에는 조작핸들(110)의 조작운동으로 차단기(210)의 스위치(211)를 온/오프(ON/OFF)시키기 위한 차단기 개폐기구부(21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기 개폐기구부(212) 구조의 일 예를 보면, 회동식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조작핸들(110)의 핸들축(111)과 연결되어 회동되도록 하는 연결부재(213)가 갖추어진다.
상기 연결부재(213)의 회전중심에는 연결부재(213)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나사(214)가 결합되고, 연결부재(213)의 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편(213a)이 형성되어서 연결부재(213)의 앞쪽에 간격을 두고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촉부재(215)의 결합공(215a)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접촉부재(215)에 형성된 결합공(215a)에는 차단기(210)의 스위치(211)가 결합되어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접촉부재(215)의 하단부에는 결합나사(216)가 결합되어서 접촉부재(215)가 핸들축(1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나사(216)를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상기 접촉부재(213)가 핸들축(111)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면서, 접촉부재(213)의 결합공(211)에 삽입된 차단기(210)의 스위치(211)가 온 또는 오프모드로 동작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차단기 개폐기구부(212)의 구조는 수납유닛의 타입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피니언 및 랙크를 이용하여 차단기의 스위치(211)를 삽입하는 삽입편을 마련하여 랙크와 연결함으로써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는, 수납유닛(100)의 인출 및 삽입과 차단기(210)의 조작을 하나의 조작핸들(110)을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3에 있어서, 점선(L1)은 제 1,2걸림바아(151)(153)이 가이드 레일(120)의 제 1,2걸림공(121)(122)에 진입하기 전 위치를 나타내고, 점선(L2)는 제 1,2걸림바아(151)(153)이 가이드 레일(120)의 제 1,2걸림공(121)(122)에 진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에 단계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납유닛(100)의 인출 및 삽입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수납유닛(110)의 전면커버(101)에 구비된 조작핸들(110)을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킨다(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좌측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
그러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핸들(110)의 연결축(111)에 결합된 기어부(142)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기어부(142)의 하부 결합홈(142e)에 편심되게 결합된 이동부재(143)는 기어부(142)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때 이동부재(143)의 하단부는 취부패널(130)의 장공(131)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도 7에서, 상기 이동부재(14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기어부(142)의 결합홈(142e)내에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원호운동을 하면서 위치 이동을 하게 되고, 그러면, 고정된 연결편(144a)을 기준으로 장공(143a)의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연결편(144a)의 하부에 해당하는 이동부재(143)의 하부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143)의 하부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연결편(145a)을 통해 연결된 조작링크(145)도 동시에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제 1걸림바아(151)를 좌측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킨다.
상기 조작링크(145)의 이동시, 조작링크(145)의 하단부는 취부패널(130)의 장공(132)내에서 이동한다(도 4 참조).
한편, 도 7에 있어서, 조작핸들(110)의 회전동작에 따라 기어부(142)가 회전하면, 기어부(142)의 하부 일측에 돌출,형성된 돌기부(142d)는 지지판(144)에 돌출,형성된 스토퍼(144b) 위치에 도달하면 더 이상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이 상태는 도 13의 (d)의 위치로서, 수납유닛(100)의 테스트 모드 위치를 나타낸다.
도 12a 내지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걸림바아(151)는 피니언(152)을 매개로 하여 제 2걸림바아(153)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결합되어 있어, 제 1걸림바아(151)가 도면상 좌측으로 직선이동하게 됨에 따라, 제 2걸림바아(153)는 도면상 반대방향인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 1,2걸림바아(151)(153)의 단부는 각각 가이드 레일(120)의 제 1,2걸림공(121)(122)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도 2a 및 도 2b 참조).
이 상태에서 수납유닛(100)을 인출하면,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수납유닛(100)은 원활하게 인출되는 것이다.
상기 수납유닛(100)의 인출시에는, 수납유닛(10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롤러(102a)가 회전하면서 이동하므로, 수납유닛(100)의 인출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핸들(110)의 단계별 조작시, 제 1,2걸림바아(151)(153)의 위치 변화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a) 내지 (d)의 도면에서 (a)는 수납유닛(100)이 완전히 삽입된 상태이고, (b) 단계는 일부 전원만이 공급되는 테스트 모드 상태, (c) 단계는 수납유닛(100)의 인출가능 상태, (d) 단계는 전원이 모두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a) 단계에서는 제 1걸림바아(151)의 우측단부는 가이드 레일(120)의 제 2걸림공(122)안에 삽입,걸림이 이루어진 상태이고, 제 2걸림바아(153)의 좌측단부는 가이드 레일(120)의 제 1걸림공(121)안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조작핸들(11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c) 단계에서와 같이 조작핸들(110)을 세로 방향으로 위치시키면, 수납유닛(100)은 인출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제 1,2걸림바아(151)(153)의 단부는 가이드 레일(120)의 제 1,2걸림공(121)(122)에 삽입되지 않아 걸림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서, 수납유닛(100)은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인출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인출가능한 상태에서, 수납유닛(100)을 약간 작업자쪽(MCC의 바깥쪽)으로 잡아당기면서 다시 조작핸들(11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b)단계에서와 같이, 제 1걸림바아(151)의 단부는 가이드 레일(120)의 제 2걸림공(122)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반대편의 제 2걸림바아(153)의 단부는 제 2걸림공(122)안에 위치하여 걸림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 상태가 테스트 모드 상태가 되는 것이다.
(b) 단계는 기어부(142)가 삽입홈(142a)에서 두번째 위치의 삽입홈(142a-1) 위치에 도달하는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는 이동부재(143)만 약간 이동하는 상태로서, 제 1,2걸림바아(151)(153)는 아무런 영향이 없고, 다만 스위치 조립체(160)의 스위치 판(162)이 밀려서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는 상태인 테스트 모드 상태이다.
(c)단계는 조작핸들(110)을 더욱 회전시켜서 기어부(142)의 3번째 위치의 삽입홈(142b)에 탄성부재(149)가 삽입되면, 제 1,2걸림바아(151)(153)는 가이드레일(120)의 제 1걸림공(121) 및 제 2걸림공(122)으로부터 빠져나온 상태가 되어서 수납유닛(100)은 자유롭게 인출가능하게 된다.
이때, 스위치 조립체(160)의 스위치 판(162)은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밀려서 스위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접속동작을 한 상태에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도 13의 (d) 단계는 (b) 단계에서 다시 (c) 단계로 조작핸들(110)을 회전시켜서 슈납유닛(100)이 인출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킨 다음, 수납유닛(100)을 인출하면서 조작핸들(11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2걸림바아(153)의 우측 단부가 가이드 레일(120)의 제 2걸림공(122)안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고, 제 1걸림바아(151)는 가이드 레일(120)에 걸림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도 13의 (d) 단계에서 제 2걸림바아(153)의 우측단부가 우측 가이드 레일(120)의 제 2걸림공(122)안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MCC의 전원이 모두 차단된 OFF상태이고, 수납유닛(100)이 MCC로부터 약간 인출된 상태이므로, 만일, 제 2걸림바아(153)의 우측 단부가 가이드 레일(120)의 제 2걸림공(122)안에 걸려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수납유닛(100)이 MCC의 앞으로 더 노출되어 빠질 수 있어 위험하므로, 전원이 OFF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납유닛(100)이 안정되게 약간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3의 (d) 단계시에는 기어부(142)의 회전으로 기어부(142)의 4번째 삽입홈(142c)이 탄성부재(149)에 걸림이 이루어진 상태이다.
따라서, MCC의 시험 및 점검을 위해 테스트 모드 위치로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에서와 같이 조작핸들(110)을 인출가능한 위치에서 약간 인출하면, 1,2차 커넥터(200)(220)가 분리된 상태가 되고, 3차 커넥터(230)는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도 14 참조).
수납유닛(100)의 테스트 위치 설정시, 수납유닛(100)을 약간 인출한 상태에서 조작핸들(110)을 반시계 방향으로 더 돌리면, 연결축(111)과 결합된 기어부(142)가 회전하게 되면서 기어부(142)의 하부에 편심되게 결합된 이동부재(143)가 장공(131)의 한쪽 끝단부까지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연결편(145a)을 통해 결합된 조작링크(145)도 동시에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장공(132)의 끝단부까지 이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조작링크(145)의 하단부가 결합된 제 1걸림바아(151)는 좌측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면서 취부패널(130)의 저면 내부로 더욱 들어가게 되고, 피니언(152)을 통해 제 1걸림바아(151)의 동력을 전달받는 제 2걸림바아(153)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취부패널(130)의 우측 단부쪽으로 더욱 돌출되면서 한쪽 가이드 레일(130)(우측 가이드 레일)의 제 2걸림공(122)에 삽입되어서 걸림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수납유닛(100)이 MCC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출동작을 하기 위해서, 조작핸들(110)을 회전시킬때, 연결축(111)을 통해 결합된 기어부(142)의 원주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삽입홈(142a)(142a-1)(142b)(142c)이 형성되어 있고, 브래킷(141)의 상부 내부에는 "V"자형의 탄성부재(149)가 갖추어져 있어, 기어부(142)가 회전함에 따라 삽입홈(142a)(142a-1)(142b)(142c)을 지날때마다 소리("딸깍"하는 소리)가 나면서 쉽게 수납유닛(100))의 조작상태를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인지하면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차단기(210)를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납유닛(100)이 완전 삽입되어 제 1,2걸림바아(151)(153)가 가이드 레일(120)의 제 1,2걸림공(121)(122)에 각각 걸림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조작핸들(110)을 축방향으로 누르면, 연결축(111)은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의 내부로 삽입되는데, 연결축(111)의 선단부측 외주면에는 연결돌기(111a)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연결축(111)을 축방향으로 누르면, 연결돌기(111a)가 푸시판(147)의 안쪽에 돌출,형성된 누름돌기(147b)를 누르게 되고, 푸시판(147)은 눌리면서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111)의 연결돌기(111a)는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의 절개부(146a)를 따라 진입된다. 이때, 상기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푸시판(147)에 의해 탄성부재(148)는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핸들(110)을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축(111),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 및 푸시판(147)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과 연결된 연결바아에 의해 차단기 개폐기구부(212)의 작동으로 차단기(210)의 스위치(211)가 조작되어 온/오프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차단기(210)의 조작을 위해 조작핸들(110)을 눌러서 회전시키면, 푸시판(147)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푸시판(147)에 형성된 누름돌기(147b)는 지지판(144)의 관통공(144c)의 둘레면 상,하부에 각각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통과공(144d)으로부터 회전에 따라 멀어지게 되면서 푸시판(147)면에 접촉하게 되고, 그에 따라 압축된 탄성부재(148)의 반발력이 작용하더라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고, 조작핸들(110)이 눌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반대로, 조작핸들(110)을 회전하는 경우에는, 푸시판(147)도 동시에 회전하면서 지지판(144)의 통과공(144d)에 푸시판(147)의 누름돌기(147b)가 일치되는 위치로 회전 이동하게 되고, 이때 압축된 탄성부재(148)의 반발력에 의해 푸시판(147)이 밀리면서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연결축(111)도 밀리면서 조작핸들(11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L1,L2 : 점선
100 : 수납유닛
101 : 전면커버
101a : 손잡이
102 : 측면판
102a : 롤러
103 : 하부판
104 : 후면판
105 : 걸림부재
105a : 회동축
105b : 제 1걸림편
105c : 제 2걸림편
105d : 록킹편
110 : 조작핸들
111 : 연결축
111a : 연결돌기
111b : 결합핀
111c : 고정와셔
120 : 가이드 레일
120a : 걸림공
121 : 제 1걸림공
122 : 제 2걸림공
130 : 취부패널
131,132 : 장공
140 : 동력전달 조립체
141 : 브래킷
141a : 간격유지편
141b : 돌기
142 : 기어부
142a,142a-1,142b,142c : 삽입홈
142d : 돌기부
142e : 결합홈
142f : 관통공
142g : 절개홈
143 : 이동부재
143a,143b : 장공
143c : 결합핀
144 : 지지판
144a : 연결편
144b : 스토퍼
144c : 관통공
144d : 통과공
145 : 조작링크
145a : 연결편
146 : 차단기 조작 회전축
146a : 절개부
146b : 걸림핀
146c : 고정와셔
147 : 푸시판
147a : 결합공
147b : 누름돌기
147c : 삽입홈
148,149 : 탄성부재
150 : 록킹-해제부
151 : 제 1걸림바아
151a : 결합공
151b,153a : 경사면
152 : 피니언 기어
153 : 제 2걸림바아
160 : 스위치 조립체
161 : 본체부
161a : 스위치 버튼
162 : 스위치판
162a : 푸시핀
162b : 돌출부

Claims (14)

  1.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출 및 삽입 동작이 이루어지는 수납유닛(100)과;
    수납유닛(100)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수납유닛(100)의 인출 및 삽입 동작시와, 수납유닛(100)의 내부에 갖추어지는 차단기(210)의 조작을 겸해서 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조작핸들(110)과;
    상기 수납유닛(100)의 내부에 갖추어지는 취부패널(130)에 구비되면서 상기 하나의 조작핸들(110)의 조작에 따라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 전달 조립체(140)와;
    상기 취부패널(130)의 저면에 구비되면서 동력전달 조립체(140)에 의해 수납유닛(100)의 동작시 좌,우로 이동하면서 수납유닛(100)의 록킹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록킹-해제부(150);
    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 조립체(140)는,
    조작핸들(110)의 연결축(111)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기어부(142)와,
    상기 기어부(142)의 하부에 편심,결합되어서 기어부(142)의 회전동작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부재(143)와,
    상기 록킹-해제부(150)를 동작시키도록 이동부재(143)와 연결되어 이동부재(143)의 이동에 따라 동시에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조작링크(145)와,
    차단기(210)의 조작을 위해 조작핸들(110)을 누르면 조작핸들(110)의 연결축(111)이 삽입되어 조작핸들(110)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과,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되어서 취부패널(130)에 고정되는 브래킷(141)과,
    상기 연결축(111), 기어부(142)와 이동부재(143)가 지지되면서 결합되도록 브래킷(141)의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판(144)과,
    상기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푸시판(147)과,
    상기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의 외주면에 삽입되면서 상기 푸시판(147)과 브래킷(141)의 내주면 사이에 탄지되는 탄성부재(148)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에는 브래킷(141)의 한쪽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기(141b)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핀(146b)이 결합되고,
    상기 록킹-해제부(150)는,
    상기 조작링크(145)의 동작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제 1,2걸림바아(151)(153)를 포함하며,
    취부 패널(130)에는 2개의 장공(131)(132)이 형성되고,
    한쪽 장공(131)에는 이동부재(143)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하며,
    다른쪽 장공(132)에는 조작링크(145)의 하부가 관통되어 이동가능하도록 하면서 제 1걸림바아(151)에 형성된 결합공(151a)에 결합되어서 제 1걸림바아(151)를 좌,우로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연결축(111)이 관통,결합되는 푸시판(147)의 결합공(147a)의 둘레면 상 하에는 누름돌기(147b)가 지지판(144)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142)의 원주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기어부(142)의 하부에는 돌기부(142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142)의 하부측 원주면에는, 상기 이동부재(143)의 단부가 삽입되어 편심되게 결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결합홈(142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43)는 한쪽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면서 2개의 장공(143a)(143b)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143)의 한쪽 장공(143a)에는, 지지판(144)에 고정되는 연결편(144a)이 관통,결합되면서 이동부재(143)가 결합되어서 지지판(144)에 고정된 연결편(144a)이 장공(143a)내에서 이동하여 이동부재(143)의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이동부재(143)의 다른쪽 장공(143b)에는 지지판(144)의 하단부를 지나서 연결편(145a)을 통해 조작링크(145)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44)의 한쪽면에는 스토퍼(144b)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에는,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의 내부에 출입가능하게 삽입되는 조작핸들(110)의 연결축(111)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연결돌기(111a)가 끼워져서 연결축(111)의 회전력이 차단기 조작 회전축(146)에 전달되도록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절개부(146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부(150)의 제 1걸림바아(151)는 취부패널(130)의 저면에 형성되면서 조작링크(145)의 좌.우 이동에 따라 직선 이동하면서 취부패널130)의 한쪽 단부로만 노출되어 가이드 레일(120)의 제 1,2걸림공(121)(122)에 걸림 및 해제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 1걸림바아(151)와 제 2걸림바아(153) 사이에는 피니언 기어(152)가 결합되어서 제 1걸림바아(151)의 이동에 따라 제 2걸림바아(153)가 반대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2걸림바아(153)는 취부패널(130)의 양쪽 단부로 노출되어 가이드 레일(120)의 제 1,2걸림공(121)(122)에 걸림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111)이 관통하는 지지판(144)의 관통공(144c)의 상,하부에는, 상기 푸시판(147)의 누름돌기(147b)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144d)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13.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어부(142)의 관통공(142f)의 상,하부에는 연결축(111)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고, 연결축(111)이 축방향으로 이동시에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절개홈(142g)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14.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청구항 9,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3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C.
KR1020150132659A 2015-09-18 2015-09-18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101630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659A KR101630678B1 (ko) 2015-09-18 2015-09-18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659A KR101630678B1 (ko) 2015-09-18 2015-09-18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678B1 true KR101630678B1 (ko) 2016-06-24

Family

ID=56343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659A KR101630678B1 (ko) 2015-09-18 2015-09-18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6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07784A (zh) * 2016-08-30 2016-12-07 江苏镇德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力机柜的分隔式固定件
CN110233086A (zh) * 2019-07-03 2019-09-13 山东泰开电工电器有限公司 一种抽屉式断路器用带三位置触点的端子排结构
WO2020209515A1 (ko) * 2019-04-11 2020-10-15 엘에스일렉트릭㈜ 포지션 잠금 장치를 갖는 배전반
KR20220013753A (ko) * 2020-07-27 2022-02-04 정석관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니트 조립체를 구비한 mcc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817B1 (ko) * 2012-02-14 2012-05-09 (주)서전기전 Mccb 핸들과 unit 투입 핸들 및 포지션 스위치를 일체화한 unit 수납 구조를 가지는 mcc
KR101362256B1 (ko) * 2013-12-26 2014-02-12 윤여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101387368B1 (ko) * 2013-12-26 2014-04-22 윤여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101440264B1 (ko) 2014-05-26 2014-09-17 윤여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817B1 (ko) * 2012-02-14 2012-05-09 (주)서전기전 Mccb 핸들과 unit 투입 핸들 및 포지션 스위치를 일체화한 unit 수납 구조를 가지는 mcc
KR101362256B1 (ko) * 2013-12-26 2014-02-12 윤여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101387368B1 (ko) * 2013-12-26 2014-04-22 윤여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101440264B1 (ko) 2014-05-26 2014-09-17 윤여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07784A (zh) * 2016-08-30 2016-12-07 江苏镇德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力机柜的分隔式固定件
WO2020209515A1 (ko) * 2019-04-11 2020-10-15 엘에스일렉트릭㈜ 포지션 잠금 장치를 갖는 배전반
KR20200120147A (ko) * 2019-04-11 2020-10-21 엘에스일렉트릭(주) 포지션 잠금 장치를 갖는 배전반
KR102208664B1 (ko) * 2019-04-11 2021-01-28 엘에스일렉트릭(주) 포지션 잠금 장치를 갖는 배전반
CN113711451A (zh) * 2019-04-11 2021-11-26 Ls电气株式会社 具有位置锁定装置的配电盘
US11715939B2 (en) 2019-04-11 2023-08-01 Ls Electric Co., Ltd. Distributing board having position lock device
CN110233086A (zh) * 2019-07-03 2019-09-13 山东泰开电工电器有限公司 一种抽屉式断路器用带三位置触点的端子排结构
CN110233086B (zh) * 2019-07-03 2024-02-13 山东泰开电工电器有限公司 一种抽屉式断路器用带三位置触点的端子排结构
KR20220013753A (ko) * 2020-07-27 2022-02-04 정석관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니트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102410867B1 (ko) * 2020-07-27 2022-06-20 정석관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니트 조립체를 구비한 mcc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678B1 (ko)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101440264B1 (ko)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US10079478B2 (en) Connecting device for control terminals in withdrawable type circuit breaker
KR101387368B1 (ko)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EP0557586B1 (en) Drawout type switchgear
JP2755049B2 (ja) 引出形遮断器の安全シャッター装置
KR101443314B1 (ko)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US9685282B2 (en) Door interlock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US9850692B2 (en) Glove box for an automobile
RU2700293C2 (ru) Установоч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сидень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EP2564729B1 (en) Household appliance
KR101528602B1 (ko)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mcc
KR101362256B1 (ko)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CN101536279A (zh) 开关设备
KR101073681B1 (ko) 바이패스 전원절체장치의 인터록 장치
EP3876369A1 (en) Mechanical interlocking mechanism
KR100932421B1 (ko) 배전반 유니트 인출장치
KR101586022B1 (ko)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101184922B1 (ko) 도어의 잠금 모듈, 그를 갖는 모드 전환 장치 및 배전반
US6244891B1 (en) Circuit breaker movement structure with snap-on draw bracket assembly
KR101470048B1 (ko) 2중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진공차단기의 인출입 장치
CN103821411B (zh) 键式开关
KR101541294B1 (ko) 전동기 제어반
JP4449667B2 (ja) 引出形開閉機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20170038330A (ko)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