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330A -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 - Google Patents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330A
KR20170038330A KR1020150137577A KR20150137577A KR20170038330A KR 20170038330 A KR20170038330 A KR 20170038330A KR 1020150137577 A KR1020150137577 A KR 1020150137577A KR 20150137577 A KR20150137577 A KR 20150137577A KR 20170038330 A KR20170038330 A KR 20170038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awer
drawer unit
motor control
contro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닉스
Priority to KR102015013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8330A/ko
Publication of KR20170038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3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73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draw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는, 모터컨트롤센터의 서랍형유닛에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브래킷; 상기 서랍형유닛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방향으로 고정브래킷에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프링에 의해 서랍형 유닛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로드; 및 상기 고정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로드의 슬라이드이동과 연동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단부가 서랍형유닛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표시부재를 구비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랍형유닛이 인입되거나 인출될 때, 로드가 슬라이드이동되어 표시부재의 노출되는 단부의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래치유닛을 돌려보거나 서랍형유닛에 물리적 힘을 가해보지 않더라도 서랍형유닛의 인입 및 인출시 서랍형유닛이 인입 및 인출된 위치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MECHANICAL INDICATER OF DRAWER TYPE UNIT AND MOTOR CONTROL CENTER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래치유닛을 돌려보거나 서랍형유닛에 물리적 힘을 가해보지 않더라도 서랍형유닛의 인입 및 인출시 서랍형유닛이 인입 및 인출된 위치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컨트롤센터(Motor Control Center)는 파워 부스와 모터 제어 유닛들이 설치된 하나 이상의 닫힌 구역을 갖는 장치로서, 모터컨트롤센터에는 각각 파워 부스와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캐비닛 섹션이 구비되며, 섹션마다 각종 전기장치 즉, 차단기, 트랜스포머, 회로개폐기, 릴레이, 퓨즈, 타이머, EOCR 및 전자접촉기 등이 설치되어 서로 다른 모터를 제어하는 독립된 유닛을 구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독립된 유닛은 유지 보수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캐비닛 섹션에서 서랍형으로 인출되거나 인입되며 독립된 닫힌 구역을 형성하는 서랍형유닛 형태를 이룬다.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는 서랍형유닛의 인출 및 인입시 주회로의 플러그 접속은 해제시킨 상태에서 제어용 플러그만 접속시키고 서랍형유닛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하게 되는데, 모터컨트롤센터에는 서랍형유닛을 테스트 위치로 용이하게 위치시키면서 동시에 서랍형유닛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서랍형유닛의 인입 및 인출 위치에 따라 모터컨트롤센터의 판넬에 형성된 구멍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래치를 형성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에는 래치의 일측에 래치의 회전방향에 따라 'DRAW', 'TEST' 및 'OUT'이 표시된다. 작업자는 서랍형유닛을 캐비닛 섹션에 완전히 인입시킨 상태에서는 래치를 'DRAW'로 돌림으로써 서랍형유닛의 이탈을 방지하고, 'TEST' 위치로 돌린 상태에서는 서랍형유닛을 'DRAW' 위치와 'TEST' 위치 사이에서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키며, 'OUT' 위치에서는 래치의 구속 없이 서랍형유닛을 자유롭게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키게 된다.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에 형성된 래치 및 'DRAW', 'TEST' 및 'OUT' 표시는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기술로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에서 작업자는 서랍형유닛을 손으로 밀거나 당긴 후 현재 서랍형유닛의 위치가 'DRAW' 위치인지, 'TEST' 위치인지 또는 'OUT' 위치인지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래치를 'DRAW', 'TEST' 또는 'OUT' 위치로 돌려보고 서랍형유닛을 다시 당기거나 밀어봄으로써 래치가 판넬에 형성된 구멍에 걸리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수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28602호에는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MCC가 게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528602호는 수납유닛과, 수납유닛의 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와, 가이드 레일의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부에 수납유닛이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고정판에 고정되면서 수납유닛의 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수납유닛의 이동시 안정되면서도 정확한 정렬이 가능하여 수납유닛에 구비되는 커넥터의 접속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528602호는 수납유닛 조립체를 이루는 수납유닛을, MCC를 이루는 수납실안에 구비시, 제1,2 가이드부재 및 제1,2 수용가이드부재의 삽입동작에 의해 수납유닛의 좌,우 요동을 방지할 수 있고, 더욱이 제3 가이드부재 및 제3 수용가이드부재의 삽입동작에 의해 상부방향으로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어, 수납실 안으로 수납유닛의 삽입시, 안정되면서도 정확한 정렬이 가능하여 수납유닛에 구비된 커넥터의 접속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공보 제1528602호는 수납유닛의 인입 및 인출시 수납유닛의 상하좌우 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작업자가 수납유닛을 손으로 당기거나 미는 힘을 가하여 수납유닛을 인출하거나 인입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수납유닛을 당기거나 미는 방향은 정확하게 수납유닛의 인입 및 인출방향과 일치할 수가 없으므로, 제1,2 가이드부재와 제1,2 수용가이드부재의 삽입과정과 제3 가이드부재와 제3 수용가이드부재의 삽입과정에서 제1,2 가이드부재와 제1,2 수용가이드부재 간 마찰력 및 제3 가이드부재와 제3 수용가이드부재 간 마찰력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으며, 상술한 마찰력 발생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거나 작업자의 미숙 및 실수에 의해 수납유닛의 인입 및 인출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큰 힘이 인가되는 경우 제1,2 가이드부재와 제1,2 수용가이드부재 그리고 제3 가이드부재와 제3 수용가이드부재에 집중된 마찰력에 의한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하게 되어, 등록특허공보 제1528602호가 종래 기술의 문제로 거론한 수납유닛의 인출 및 인입시 안정된 지지상태 및 정확한 정렬, 그리고 이에 따른 커넥터의 정확한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게 된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28602호 (등록일: 2015.06.08)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래치유닛을 돌려보거나 서랍형유닛에 물리적 힘을 가해보지 않더라도 서랍형유닛의 인입 및 인출시 서랍형유닛이 인입 및 인출된 위치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서랍형유닛의 인입 및 인출시 정확하게 인입 및 인출되는 방향의 힘만을 서랍형유닛에 인가하여 서랍형유닛의 마찰, 파손, 인입 및 인출과정의 소음을 방지하고, 이에 따른 플러그 간 정확한 물리적 및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모터컨트롤센터의 서랍형유닛에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브래킷; 상기 서랍형유닛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브래킷에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프링에 의해 상기 서랍형 유닛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로드; 및 상기 고정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이동과 연동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서랍형유닛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표시부재를 구비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랍형유닛이 인입되거나 인출될 때, 상기 로드가 슬라이드이동되어 상기 표시부재의 노출되는 단부의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서랍형유닛이 인입될 때, 상기 로드는 상기 모터컨트롤센터에 의해 상기 서랍형 유닛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로드와 상기 표시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고정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단부에 상기 로드와 상기 표시부재가 회전 및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드와 상기 표시부재에는 각각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링커의 양단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서로 직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서랍형유닛에는, 상기 서랍형유닛이 인출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상기 서랍형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서랍형유닛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서랍형유닛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부를 포함하는 드라이브샤프트; 및 상기 모터컨트롤센터에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가 나사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에 회전력을 인가하면, 상기 수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 간 상대회전에 의해 상기 서랍형유닛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인입인출장치가 더 설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지지수단에 의해 상기 서랍형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슬리브; 및 상기 서랍형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슬리브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지지브래킷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공구에 의한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다각형 단면 형태로 연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와 상기 조작부 사이에는 원통형의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회전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가 구비된 래치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컨트롤센터에는,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거나 빠지는 래치삽입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랍형유닛의 인입 및 인출위치에 따라 표시부재가 회전하여 그 단부에 표시된 'DRAW', 'TEST' 및 'OUT' 표시가 자동으로 바뀜으로써, 작업자가 래치유닛을 돌려보거나 서랍형유닛에 물리적 힘을 가해보지 않더라도 서랍형유닛의 인입 및 인출시 서랍형유닛이 인입 및 인출된 위치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작부에 회전력을 인가하면 수나사부와 암나사부 간 상대회전에 의해 서랍형유닛이 인입되거나 인출됨에 따라, 서랍형유닛의 인입 및 인출시 정확하게 인입 및 인출되는 방향의 힘만을 서랍형유닛에 인가하여 서랍형유닛의 마찰, 파손, 인입 및 인출과정의 소음을 방지하고, 이에 따른 플러그 간 정확한 물리적 및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모터컨트롤센터의 서랍형유닛에 설치된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인입인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모터컨트롤센터의 서랍형유닛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캐비넷 섹션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도 3의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인입인출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3의 인입인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3의 인입인출장치의 드라이브샤프트에 래치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는, 작업자가 래치유닛을 돌려보거나 서랍형유닛에 물리적 힘을 가해보지 않더라도 서랍형유닛의 인입 및 인출시 서랍형유닛이 인입 및 인출된 위치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는, 서랍형유닛의 인입 및 인출시 정확하게 인입 및 인출되는 방향의 힘만을 서랍형유닛에 인가하여 서랍형유닛의 마찰, 파손, 인입 및 인출과정의 소음을 방지하고, 이에 따른 플러그 간 정확한 물리적 및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모터컨트롤센터의 서랍형유닛에 설치된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인입인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모터컨트롤센터의 서랍형유닛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캐비넷 섹션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도 3의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인입인출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3의 인입인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3의 인입인출장치의 드라이브샤프트에 래치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150)는 서랍형유닛(UT)이 인입되거나 인출될 때 기구적 메커니즘으로 작동하여 서랍형유닛(UT)의 위치 즉, 서랍형유닛(UT)이 'DRAW', 'TEST' 또는 'OUT' 위치에 있는지 자동으로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며, 고정브래킷(151), 로드(152), 표시부재(153) 및 회전링커(1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에 형성된 래치 및 'DRAW', 'TEST' 및 'OUT' 표시는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브래킷(151)은 로드(152)가 서랍형유닛(UT)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긴 판재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할 지지브래킷(132)의 측면에 볼트로 체결된다. 물론, 고정브래킷(151)은 서랍형유닛(UT)의 다른 고정된 위치에 결합될 수도 있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고정브래킷(151)에는 로드(152)가 삽입되는 한 쌍의 홀이 형성되며, 로드(152)는 한 쌍의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서랍형유닛(UT)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방향으로만 슬라이드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151)에는 표시부재(153) 및 회전링커(154)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로드(152)는 스프링(S)에 의해 고정브래킷(151)과 연결된다. 스프링(S)은 압축스프링(S)으로 구비되며, 일단부가 고정브래킷(151)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로드(152)의 일측에 결합되어 로드(152)를 서랍형 유닛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52)는 (서랍형유닛(UT)이 'DRAW', 'TEST' 또는 'OUT' 중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스프링(S)에 의해 서랍형유닛(UT)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로드(152)가 가압되는 방향 단부는 캐비닛 섹션(A) 내에서 모터컨트롤센터(MCC)에 가로막힘으로써, 로드(152)는 (서랍형유닛(UT)이 'DRAW', 'TEST' 또는 'OUT' 중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그 단부가 모터컨트롤센터(MCC)에 접촉한 상태로 정지해있게 된다.
따라서, 서랍형유닛(UT)이 'DRAW', 'TEST' 및 'OUT' 위치 사이에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과정에서 로드(152)와 고정브래킷(151)의 상대위치는 변화하게 되며, 표시부재(153)는 이와 같은 로드(152)의 상대위치 변화에 의해 로드(152)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재(153)는 서랍형유닛(UT)의 인입 및 인출시 자동으로 'DRAW', 'TEST' 및 'OUT'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고정브래킷(15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형유닛(UT)의 전면에는 표시부재(153)의 한쪽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홀이 형성되며, 표시부재(153)는 한쪽 단부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DRAW', 'TEST' 및 'OUT'이 표시된다. 표시부재(153)의 다른 한쪽 단부는 회전링커(154)에 의해 로드(152)와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링커(154)는 로드(152)와 표시부재(153)의 사이에서 고정브래킷(15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단부에 로드(152)와 표시부재(153)가 회전 및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52)와 표시부재(153)에는 각각 돌출부(P)가 형성되고, 회전링커(154)의 양단부에는 돌출부(P)가 삽입되는 삽입홈(H)이 서로 직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아래에서는 용이한 이해를 위해 로드(152)에 형성된 돌출부(P)는 '제1 돌출부'로 표시부재(153)에 형성된 돌출부(P)는 '제2 돌출부'로 지칭하고자 한다. 또한, 제1 돌출부(P)가 삽입되는 삽입홈(H)은 '제1 삽입홈(H)'으로 제2 돌출부(P)가 삽입되는 삽입홈(H)은 '제2 삽입홈(H)'으로 지칭하고자 한다.
서랍형유닛(UT)의 인입 및 인출시 로드(152)와 고정브래킷(151) 간 상대거리가 서랍형유닛(UT)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방향으로 변화하면, 제1 돌출부(P)는 제1 삽입홈(H)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링커(154)는 로드(152)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또한, 회전링커(154)가 회전하게 되면, 제2 돌출부(P)는 회전하는 제2 삽입홈(H)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회전링커(154) 및 표시부재(153)는 로드(152)의 슬라이드이동시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회전링커(154)와 표시부재(153)는 서로 수평한 높이에서 고정브래킷(15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랍형유닛(UT)이 'TEST' 위치로 인입 및 인출된 상태에서 제1 삽입홈(H)은 그 형성방향이 수직한 방향이 되고 제2 삽입홈(H)은 수평한 방향이 되게 배치된다.
서랍형유닛(UT)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위치에서 'DRAW' 위치(도 5 참조)와 'OUT' 위치(도 7 참조)는 'TEST' 위치(도 6 참조)로부터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므로, 서랍형유닛(UT)이 'TEST' 위치(도 6 참조)로부터 'DRAW' 위치(도 5 참조)로 이동하면 회전링커(15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표시부재(153)는 이와 연동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서랍형유닛(UT)이 'TEST' 위치(도 6 참조)로부터 'OUT' 위치(도 7 참조)로 이동하면 회전링커(15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표시부재(153)는 이와 연동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재(153)가 로드(152)의 슬라이드이동과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서랍형유닛(UT)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과정에서 서랍형유닛(UT)이 'TEST'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표시부재(153)의 'TEST'라고 표시된 한쪽 단부의 영역이 서랍형유닛(UT)의 전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도 6 참조)된다.
그리고 서랍형유닛(UT)이 캐비닛 섹션(A) 내로 완전히 인입되어 'DRAW'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표시부재(153)의 'DRAW'라고 표시된 한쪽 단부의 영역이 서랍형유닛(UT)의 전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도 5 참조)된다.
한편, 서랍형유닛(UT)이 'OUT'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표시부재(153)의 'OUT'이라고 표시된 한쪽 단부의 영역이 서랍형유닛(UT)의 전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도 6 참조)된다.
종래의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에서 작업자는 서랍형유닛을 손으로 밀거나 당긴 후 현재 서랍형유닛의 위치가 'DRAW' 위치인지, 'TEST' 위치인지 또는 'OUT' 위치인지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래치를 'DRAW', 'TEST' 또는 'OUT' 위치로 돌려보고 서랍형유닛을 다시 당기거나 밀어봄으로써 래치가 판넬에 형성된 구멍에 걸리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수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인디케이터(150)가 장착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MCC)는 작업자가 서랍형유닛(UT)을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키면 상술한 인디케이터(150)가 자동으로 서랍형유닛(UT)의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모터컨트롤센터의 불편함을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인디케이터(150)는 서랍형유닛(UT)의 인입 및 인출 위치에 따라 로드(152), 회전링커(154) 및 표시부재(153)가 기계적인 메커니즘으로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서랍형유닛(UT)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전기적 구성이 요구되지 않으면서도 이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원의 설치 없이 반영구적으로 작동이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구형 인디케이터(150)가 장착된 서랍형유닛(UT)에는 기구적 메커니즘에 의해 작동하는 인입인출장치(100)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인출장치(100)는 모터컨트롤센터(MCC)의 서랍형유닛(UT)을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키도록 이루어지며, 드라이브샤프트(110), 암나사부(120), 지지수단(130), 래치유닛(140) 및 인디케이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캐비닛 섹션(A)은 모터컨트롤센터(MCC)에서 서랍형유닛(UT)이 인입되는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브샤프트(110)는 서랍형유닛(UT)의 특정위치에서 외부에서 인가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성으로서, 연결부(111), 조작부(112), 수나사부(113) 및 연장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드라이브샤프트(110)는 서랍형유닛(UT)이 캐비닛 섹션(A)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을 따라 수나사부(113), 연결부(111), 연장부(114) 및 조작부(112)가 일체로 연결된 샤프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5(b)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11)는 조작부(112)에 인가되는 회전력을 수나사부(113)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서랍형유닛(UT)이 캐비닛 섹션(A)에서 인출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서랍형유닛(UT)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연결부(111)는 원통형 샤프트 형태로 형성되며, 지지수단(130)에 의해 서랍형유닛(UT)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130)은 지지브래킷(132), 슬리브(131) 및 와셔(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브래킷(132)은 슬리브(131)를 서랍형유닛(UT)의 일측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서랍형유닛(UT)에 결합된다. 도 3, 도 5(b)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래킷(132)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절곡되어 각각 볼트에 의해 서랍형유닛(UT)에 체결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브래킷(132)은 전체적으로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31)는 연결부(11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연결부(111)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한 쌍의 슬리브(131)는 (연결부(111)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홀에 삽입된 후) 지지브래킷(132)의 양쪽에서 볼트에 의해 지지브래킷(132)에 체결되며, 연결부(111)는 지지브래킷(132) 내에서 회전가능한 상태로 구비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연결부(111)의 양쪽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연결부(111)는 양쪽 단턱 부분이 슬리브(131)에 걸림으로써 지지브래킷(132) 내에서 서랍형유닛(UT)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방향으로의 유동이 차단된다. 슬리브(131)와 단턱 부분의 사이에는 와셔(133)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및 도 8을 참조하면, 조작부(112)는 회전력이 전달되는 부분으로, 연결부(111)로부터 서랍형유닛(UT)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조작부(112)는 공구에 의한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육각형 등 다각형 단면 형태로 연장되며, 이에 따라 렌치 등 공구에 의해 (서랍형유닛(UT)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방향을 축으로)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형유닛(UT)의 전면에는 조작부(112)가 외부로 노출되는 홀이 형성된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수나사부(113)는 암나사부(120)에 나사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부분으로서, 연결부(111)로부터 서랍형유닛(UT)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렌치 등 공구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조작부(112)에 회전력이 인가되면서 서랍형유닛(UT)이 캐비닛 섹션(A)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부(120)는 수나사부(113)가 나사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구성으로서, 캐비닉 섹션 내에서 모터컨트롤센터(MCC)에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 섹션(A)의 좌우 양쪽에는 각각 레일(R)이 형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형유닛(UT)의 좌우 양쪽에는 각각 레일(R)에 안착되는 슬라이딩부재(SL)가 형성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서랍형유닛(UT)의 인입 및 인출시 슬라이딩부재(SL)와 레일(R) 간 마찰력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슬라이딩부재(SL)와 레일(R) 사이에는 복수의 구름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형유닛(UT)에는 MCCB 등 제어용 장치와 함께 제1 주회로커넥터(C1), 제3 주회로커넥터(C3) 및 제5 제어용커넥터(C5)가 서랍형유닛(UT)의 인입방향으로 구비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 섹션(A)에는 제1 주회로커넥터(C1)와 접속되는 제2 주회로커넥터(C2), 제3 주회로커넥터(C3)와 접속되는 제4 주회로커넥터(C4), 제5 제어용커넥터(C5)와 접속되는 제6 제어용커넥터(C6)가 구비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주회로커넥터(C1), 제3 주회로커넥터(C3) 및 제5 제어용커넥터(C5)는 서랍형유닛(UT)의 인입 및 인출시 제2 주회로커넥터(C2), 제4 주회로커넥터(C4) 및 제6 제어용커넥터(C6)와 물리적/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분리된다.
도 3은 서랍형유닛(UT)의 내부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으로 실제로는 차단기, 트랜스포머, 회로개폐기, 릴레이, 퓨즈, 타이머, EOCR 및 전자접촉기 등이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111)는 지지수단(130)에 의해 서랍형유닛(UT)의 특정 위치에 이동이 차단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나사부(113)가 암나사부(120)에 접근하거나 삽입된 상태에서 공구 등에 의해 조작부(112)에 회전력을 인가하면, 회전력에 의해 수나사부(113)와 암나사부(120) 간 상대회전에 의한 수나사부(113)의 이동에 따라, 서랍형유닛(UT)은 캐비닛 섹션(A)으로부터 인입되거나 인출된다.
따라서, 종래 모터컨트롤센터는 작업자가 서랍형유닛을 손으로 당기거나 미는 힘을 가하여 인출하거나 인입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수납유닛을 당기거나 미는 방향은 정확하게 수납유닛의 인입 및 인출방향과 일치할 수가 없어, 레일과 슬라이딩부재 간에 마찰력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상술한 마찰력 발생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거나 작업자의 미숙 및 실수에 의해 서랍형유닛의 인입 및 인출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큰 힘이 인가되는 경우 레일과 슬라이딩부재에 집중된 마찰력에 의한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서랍형유닛의 인출 및 인입시 안정된 지지상태 및 정확한 정렬, 그리고 이에 따른 커넥터의 정확한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인입인출장치(100)는 조작부(112)에 렌치 등 공구를 통한 회전력을 인가하면, 수나사부(113)와 암나사부(120) 간 상대회전에 의한 수나사부(113)의 이동에 의해 서랍형유닛(UT)이 캐비닛 섹션(A)으로부터 한 방향으로만 인입되거나 인출됨에 따라 상술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게 된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14)는 래치유닛(140)의 회전부(141)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연결부(111)와 조작부(112) 사이에 형성된다. 연장부(114)는 회전부(141)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도 5,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유닛(140)은 서랍형유닛(UT)을 테스트 위치로 용이하게 위치시키면서 동시에 서랍형유닛(UT)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회전부(141), 손잡이부(142) 및 걸림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부(141)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연장부(114)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손잡이부(142)는 작업자에 의해 회전조작되는 부분으로, 회전부(141)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로 돌출된다.
도 2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형유닛(UT)의 전면에는 손잡이부(142)가 돌출되는 홀이 형성되며, 또한 전면에는 손잡이부(142)의 회전에 의한 걸림부(143)의 위치 즉, 'DRAW', 'TEST' 및 'OUT'을 표시하는 표시부(M)가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43)는 모터컨트롤센터(MCC)의 판넬에 형성된 래치삽입부(LH)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부분으로, 회전부(141)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래치삽입부(LH)는 캐비닛 섹션(A)을 상하로 구획하는 패널(W)을 관통하는 홀 형태로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43)는 제1 걸림부(a1)와 제2 걸림부(a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부(a1)는 손잡이부(142)가 'DRAW' 위치에 있을 때 래치삽입부(LH)에 삽입되어 서랍형유닛(UT)의 인입 및 인출을 차단하게 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걸림부(a2)는 손잡이부(142)가 'TEST' 위치에 있을 때 래치삽입부(LH)에 삽입되어 서랍형유닛(UT)을 'DRAW' 위치와 'TEST' 위치 사이에서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키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42)가 'DRAW'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 걸림부(a1)와 제2 걸림부(a2)가 래치삽입부(LH)에서 완전히 이탈함으로써 서랍형유닛(UT)은 걸림부(143)의 구속 없이 자유롭게 인입되거나 인출된다.
종래의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에서 래치는 따로 서랍형유닛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연장부(114)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래치의 회전축을 따로 형성할 필요가 없으면서도 래치유닛(140)이 드라이브샤프트(110)에 의해 견고한 구조로 회전하게 되고, 또한 렌치 등 공구에 의해 조작부(112)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과정에서 조작부(112) 바로 아래에 위치한 손잡이부(142)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랍형유닛(UT)의 인입 및 인출위치에 따라 표시부재(153)가 회전하여 그 단부에 표시된 'DRAW', 'TEST' 및 'OUT' 표시가 자동으로 바뀜으로써, 작업자가 래치유닛(140)을 돌려보거나 서랍형유닛(UT)에 물리적 힘을 가해보지 않더라도 서랍형유닛(UT)의 인입 및 인출시 서랍형유닛이 인입 및 인출된 위치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150)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MCC)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작부(112)에 회전력을 인가하면 수나사부(113)와 암나사부(120) 간 상대회전에 의해 서랍형유닛(UT)이 인입되거나 인출됨에 따라, 서랍형유닛(UT)의 인입 및 인출시 정확하게 인입 및 인출되는 방향의 힘만을 서랍형유닛(UT)에 인가하여 서랍형유닛(UT)의 마찰, 파손, 인입 및 인출과정의 소음을 방지하고, 이에 따른 플러그 간 정확한 물리적 및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150)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MCC)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인입인출장치
110 : 드라이브샤프트 120 : 암나사부
130 : 지지수단 140 : 래치유닛
150 : 인디케이터
111 : 연결부 141 : 회전부
112 : 조작부 142 : 손잡이부
113 : 수나사부 143 : 걸림부
114 : 연장부 MCC : 모터컨트롤센터
131 : 슬리브 UT : 서랍형유닛
132 : 지지브래킷 LH : 래치삽입부
133 : 와셔 W : 패널
151 : 고정브래킷 A : 캐비닛 섹션
152 : 로드 M : 표시부
153 : 표시부재 R : 레일
154 : 회전링커 SL : 슬라이딩부재
S : 스프링
P : 돌출부
H : 삽입홈

Claims (9)

  1. 모터컨트롤센터의 서랍형유닛에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브래킷;
    상기 서랍형유닛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브래킷에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프링에 의해 상기 서랍형 유닛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로드; 및
    상기 고정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로드의 슬라이드이동과 연동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서랍형유닛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표시부재를 구비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랍형유닛이 인입되거나 인출될 때, 상기 로드가 슬라이드이동되어 상기 표시부재의 노출되는 단부의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형유닛이 인입될 때, 상기 로드는 상기 모터컨트롤센터에 의해 상기 서랍형 유닛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로드와 상기 표시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고정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단부에 상기 로드와 상기 표시부재가 회전 및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와 상기 표시부재에는 각각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링커의 양단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서로 직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형유닛에는,
    상기 서랍형유닛이 인출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상기 서랍형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서랍형유닛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서랍형유닛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부를 포함하는 드라이브샤프트; 및
    상기 모터컨트롤센터에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가 나사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에 회전력을 인가하면, 상기 수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 간 상대회전에 의해 상기 서랍형유닛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인입인출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지지수단에 의해 상기 서랍형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슬리브; 및
    상기 서랍형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슬리브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지지브래킷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공구에 의한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다각형 단면 형태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조작부 사이에는 원통형의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회전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가 구비된 래치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컨트롤센터에는,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거나 빠지는 래치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9. 제1항의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
KR1020150137577A 2015-09-30 2015-09-30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 KR201700383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577A KR20170038330A (ko) 2015-09-30 2015-09-30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577A KR20170038330A (ko) 2015-09-30 2015-09-30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330A true KR20170038330A (ko) 2017-04-07

Family

ID=58583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577A KR20170038330A (ko) 2015-09-30 2015-09-30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83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0659A (zh) * 2020-08-07 2020-11-06 汪华衡 一种低压抽出式开关柜
KR20200139434A (ko) * 2019-06-04 2020-12-14 한국전력공사 접속부재의 체결상태 점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602B1 (ko) 2014-09-15 2015-06-12 윤여관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mcc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602B1 (ko) 2014-09-15 2015-06-12 윤여관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mcc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434A (ko) * 2019-06-04 2020-12-14 한국전력공사 접속부재의 체결상태 점검장치
CN111900659A (zh) * 2020-08-07 2020-11-06 汪华衡 一种低压抽出式开关柜
CN111900659B (zh) * 2020-08-07 2022-04-15 湖南湘东开关厂 一种低压抽出式开关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5344B2 (en) Remote racking of horizontally displaceable circuit breakers
EP2230734B1 (en) Electric switchgear
US8212163B2 (en) Withdrawable device of vacuum circuit breaker
US7124488B2 (en) Retrofit breaker adapter system and method
KR101443314B1 (ko)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20170038330A (ko)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
KR101708020B1 (ko) 조작이 쉬운 인터록 장치를 갖춘 전동기 제어반
KR101073681B1 (ko) 바이패스 전원절체장치의 인터록 장치
KR101630678B1 (ko)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EP2826116B1 (en) Draw-out switching device
KR101362256B1 (ko)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102070082B1 (ko) 인입출 가능한 냉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101586022B1 (ko)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101890681B1 (ko) 기중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
KR20170038329A (ko) 서랍형유닛 인입인출장치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
CN108963848A (zh) 在中压开关柜中用于推拉操作的机动驱动器
WO2015193128A1 (en) Retraction mechanism
KR101466030B1 (ko)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장치
US9742164B2 (en) Secondary disconnect assembly for a switching device
CN105594079B (zh) 开关柜
KR101412592B1 (ko)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
KR100841649B1 (ko)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KR20090019541A (ko) 기중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KR101522263B1 (ko) 기중 차단기의 인출 방지 장치 및 인출 방지 장치를 갖는 기중 차단기
EP3236549B1 (en) Withdrawable circuit-br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