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649B1 -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649B1
KR100841649B1 KR1020060139078A KR20060139078A KR100841649B1 KR 100841649 B1 KR100841649 B1 KR 100841649B1 KR 1020060139078 A KR1020060139078 A KR 1020060139078A KR 20060139078 A KR20060139078 A KR 20060139078A KR 100841649 B1 KR100841649 B1 KR 100841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screw
driven gear
contact portion
clutch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9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9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4Gas-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a vacuum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터; 상기 모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연결된 피동기어; 상기 피동기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리드스크류; 및 상기 피동기어의 회전력이 상기 리드 스크류에 전달되는 것을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포함하는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또는 핸들과, 상기 핸들을 삽입하기 위한 핸들삽입구가 형성된 리드스크류를 구비한 수동 인입출 장치; 상기 핸들삽입구에 삽입되는 제1접촉부 및 상기 제1접촉부에서 경사지게 단차를 이루며 형성된 제2접촉부를 구비한 클러치핀과, 상기 리드스크류에 형성된 볼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제1접촉부와 접촉하는 클러치볼과, 상기 핸들삽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클러치핀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해제수단; 및 상기 클러치볼을 접촉수용하는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전동 인입출 장치;를 포함한 진공차단기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 및 조작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모터, 구동기어, 피동기어, 해제수단

Description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WITHDRAWABLE DEVISE FOR VACUUM CIRCUIT BREAKER}
도 1은 종래 진공차단기의 구성을 보인 투시도,
도 2 또는 도 3은 종래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이송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종래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이송 장치의 구성을 보인 부분 횡단면도,
도 5는 종래 안전 상태에서의 제동수단을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6은 종래 운전상태에서 제동수단을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입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인입출장치의 요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인입출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캐리지 20: 리드스크류
21: 볼삽입구 22: 지지볼트
23: 핸들삽입구 30: 거더 어셈블리
40: 모터 51: 구동기어
52: 제2피동기어 53; 피동기어
60: 클러치볼 70: 클러치핀
71: 제1접촉부 72: 제2접촉부
73: 제1플랜지 74: 제2플랜지
75: 탄성부재
본 발명은 진공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반의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 원격으로도 차단기를 배전반의 운전위치에서부터 시험위치까지 인출 또는 인입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 모터 또는 전동기를 이용한 전동조작이 가능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차단기는 선로상에서 정상전류의 개폐 및 사고전류가 발생하였을 때, 계전기류의 신호에 의해 그 사고 전류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장치이다.
보통 배전반의 차단기실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모선측(즉, 전기가 들어오는 곳)으로부터 부하측(즉, 전기가 나가는 곳)으로 전기를 흐르도록 하다가 차단기 또는 배전반 내부 점검이나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에는 차단기의 접점이 분리되도록 한 다음 모선측의 전원으로부터 충분한 절연이 유지되는 위치까지 인출한 다음 점검 또는 유지보수를 하게 된다.
종래의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이송 장치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도 1은 종래 진공차단기의 구성을 보인 투시도이고, 도 2 또는 도 3은 종래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이송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종래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이송 장치의 구성을 보인 부분 횡단면도이고, 도 5는 종래 안전 상태에서의 제동수단을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며, 도 6은 종래 운전상태에서 제동수단을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이송 장치는 큐비클(120)의 후방에 설치되는 마운팅프레임(130)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주회로(140)가 이송 가능하게 적재되는 캐리지(100)와, 상기 캐리지(100)를 전, 후 이동시키기 위한 캐리지이동수단(200)과, 상기 캐리지이동수단(200)에 의해 이송되는 캐리지(100)의 이송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제동수단과, 상기 캐리지 이동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거더 어셈블리(GIRDER ASSEMBLY,300)로 구성된다.
상기 캐리지(100)는 상측이 개방되고 외주면에 일정 높이로 벽체(101a)가 형성되어 있는 박스몸체(101)와, 상기 박스몸체(101)의 양측에는 큐비클(120)의 양 측벽 내측에 가설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인 입출 되도록 설치되는 두 쌍의 바퀴(102)로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지이동수단(200)은 상기 박스몸체(101)의 전방 벽체(101a)에 형성된 관통공(101b)의 전, 후방향으로 삽입되는 리드스크류(201)와, 상기 리드스크류(201)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박스몸체(101)의 전방 벽체(101a) 내측에 설치되는 이송너트(202)와, 상기 이송너트(202)의 이탈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박스몸체(101)에 고정되는 'U'자형의 브래킷(203)와, 상 기 리드스크류(201)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213)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너트(202)는 상기 리드스크류(201)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각각 양단부의 깊이가 다른 안내홈(202b)이 2개씩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가이드홈(202c)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리드스크류(201)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거더(209)는 상기 캐리지(100)의 박스몸체(101) 내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트래블 레일(212)(212') 상에서 유동 없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더 어셈블리(300)는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형성된 고정공을 관통한 상기 리드스크류(201)의 전단부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베어링 지지하는 서포트 스트럭쳐(303)와, 상기 서포트 스트럭쳐(303)의 내부 양측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슬라이딩 플레이트(미도시)와, 상기 좌우측 슬라이딩 플레이트(미도시)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서포트 스트럭쳐(303)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좌우측 핸들 (305)(305')과, 상기 좌우측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외측으로 이동시켜서 단부(304a)를 큐비클(120)의 양측 벽체에 삽입시키기 위한 스프링(미도시)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너트(202)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너트(202)의 회전을 제한함에 따라 상기 이송너트(202)와 연동하는 상기 캐리지(100)에 적재된 주회로(140)를 정치 및 운전시의 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제동수단(204)이 구비된다.
도 5 또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동수단(204)은 상기 이송너 트(202)의 상하면에 형성된 안내홈(202b)에 삽탈 가능하게 정역회전 방지핀(205)(205')이 각각 브래킷(203)의 대각선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정역회전 방지핀(205)(205')은 연결판(206)(206')으로 각각 좌우측 구동핀(207)(207')에 연결되며, 상기 좌우측 구동핀(207)(207')은 각각 스프링(208)(208')에 의하여 탄지되도록 되고, 상기 좌우측 구동핀(207)(207')은 상기 캐리지(100)의 전후진시에 상기 리드스크류 (201)의 단부에 설치된 상기 거더(209)와 거더 어셈블리(300)에 각각 눌리도록 되며, 상기 좌우측 구동핀(207)(207')에 의하여 정회전방지핀(205) 또는 역회전방지핀(205')이 상기 이송너트(202)의 안내홈(202b)에서 이탈시 이송너트(202)를 정위치시키기 위한 가이드 핀(210)이 이송너트(202)의 가이드홈(202c)에 삽입되도록 브래킷 (203)에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쌍의 지지판(211)(211')에 각각 설치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41은 부스바이고, 142는 인터럽터이며, 214은 베어링이고, 400은 이동유니트이며, 500은 이송장치이다.
상기 리드스크류(201)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너트(202)는 제동수단(204)에 의하여 회전을 제한받게 되는데, 캐리지(100)가 완전히 전방으로 이동한( 시험위치) 경우, 상기 리드스크류(201)를 따라 이송너트(202)가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우측 구동핀(207')이 거더 어셈블리 (300)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역회전방지핀(205')이 이송너트(202)의 안내홈(202b)에서 이탈되면서 이송너트(202)가 공회전하며 캐리지가 더 이상의 이동을 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캐리지(100)가 완전히 후방으로 이동한(운전상태) 경우, 리드스크 류(201)를 따라 이송너트(202)가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좌측 구동핀(207)이 리드스크류(201)의 후단부에 설치된 거더(209)의 측면에 접촉되어 정회전방지핀 (205)이 이송너트(202)의 안내홈(202b)에서 이탈되면서 이송너트(202)가 공회전하게 되어 더 이상의 이동을 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진공차단기 인입출장치의 리드스크류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만 회전되기 때문에 항상 배전반에 사용자가 가까이 접근하여 인입 또는 인출 동작을 할 수밖에 없어 장시간 진공차단기의 운전이 불필요할 경우에는 항상 배전반이 위치한 곳까지 사용자가 직접 가서 인출 동작 등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써, 진공차단기의 운전이 불필요해서 진공차단기를 장시간 위치시킬 필요가 있을 때마다 항상 배전반이 위치한 곳까지 사용자가 가서 인출동작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도록 전동기 또는 모터를 적용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터; 상기 모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연결된 피동기어; 상기 피동기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리드스크류; 및 상기 피동기어의 회전력이 상기 리드 스크류에 전달되는 것을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포함하는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만 하며 원격으로 상기 리드스크류를 구동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리드스크류에 형성된 핸들삽입구 내에 설치된 클러치핀; 상기 클러치핀을 상기 핸들삽입구 내에서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핸들삽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리드스크류에 형성된 볼삽입구에 삽입되며, 일측은 상기 피동기어의 중심 내면과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클러치핀과 접촉하는 클러치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사용자가 핸들삽입구에 핸들을 삽입하여 수동으로 인입출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상기 해제수단에 의해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클러치핀은, 상기 핸들삽입구의 내경과 일치하는 외경으로 형성된 제1접촉부; 및 상기 제1접촉부와 단차를 이루며 상기 핸들삽입구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 제2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 사이의 단차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클러치볼이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 사이에 형성된 단차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볼의 일측은 상기 제1접촉부와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리드스크류의 외면 보다 돌출되어 상기 피동기어의 내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상기 피동기어의 내면과 상기 리드스크류의 외면이 직접 접촉하거나 결합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클러치볼에 의해 상기 피동기어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접속을 구속 및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단차의 깊이는 상기 클러치볼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차의 깊이가 상기 클러치볼의 직경보다 크게 되면, 사용자가 핸들을 상기 핸들삽입구에 삽입하여 상기 클러치볼이 상기 제2접촉부와 접한 후에 핸들을 제거하더라도 상기 클러치볼이 상기 제1접촉부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 사이에 상기 구동기어의 구동력을 상기 피동기어로 전달하는 제2피동기어가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추가적인 피동기어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리드스크류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도 상기 모터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상기 모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적인 제약을 벗어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의하면, 핸들과, 상기 핸들을 삽입하기 위한 핸들삽입구가 형성된 리드스크류를 구비한 수동 인입출 장치; 상기 핸들삽입구에 삽입되는 제1접촉부 및 상기 제1접촉부에서 경사지게 단차를 이루며 형성된 제2접촉부를 구비한 클러치핀과, 상기 리드스크류에 형성된 볼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제1접촉부와 접촉하는 클러치볼과, 상기 핸들삽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클러치핀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해제수단; 및 상기 클러치볼을 접촉수용하는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구동시키 는 모터를 구비한 전동 인입출 장치;를 포함한 진공차단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수동 인입출 장치는, 상기 해제수단에 의해 상기 전동 인입출 장치와 기구적으로 분리되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수동 인입출 장치와 상기 전동 인입출 장치를 기구적으로 분리하여 작동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발명의 목적과 특징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입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인입출장치의 요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인입출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지(10), 거더어셈블리(20) 및 리드스크류(30)의 구성은 종래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인입출 장치는 모터(40)와, 상기 모터(40)의 구동단에 맞물리도록 연결된 구동기어(51)와, 상기 구동기어(52)에 맞물려 상기 리드스크류(20)를 회전시키는 피동기어(53)를 포 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51)와 상기 피동기어(53)의 사이에 제2피동기어(52)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인입출장치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종래의 진공차단기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입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는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생산하는 모터(40)와, 상기 모터(40)의 구동단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51)와, 상기 구동기어(51)에 맞물려서 구동력을 전달받는 피동기어(53)와, 상기 피동기어(53)의 내면과 접촉하여 회전하여 차단기(미도시)를 이송시키는 리드스크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51)와 상기 피동기어(53) 사이에서 양 기어와 맞물리는 제2피동기어(5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피동기어(52,53)를 복수개로 구성할 경우에는 상기 모터(40)의 회전축과 상기 리드스크류(20) 회전중심 사이의 간격이 멀리 떨어지더라도 무방하고, 상기 모터(40)의 설치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구동기어(51)와 상기 피동기어(52,53)의 구성은 다양한 기어로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리드스크류(20)의 일단에는 사용자가 진공차단기를 수동으로 인입출할 때 사용되는 핸들(도 4의 213 참조)을 삽입하기 위한 핸들삽입구(23)가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리드스크류(20)에는 상기 핸들삽입구(23)와 연통되도록 볼삽입구(21)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삽입구(21)는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삽입구(21)에는 클러치볼(60)이 삽입된다. 이 때, 상기 클러치볼(60)이 상기 볼삽입구(21)를 완전히 통과하여 상기 핸들삽입구(23)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클러치핀(70)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볼삽입구(21)의 깊이는 상기 클러치볼(6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러치핀(70)은 상기 핸들삽입구(23)에 삽입된다. 상기 클러치핀(70)은 상기 핸들삽입구(23)의 끝단까지 삽입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클러치핀(70)의 상기 핸들삽입구(23)의 막힌 끝단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클러치핀(70)을 탄성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75)가 상기 클러치핀(70)과 상기 핸들삽입구(23)의 막힌 끝단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75)로는 다양한 실시형태가 있을 수 있으며, 코일형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상기 클러치핀(70)은, 상기 탄성부재(75)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지지부(76)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핸들삽입구(23)에 핸들을 삽입할 경우 상기 클러치핀(70)이 핸들삽입구(23)의 안쪽으로 움직이도록 제1플랜지부(7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플랜지(73)와 소정 거리를 두고 제2플랜지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플랜지부(74)는 상기 탄성부재(7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클러치 핀(70)이 상기 핸들삽입구(23)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플랜지를 구속하기 위한 지지볼트(22)가 상기 리드스크류(2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지지부(76)와 일체로 제1접촉부(71)가 형성된다. 상기 제1접촉부(71)의 외경은 상기 핸들삽입구(23)의 내경과 일치하며, 사용자가 핸들을 상기 핸들삽입구(23)에 삽입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접촉부(71)는 상기 볼삽입구(21)를 막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볼트(22)의 설치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1접촉부(71)가 상기 볼삽입구(21)를 막는 위치에 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71)와 일체로 제2접촉부(7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접촉부(72)는 상기 제1접촉부(71)와 단차를 이루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접촉부(71)는 그 외경이 상기 핸들삽입구(23)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됨에 반하여, 상기 제2접촉부(72)는 상기 제1접촉부(71)의 외경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접촉부(71)와 상기 제2접촉부(72)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단차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단차의 수직 높이는 상기 클러치볼(6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클러치볼(60)이 상기 제1접촉부(71)와 상기 제2접촉부(72) 및 그 사이의 단차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러치핀(70)을 이와 같이 구성하고 상기 클러치볼(60)을 상기 볼삽입구(21)에 삽입할 경우, 상기 볼삽입구(21)를 상기 제1접촉부(71)가 막으며 상기 볼삽입구(21)의 깊이보다 상기 클러치볼(60)의 직경이 더 크기 때문에 상기 클러치 볼(60)의 일부가 상기 볼삽입구(21)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볼삽입구(21)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상기 클러치볼(60)에 상기 피동기어(53)의 내면이 접촉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볼(60)과 상기 피동기어(53)의 결합을 확실히 하기 위해 상기 피동기어(53)의 내면에 상기 클러치볼(60)과 동일한 형상의 곡면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 모터(40)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모터(40)가 회전 구동력을 생산하여, 상기 모터(40)의 출력단에 결합된 상기 구동기어(51)를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기어(51)는 자신과 맞물린 상기 피동기어(53) 또는 상기 제2피동기어(52)로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피동기어(53)는 그 내면에 접촉 결합된 상기 클러치볼(60)로 회전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리드스크류(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전동 인입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리드스크류(20)가 회전시킴으로써 차단기를 시험위치 및 운전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수동으로 인입출 동작을 하고 할 경우에는 핸들(도 4의 213 참조)을 상기 리드스크류(20)의 핸들삽입구(23)에 삽입하게 된다. 상기 핸들삽입구(23)에 핸들이 삽입되면서 상기 클러치핀(70)의 제1플랜지(73)를 밀게 되고, 상기 클러치핀(70)은 상기 핸들삽입구(23) 내에서 핸들이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 때, 상기 볼삽입구(21)를 막고 있던 상기 제1접촉부(71)가 핸들 삽입 반 대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제2접촉부가 상기 볼삽입구(21)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클러치볼(60)은 상기 제1접촉부(71)와 상기 제2접촉부(72) 사이에 형성된 단차면 또는 경사 단차면을 따라 움직이며 상기 제2접촉부(72)와 접촉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클러치볼(60)이 상기 피동기어(53)의 내면과 접촉하지 않게 되어 수동으로만 인입출 동작이 일어나게 된다.
즉, 상기 모터(40)를 이용하여 전동으로 인입출 동작을 수행할 경우에, 사용자가 핸들을 상기 핸들삽입구(23)에 삽입하면 상기와 같은 메카니즘에 의해 상기 모터(40)의 회전구동력이 상기 피동기어(53)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핀(70), 클러치볼(60) 등은 전동 인입출과 수동 인입출을 기구적으로 분리하는 해제수단을 기능을 하게 된다.
사용자가 수동 인입출을 마치고 상기 핸들삽입구(23)에서 상기 핸들을 제거하면, 탄성회복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75)가 상기 클러치핀(70)의 탄성부재지지부(76)를 밀게 되어 상기 클러치핀(70)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볼삽입구(21)를 상기 제1접촉부(71)가 막게 되고 상기 클러치볼(60)은 상기 볼삽입구(21)에서 노출되어 상기 피동기어(53)의 내면과 접촉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지지볼트(22)에 의해 상기 제2플랜지부(74)의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상기 클러치핀(70)이 상기 핸들삽입구(23)에서 이탈하는 일이 생기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 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동기 또는 모터와 복수개의 기어를 이용하여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 및 조작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설비 관리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전력설비의 정보기술화(IT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Claims (9)

  1. 모터;
    상기 모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연결된 피동기어;
    상기 피동기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리드스크류; 및
    상기 피동기어의 회전력이 상기 리드 스크류에 전달되는 것을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리드스크류에 형성된 핸들삽입구 내에 설치된 클러치핀,
    상기 클러치핀을 상기 핸들삽입구 내에서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핸들삽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리드스크류에 형성된 볼삽입구에 삽입되며, 일측은 상기 피동기어의 중심 내면과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클러치핀과 접촉하는 클러치볼을 구비하는 해제수단;을 포함하는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2. 삭제
  3. 제 1 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핀은, 상기 핸들삽입구의 내경과 일치하는 외경으로 형성된 제1접촉부; 및
    상기 제1접촉부와 단차를 이루며 상기 핸들삽입구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 제2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 사이의 단차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볼의 일측은 상기 제1접촉부와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리드스크류의 외면 보다 돌출되어 상기 피동기어의 내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의 깊이는, 상기 클러치볼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 사이에는,
    상기 구동기어의 구동력을 상기 피동기어로 전달하는 제2피동기어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8. 핸들과, 상기 핸들을 삽입하기 위한 핸들삽입구가 형성된 리드스크류를 구비한 수동 인입출 장치;
    상기 핸들삽입구에 삽입되는 제1접촉부 및 상기 제1접촉부에서 경사지게 단차를 이루며 형성된 제2접촉부를 구비한 클러치핀과, 상기 리드스크류에 형성된 볼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제1접촉부와 접촉하는 클러치볼과, 상기 핸들삽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클러치핀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해제수단; 및
    상기 클러치볼을 접촉수용하는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전동 인입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동 인입출 장치는, 상기 해제수단에 의해 상기 전동 인입출 장치와 기구적으로 분리되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
  9. 삭제
KR1020060139078A 2006-12-29 2006-12-29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KR100841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9078A KR100841649B1 (ko) 2006-12-29 2006-12-29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9078A KR100841649B1 (ko) 2006-12-29 2006-12-29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1649B1 true KR100841649B1 (ko) 2008-06-27

Family

ID=39772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9078A KR100841649B1 (ko) 2006-12-29 2006-12-29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16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893B1 (ko) 2011-06-02 2013-06-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WO2014177609A1 (en) * 2013-05-03 2014-11-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Clutch mechanism for energy storage device and gas insulated circuit breaker thereof
CN104599874A (zh) * 2013-10-31 2015-05-06 西门子公司 一种用于储能装置的离合机构及其气体绝缘断路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4626A (ja) * 1995-09-08 1997-03-18 Hitachi Ltd 配電盤の制御回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4626A (ja) * 1995-09-08 1997-03-18 Hitachi Ltd 配電盤の制御回路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893B1 (ko) 2011-06-02 2013-06-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WO2014177609A1 (en) * 2013-05-03 2014-11-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Clutch mechanism for energy storage device and gas insulated circuit breaker thereof
US9583282B2 (en) 2013-05-03 2017-02-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Clutch mechanism for energy storage device and gas insulated circuit breaker thereof
CN104599874A (zh) * 2013-10-31 2015-05-06 西门子公司 一种用于储能装置的离合机构及其气体绝缘断路器
WO2015063207A1 (en) 2013-10-31 2015-05-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Clutch mechanism for energy storage device and gas insulated circuit breaker thereof
US9576752B2 (en) 2013-10-31 2017-02-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Clutch mechanism for energy storage device and gas insulated circuit breaker thereof
RU2641712C2 (ru) * 2013-10-31 2018-01-22 Сименс Акциенгезелльшафт Механизм сцепления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аккумулирования энергии и размыкатель цепи с газовой изоляцией для него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5052B1 (ko)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인입출 장치
KR101031965B1 (ko)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방지장치
KR101158604B1 (ko)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JP5108086B2 (ja) 回路遮断器
KR101099420B1 (ko)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
WO2001060655A1 (de) Brennstoffzelle und steuerung im lösbaren gehäuse
JP2011200113A (ja) 回路遮断器のプラグ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0841649B1 (ko)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JP4387577B2 (ja) スイッチギヤ
KR101708020B1 (ko) 조작이 쉬운 인터록 장치를 갖춘 전동기 제어반
KR20070029301A (ko) 지상변압기용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KR100993898B1 (ko) 분리 가능한 큐비클
KR102431932B1 (ko) 패널 유니트가 구비된 mcc
KR100951050B1 (ko) 인출형 전동기 제어반, 인출형 저압 폐쇄 배전반 및 제어유닛
KR101542530B1 (ko)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KR100324492B1 (ko) 차단기의이동유니트이송장치
KR200461615Y1 (ko) 배전반 차단기의 도어 잠금 장치
KR101627678B1 (ko) 저압 전동기 제어반 유닛의 3단 인출입 장치
KR102208664B1 (ko) 포지션 잠금 장치를 갖는 배전반
CN208522340U (zh) 一种开关柜
JP2011097768A (ja) スイッチギヤ
KR101308016B1 (ko) 전동기 제어반
KR19990036560U (ko) 접지스위치의 키 잠금장치
KR20230000625U (ko) 배전반의 접지 인터록 장치
KR100293424B1 (ko) 기중 차단기의 외함으로부터 본체를 인입출 하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