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530B1 -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 Google Patents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530B1
KR101542530B1 KR1020150038059A KR20150038059A KR101542530B1 KR 101542530 B1 KR101542530 B1 KR 101542530B1 KR 1020150038059 A KR1020150038059 A KR 1020150038059A KR 20150038059 A KR20150038059 A KR 20150038059A KR 101542530 B1 KR101542530 B1 KR 101542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screw
fix
cradle screw
mov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석
김창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Priority to KR1020150038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6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3/48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or cov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2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cover, or protective shutt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인출입장치는 진공차단기 본체와;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가 수납되어 전후로 움직이는 크래들 측판과 상기 크래들 측판이 상부에서 주행하고 배전함에 고정되는 크래들 하판으로 이루어진 크래들로 구성된 진공차단기를 인출입시키켜,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마찰을 줄이기 위해 2개의 베어링을 포함하는 크래들 스크류와; 상기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의 전단을 지지해주는 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와, 상기 크래들 스크류의 후단을 지지해주는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로 구성된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와; 상기 크래들 스크류에 삽입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의 회전운동에 의해 직선 운동을 하며,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와 픽스볼로 결합되어 진공차단기 동작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상기 크래들 스크류가 회전되어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크래들 스크류 무빙부와; 상기 인출입장치를 상기 크래들 하판에 고정시키며, 상기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의 좌우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부가 상기 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와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 사이에서 유동없이 움직이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부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부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를 임의로 회전시켜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가 전진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터록 플레이트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르면 진공차단기 동작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크래들 스크류가 회전되어 진공차단기 본체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진공차단기 본체의 클립 어셈브리가 크래들 부싱 내에서 빠져 전원이 단락되거나, 빠지는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아크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Drawing Interlock Equipment of Vacuum Circuit Breaker Having Preventing Rotation Device}
본 발명은 차단기에서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차단기 본체와;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가 수납되어 전후로 움직이는 크래들 측판(Cradle Side Plate)과 상기 크래들 측판이 상부에서 주행하고 배전함에 고정되는 크래들 하판(Cradle base)로 이루어진 크래들(Cradle)로 구성된 진공차단기를 인출입시키며, 진공차단기 동작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크래들 스크류가 회전되어 크래들 스크류 무빙부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진공차단기의 인출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계통의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미리 결정된 전류 값을 초과하면 회로를 차단시켜 과전류 사고나 단락사고로부터 회로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차단기는 최근 이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모든 산업분야에서 크기는 축소하고 취급 전력용량은 대용량화를 요구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차단기는 진공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를 소호 매질로 하여 전력의 송/수전, 절체 및 정지 등을 계획적으로 수행하는 외에 전력 계통에 어떤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에 신속한 자동차단을 수행하는 전력계 보호기이다.
상기 진공 차단기는 정상부하의 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 시에 발생되는 아크 생성물을 진공 용기 내에서 급속하게 확산시키는 소호작용에 의해 신속하게 회로를 분리하여 회로 및 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진공차단기는 크게 고정형과 인입/인출형으로 구분되며, 여기서, 인입/인출 진공차단기는 통상, 차단기 본체와 차단기의 외함 역할을 하는 크래들로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차단기 본체 내측에는 전류차단부, 절연부, 소호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류차단부는 접점을 구성하는 주변 요소로서, 접점은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으로 구성된다.
상기 진공차단기는, 보통 배전반의 차단기 실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모선측(즉, 전기가 들어오는 곳)에서 부하측(즉, 전기가 나가는 곳)으로 전기가 흐르도록 하다가 상기 진공차단기 또는 배전반 내부 점검이나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에는 진공차단기의 접점이 분리되도록 한 다음 모선측의 전원으로부터 충분한 절연이 유지되는 위치까지 인출한 다음 점검 또는 유지보수를 하게 된다.
종래의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는 차단기 동작시 생기는 충격에 의하여 스크류 형식으로 동작하는 인출입 장치가 회전하여 차단기의 클립 어셈블리가 크래들 부싱 내에서 빠지는 현상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등록특허 10-1158604로 게시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는 상기 진공차단기가 적재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에 고정되는 제1 이송부; 상기 크래들의 일 측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이송부에 이송력을 전달하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한시키는 이송 제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크래들의 양 측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된 거더부(girder portion)에 일 측이 베어링 지지되어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나 본 발명과는 상이하다.
등록특허 10-0505052로 게시된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인입출 장치는 큐비클의 후방에 가설된 마운팅프레임에 주회로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도록 이송 가능하게 적재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와 연동하도록 고정된 이송너트에 나선 결합되어 상기 캐리지를 이송시킴과 아울러 이송되는 상기 캐리지가 주회로의 시험, 안전, 그리고 운전 위치에서 이송이 정지되도록 제동홈이 단차지게 형성된 리드 스크류로 이루어진 캐리지이송부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관통하여 베어링 지지됨과 아울러 양 측부가 상기 큐비클의 전방 양 측벽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거더 어셈블리와; 상기 캐리지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중 각각의 제동홈에 잠겨 상기 캐리지의 이송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동수단과; 상기 제동수단에 잠김 상태를 해지시켜 상기 캐리지가 재 이송되도록 하는 제동해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나 진공차단기 동작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크래들 스크류가 회전되어 크래들 무빙부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가 없어 본 발명과는 상이하다.
등록특허 10-1486717로 게시된 안전성을 강화한 진공차단기용 인입출 장치는 고정부인 크레들에 전기 회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기와 상기 차단기를 온오프 시키는 조작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차단기와 조작기는 인터록기구에 장착되어 크레들에 대해 전후로 이동하면서 전기 회로를 연결 또는 차단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기에 작동을 시험함과 더불어 차단기를 유지 보수하기 위한 수동 투입버튼과 수동 오픈버튼을 갖추고 있는 한편, 상기 수동 투입버튼은 투입레버와 투입캠, 투입 스프링 및 링크기구를 통하여 록크 레버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동 오픈버튼은 오픈레버와 오픈후크, 오픈 스프링 및 상기 링크기구를 통하여 상기 록크 레버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기의 수동 오픈버튼에 의해 작동하는 오픈후크에 오픈롤러를 갖춘 오픈링크가 승하강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인터록기구의 케이스 측벽에 형성된 오목홈에 상기 오픈후크의 오픈 롤러가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다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이송 스크류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에 설치된 이송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 오픈 링크가 케이스 측벽의 상단을 따라 이동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진공차단기 동작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크래들 스크류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가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진공차단기 동작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크래들 스크류가 회전되어 크래들 스크류 무빙부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출입장치의 무빙부 본체에 스프링과 픽스볼이 있어 스프링 장력으로 픽스볼을 눌러 인출입장치의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에 픽스볼이 안착되어 무빙부와 픽스부가 일체가 되게 하는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인출입장치는 진공차단기 본체와;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가 수납되어 전후로 움직이는 크래들 측판(Cradle Side Plate)과 상기 크래들 측판이 상부에서 주행하고 배전함에 고정되는 크래들 하판(Cradle base)로 이루어진 크래들(Cradle)로 구성된 진공차단기를 인출입시키며,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마찰을 줄이기 위해 2개의 베어링을 포함하는 크래들 스크류와; 상기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의 전단을 지지해주는 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와, 상기 크래들 스크류의 후단을 지지해주는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로 구성된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와; 상기 크래들 스크류가 삽입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의 회전운동에 의해 직선 운동을 하며,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와 픽스볼로 결합되어 진공차단기 동작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상기 크래들 스크류가 회전되어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크래들 스크류 무빙부와; 상기 인출입장치를 상기 크래들 하판에 고정시키며, 상기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의 좌우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부가 상기 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와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 사이에서 유동없이 움직이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부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부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를 임의로 회전시켜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가 전진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터록 플레이트부로 구성된다.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부는 상기 크래들 스크류가 삽입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의 회전으로 전후 직선운동을 하는 크래들 스크류 무빙과; 일측은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이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이 상기 크래들 스크류의 회전으로 전후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차단기 결합구로 구성된다.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은 상기 차단기 결합구가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크래들 스크류가 삽입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운동을 하는 무빙부 본체와; 상기 무빙부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무빙부 바텀과; 상기 무빙부 본체와 무빙부 바텀 사이에 설치되고, 진공차단기 동작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상기 크래들 스크류가 회전되어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무빙부 바텀 하부에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와 결합되는 2개의 픽스볼과; 상기 무빙부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장력에 의해 상기 픽스볼을 눌러주거나 스프링장력보다 큰 힘이 주어질 때는 상기 픽스볼이 위로 올라가게 하는 좌우 대칭되게 설치되는 2개의 와이프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부에 좌우 양단이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이 일단에 결합된 상기 크래들 스크류가 결합되는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와;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의 하단에 볼트로 결합되며, 상기 픽스볼이 삽입되는 반구 형상의 픽스볼안착홈이 형성된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 바텀으로 구성된다.
상기 무빙부 본체에는 상기 크래들 스크류와 나사 결합을 위해 사각형상의 왼나사가 형성된 스크류결합나사부와; 상기 와이프 스프링이 삽입되는 2개의 스프링삽입홈과; 상기 무빙부 바텀이 결합되는 바텀결합홈과; 상기 무빙부 바텀과 볼트 결합을 위해 암나사가 형성된 바텀결합구와; 상기 차단기 결합구가 쉽게 삽입되고 빠지지 않게 하는 차단기 결합구 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 무빙부 바텀에는 상기 픽스볼이 안착되며 상기 픽스볼의 일부가 하부로 노출될 수 있게 하는 카운터싱크 가공으로 홀을 뚫은 픽스볼안착홀과; 상기 무빙부 바텀과 결합을 위한 접사나사가 삽입되는 경사진 본체 결합홀이 형성된다.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에는 상기 베어링이 설치되는 베어링설치홀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 결합을 위한 암나사가 형성된 좌우측 2개씩 총 4개의 가이드플레이트결합홀과;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 바텀과 볼트 결합을 위해 암나사가 형성된 2개의 바텀결합홀이 형성된다.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 바텀에는 상기 픽스볼(313)의 하부가 안착되는 픽스볼안착홈과,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와 볼트 결합을 위한 후단 크래들 픽스 결합홀과, 상기 픽스볼이 쉽게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 바텀 위로 올라올 수 있도록 픽스볼램프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프 스프링은 외경이 6.7mm이고, 자유장 30mm, 조립장 25mm, 동작장 23mm, 조립하중 1.3~1.5kg/㎠, 동작하중 1.8~2.0kg/㎠ 및 스프링 정수 0.25~0.3kg/mm 이다.
상술한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르면 진공차단기 동작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크래들 스크류가 회전되어 진공차단기 본체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진공차단기 본체의 클립 어셈브리가 크래들 부싱 내에서 빠져 전원이 단락되거나, 빠지는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아크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전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전체 정면도
도 4는 진공차단기의 크래들 하판(Cradle base)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인출입장치 평면도
도 5는 진공차단기의 크래들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인출입장치 사시도
도 6은 진공차단기의 크래들 하판에 설치되고, 차단기 결합구와 결합된 본 발명의 인출입장치 사시도
도 7은 진공차단기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인입출장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크래들 스크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크래들 스크류에 크래들 스크류 무빙과 크래들 스크류 픽스 부가 설치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크래들 스크류 무빙부 분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크래들 스크류 무빙 전체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무빙부 본체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무빙부 바텀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와이프 스프링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 바텀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크래들 스크류 무빙과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와의 결합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크래들 스크류 무빙과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와의 결합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인터록 플레이트부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가이드 플레이트부 사시도
도 22는 진공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접속위치(Connecting position) 상태의 평면도
도 23은 진공차단기 본체를 인출입장치를 이용하여 비접속위치 상태의 평면도
도 24는 진공차단기 본체를 완전히 인출한 상태의 평면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전체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전체 정면도이며, 도 4는 진공차단기의 크래들 하판(Cradle base)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인출입장치 평면도이고, 도 5는 진공차단기의 크래들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인출입장치 사시도이며, 도 6은 진공차단기의 크래들 하판에 설치되고, 차단기 결합구와 결합된 본 발명의 인출입장치 사시도이고, 도 7은 진공차단기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인입출장치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크래들 스크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크래들 스크류에 크래들 스크류 무빙과 크래들 스크류 픽스 부가 설치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크래들 스크류 무빙부 분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크래들 스크류 무빙 전체 개략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무빙부 본체 개략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무빙부 바텀 개략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와이프 스프링 개략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 개략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 개략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 바텀 개략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크래들 스크류 무빙과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와의 결합 정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크래들 스크류 무빙과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와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인터록 플레이트부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른 가이드 플레이트부 사시도이며, 도 22는 진공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접속위치(Connecting position)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23은 진공차단기 본체를 인출입장치를 이용하여 비접속위치(Disconnecting position)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24는 진공차단기 본체를 완전히 인출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는 진공차단기 본체(C)와;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C)가 수납되어 전후로 움직이는 크래들 측판(Cradle Side Plate)(A1)과 상기 크래들 측판(A1)이 상부에서 주행하고 배전함에 고정되는 크래들 하판(Cradle base)로 이루어진 크래들(Cradle)(A)로 구성된 진공차단기(D)를 인출입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인출입장치(B)는 외경에 나사산(13)이 형성되며, 마찰을 줄이기 위해 2개의 베어링(11)을 포함하는 크래들 스크류(1)와; 상기 베어링(11)이 설치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의 전단을 지지해주는 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21)와,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의 후단을 지지해주는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2)로 구성된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와; 상기 크래들 스크류(1)가 삽입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의 회전운동에 의해 직선 운동을 하며,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2)와 픽스볼(313)로 결합되어 진공차단기 동작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상기 크래들 스크류(1)가 회전되어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C)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크래들 스크류 무빙부(3)와; 상기 인출입장치(B)를 상기 크래들 하판(A2)에 고정시키며, 상기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의 좌우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부(3)가 상기 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21)와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2) 사이에서 유동없이 움직이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부(4)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부(4)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1)를 임의로 회전시켜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C)가 전진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터록 플레이트부(5)로 구성된다.
도 1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인출입장치(B)는 진공차단기 본체(C)를 투입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부(3)의 크래들 스크류 무빙(31)이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2)에 2개소의 상기 픽스볼(313)으로 결합되어 진공차단기 동작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상기 크래들 스크류(1)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C)의 클립 어셈블리(C1)가 크래들 부싱(C2) 내에서 빠지거나 완벽하게 투입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여 클립 어셈블리의 손상을 막는다.
상기 픽스볼(313)은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31)의 내부에서 와이프 스프링(314)로 눌러주므로 소켓렌치 복스알의 스프링과 쇠구슬처럼 고정해주는 원리이다.
즉,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 바텀(222)의 픽스볼안착홈(2221)에 상기 픽스볼(313)이 들어가 안착되므로 일정한 힘 이상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이 임의로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부(5)는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을 회전할 수 있게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의 말단에 형성된 회전공구 삽입구(14)와 회전공구와의 결합을 차단해주는 것으로, 인터록 플레이트(51)와 스크류 잠금부(52)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 잠금부(52)는 상기 크래들(1)의 말단이 튀어 나오는 부분을 막고 있는 누름판(523)과, 상기 누름판(523)을 밀어주는 누름스프링(521)과, 상기 누름스프링(521)의 탄성을 이겨 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51)를 잠궈주는 잠김장치(522)로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인출입장치(B)는 진공차단기 본체(C)와;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C)가 수납되어 전후로 움직이는 크래들 측판(Cradle Side Plate)(A1)과 상기 크래들 측판(A1)이 상부에서 주행하고 배전함에 고정되는 크래들 하판(Cradle Base)(A2)로 이루어진 크래들(Cradle)(A)로 구성된 진공차단기(D)를 인출입시킨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부(3)는 상기 크래들 스크류(1)가 삽입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의 회전운동에 의해 직선 운동을 하며,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2)와 픽스볼(313)로 결합되어 진공차단기 동작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상기 크래들 스크류(1)가 회전되어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C)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부(3)는 상기 크래들 스크류(1)가 삽입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의 회전으로 전후 직선운동을 하는 크래들 스크류 무빙(31)과; 일측은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31)이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C)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31)이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의 회전으로 전후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차단기 결합구(32)로 구성된다.
상기 차단기 결합구(32)는 회전되는 손잡이(3221)가 형성되어 최종적으로 도 24와 같이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C)를 완전 인출시킬 때는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31)을 상기 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21)까지 상기 크래들 스크류(1)를 회전시켜 이동시킨 후 최종적으로 상기 손잡이(3221)를 당겨 상기 크래들 하판(A2)의 레일에서 앞단이 빠져나오도록 해야 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은 상기 크래들무빙부(A1)를 인출입하는 직선운동을 위한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며 일정 길이의 외경에 나사산(13)이 형성되며, 상기 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21)와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2)에 설치되고, 상기 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21)와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2)의 베어링설치홀(2211)에 압입 설치되어 마찰없이 회전하게 하는 2개의 베어링(11)과, 상기 크래들 스크류(1) 양 끝단과 상기 크래들 스크류 픽스(2)사이에서 마찰없이 회전하게 하는 2개의 스러스트베어링(12)이 포함된다.
상기 베어링(11)은 베어링의 강도와 용도에 맞게 롤러 베어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의 전단에는 상기 크래들 스크류(1)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회전기구가 삽입되는 회전공구 삽입구(14)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공구 삽입구(14)의 말단은 육각형상으로 되어 상기 회전기구를 회전할 때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이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나사산(13)은 상기 크래들무빙부(A1)의 무게에 의한 하중을 견딜 수 있게 4각형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의 전단부에는 누름스프링(521)이 삽입되어 상기 누름판(523)이 뒤로 밀려 상기 회전공구 삽입구(14)가 노출되지 않게 하여 임의로 상기 회전기구로 회전할 수 없게 한다.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크래들 스크류(1)는 상기 베어링(11)이 삽입되어 상기 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21)와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2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무빙플레이트(31)이 삽입되어, 상기 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21)와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2) 사이에서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31)이 전방 및 후방운동을 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부(3)는 상기 크래들 스크류(1)가 삽입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의 회전운동에 의해 직선 운동을 하며,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2)와 픽스볼(313)로 결합되어 진공차단기 동작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상기 크래들 스크류(1)가 회전되어 상기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C)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부(3)는 상기 크래들 스크류(1)가 삽입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의 회전으로 전후 직선운동을 하는 크래들 스크류 무빙(31)과; 일측은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31)이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C)에 결합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의 회전으로 전후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차단기 결합구(32)로 구성된다.
상기 차단기 결합구(32)는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C)와 결합되는 차단기 결합부(321)와, 완전 인출 시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31)과의 결합을 해제하고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C)를 당길 수 있게 하는 회전부(322)로 구성된다.
상기 차단기 결합부(321)에는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C)과 결합되는 차단기결합판(3211)과,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31)과의 결합을 위한 무빙부 본체 결합구(3212)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322)에는 회전할 수 있게 피봇 역할을 하는 회전핀(3224)과,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31)과의 결합을 해제할 때 상기 회전부(322)를 잡아 회전시키는 손잡이(3221)와,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31)의 차단기 결합구 결합홈(3115)과 결합하기 좋게 하는 걸림경사부(3223)이 형성된다.
상기 무빙부 본체 결합구(3212)와 걸림경사부(3223)에 의해 무빙부 본체 삽입부(323)가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31)는 상기 차단기 결합구(32)가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크래들 스크류(1)가 삽입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운동을 하는 무빙부 본체(311)와; 상기 무빙부 본체(311)의 하부에 결합되는 무빙부 바텀(312)과; 상기 무빙부 본체(311)와 무빙부 바텀(312) 사이에 설치되고, 진공차단기 동작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상기 크래들 스크류(1)가 회전되어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C)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무빙부 바텀(312) 하부에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2)와 결합되는 2개의 픽스볼(313)과; 상기 무빙부 본체(3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장력에 의해 상기 픽스볼(313)을 눌러주거나 스프링장력보다 큰 힘이 주어질 때는 상기 픽스볼(313)이 위로 올라가게 하는 좌우 대칭되게 설치되는 2개의 와이프 스프링(314)으로 구성된다.
상기 픽스볼(313)은 작동을 잘할 수 있도록 철재로 녹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되는 쇠구슬이어야 한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무빙부 본체(311)는 상기 차단기 결합구(32)가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크래들 스크류(1)가 삽입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운동을 한다.
상기 무빙부 본체(311)에는 상기 크래들 스크류(1)와 나사 결합을 위해 사각형상의 왼나사가 형성된 스크류결합나사부(3111)와; 상기 와이프 스프링(314)이 삽입되는 2개의 스프링삽입홈(3112)과; 상기 무빙부 바텀(312)이 결합되는 바텀결합홈(3113)과; 상기 무빙부 바텀(312)과 볼트 결합을 위해 암나사가 형성된 바텀결합구(3114)와; 상기 차단기 결합구(32)가 쉽게 삽입되고 빠지지 않게 하는 차단기 결합구 결합홈(3115)이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결합나사부(3111)는 나사 강도을 높이기 위해 사각나사를 채택하고 왼나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삽입홈(3112)은 직경 7mm이고 깊이 3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기 결합구 결합홈(3115)는 하부쪽으로 45°, 상부쪽으로 약 14°의 각도를 가지고 모서리부분의 곡률반경은 R2(2mm)로 하여 상기 차단기 결합구(32)의 무빙부 본체(323)가 잘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무빙부 바텀(312)은 상기 무빙부 본체(311)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픽스볼(313)의 일부가 하부로 튀어나와 상기 픽스볼안착홈(2221)에 안착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31)을 잡아주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1)가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C)가 동작 시 충격으로 인한 임의적인 회전을 하지 않게 한다.
상기 무빙부 바텀(312)에는 상기 픽스볼(313)이 안착되며 상기 픽스볼(313)의 일부가 하부로 노출될 수 있게 하는 카운터싱크 가공으로 홀을 뚫은 픽스볼안착홀(3121)과; 상기 무빙부 바텀(312)과 결합을 위한 접사나사가 삽입되는 경사진 본체결합홀(3122)이 형성된다.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와이프 스프링(314)은 상기 무빙부 본체(311)의 상기 스프링삽입홈(3112)에 삽입되어 스프링장력에 의해 상기 픽스볼(313)을 눌러주거나 스프링장력보다 큰 힘이 주어질 때는 상기 픽스볼(313)이 위로 올라가게 하는 좌우 대칭되게 구성된다.
상기 와이프 스프링(314)은 외경이 6.7mm이고, 자유장 30mm, 조립장 25mm, 동작장 23mm, 조립하중 1.3~1.5kg/㎠, 동작하중 1.8~2.0kg/㎠ 및 스프링 정수 0.25~0.3kg/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2)는 상기 베어링(11)이 설치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의 후단을 지지해주며,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31)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한다.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2)는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2)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부(4)에 좌우 양단이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11)이 일단에 결합된 상기 크래들 스크류(1)가 결합되는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221)와;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221)의 하단에 볼트로 결합되며, 상기 픽스볼(313)이 삽입되는 반구 형상의 픽스볼안착홈(2221)이 형성된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 바텀(222)으로 구성된다.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221)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부(4)에 좌우 양단이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11)이 일단에 결합된 상기 크래들 스크류(1)가 결합된다.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221)에는 상기 베어링(11)이 설치되는 베어링설치홀(2211)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부(4)에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 결합을 위한 암나사가 형성된 좌우측 2개씩 총 4개의 가이드플레이트결합홀(2212)과;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 바텀(222)과 볼트 결합을 위해 암나사가 형성된 2개의 바텀결합홀(2213)이 형성된다.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 바텀(222)은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221)의 하단에 볼트로 결합되며, 상기 픽스볼(313)이 삽입되어 안착된다.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 바텀(222)에는 상기 픽스볼(313)의 하부가 안착되는 픽스볼안착홈(2221)과,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221)와 볼트 결합을 위한 후단 크래들 픽스 결합홀(2222)과, 상기 픽스볼(313)이 쉽게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 바텀(222) 위로 올라올 수 있도록 픽스볼램프(2223)가 형성된다.
상기 픽스볼안착홈(2221)은 상기 픽스볼(313)과 면접촉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픽스볼(313)이 안착되는 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픽스볼램프(2223)의 경사도는 20°이하인 것이 상기 픽스볼(313)이 쉽게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 바텀(222) 위로 올라올 수 있다.
도 18과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인출입장치(B)의 핵심은 상기 무빙부 본체(311)와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2)가 상기 와이프 스프링(314)으로 눌려진 픽스볼(313)로 마찰과 누르는 상기 와이프 스프링(314)의 힘으로 결합되어, 진공차단기 본체(C)에 조립된 상기 클립 어셈브리(C1)가 상기 크래들 부싱(C2)에 완전히 맞물린 위치(Connecting Position)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부(3)의 크래들 스크류 무빙(31)이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2)에 2개소의 상기 픽스볼(313)으로 결합되어 진공차단기 동작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상기 크래들 스크류(1)가 회전되어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C)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C)의 클립 어셈블리(C1)가 크래들 부싱(C2) 내에서 빠지거나 완벽하게 투입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여 클립 어셈블리의 손상을 막는다.
상기 픽스볼(313)은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31)의 내부에서 와이프 스프링(314)으로 눌러주므로 소켓렌치 복스알의 스프링과 쇠구슬처럼 고정해주는 원리이다.
즉, 후단 크래들 스크류 바텀(222)의 픽스볼안착홈(2221)에 상기 픽스볼(313)이 들어가 마찰과 누르는 상기 와이프 스프링의 힘으로 안착되므로 일정한 힘 이상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이 임의로 회전되지 않는다.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부(5)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부(4)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1)를 임의로 회전시켜 상기 크래들무빙부(A1)가 전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을 회전할 수 있게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의 말단에 형성된 회전공구 삽입구(14)와 회전공구와의 결합을 차단해주는 것으로, 인터록 플레이트(51)과 스크류 잠금부(52)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 잠금부(52)는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의 말단이 튀어 나오는 부분을 막고 있는 누름판(523)과, 상기 누름판(523)을 밀어주는 누름스프링(521)과, 상기 누름스프링(521)의 탄성을 이겨 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인터록 플레이트(51)를 잠궈주는 잠김장치(522)로 구성된다.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부(4)는
상기 인출입장치(B)를 상기 크래들 하판(A2)에 고정시키며, 상기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의 좌우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부(3)가 상기 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21)와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2) 사이에서 유동없이 움직이도록 가이드하며, 우측가이드플레이트(41)과 좌측가이드플레이트(42)로 구성되고, 상기 우측가이드플레이트(41)는 앞측을 막아준다.
상기 우측가이드플레이트(41)과 좌측가이드플레이트(42)는 크래들 하판(A2)에 용접된 스터드 볼트에 너트로 고정된다.
상기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는 결합용 샘스볼트(411,421)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부(4)에 고정된다.
상기 좌측가이드플레이트(42)에는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31)이 유동하지 않도록 무빙부 유동제한판(423)이 형성된다.
도 22 내지 도 24는 진공차단기 본체(C)와 인출입장치(B) 및 크래들 하판(A2)와 크래들 측판(A1)와의 이해를 높기 위한 도면으로, 도 22는 진공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접속위치(Connecting position)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23은 진공차단기 본체를 인출입장치를 이용하여 비접속위치(Disconnecting position)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상태에서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C)가 인출입장치(B)와의 결합을 풀고 상기 차단기 결합구(32)의 회전부(322)를 돌려 진공차단기 본체(C)를 앞으로 완전히 인출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에 따르면 진공차단기 동작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크래들 스크류(1)가 회전되어 진공차단기 본체(C)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진공차단기 본체(C)의 클립 어셈브리(C1)가 크래들 부싱(C2) 내에서 빠져 전원이 단락되거나, 빠지는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아크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 : 크래들(Cradle) A1 : 크래들 측판(Cradle side plate)
A2 : 크래들 하판(Cradle Base) C : 진공차단기 본체
C1 : 클립 어셈브리 C2 : 크래들 부싱
B : 인출입장치 D : 진공차단기
1 : 크래들 스크류
11 : 베어링 12 : 스러스트 베어링
13 : 나사산 14 : 회전공구 삽입구
2 :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
21 : 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 22 :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
221 :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 2211 : 베어링설치홀
2212 : 가이드플레이트결합홀 2213 : 바텀결합홀
222 :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 바텀
2221 : 픽스볼안착홈 2222 :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 결합홀
2223 : 픽스볼램프
3 : 크래들 스크류 무빙부
31 : 크래들 스크류 무빙 311 : 무빙부 본체
3111 : 스크류결합나사부 3112 : 스프링삽입홈
3113 : 바텀결합홈 3114 : 바텀결합구
3115 : 차단기 결합구 결합홈 312 : 무빙부 바텀
3121 : 픽스볼안착홀 3122 : 본체결합홀
313 : 픽스볼 314 : 와이프 스프링
32 : 차단기 결합구 321 : 차단기 결합 부
3211 : 차단기 결합판 3212 : 무빙부 본체 결합구
322 : 회전부 3221 : 손잡이
3222 : 인출입 가이드 핀 3223 : 걸림경사부
3224 : 회전핀 323 : 무빙부 본체 삽입부
4 : 가이드 플레이트부
41 : 우측가이드플레이트 411 : 결합용 샘스볼트
42 : 좌측가이드플레이트 421 : 결합용 샘스볼트
422 : 고정용 스터드 볼트 423 : 무빙부 유동제한판
5 : 인터록 플레이트부
51 : 인터록플레이트 52 : 스크류 잠금부
521 : 누름스프링 522 : 잠김장치
523 : 누름판

Claims (4)

  1. 진공차단기 본체(C)와;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C)가 수납되어 전후로 움직이는 크래들 측판(Cradle Side Plate)(A1)과 상기 크래들 측판(A1)이 상부에서 주행하고 배전함에 고정되는 크래들 하판(Cradle Base)(A2)으로 이루어진 크래들(Cradle)(A)로 구성된 진공차단기(D)를 인출입시키는 진공차단기의 인출입장치(B)에 있어서,
    상기 인출입장치(B)는 외경에 나사산(13)이 형성되며, 마찰을 줄이기 위해 2개의 베어링(11)을 포함하는 크래들 스크류(1)와;
    상기 베어링(11)이 설치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의 전단을 지지해주는 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21)와,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의 후단을 지지해주는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2)로 구성된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와;
    상기 크래들 스크류(1)가 삽입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의 회전운동에 의해 직선 운동을 하며,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2)와 픽스볼(313)로 결합되어 진공차단기 동작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상기 크래들 스크류(1)가 회전되어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C)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크래들 스크류 무빙부(3)와;
    상기 인출입장치(B)를 상기 크래들 하판(A2)에 고정시키며, 상기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의 좌우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부(3)가 상기 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21)와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2) 사이에서 유동없이 움직이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부(4)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부(4)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1)를 임의로 회전시켜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C)가 전진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터록 플레이트부(5)로 구성되는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부(3)는 상기 크래들 스크류(1)가 삽입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의 회전으로 전후 직선운동을 하는 크래들 스크류 무빙(31)과;
    일측은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31)이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C)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31)이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의 회전으로 전후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차단기 결합구(32)로 구성되며,
    상기 크래들 스크류 무빙(31)은 상기 차단기 결합구(32)가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크래들 스크류(1)가 삽입되어 상기 크래들 스크류(1)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운동을 하는 무빙부 본체(311)와;
    상기 무빙부 본체(311)의 하부에 결합되는 무빙부 바텀(312)과;
    상기 무빙부 본체(311)와 무빙부 바텀(312) 사이에 설치되고, 진공차단기 동작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상기 크래들 스크류(1)가 회전되어 상기 진공차단기 본체(C)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무빙부 바텀(312) 하부에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2)와 결합되는 2개의 픽스볼(313)과;
    상기 무빙부 본체(3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장력에 의해 상기 픽스볼(313)을 눌러주거나 스프링장력보다 큰 힘이 주어질 때는 상기 픽스볼(313)이 위로 올라가게 하는 좌우 대칭되게 설치되는 2개의 와이프 스프링(314)으로 구성되고,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부(22)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부(4)에 좌우 양단이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11)이 일단에 결합된 상기 크래들 스크류(1)가 결합되는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221)와;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221)의 하단에 볼트로 결합되며, 상기 픽스볼(313)이 삽입되는 반구 형상의 픽스볼안착홈(2221)이 형성된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 바텀(2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부 본체(311)에는 상기 크래들 스크류(1)와 나사 결합을 위해 사각형상의 왼나사가 형성된 스크류결합나사부(3111)와;
    상기 와이프 스프링(314)이 삽입되는 2개의 스프링삽입홈(3112)과;
    상기 무빙부 바텀(312)이 결합되는 바텀결합홈(3113)과;
    상기 무빙부 바텀(312)과 볼트 결합을 위해 암나사가 형성된 바텀결합구(3114)와;
    상기 차단기 결합구(32)가 쉽게 삽입되고 빠지지 않게 하는 차단기 결합구 결합홈(3115)이 형성되며,
    상기 무빙부 바텀(312)에는 상기 픽스볼(313)이 안착되며 상기 픽스볼(313)의 일부가 하부로 노출될 수 있게 하는 카운터싱크 가공으로 홀을 뚫은 픽스볼안착홀(3121)과;
    상기 무빙부 바텀(312)과 결합을 위한 접사나사가 삽입되는 경사진 본체결합홀(3122)이 형성되고,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221)에는 상기 베어링(11)이 설치되는 베어링설치홀(2211)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부(4)에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 결합을 위한 암나사가 형성된 좌우측 2개씩 총 4개의 가이드플레이트결합홀(2212)과;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 바텀(222)과 볼트 결합을 위해 암나사가 형성된 2개의 바텀결합홀(2213)이 형성되며,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 바텀(222)에는 상기 픽스볼(313)의 하부가 안착되는 픽스볼안착홈(2221)과,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221)와 볼트 결합을 위한 후단 크래들 픽스 결합홀(2222)과, 상기 픽스볼(313)이 쉽게 상기 후단 크래들 스크류 픽스 바텀(222) 위로 올라올 수 있도록 픽스볼램프(22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프 스프링(314)은 외경이 6.7mm이고, 자유장 30mm, 조립장 25mm, 동작장 23mm, 조립하중 1.3~1.5kg/㎠, 동작하중 1.8~2.0kg/㎠ 및 스프링 정수 0.25~0.3kg/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KR1020150038059A 2015-03-19 2015-03-19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KR101542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059A KR101542530B1 (ko) 2015-03-19 2015-03-19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059A KR101542530B1 (ko) 2015-03-19 2015-03-19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530B1 true KR101542530B1 (ko) 2015-08-07

Family

ID=5388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059A KR101542530B1 (ko) 2015-03-19 2015-03-19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5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3831A1 (ko) * 2021-08-06 2023-02-09 엘에스일렉트릭 (주) 인터록 모듈, 차단기 이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CN115764660A (zh) * 2022-10-20 2023-03-07 裕丰电气有限公司 一种电动底盘车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965B1 (ko) 2009-06-25 2011-04-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방지장치
KR101052636B1 (ko) 2009-03-11 2011-07-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대차 인입출 방지장치
KR101486717B1 (ko) 2014-11-07 2015-01-29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안전성을 강화한 진공차단기용 인입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636B1 (ko) 2009-03-11 2011-07-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대차 인입출 방지장치
KR101031965B1 (ko) 2009-06-25 2011-04-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방지장치
KR101486717B1 (ko) 2014-11-07 2015-01-29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안전성을 강화한 진공차단기용 인입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3831A1 (ko) * 2021-08-06 2023-02-09 엘에스일렉트릭 (주) 인터록 모듈, 차단기 이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CN115764660A (zh) * 2022-10-20 2023-03-07 裕丰电气有限公司 一种电动底盘车及其使用方法
CN115764660B (zh) * 2022-10-20 2023-05-12 裕丰电气有限公司 一种电动底盘车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965B1 (ko)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방지장치
EP2228812B1 (en) Withdrawable device of main circuit for vacuum circuit breaker
KR100505052B1 (ko)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인입출 장치
US8212163B2 (en) Withdrawable device of vacuum circuit breaker
JP4965676B2 (ja) 回路遮断器の台車引込及び引出防止装置
US7582837B2 (en) Withdraw-in and withdraw-out apparatus for air circuit breaker
US6388868B1 (en) Automatically operating interlock assembly requiring an electrical cabinet to be closed before connection of the equipment therein
JP2011139630A (ja) 回路遮断器
KR101542530B1 (ko)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KR101486717B1 (ko) 안전성을 강화한 진공차단기용 인입출 장치
US6445570B1 (en) Automatically operating interlock assembly requiring an electrical cabinet to be closed before connection of the equipment
US20110079494A1 (en) Battery for hybrid vehicles with a safety device for interrupting a high-voltage circuit
KR101555553B1 (ko)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인출 방지장치
KR101542767B1 (ko) 차단기의 인출입이 가능한 차단기 위치별 인디케이터
KR100841649B1 (ko)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KR101668026B1 (ko) 차단기 인출 방지 장치를 갖는 이송장치
KR101279893B1 (ko)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KR200401663Y1 (ko) 진공차단기의 록킹장치
KR200489519Y1 (ko) 진공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US11444439B1 (en) Mechanism for limiting racking in circuit breaker into case
KR100413480B1 (ko) 진공차단기의 대차부 인입출 방지장치
KR100835397B1 (ko) 록킹장치가 구비된 보호계전기
KR20110090124A (ko) 진공차단기 인출입 중 접지개폐기의 구동방지 장치
KR20130071188A (ko) 기중 차단기의 인출 방지 장치 및 인출 방지 장치를 갖는 기중 차단기
KR20230141228A (ko)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