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1228A -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 - Google Patents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1228A
KR20230141228A KR1020220040545A KR20220040545A KR20230141228A KR 20230141228 A KR20230141228 A KR 20230141228A KR 1020220040545 A KR1020220040545 A KR 1020220040545A KR 20220040545 A KR20220040545 A KR 20220040545A KR 20230141228 A KR20230141228 A KR 20230141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interlock
padlock
button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20040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1228A/ko
Priority to PCT/KR2023/000727 priority patent/WO2023191277A1/ko
Publication of KR20230141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1/08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parts of the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1/06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cover, or protective shutt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4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parts of the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단기 본체의 이송 동작 시 차단기의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는, 크래들과 상기 크래들에 인입출되는 차단기 본체; 상기 크래들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송장치부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터 플레이트; 상기 이송장치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셔터 플레이트의 위치에 따라 이동이 제한 또는 허용되는 패드락 부재; 및 상기 이송장치부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패드락 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하 운동하고, 상기 차단기 본체의 오프 버튼에 연결되는 인터록 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 {Circuit Breaker having Interlock Device for Drawing-In And Drawing-Out}
본 발명은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단기 본체의 이송 동작 시 차단기의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차단기는 송,변전 선로나 전기회로의 일부에 설치되어 부하를 개폐하거나 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회로를 차단시켜 전기 시설 및 부하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회로차단기는 회로부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개폐기구부, 이상전류를 검출하는 검출기구부, 과전류나 단락전류 등 이상전류 발생시 개폐기구부를 개리시킴으로써 선로나 부하를 보호하도록 하는 트립기구부, 차단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 및 냉각시기는 기능을 하는 소호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로차단기 중에서 기중차단기(Air Circuit Breaker: ACB)는 저압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공기를 소호 매질로 하여 저압계통 전력의 송수전, 절체(switching) 및 정지 등을 계획적으로 수행하는 외에 과전류, 단락 및 지락사고 등 이상전류 발생시 회로를 차단하여 인명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기기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중차단기의 크래들의 인입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중차단기의 크래들의 인입출장치는, 판상의 블록(10), 블록(10)과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커플링(20), 커플링(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인디케이터(30), 커플링(20)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레버(40), 레버(40)의 단부와 접촉되어 회동 운동가능하게 커플링(20)의 내측에 배치되는 스크류(50), 스크류(5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스크류(50)의 회전에 따라 전후 이동되면서 일측에 연결된 인디케이터(30)를 회전시키는 서포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블록(10)은 장방 형상을 갖는 판상체로서 블록(10)의 일측에는 커플링(20)이 고정 결합되어 있다.
커플링(20)의 일측은 블록(10)과 고정 결합되며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레버(40)의 회전에 의하여 스크류(5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커플링(20)의 일측 방향에서는 레버(4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 방향에서는 스크류(5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커플링(20)의 일측에는 커플링(20)의 전후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인디케이터(30)와 접촉되어 인디케이터(30)의 회전운동을 구속하는 구속돌기(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인디케이터(3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중 차단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인디케이터(30)의 단부면에는 크래들(미도시) 내에서 차단기 본체의 위치에 따라 인디케이터(30)가 회전하여 차단기 본체(미도시)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위치표시기(3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인디케이터(30)의 외주면에는 커플링(20)의 전후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커플링(20)의 구속돌기(21)와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되는 구속레일(32)이 형성되어 있다.
구속레일(32)은 차단기 본체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속돌기(21)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구속레일(32)이 형성된 인디케이터(30)의 단부에는 캠면(33)이 형성된 인디케이터(30)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캠면(33)은 상기 크래들의 인입 위치에 따라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와 그 캠면(33)의 길이가 각각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단기 본체가 인입 위치에서 디스커넥티드 위치 사이에 위치할 경우는 캠면(33)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는 0도이며, 상기 차단기 본체가 디스커넥티드 위치에서 테스트 위치 사이에 위치할 경우는 캠면(33)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는 45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단기 본체가 테스트 위치에서 커넥티드 위치 사이의 구간에 위치할 경우는 캠면(33)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는 90도로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50)의 회전에 의하여 서포터(60)가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서포터(60)의 중심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류(50)의 타단과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캠면(33)이 형성된 인디케이터(30)가 삽입되어 서포터(60)의 전후 이동에 따라 인디케이터(30)가 회전하도록 하는 캠홀더(61)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차단기 본체를 크래들 내에서 이동시키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커플링(20)의 구속돌기(21)가 인디케이터(30)의 구속레일(32)에서 이탈된 초기 상태에서 레버(40)를 회전시키면 레버(40)의 단부와 연결된 스크류(50)가 회전되고 스크류(50)의 회전에 의하여 서포터(6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인디케이터(30)의 캠면(33)이 캠홀더(61)를 따라 이동하면서 차단기 본체는 디스커넥티드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인디케이터(30)의 위치표시기(31)는 디스커넥티드 위치를 가리키게 된다.
상기 차단기 본체를 디스커넥티드 위치에서 테스트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레버(40)를 계속 회전시키게 되면 서포터(60)가 후방으로 계속 이동하면서 인디케이터(30)의 캠면(33)이 캠홀더(61)를 따라 이동하면서 인디케이터(30)는 45도 회전하게 되고 상기 크래들은 테스트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인디케이터(30)의 위치표시기(31)는 테스트 위치를 가리키게 된다.
상기 크래들은 테스트 위치에서 커넥티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레버(40)를 계속 회전시키게 되면 서포터(6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인디케이터(30)의 캠면(33)이 캠홀더(61)를 따라 이동하여 인디케이터(30)는 45도 회전하게 되고 인디케이터(30)의 위치표시기(31)는 커넥티드 위치를 가리키게 되며 상기 크래들은 커넥티드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크래들의 인입이 완료되며, 구속돌기(21)가 구속레일(32)에 삽입되어 레버(40)의 회전운동은 구속되어 더 이상 상기 크래들은 이동하지 않는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크래들의 이송장치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크래들 이송장치부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셔터부재(70)는 상기 레버의 전방에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셔터(71)와, 셔터(71)의 일측에 구비되어 셔터(71)의 이동을 구속 또는 허용하는 플레이트(7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셔터(71)는 장방형으로 형성된 판상의 부재로 그 판면에 복수의 구멍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구멍(71a)에는 인디케이터(30)가 삽입되고 타측구멍(71b)에는 스크류(5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80)이 삽입된다.
플레이트(72)의 판면에는 플레이트(72)의 두께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핀(72a)이 형성되며, 핀(72a)과 저부면 사이에는 플레이트(72)가 상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72b)이 구비되어 있다.
플레이트(72)는 기중차단기의 온,오프 스위치(미도시)와 연결 링크(75)로 연결되어 상기 온, 오프 버튼(미도시)이 눌러진 상태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운동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기중차단기의 오프 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는 플레이트(72)가 상측으로 소정 간격 상승하여 셔터(71)의 좌측 방향 이동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므로 셔터(71)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레버(40)에 형성된 삽입홀(41)이 외부로 개방된다. 사용자는 개방된 삽입홀(41)에 핸들(80)을 삽입하여 기중차단기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기중차단기의 온 버튼이 눌러 지게 되면 플레이트(72)가 탄성스프링(72b)의 복원력에 의하여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셔터(71)는 좌측으로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레버(40)에 형성된 삽입홀(41)은 일부 차폐되므로 사용자는 핸들을 삽입할 수 없게 되어 기중차단기가 온 상태에서는 인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은 기중차단기의 오프 버튼을 누른 채로 인입출 핸들(80)을 삽입해야 핸들이 삽입 가능하다. 즉, 오프 버튼을 눌러야 인터록 장치가 동작하고 이에 따라 핸들을 삽입할 수 있다. 더욱이 오프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핸들 삽입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사용하기가 어려울 뿐더러 사용법에 숙련되지 않은 경우 제품의 동작이 불가하고 제품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크래들에서 차단기 본체의 인입출 동작시 인터록 장치의 사용이 용이하고, 인입출 동작 시에는 차단기의 상태가 오프로 전환되도록 하는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 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는, 크래들과 상기 크래들에 인입출되는 차단기 본체; 상기 크래들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송장치부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터 플레이트; 상기 이송장치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셔터 플레이트의 위치에 따라 이동이 제한 또는 허용되는 패드락 부재; 및 상기 이송장치부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패드락 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하 운동하고, 상기 차단기 본체의 오프 버튼에 연결되는 인터록 블록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셔터 플레이트에는 상기 패드락 부재에 걸리는 패드락 고정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기 패드락 부재에는 패드락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락 고정부에는 상기 패드락 고정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드락 부재에는 상기 인터록 블록에 걸리는 인터록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터록 가이드부는 홈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터록 블록에는 상기 인터록 가이드부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구름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인터록 가이드부에는 상기 구름부재에 접촉하는 경사부가 형성된다.
또한, 구름부재는 롤러 또는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다.
또한, 상기 차단기 본체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인터록 블록에 의해 운동하는 승강 부재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기 본체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승강 부재에 의해 운동하고 상기 오프 버튼에 연결되는 전환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에 의하면 인입출 핸들을 인입출 스크류에 삽입할 때 별도로 오프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진행할 필요가 없다. 즉, 차단기 본체의 이동을 시킬 때, 인터락 장치의 작동에 의해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므로 오프 상태 여부를 체크할 필요가 없다.
인입출 핸들의 삽입 상태에서 패드락 부재를 누르면 인터록 블록과 인터록 연결 부재를 거쳐 오프 버튼이 자동으로 눌러지므로 차단기는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인입출 핸들이 삽입되지 않는 경우, 패드락 부재는 셔터 플레이트에 의해 구속을 받으므로 패드락 부재를 누를 수 없다.
일단 패드락 부재를 누르면 오프 버튼은 오프 상태를 유지하므로 계속 누르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작업성을 개선하고 제품 사용이 용이하며, 제품 파손의 위험이 감소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크래들에서 이송장치부의 인입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크래들에서 이송장치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이송장치부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차단기 본체와 크래들이 분리된 상태이고, 도 5는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인입된 상태이고, 도 6은 크래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필요한 구성들 위주로 도시하고, 기타 구성들은 생략한 채 도시하였다.
도 7은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인입된 상태에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크래들 하부의 이송장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셔터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의 이송장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송부 커버 플레이트가 제거된 상태이다.
도 10 및 도 11은 차단기의 전면부 구성도로서 도 10은 오프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은 오프 버튼이 눌러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의 작용도이다. 인터록 장치를 포함하는 인입출 조작 어셈블리 위주로 도시하였다.
도 12는 핸들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 도 13 및 도 14는 핸들이 삽입된 상태, 도 15는 패드락 부재가 눌러진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된 "부재" 또는 "부"라는 용어는 어떤 한정적 목적을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며,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차단기 본체와 크래들이 분리된 상태이고, 도 5는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인입된 상태이고, 도 6은 크래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필요한 구성들 위주로 도시하고, 기타 구성들은 생략한 채 도시하였다.
도 7은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인입된 상태에서의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는, 크래들(200)과 상기 크래들(200)에 인입출되는 차단기 본체(100)를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송장치부(210)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터 플레이트(240); 상기 이송장치부(210)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셔터 플레이트(240)의 위치에 따라 이동이 제한 또는 허용되는 패드락 부재(250); 상기 이송장치부(210)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패드락 부재(250)의 위치에 따라 상하 운동하고, 상기 차단기 본체(100)의 오프 버튼(120)에 연결되는 인터록 블록(235);을 포함한다. 여기서, 인입출 핸들(180)을 상기 셔터 플레이트(240)의 셔터부 핸들 삽입홀(243)에 삽입하면 상기 셔터 플레이트(240)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패드락 부재(250)를 누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차단기 본체(100)와 크래들(200)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차단기 본체(100)와 크래들(200)은 내부 구성이 보이도록 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이해하기 쉽도록 주요 부품만 도시되고 기타 부품은 생략되었다.
차단기 본체(100)는 접점부(미도시), 접점부의 개폐가 일어나도록 기계적 힘을 제공하는 개폐기구부(110), 트립부, 아크 소호부(150) 등을 포함한다.
개폐기구부(110)에는 접점부를 개폐 동작하기 위한 온 버튼(128)과 오프 버튼(120)이 마련된다. 온 버튼(128) 또는 오프 버튼(120)이 눌러지면 개폐기구부(110)의 동력에 의해 주축(115)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점부를 개폐한다. 즉, 주회로는 차단되거나 통전된다.
도 7에 오프 버튼(120)이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오프 버튼(120)은 회전축(12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사용자가 오프 버튼(120)을 누르면 버튼이 뒤로 눕는 방식으로 움직이며 (도 7의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회전축(122)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오프 버튼(120)은 토션 스프링이 구비되어 외력이 제거되면 원위치로 복귀한다.
오프 버튼(120)의 하단부에는 걸림부(124)가 돌출 형성된다. 걸림부(124)는 개폐기구부(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개폐기구부(110)의 일측면에는 오프 버튼 작용홀(112)이 형성되어, 걸림부(124)가 오프 버튼 작용홀(112)을 관통하여 개폐기구부(110)의 외부로 연장된다. 걸림부(124)는 인터록 연결 부재(130,140)를 동작시킨다. 또한, 역으로 인터록 연결 부재(130,140)는 걸림부(124)를 움직임으로써 오프 버튼(120)을 동작시킨다.
인터록 연결 부재(130,140)가 개폐기구부(110)의 일측에 마련된다. 인터록 연결 부재(130,140)는 개폐기구부(110)의 측면판(114)에 설치될 수 있다.
전환부재(제1 인터록 연결 부재)(130)가 마련된다. 전환부재(130)는 오프 버튼(120)의 동작을 승강부재(제2 인터록 연결 부재)(140)에 전달하거나 역으로 승강부재(140)의 동작을 오프 버튼(120)에 전달한다.
전환부재(130)는 회전운동을 하면서 오프 버튼(120)의 걸림부(124)의 회전 운동을 승강부재(140)의 승강 운동으로 전환시키거나 승강부재(140)의 승강 운동을오프 버튼(120)의 걸림부(124)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환부재(130)는 중간부에 마련되는 전환부재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적절한 각도로 벌어지도록 연장되는 2개의 팔(arm)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환부재(130)의 일단부에는 걸림홀(134)이 형성된다. 걸림홀(134)에는 오프 버튼(120)의 걸림부(124)가 삽입되어 오프 버튼(120)의 운동이 전환부재(130)에 전달된다. 걸림부(124)는 걸림홀(134) 내에서 소정의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전환부재(130)를 동작시킨다.
전환부재(130)의 타단부에는 후크(136)가 형성된다. 전환부재(130)의 운동은 후크(136)를 통해 승강부재(140)에 전달된다. 전환부재(130)의 타단부가 있는 팔은 활(arrow, arc) 형태로 휘어져서 후크(136)는 상하 직선 운동에 가깝게 움직인다.
승강부재(140)는 상하운동하도록 마련된다. 승강부재(140)는 개폐기구부(110)의 측면부 하단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져 승강운동 할 수 있다.
승강부재(140)의 일단부(상단부)에는 전환부재(130)의 후크(136)가 삽입되는 후크홀(142)이 형성된다. 후크홀(142)에 끼워진 후크(136)의 힘을 받아 승강부재(140)는 승강운동한다.
승강부재(140)의 타단부(하단부)에는 작용부(144)가 형성된다. 작용부(144)는 개폐기구부(110)의 측면부 하단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져 승강운동 할 수 있다.
작용부(144)에는 작용판(146)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작용부(144)는 개폐기구부(110) 측면판(114)의 외부에 배치되고, 작용판(146)은 개폐기구부(110) 측면판(114)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작용판(146)은 인터록 블록(235)를 운동시킨다 (도 8,9 참조). 또한, 역으로 인터록 블록(235)의 운동은 작용판(146)을 통해 승강부재(140)를 상하 운동시킨다.
오프 버튼(120)이 눌러지면, 오프 버튼(120)은 회전축(122)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전환부재(13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승강부재(140)는 상승 운동한다.
오프 버튼(120)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오프 버튼(120)은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오도록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전환부재(1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승강부재(140)는 하강 운동한다.
한편, 승강부재(140)가 상승 운동하면 전환부재(130)는 시계 방향으로 운동하고, 이에 연동하여 오프 버튼(120)은 반시계 방향으로 운동하여 눌러진 상태가 된다.
승강부재(140)가 하강 운동하면 전환부재(130)는 반시계 방향으로 운동하고, 이에 연동하여 오프 버튼(120)은 시계 방향으로 운동하여 눌러지지 않은 상태가 된다.
온 버튼(128)은 오프 버튼(12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온 버튼(128)는 개폐기구부(110)를 동작시켜 투입 작동이 일어나도록 한다. 이 경우 주회로는 통전된다. 개폐기구부(110)가 투입 작동이 일어나면 접점부의 가동접촉자는 고정접촉자에 접촉하여 주회로는 통전된다.
온 버튼(128)과 오프 버튼(120) 사이에는 안전 장치(미도시)가 마련되어, 온 버튼(128)은 오프 버튼(120)이 눌러진 상태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다. 즉, 온 버튼(128)은 오프 버튼(120)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만 동작한다.
크래들(200)은 전면이 개방된 상자 형태로 형성되어 차단기 본체(100)가 인입출된다. 크래들(200)은 차단기 본체(100)를 지지하고, 차단기 본체(100)가 디스커넥티드 위치(disconnected position), 테스트 위치(test position), 운전 위치(service position, connected position)로 이동하고 각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크래들(200)은 주회로에 연결되어 차단기 본체(100)와 주회로의 연결을 매개한다.
크래들(200)의 후면부(후면판)에는 크래들 터미널(205)이 마련된다. 크래들 터미널(205)은 전원측 터미널 및 부하측 터미널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측 터미널 및 부하측 터미널은 각 상별로 마련된다. 예를 들어, 3상 차단기의 경우 전원측 터미널 및 부하측 터미널이 각각 3개씩 구비된다.
크래들(200)의 상면부에는 아크 박스(미도시)가 구비된다. 차단기 본체(100)의 소호부(150)에서 흘러나오는 아크 가스는 아크 박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크래들(200)의 상면부(상면판)에는 제어전원부(206)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전원부(206)는 크래들(200)과 차단기 본체(100)가 주회로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단 동작을 시험하거나 잔류 전류를 제거하는 등 유지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크래들(200)의 측면부에는 차단기 본체(100)의 인입출을 보조하는 기구들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크래들(200)의 측면부 내측에는 가이드(208)가 마련될 수 있다.
크래들(200)의 하면부에는 차단기 본체(100)를 지지하는 동시에 차단기 본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장치부(210)가 마련된다.
도 8 및 도 9에는 이송장치부(2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는 전면 조작부(215)의 전면 커버 플레이트(220)가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이송부 커버 플레이트(230)가 제거되고, 셔터 플레이트(240)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송장치부(210)는 베이스 플레이트(212), 전면 조작부(215), 이송부 커버 플레이트(230) 등을 포함한다.
이송장치부(210)에 대해 먼저 개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 플레이트(212)는 이송장치부(210)의 하면을 이룬다.
전면 조작부(215)는 인입출 핸들(180)을 삽입하여 차단기 본체(100)를 이동시키고, 차단기 본체(100)의 위치를 표시하고, 차단기 본체(1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송부 커버 플레이트(230)는 스크류 등 인입출 장치를 보호한다.
이송장치부(21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12)는 크래들(200)의 하면을 이루는 동시에 이송장치부(210)의 하면을 이룬다. 베이스 플레이트(212)의 상면에 인입출 장치가 설치되고, 전면에는 전면 조작부(215)가 구비된다.
인입출 조작 어셈블리(도 12 내지 도 15 참조)가 베이스 플레이트(212)의 중간부에 설치된다. 인입출 조작 어셈블리는 인입출 스크류(217)와 위치 표시 스크류(218)를 포함한다.
인입출 핸들(180)의 힘을 받아 차단기 본체(100)가 전,후진 이동 운동을 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인입출 스크류(217)가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인입출 스크류(217)의 옆에는 위치 표시 스크류(218)가 나란히 배치된다.
인입출 스크류(217)의 전단부에는 각형(예를 들면 6각형)으로 형성되는 삽입홈(216)이 형성되어 인입출 핸들(180)을 끼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12)의 전면부(214)는 하면으로부터 상면으로 절곡되어 전면을 형성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12)의 전면부(214)에는 전면 커버 플레이트(220)가 결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12)의 전면부(214)에는 인입출 스크류(217)나 위치 표시 스크류(218) 등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각종 홈이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12)에는 인터록 블록(235)이 설치된다. 인터록 블록(235)은 도 12 내지 도 15에 잘 나타나 있다. 인터록 블록(235)은 상하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인터록 블록(235)은 블록 복귀 스프링(238)에 의해 상승하는 힘을 받는다. 따라서, 외력을 받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 인터록 블록(235)은 상승한 위치에 있다.
인터록 블록(235)의 머리부(236)는 이송부 커버 플레이트(230)의 블록 동작홀(232)을 통해 이송부 커버 플레이트(230)의 위로 돌출된다 (도 8 참조).
인터록 블록(235)의 머리부(236)는 승강부재(140)의 작용판(146)에 접한다 (도 10,11 참조). 따라서, 오프 버튼(120)이 눌러지면 승강부재(140)가 상승함에 따라 인터록 블록(235)이 상승하고, 오프 버튼(120)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승강부재(140)가 하강함에 따라 인터록 블록(235)이 하강한다.
도 10 및 도 11에는 오프 버튼(120), 전환부재(130), 승강부재(140), 인터록 블록(235)이 연동 작용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오프 버튼(120)이 안 눌러진 상태에서는 전환부재(130)를 거쳐 승강부재(140)가 하강하고 인터록 블록(235)이 하강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오프 버튼(120) 눌러진 상태에서는 전환부재(130)를 거쳐 승강부재(140)가 상승하고 인터록 블록(235)이 상승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역으로, 인터록 블록(235)이 상승하면 승강부재(140)를 밀어올리고 이에 따라 오프 버튼(120)이 눌러지고, 인터록 블록(235)이 하강하면 오프 버튼(120)이 복귀하려는 작용에 의해 승강부재(140)가 하강한다.
인터록 블록(235)은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터록 블록(235)의 일부가 베이스 플레이트(212)의 전면부(214) 전방으로 돌출된다.
인터록 블록(235)의 일면(패드락 부재(250)가 있는 면)에는 롤러 또는 베어링 등의 구름부재(237)가 구비된다.
인입출 조작 어셈블리 및 인입출 인터록 장치의 구성 요소로서 패드락(pad lock) 부재(250)가 마련된다. 패드락 부재(250)는 전면 조작부(215)의 전방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다. 패드락 부재(250)는 주로 도 12 내지 15에 잘 나타나 있다.
패드락 부재(250)에는 하면에 패드락 고정홈(251)이 형성된다. 패드락 고정홈(251)에는 셔터 플레이트(240)의 패드락 고정부(242)가 삽입될 수 있다.
패드락 부재(250)에는 중간부에 상면에 인터록 가이드부(253)가 마련된다. 인터록 가이드부(253)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터록 가이드부(253)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오프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 인터록 블록(235)이 하강하여 인터록 블록(235)의 구름부재(237)가 삽입된 상태에 있다.
전면 커버 플레이트(220)에는 전면 조작부(215)의 구성들이 노출될 수 있는 관통홀들이 형성된다(도 6 참조). 예를 들면, 전면 커버 플레이트(220)에는 패드락 삽입홀(224), 핸들 삽입홀(226), 핸들 보관홀(228), 위치 표시 스크류 홀(229) 등이 형성된다.
전면 커버 플레이트(220)의 배후면에는 셔터 플레이트(240)가 구비된다. 전면 커버 플레이트(220)가 이송장치부(210)에 설치되면, 셔터 플레이트(240)는 베이스 플레이트(212)의 전면부(214) 앞에 배치되고, 전면 커버 플레이트(220)의 면을 따라 좌우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셔터 플레이트(240)의 좌측단 하단부에는 패드락 고정부(242)가 마련된다. 패드락 고정부(242)는 셔터 플레이트(240)의 좌측단 하부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패드락 고정부(242)에는 고정돌기(242a)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셔터 플레이트(240)가 이동하여 패드락 고정부(242)의 고정돌기(242a)가 패드락 부재(250)의 패드락 고정홈(251)에 삽입되는 경우 패드락 부재(250)의 이동은 제한되고, 패드락 고정부(242)의 고정돌기(242a)가 패드락 부재(250)의 패드락 고정홈(251)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패드락 부재(250)의 이동은 허용된다.
셔터 플레이트(240)에는 인입출 핸들(180)이 삽입될 수 있는 셔터부 핸들 삽입홀(243)이 형성된다. 여기서, 셔터부 핸들 삽입홀(243)은 외력을 받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 인입출 스크류(217)의 삽입홈(216)이 일부만 노출되도록 형성된다(도 8 참조). 즉, 셔터 플레이트(240)에는 셔터부 핸들 삽입홀(243)에 인접한 부분(도면에서 좌측 부분)에 삽입 방지부(244)가 형성된다. 삽입 방지부(244)에 의해 인입출 핸들(180)의 삽입이 제한된다. 셔터 플레이트(240)의 이동이 제한되는 경우, 즉 셔터 플레이트(240)가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인입출 핸들(180)의 삽입이 제한되어 차단기 본체(100)의 이동은 불가능하다.
여기서, 삽입 방지부(244)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삽입 방지부(244)는 셔터부 핸들 삽입홀(243)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셔터 플레이트(240)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는 경우, 인입출 핸들(180)을 이용하여 삽입 방지부(244)를 밀면 셔터 플레이트(240)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셔터부 핸들 삽입홀(243)은 완전 개방되고, 인입출 핸들(180)을 인입출 스크류(217)의 삽입홈(216)에 끼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셔터 플레이트(240)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기 위해 셔터 복귀 스프링(248)이 마련된다. 셔터 플레이트(240)에는 셔터 복귀 스프링(248)을 설치할 수 있도록 스프링 고정부(245,246)가 마련된다. 셔터 복귀 스프링(248)의 일부는 전면 커버 플레이트(220)의 배후면 일부에 고정된다.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 셔터 플레이트(240)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삽입홈(216)을 일부 가린 상태에 있다. 따라서, 인입출 핸들(180)을 삽입할 수 없고, 패드락 부재(250)는 이동할 수 없다.
도 12 내지 도 15를 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와 같이 인입출 핸들(180)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셔터 플레이트(240)가 셔터 복귀 스프링(248)의 힘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로 있다. 따라서 셔터 플레이트(240)의 고정돌기(242a)가 패드락 부재(250)의 패드락 고정홈(251)에 삽입되어 패드락 부재(250)를 누를 수 없다. 따라서, 인입출 핸들(180)을 삽입하지 않으면 이송장치부(210)에 대한 조작이 불가하여 차단기 본체(100)의 이동은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13과 같이 인입출 핸들(180)을 이용하여 삽입 방지부(244)를 밀면 셔터 플레이트(240)의 삽입 방지부(244)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인해 셔터 플레이트(24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고정돌기(242a)가 패드락 고정홈(251)으로부터 벗어난다. 이 상태에서는 패드락 부재(250)를 누를 수 있다.
도 14에는 도 13의 상태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오프 버튼(120)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승강부재(140)가 하강한 상태에 있으므로 인터록 블록(235)의 구름부재(237)이 패드락 부재(250)의 인터록 가이드부(253)에 삽입된 상태에 있다.
한편, 인입출 핸들(180)을 삽입한 상태에서도 패드락 부재(250)가 눌러지지 않으면 클러치 부재(260)가 연결되지 않아 인입출 핸들(180)의 동력은 인입출 스크류(217)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차단기 본체(100)가 이동하지는 않는다.
도 15와 같이 패드락 부재(250)를 누르면 패드락 부재(250)에 구비된 인터록 가이드부(253)가 이동하면서 구름부재(237)와 접촉하게 되고 인터록 가이드부(253)의 경사부(254)가 구름부재(237)를 밀어올려서 인터록 블록(235)이 상승한다. 이에 따라 승강부재(140)도 상승하고 이에 연결된 전환부재(130)가 회전 운동하여 오프 버튼(120)을 누름 상태로 전환시킨다.
이 경우 패드락 부재(250)가 클러치 부재(260)를 후진시켜 인입출 핸들(180)의 동력은 인입출 스크류(217)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패드락 부재(250)가 눌러져야 인입출 핸들(180)의 동력이 인입출 스크류(217)에 전달되어 이송장치부(210)는 차단기 본체(100)를 전,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에 의하면 인입출 핸들을 인입출 스크류에 삽입할 때 별도로 오프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진행할 필요가 없다. 즉, 차단기 본체의 이동을 시킬 때, 인터락 장치의 작동에 의해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므로 오프 상태 여부를 체크할 필요가 없다.
인입출 핸들의 삽입 상태에서 패드락 부재를 누르면 인터록 블록과 인터록 연결 부재를 거쳐 오프 버튼이 자동으로 눌러지므로 차단기는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인입출 핸들이 삽입되지 않는 경우, 패드락 부재는 셔터 플레이트에 의해 구속을 받으므로 패드락 부재를 누를 수 없다.
일단 패드락 부재를 누르면 오프 버튼은 오프 상태를 유지하므로 계속 누르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작업성을 개선하고 제품 사용이 용이하며, 제품 파손의 위험이 감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실시 상태를 예시하고 있는 것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들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단기 본체
120 오프 버튼
128 온 버튼
130 전환부재
140 승강부재
144 작용부
180 인입출 핸들
200 크래들
210 이송장치부
212 베이스 플레이트
215 전면 조작부
216 삽입홈
217 인입출 스크류
218 위치 표시 스크류
220 전면 커버 플레이트
230 이송부 커버 플레이트
235 인터록 블록
236 머리부
237 구름부재
238 블록 복귀 스프링
240 셔터 플레이트
242 패드락 고정부
242a 고정돌기
243 셔터부 핸들 삽입홀
244 삽입 방지부
248 셔터 복귀 스프링
250 패드락 부재
251 패드락 고정홈
253 인터록 가이드부
254 경사부

Claims (9)

  1. 크래들과 상기 크래들에 인입출되는 차단기 본체;
    상기 크래들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송장치부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터 플레이트;
    상기 이송장치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셔터 플레이트의 위치에 따라 이동이 제한 또는 허용되는 패드락 부재; 및
    상기 이송장치부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패드락 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하 운동하고, 상기 차단기 본체의 오프 버튼에 연결되는 인터록 블록을 포함하는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플레이트에는 상기 패드락 부재에 걸리는 패드락 고정부가 형성되는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패드락 부재에는 패드락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락 고정부에는 상기 패드락 고정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락 부재에는 상기 인터록 블록에 걸리는 인터록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가이드부는 홈으로 형성되는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블록에는 상기 인터록 가이드부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구름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인터록 가이드부에는 상기 구름부재에 접촉하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
  7. 제6항에 있어서, 구름부재는 롤러 또는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본체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인터록 블록에 의해 운동하는 승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본체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승강 부재에 의해 운동하고 상기 오프 버튼에 연결되는 전환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

KR1020220040545A 2022-03-31 2022-03-31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 KR20230141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545A KR20230141228A (ko) 2022-03-31 2022-03-31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
PCT/KR2023/000727 WO2023191277A1 (ko) 2022-03-31 2023-01-16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545A KR20230141228A (ko) 2022-03-31 2022-03-31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228A true KR20230141228A (ko) 2023-10-10

Family

ID=88203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545A KR20230141228A (ko) 2022-03-31 2022-03-31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1228A (ko)
WO (1) WO202319127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544B1 (ko) * 2006-10-17 2008-02-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 차단기의 크레들 인입출 장치
KR100854382B1 (ko) * 2007-03-08 2008-08-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
KR101570101B1 (ko) * 2014-01-28 2015-11-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 인입출 인터록장치
KR20170043931A (ko) * 2015-10-14 2017-04-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KR102486416B1 (ko) * 2016-09-28 2023-01-09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 내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1277A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89607C (en) Draw-in and draw-out mechanism of an electrical circuit breaker with main and auxiliary circuits
JP4965676B2 (ja) 回路遮断器の台車引込及び引出防止装置
US4002951A (en) Electrical receptacle mounted ground fault interrupter with automatic plug insertion testing
KR101150330B1 (ko)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US3288956A (en) Draw-out switch-gear interlock apparatus
US9928977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operating handle assembly and trip cam therefor
CA2755169A1 (en) Electrical apparatus, and racking assembly and coupling therefor
US4489362A (en) Electric switchboard apparatus with a breaker-fuse interlock
CN111383864B (zh) 断路器
US5594610A (en) Pivot-disconnecting circuit breaker
US20100078298A1 (en) Interlocking Lock for Preventing a Switch from Switching On
KR20230141228A (ko)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갖는 차단기
US9852857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contact assembly therefor
CN106128845B (zh) 气体绝缘金属封闭开关的防误操作联锁机构及装置
KR101783216B1 (ko)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US3681545A (en) Drawout switchgear
KR100730036B1 (ko) 부하 개폐기
US3783208A (en) Metal-enclosed switchgear with interlock means
CN209962911U (zh) 一种固定式断路器紧急分闸机械联锁装置
KR101542767B1 (ko) 차단기의 인출입이 가능한 차단기 위치별 인디케이터
KR102208664B1 (ko) 포지션 잠금 장치를 갖는 배전반
KR102595091B1 (ko) 회로 차단기
KR100480389B1 (ko)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인터록장치
KR200376465Y1 (ko) 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US8076600B2 (en) Contact actuating mechanism for switc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