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717B1 - 안전성을 강화한 진공차단기용 인입출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성을 강화한 진공차단기용 인입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717B1
KR101486717B1 KR20140154192A KR20140154192A KR101486717B1 KR 101486717 B1 KR101486717 B1 KR 101486717B1 KR 20140154192 A KR20140154192 A KR 20140154192A KR 20140154192 A KR20140154192 A KR 20140154192A KR 101486717 B1 KR101486717 B1 KR 101486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
circuit breaker
link
closing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54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헌호
송기성
송유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Priority to KR20140154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6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3/48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or cov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전기회로의 안전을 위해 사용하는 진공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고정부인 크레들에 전기 회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기와 상기 차단기를 온오프 시키는 조작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차단기와 조작기는 인터록기구에 장착되어 크레들에 대해 전후로 이동하면서 전기 회로를 연결 또는 차단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기에 작동을 시험함과 더불어 차단기를 유지 보수하기 위한 수동 투입버튼과 수동 오픈버튼을 갖추고 있는 한편, 상기 수동 투입버튼은 투입레버와 투입캠, 투입 스프링 및 링크기구를 통하여 록크 레버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동 오픈버튼은 오픈레버와 오픈후크, 오픈 스프링 및 상기 링크기구를 통하여 상기 록크 레버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기의 수동 오픈버튼에 의해 작동하는 오픈후크에 오픈롤러를 갖춘 오픈링크가 승하강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인터록기구의 케이스 측벽에 형성된 오목홈에 상기 오픈후크의 오픈 롤러가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다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이송 스크류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에 설치된 이송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 오픈 링크가 케이스 측벽의 상단을 따라 이동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는 차단기가 투입된 상태에서 인터록기구를 사용하여 차단기를 인출할 때 전류의 흐름이 자동으로 차단된 상태에서 인출되게 하고, 차단기가 투입된 상태에서 인터록기구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어 인출 핸들이 삽입되면 차단기가 자동으로 트립되어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게 함으로써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차단기가 인출되지 않게 하여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안전성을 강화한 진공차단기용 인입출 장치{An apparatus for drawing and inserting a vacuum breaker}
본 발명은 배전회로에 회로의 안전을 위해 사용하는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출형 회로 차단기의 진공 차단기가 크래들에 투입된 상태에서 차단기를 강제 인출하면 자동적으로 차단기가 트립상태로 절환되게 함으로써 안전하게 인출할 수 있게 한 진공 차단기용 인입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전기 배선회로에 사용하는 차단기는 사고전류를 감지하여 계통에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차단기는 설치할 때의 형태에 따라 고정형과 인출형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고정형은 1차 전원과 2차 전원이 연결된 주회로부와 차단기가 상시 고정되어 있는 형태이고, 인출형은 주회로부에 대해 차단기를 인출입할 수 있게 이루어진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인출형의 경우 차단기를 인출입하게 함과 더불어 정위치 시키기 위한 인터록 장치가 별도로 필요한데, 기존의 일반적인 인출형 차단기에서의 인터록장치는 고정부인 크래들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차단기가 탑재되어 차단기를 테스트 위치와 런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이송장치에 불과하다.
한편, 차단기는 소호매질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되는데, 진공 차단기는 진공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를 소호매질로 하여 전력의 송수전, 절체 및 정지 등을 계획적으로 수행하는 외에 전력 계통에 어떤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신속히 자동차단하는 보호장치로서, 정상 부하시의 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시에 발생되는 아크(Arc) 생성물을 진공 용기 내에서 급속하게 확산 소호시켜 신속하게 회로를 분리함으로써 회로 및 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진공차단기를 사용한 인출형 차단기(이하 단순히 '진공 차단기'라 함)는 도면 1과 도면 2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1차전원 단자(11)와 2차 전원단자(12)으로 이루어진 주회로부(13)를 갖추고 고정형틀을 이루는 크레들(1)과, 상기 1차 전원단자(11)과 2차 전원단자(12)의 콘센트(11a,12a)에 각각 삽입되는 플러그(21,22)를 갖춤과 더불어 내부에 전기 회로를 차단시키는 스위치를 갖춘 차단기(2), 상기 차단기(2)의 작동상태를 시험하거나 점검할 때 차단기(2)의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를 기계적으로 강제적으로 작동시키는 조작기(3) 및, 상기 크레들(1)이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차단기(2)와 조작기(3)가 탑재된 인터록기구(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진공차단기가 전기 회로를 완성하여 1차전원(11)에서 2차 전원(12)으로 전류의 흐름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차단기(2)의 플러그(21,22)가 크레들(1)의 콘센트에 삽입되어 전기 배선이 연결되게 하여야 한다.
즉, 차단기(2)가 크레들(1)의 주전원에 연결되게 하기 위해서는 인터록기구(4)가 완전히 크레들의 주회로부(13)쪽으로 이동해서 결합된 상태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를 차단기의 투입상태라 한다.
그리고, 차단기(2)의 작동 상태를 시험하거나 유지보수하기 위해 인터록기구(4)를 사용하여 차단기(2)를 크레들(1)의 주회로부(13)에서 분리시켜 뒤쪽으로 빼낸 상태를 오픈(트립 또는 차단)상태라 한다.
이러한 진공 차단기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가 있다.
첫째로 차단기가 투입된 상태에서 인터록기구(4)를 작동시켜 차단기를 인출하기 위해 이송시키면 사고의 위험이 있다. 왜냐하면 크래들(1)의 주전원부(13)에 전류가 흐르거나 혹은 흐르지 않더라도 남아있다면, 투입된 상태의 차단기가 인출될 때 아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인 것이다.
둘째로 차단기가 오픈(트립)된 상태일지라도 차단기의 투입스프링이 차지(Charge)되어 있다면, 인출시 외부의 원인 혹은 내부고장으로 인해 차단기를 인출하는 도중에 차단기가 투입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앞서 말한 위험에 더해 기계적 구동으로 인한 사용자의 위험까지 더해 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상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차단기 인출입 전에 반드시 수동으로 트립-투입-트립의 과정을 반복한 되풀이한 뒤에 인터록기구를 사용하여 차단기를 이송하는 것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차단기를 인출입 한다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위험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진공차단기의 기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기존에도 여러 지 장치와 방안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들 공지된 기존의 장치는 모두 인터록 기구를 사용하여 차단기를 인출하고자 할 때, 차단기가 투입된 상태에서 인터록기구를 사용하여 차단기를 인출할 때 전류의 흐름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키기 못하고, 또한 차단기 작동부에 이상이 있는 상태에서 차단기를 인출하는 경우에도 전류의 흐름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사고가 발생한 가능성을 항상 안고 있었다.
[선행기술자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413480호(공고일자 2003. 12. 31)
2.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117973호(공고일자 2012. 02. 24)
3.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272305호(공고일자 2013. 06. 07)
4.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317911호(공고일자 2013. 10. 07)
5.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377713호 (공고일자 2005. 03. 10)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진공 차단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차단기가 투입된 상태에서 인터록기구를 사용하여 차단기를 인출할 때 전류의 흐름이 자동으로 차단된 상태에서 인출되게 하고, 차단기가 투입된 상태에서 인터록기구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어 인출 핸들이 삽입되면 차단기가 자동으로 트립되어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게 함으로써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차단기가 인출되지 않게 하여 안정성을 강화시킨 진공차단기용 인입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고정부인 크레들에 전기 회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기와 상기 차단기를 온오프 시키는 조작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차단기와 조작기는 인터록기구에 장착되어 크레들에 대해 전후로 이동하면서 전기 회로를 연결 또는 차단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기에 작동을 시험함과 더불어 차단기를 유지 보수하기 위한 수동 투입버튼과 수동 오픈버튼을 갖추고 있는 한편, 상기 수동 투입버튼은 투입레버와 투입캠, 투입 스프링 및 링크기구를 통하여 록크 레버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동 오픈버튼은 오픈레버와 오픈후크, 오픈 스프링 및 상기 링크기구를 통하여 상기 록크 레버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기의 수동 오픈버튼에 의해 작동하는 오픈후크에 오픈롤러를 갖춘 오픈링크가 승하강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인터록기구의 케이스 측벽에 형성된 오목홈에 상기 오픈후크의 오픈 롤러가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다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이송 스크류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에 설치된 이송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 오픈 링크가 케이스 측벽의 상단을 따라 이동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단기가 크레들에 투입된 상태에서 인터록기구가 사고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오픈 상태로 이동하게 되면, 인터록기구의 케이스 측벽에 형성된 오목홈속에 있던 오픈롤러가 측벽의 높이에 따라 이동하면서 오픈링크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게 되고, 위쪽으로 밀려져 올라간 오픈 링크는 수동 오픈기구를 작동시켜 차단기를 수동으로 오픈시키게 되므로, 차단기가 주전원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강제 트립(오픈)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조작기의 수동 투입버튼에 의해 작동하는 투입 레버에 투입 링크가 승하강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 링크의 하단이 인터록기구의 케이스 바깥의 바닥면에 삼각형의 설치된 돌출 플레이트에 접촉하게 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차단기를 인출하기 위해 핸들을 삽입하여 인터록기구를 오픈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작동기의 투입스프링이 차지(charge)되어 있다면 자동으로 디스 차디(dis-charge)되게 하여 차단기의 인출 도중에 차단기가 크레들의 주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이 통전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차단기가 투입상태에서 이상 작동하거나 또는 차단기가 이상 작동하는 상태일 때, 본 발명에 따라 추가 설치된 오픈링크와 투입링크의 작동에 의해 조작기의 수동 오픈 버튼 및 수동 투입 버튼을 모두 누른 상태에서 차단기가 이송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구성된 진공 차단기는 어떠한 상태에서도 이상 작동을 하여 차단기가 인출될 때 전류의 이상 흐름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장착된 진공차단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장착된 진공차단기의 측면도,
도 3a,b,c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에서 수동 투입버튼을 눌러 투입 레버를 회전시켜 차단기의 내부 스위치가 주전원과 연결되는 온 상태로 만들어 주는 과정을 나타낸 조작기의 내부 구조도,
도 4a,b,c,d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에서 수동 오픈버튼을 눌러 오픈 후크를 회전시킴으로써, 차단기를 인출할 때 조작기 내부의 작동 스프링이 투입상태로 장전되지 못하게 하는 과정을 나타낸 조작기의 내부 구조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차단기에서 차단기가 투입되고, 인터록기구가 차단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오픈 링크의 오픈 롤러가 인터록기구의 케이스 벽에 형성된 홈속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조작기와 인터록기구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도면 5a를 부분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설치된 진공차단기에서 인터록기구가 강제 해제될 때 오픈 링크의 오픈 롤러가 인터록기구의 케이스에 밀려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설치된 진공 차단기에서 수동 트립기구의 오픈링크가 밀려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수동 오픈기구의 오픈 레버를 회전 작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6a는 진공차단기가 오픈된 상태에서 차단기를 인출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투입 링크가 인터록기구의 케이스에 설치된 돌출 플레이트에 접촉하여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조작기와 인터록 기구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설치된 진공 차단기에서 투입 링크가 인터록 기구의 돌출 플레이트에 접촉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6a의 정면도,
도 6c는 도면 6b의 상태에서 인터록기구가 계속 인출되어 투입 링크가 인터록 기구의 돌출 플레이트에 의해 위쪽으로 밀려져 올라가서 투입 레버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차단기는 고정부인 크레들(1)에 전기 회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기(2)와 상기 차단기(2)를 온오프 시키는 조작기(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차단기(2)와 조작기(3)는 인터록기구(4)에 장착되어 크레들(1)에 대해 전후로 이동하면서 전기 회로를 연결 또는 차단하게 되어 있다.
상기 조작기(3)에는 그 작동을 시험함과 더불어 차단기를 유지 보수하기 위한 수동 투입버튼(31)과 수동 오픈버튼(32)을 갖추고 있다.
상기 수동 투입버튼(31)은 도면 3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레버(33)와 투입캠(34), 투입 스프링(35) 및 링크기구(36)를 통하여 록크 레버(5)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동 오픈버튼(32)은 도면 4a,b,c,d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오픈레버(37)와 오픈후크(38), 오픈 스프링(39) 및 상기 링크기구(35)를 통하여 록크 레버(5)와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수동 투입버튼(31)과 수동 오픈버튼(32)은 하나의 링크기구(35)를 통하여 양자 모두 동일한 록크 레버(5)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링크기구(35) 까지 연결되는 부품만 서로 다르게 되어 있어, 그 작동이 서로 반대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차단기(2)가 투입 상태 혹은 오픈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록크 레버(5)는 차단기(2)의 내부에 설치된 온오프 스위치와 연결되어 그 작동 위치에 따라 차단기의 내부 온오프 스위치를 작동시켜 주전원부(13)와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록크 레버(5)는 나중에 설명할 인터록 기구(4)를 록크시켜 인터록기구(4)의 전후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기구(36)는 투입캠(34)의 동작을 전달받아 신축 작동하면서 록크 레버(5)를 회동시키는 것으로서, 링크1(36a)와 링크2(36b), 링크3(36c), 캠(36d) 및 링크4(36e)로 이루어지고, 이들 링크가 관절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조작기(3)에서 수동 투입버튼(31)을 누르면 도면 3b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투입 레버(33)가 회동하면서 투입스프링(35)에 의해 탄력지지된 투입캠(34)이 회전하게 하고, 도면 3c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투입캠(34)이 회전하면 링크기구(36)를 밀어서 록크 레버(5)가 투입상태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록크레버(5)는 차단기(2)의 내부에 설치된 개폐 스위치를 온시켜 차단기(2)가 크레들(1)에 투입된 상태와 같은 조건을 만들어 주게 된다.
또한 상기 록크 레버(5)는 투입상태로 회동하면서 오픈 스프링(39)을 차지(charge) 상태로 만들어 준다.
도면 4a,b,c,d는 수동 오픈레버(32)를 눌렀을 때 작동기(3)의 내부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수동 오픈버튼(32)을 누르면 오픈레버(37)가 앞쪽으로 밀려지면서 도면 4b에서와 같이 위쪽의 오픈 후크(38)가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주고, 오픈 후크(38)가 회동하면 도면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지(charge)된 오픈스프링(39)의 힘에 의해 링크기구(36)의 링크1, 2, 3(36a,36b,36c)가 관절에 의해 접혀 지면서 링크(36e)를 당겨 주게 되며, 그 결과 록크 레버(5)를 도면 4d에 도시한 바와 같은 록크 위치로 당겨주게 된다.
한편, 상기 차단기(2)와 조작기(3)가 장착되어 크레들(1)의 전후로 이동하게 하는 인터록기구(4)는 크레들(1)의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 케이스(41)의 내부에 이송 스크류(42)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42)에 이송대(43)가 설치되어 선단에 마련된 헤드(44)에 핸들(도시 안 됨)을 끼워 넣어서 이송 스크류(42)를 회전시키면 이송대(43)가 이송 스크류(42)를 따라 이동하면서 차단기(2)와 조작기(3)를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차단기(2)를 투입 혹은 오픈(Trip, 차단)상태로 만들어주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41)의 측벽 외면에는 록크 브라켓(45)이 설치되어, 상기 록크 레버(5)가 오픈 스프링(39)의 차지 혹은 디스 차지(dis-charge) 상태에 따라 록크 상태를 유지하게 하거나 록크 해제시켜 주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진공 차단기에서 본 발명에서는 도면 5a와 도면 5b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작기(3)의 수동 오픈버튼(32)에 의해 작동하는 오픈 후크(37)에 오픈 롤러(61)를 갖춘 오픈링크(62)가 승하강 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인터록 기구(4)의 케이스(41) 측벽에 형성된 오목홈(63)에 상기 오픈 링크(62)의 오픈 롤러(61)가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다가, 상기 이송대(43)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 오픈 롤러(61)가 오목홈(63)에서 빠져 나와 케이스(41) 측벽의 상단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차단기(2)가 크레들(2)에 투입된 상태에서 인터록기구(4)가 사고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록크 브라켓(45)가 파손되거나 록크 레버(5)가 록크 브라켓(45)에서 빠져 나와서 이송스크류(42)의 선단이 케이스(41)의 앞쪽으로 이동하여 핸들을 사용해서 강제 이송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인터록기구(4)의 케이스(41) 측벽에 형성된 오목홈(63) 속에 있던 오픈 롤러(61)가 오목홈(63) 속에서 빠져 나와 측벽의 높은 곳으로 이동하면서 오픈링크(62)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그리고, 위쪽으로 밀려져 올라간 오픈 링크(62)는 수동 오픈버튼(32)에 의해 작동되는 오픈 후크(37)와 링크기구(36) 및 오픈 스프링(39)의 작동에 의해 록크 레버(5)를 도면 4d에서와 같이 록크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차단기(2)의 내부 스위치를 오프(off)시켜 주어, 차단기(2)가 인출되기 전에 미리 주전원에서 차단기(2)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차단기(2)에 주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차단기가 강제 오픈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는 도면 6a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작기(3)의 수동 투입버튼(31)에 의해 작동하는 투입 레버(33)에 롤러(71)를 갖춘 투입 링크(72)가 승하강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인터록기구(4)의 이송대(43)의 바깥 바닥면에 삼각형의 돌출 플레이트(73)가 설치되며, 상기 돌출 플레이트(73)에 투입 링크(72)의 롤러(71)가 접촉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단기(2)를 인출하기 위해 이송스크류(42)의 헤드(44)에 핸들(도시안됨)을 삽입하여 인터록기구(4)의 이송대(43)를 인출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투입링크(72)가 돌출 플레이트(73)에 접촉되어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이렇게 투입링크(72)가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면 투입링크(72)의 상단에 접촉하고 있는 투입레버(33)가 수동 투입버튼(31)을 누르는 때와 같이 회동하게 되고, 이 투입 레버(33)의 회동 작동에 따라 투입캠(34)과 투입 스프링(35) 및 링크기구(36)가 순차적으로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투입 스프링(35)이 자동적으로 디스 차지(dis-charge) 상태, 즉 장전 해제상태로 된다.
따라서, 차단기를 인출할 때 잘못 조작하여 투입 스프링(35)이 차지(chargr) 된 상태일지라도, 즉 투입 스프링(35)이 장전(charge)된 상태로 되어 있어서 잘못하면 차단기(2)가 크레들(1)의 주전원부(13)와 통전 상태를 이루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이러한 경우에도 차단기(2)를 인출하는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투입 스프링(35)의 장전상태가 해제되어 무부하 상태로 되게 함으로써 차단기가 오작동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하여 안전하게 작동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인출형 회로 차단기의 진공 차단기가 크래들에 투입된 상태에서 차단기를 강제 인출하면 자동적으로 차단기가 트립상태로 절환되게 함으로써 안전하게 인출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차단기의 인출도중에 차단기과 주전원과 연결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 크레들 2 - 차단기
3 - 조작기 4 - 인터록기구
5 - 록크레버 11 - 1차 전원단자
12 - 2차 전원단자 13 - 주회로부
21 - 플러그 22 - 플러그
31 - 수동투입버튼 32 - 수동오픈버튼
33 - 투입레버 34 - 투입캠
35 - 투입 스프링 36 - 링크기구
37 - 오픈레버 38 - 오픈후크
39 - 오픈 스프링 41= 케이스
42 - 이송 스크류 43 - 이송대
44 - 헤드 45 - 록크 브라켓
61 - 오픈 롤러 62 - 오픈 링크
63 - 오목홈 72 - 투입 링크
73 - 돌출 플레이트

Claims (2)

  1. 고정부인 크레들(1)에 전기 회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기(2)와
    상기 차단기(2)를 온오프 시키는 조작기(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차단기(2)와 조작기(3)는 인터록기구(4)에 장착되어 크레들(1)에 대해 전후로 이동하면서 전기 회로를 연결 또는 차단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기(3)에 작동을 시험함과 더불어 차단기를 유지 보수하기 위한 수동 투입버튼(31)과 수동 오픈버튼(32)을 갖추고 있는 한편,
    상기 수동 투입버튼(31)은 투입레버(33)와 투입캠(34), 투입 스프링(35) 및 링크기구(36)를 통하여 록크 레버(5)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동 오픈버튼(32)은 오픈레버(37)와 오픈후크(38), 오픈 스프링(39) 및 상기 링크기구(36)를 통하여 상기 록크 레버(5)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기(3)의 수동 오픈버튼(32)에 의해 작동하는 오픈후크(38)에 오픈롤러(61)를 갖춘 오픈링크(62)가 승하강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인터록기구(4)의 케이스(41) 측벽에 형성된 오목홈(63)에 상기 오픈후크(38)의 오픈 롤러(61)가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다가, 상기 케이스(41)의 내부에 이송 스크류(42)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42)에 설치된 이송대(43)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 오픈 링크(62)가 케이스(41) 측벽의 상단을 따라 이동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3)의 수동 투입버튼(31)에 의해 작동하는 투입 레버(33)에 롤러(71)를 갖춘 투입링크(72)가 승하강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인터록기구(4)의 이송대(43)의 바깥 바닥면에 삼각형의 돌출 플레이트(73)가 설치되며,
    상기 돌출 플레이트(73)에 투입링크(72)의 하단이 접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KR20140154192A 2014-11-07 2014-11-07 안전성을 강화한 진공차단기용 인입출 장치 KR101486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4192A KR101486717B1 (ko) 2014-11-07 2014-11-07 안전성을 강화한 진공차단기용 인입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4192A KR101486717B1 (ko) 2014-11-07 2014-11-07 안전성을 강화한 진공차단기용 인입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717B1 true KR101486717B1 (ko) 2015-01-29

Family

ID=52592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54192A KR101486717B1 (ko) 2014-11-07 2014-11-07 안전성을 강화한 진공차단기용 인입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71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530B1 (ko) 2015-03-19 2015-08-07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US9787067B2 (en) 2015-04-20 2017-10-10 Lsis Co., Ltd. Vacuum circuit breaker
KR101896080B1 (ko) * 2017-04-25 2018-09-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터록장치
CN109038341A (zh) * 2018-08-28 2018-12-18 杭州之江开关股份有限公司 一种高压真空断路器机械联锁装置及其操作方法
KR20210098664A (ko) * 2020-02-03 2021-08-11 엘에스일렉트릭(주) 진공차단기용 인터록 장치
WO2022211360A1 (ko) * 2021-03-29 2022-10-06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기중차단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715A (ko) * 2002-02-22 2003-08-27 엘지산전 주식회사 인출형 차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715A (ko) * 2002-02-22 2003-08-27 엘지산전 주식회사 인출형 차단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530B1 (ko) 2015-03-19 2015-08-07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US9787067B2 (en) 2015-04-20 2017-10-10 Lsis Co., Ltd. Vacuum circuit breaker
KR101896080B1 (ko) * 2017-04-25 2018-09-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터록장치
CN109038341A (zh) * 2018-08-28 2018-12-18 杭州之江开关股份有限公司 一种高压真空断路器机械联锁装置及其操作方法
CN109038341B (zh) * 2018-08-28 2023-10-20 杭州之江开关股份有限公司 一种高压真空断路器机械联锁装置及其操作方法
KR20210098664A (ko) * 2020-02-03 2021-08-11 엘에스일렉트릭(주) 진공차단기용 인터록 장치
KR102329133B1 (ko) 2020-02-03 2021-11-19 엘에스일렉트릭(주) 진공차단기용 인터록 장치
WO2022211360A1 (ko) * 2021-03-29 2022-10-06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기중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717B1 (ko) 안전성을 강화한 진공차단기용 인입출 장치
KR101078955B1 (ko)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CN105575719B (zh) 用于真空断路器的门互锁装置
US8796570B2 (en) Interlock device of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and power distribution board
JP5108086B2 (ja) 回路遮断器
KR101191159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JP4387577B2 (ja) スイッチギヤ
CN107872027B (zh) 用于防止在配电盘中的断路器插入或取回过程中闭合的互锁装置
KR20130096571A (ko)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KR101999138B1 (ko) 진공차단기 자동인출입장치
CN105702500A (zh) 一种高压开关柜防误操作装置
CN105679573A (zh) 充电设备锁止机构、安装方法和锁止/解锁方法
CN104246944B (zh) 紧急断开装置、紧急断开套件及开关柜设备
KR101470048B1 (ko) 2중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진공차단기의 인출입 장치
KR101693420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CN105932587A (zh) 一种直流快速断路器手车
KR101251604B1 (ko) 전원차폐형 자동 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KR101542530B1 (ko) 회전방지용 고정수단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장치
KR200489519Y1 (ko) 진공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KR200415177Y1 (ko) 고압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장치
KR20120001458U (ko)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
US11444439B1 (en) Mechanism for limiting racking in circuit breaker into case
JP2009011070A (ja) 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2164332B1 (ko) 차단기
CN205723221U (zh) 计量柜与断路器柜双互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