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898B1 - 분리 가능한 큐비클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한 큐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898B1
KR100993898B1 KR1020080073367A KR20080073367A KR100993898B1 KR 100993898 B1 KR100993898 B1 KR 100993898B1 KR 1020080073367 A KR1020080073367 A KR 1020080073367A KR 20080073367 A KR20080073367 A KR 20080073367A KR 100993898 B1 KR100993898 B1 KR 100993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gear
fixed
moving body
cub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145A (ko
Inventor
신대종
Original Assignee
알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3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898B1/ko
Publication of KR20100012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67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truck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개시된 분리 가능한 큐비클은 복수의 수용홈을 가진 고정 바디와, 상기 고정 바디에 결합되거나, 결합된 후 분리될 수 있는 이동 바디 및 상기 이동 바디가 상기 고정 바디에 결합되게 하거나 분리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바디에 내장되고, 상기 복수의 수용홈에 나사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결합 돌기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상기 복수의 수용홈에 결합되거나, 결합된 후 분리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이동 바디를 상기 고정 바디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큐비클 내부에 장착되는 각종 장비의 수리나 점검 등이 필요한 경우, 고정 바디로부터 이동 바디를 분리한 후, 상기 큐비클에 내장된 각종 장비를 외부로 인출하여 수리나 점검할 수 있다. 따라서, 장소가 협소하더라도 상기 큐비클을 설치할 수 있고, 상기 각종 장비의 수리나 점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큐비클, 수배전반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큐비클{DIVIDABLE CUBICLE}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큐비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배전반이 수용되는 전력 계통의 큐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공장 또는 선박 등에는 전력회사나 자가 발전기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받아들여 각 부하로 배전하는 수배전반이 구비된다.
상기 수배전반은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기를 용도에 맞게 감압한 후, 각 부하로 공급함과 아울러 과부하, 단로 등의 이상 발생 시 자동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수배전반은 감전 및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하여 설계된 소정 크기의 큐비클(cubicle) 내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큐비클 내부에는 각종 장비, 즉 각종 차단기와, 각종 계전 장비와, 고압반과, 변압기반 및 저압 동력반 등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큐비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큐비클(10)은 전면 및 후면에 도어(door;11)가 마련되어 이를 통해 상기 큐비클(10) 내부에 각종 장비(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각종 장비의 수리나 점검 등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전면 및 후면의 도어(11)를 통해 인출입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큐비클(10)은 전방 및 후방에 일정한 공간(도 9(a)의 x,y) 이 마련되어야 한다.
즉, 상기 각종 장비의 수리나 점검 등이 요구되어 상기 큐비클(10) 내에서 외부로 상기 각종 장비를 인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전면 또는 후면의 도어(11)를 열어야 하므로, 상기 도어(11)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여유 공간(x,y)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큐비클(10) 내에 설치된 상기 각종 장비의 인출 시 상기 각종 장비의 크기만큼의 여유 공간(x,y) 및 수리나 점검을 위한 작업자의 점유 공간(x,y) 등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큐비클(10)에 의하면, 소정의 장소에 상기 각종 장비가 내장되는 큐비클(10)을 설치하는 경우, 넓은 점유 공간(x,y)이 필요하여 비경제적이고, 상기 각종 장비의 수리나 점검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종 장비가 내장되는 큐비클이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될 수 있고, 각종 장비의 수리나 점검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큐비클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큐비클은 복수의 수용홈을 가진 고정 바디와, 상기 고정 바디에 결합되거나, 결합된 후 분리될 수 있는 이동 바디 및 상기 이동 바디가 상기 고정 바디에 결합되게 하거나 분리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바디에 내장되고, 상기 복수의 수용홈에 나사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결합 돌기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상기 복수의 수용홈에 결합되거나, 결합된 후 분리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이동 바디를 상기 고정 바디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큐비클에 의하면, 큐비클 내부에 장착되는 각종 장비의 수리나 점검 등이 필요한 경우, 고정 바디로부터 이동 바디를 분리한 후, 상기 큐비클에 내장된 각종 장비를 외부로 인출하여 수리나 점검할 수 있다.
따라서, 장소가 협소하더라도 상기 큐비클을 설치할 수 있고, 상기 각종 장비의 수리나 점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큐비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큐비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이동 바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큐비클(100)은 고정 바디(fixing body;110)와, 이동 바디(moving body;120) 및 구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바디(110)는 내부에 각종 장비(2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되, 일측은 개구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고정 바디(110)의 일측에는 복수의 수용홈(111)이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바디(110)가 육면체 구조일 경우, 각 모서리 부분에 상기 복수의 수용홈(11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바디(110)의 일측 하부면 양측단부에는 고정 가이드 레일(fixing guide rail;112)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바디(120)는 내부에 각종 장비(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은 도어(129)가 설치되어 개폐 가능하고, 타측은 개구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이동 바디(120)의 타측, 즉 개구된 측은 상기 고정 바디(110)의 일측에 결합 및 결합 후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바디(120)의 하면에는 상기 고정 바디(110)에 대하여 상기 이동 바디(12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수단은 한 쌍의 고정 바퀴부(121) 및 복수의 슬라이딩 바퀴부(sliding wheel unit;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고정 바퀴부(121)는 상기 이동 바디(120) 하면의 양측단부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바퀴부(121)는 상기 이동 바디(120)의 하면에 결합되는 고정 플레이트(fixing plate;122)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122) 상에 결합되어 지면에 접촉되는 복수의 메인 바퀴(main wheel;1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슬라이딩 바퀴부(124)는 상기 한 쌍의 고정 바퀴부(121) 사이의 상기 이동 바디(120)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바퀴부(124)는 상기 이동 바디(120)의 하면에 결합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125)과, 상기 가이드 레일(125)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블럭(guide block;126) 및 상기 가이드 블럭(126)에 결합되되, 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는 서브 바퀴(sub wheel;12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바퀴(127)가 결합된 상기 가이드 블럭(126)은 상기 이동 바디(120)가 이동하는 경우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이동 바디(120)가 이동 중 무게 중심이 무너져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이동 바디(120)를 지탱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이동 바디(120)의 타측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 바디(130)를 상기 고정 바디(110)에 결합되거나, 결합된 상태인 경우 분리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이동 바디에 구동부가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기어 박스 부분을 개략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130)는 메인 샤프트(main shaft;131)와, 복수의 서브 샤프트(sub shaft;133)와, 복수의 체인(chain;132) 및 복수의 결합 돌기(13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샤프트(131)는 동력 전달에 의하여 회전력이 발생되는 것으로서, 상기 동력 전달은 다양한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바디(120)의 측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메인 샤프트(131)가 상기 이동 바디(120)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상기 메인 샤프트(131)에 결합된 회전 수단(128)에 의하여 수동 또는 반자동에 의하여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수동에 의한 방법은 작업자가 상기 노출된 메인 샤프트(131) 또는 상기 메인 샤프트(131)에 연결된 회전 수단(128)을 회전시킴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큐비클(100) 내로의 전원이 끊어졌을 경우에도 상기 메인 샤프트(131)로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반자동에 의한 방법은 수동 및 자동이 병합된 형태로, 상기 메인 샤프트(131)를 모터(motor;미도시)와 결합하여 동력을 전달하되, 상기 큐비클(100) 내로의 전원이 끊어졌을 경우, 상기 모터를 분리하여 직접 상기 메인 샤프트(131) 또는 상기 회전 수단(128)을 회전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상기 메인 샤프트(131)는 기어 박스(gear box;13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어 박스(135)는 하우징(housing;136) 내에 제1 기어(137)와, 제2 기어(138) 및 제3 기어(13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어(138)는 상기 제1 기어(137)와 동등한 지름을 가지며, 상기 제1 기어(137)와 치합되고, 상기 메인 샤프트(13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 기어(139)는 상기 제1 기어(137)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며, 상기 제1 기어(137)와 치합되고, 상기 제3 기어(139)의 회전축(139a)이 상기 이동 바디(120)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자동 또는 반자동에 의하여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기어 박스(135)를 상기 메인 샤프트(131)에 연결하게 되면, 작은 동력을 공급하여도 상기 메인 샤프트(131)에는 큰 회전력이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샤프트(133)는 상기 이동 바디(12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에 설치된 서브 샤프트(133)와 상기 메인 샤프트(131) 사이인 측단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샤프트(133) 중 상기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에 설치된 서브 샤프트(133)에는 상기 복수의 결합 돌기(134)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샤프트(133)는 상기 메인 샤프트(13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복수의 결합 돌기(134)에 전달하여 상기 복수의 결합 돌기(13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체인(132)은 상기 메인 샤프트(131)와 상기 서브 샤프트(133) 사이를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샤프트(133) 중 상기 결합 돌기(134)가 결합되지 않은 서브 샤프트(133)와 상기 결합 돌기(134)가 결합된 서브 샤프트(133)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134)는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고정 바디의 수용홈(111)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결합 돌기(134)와 상기 복수의 수용홈(111) 사이에는 나사(螺絲)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구동부(130)는 외부에서 상기 기어 박스(135) 내의 기어(137,138,139)들을 회전시킴에 의하여, 또는 직접 상기 메인 샤프트(131)를 회전시킴에 의하여 상기 메인 샤프트(131)에는 회전력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샤프트(131)의 회전력은 상기 체인(132)들을 통해 상기 서브 샤프트(133)들로 전달되어 상기 복수의 결합 돌기(134)를 회전시킴에 의하여 상기 결합 돌기(134)들은 상기 고정 바디(110)의 수용홈(111)들에 각각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고정 바디(110)에 상기 이동 바디(120)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2에서 고정 가이드 레일을 따라 고정 바디에 이동 바디가 가이드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 가이드 레일(112)은 상기 이동 바디(120)의 메 인 바퀴(123)가 수용되어 상기 이동 바디(120)가 상기 고정 바디(110)에 정위치로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가이드 레일(112)은 상기 이동 바디(120)에 설치된 구동부(130) 중 복수의 결합 돌기(134)가 상기 고정 바디(110)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홈(111)과 1:1로 정확히 결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이동 바디가 고정 바디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 및 도 2의 큐비클이 공간 내에 설치될 경우 요구되는 최소한의 공간을 개략적으로 비교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큐비클(100)은 내부에 장착된 각종 장비200)의 수리나 점검이 필요한 경우, 상기 고정 바디(110)에 대하여 상기 이동 바디(120)를 분리한 후, 상기 고정 바디(110)나 상기 이동 바디(120) 내에 있는 각종 장비(200)를 외부로 인출하여 수리나 점검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큐비클(10)에서 후면 도어의 개방에 따른 상기 후면 도어의 회전 공간이 불필요하므로, 상기 본 발명의 큐비클(100)을 설치하는데 종래보다 작은 공간이 요구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큐비클(10)이 설치되기 위하여는 x 및 y의 공간이 필요했는데, 본 발명의 클비클(100)의 경우, 종래 x 공간만큼의 z공간만이 필요하므로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큐비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큐비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이동 바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도 2의 이동 바디에 구동부가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기어 박스 부분을 개략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2에서 고정 가이드 레일을 따라 고정 바디에 이동 바디가 가이드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도 2의 이동 바디가 고정 바디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1 및 도 2의 큐비클이 공간 내에 설치될 경우 요구되는 최소한의 공간을 개략적으로 비교한 도면.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일측이 개구된 고정 바디; 및 상기 고정 바디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 바디의 일측에 마주하는 측이 개구된 이동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바디의 일측에는 복수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바디의 개구된 측에는 복수의 결합 돌기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결합 돌기는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수용홈에 삽입되거나 분리되어 상기 이동 바디를 상기 고정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복수의 결합 돌기는 상기 이동 바디의 내면에 설치된 구동부에 의하여 회전되되, 상기 구동부는: 동력 전달에 의하여 회전력이 발생되는 메인 샤프트; 상기 복수의 결합 돌기와 결합하여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력을 상기 복수의 결합 돌기에 전달하여 상기 복수의 결합 돌기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서브 샤프트; 및 상기 메인 샤프트와 상기 서브 샤프트 사이 및 상기 서브 샤프트들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 샤프트로부터 상기 서브 샤프트로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샤프트는 상기 이동 바디의 내면 측단부에 설치된 기어 박스 내의 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되, 상기 기어는: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제1 기어와 동등한 지름을 가지며, 상기 메인 샤프트가 결합되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제1 기어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며, 상기 이동 바디 외부에서 동력 전달에 의해 회전되는 제3 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비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인 샤프트는 상기 이동 바디의 측단부에 결합하되, 상기 이동 바디의 외부에서 상기 동력이 전달되며,
    상기 복수의 서브 샤프트는 상기 이동 바디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비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 돌기와 상기 복수의 수용홈은 나사(螺絲) 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비클.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바디는:
    하면의 양측단부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바퀴부; 및
    상기 한 쌍의 고정 바퀴부 사이의 상기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면 상에서 전진 및 후진하는 복수의 슬라이딩 바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비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 바퀴부는 상기 하면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 상에 결합되어 접지되는 복수의 메인 바퀴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슬라이딩 바퀴부는 상기 하면에 결합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블럭 및 상기 가이드 블럭에 결합되되, 지면으로부터 떠 있는 서브 바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비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바퀴는 상기 이동 바디의 이동 중 중심이 무너져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이동 바디를 지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비클.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디의 일측 하부면에는 상기 이동 바디의 메인 바퀴를 가이드 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 가이드 레일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비클.
KR1020080073367A 2008-07-28 2008-07-28 분리 가능한 큐비클 KR100993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367A KR100993898B1 (ko) 2008-07-28 2008-07-28 분리 가능한 큐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367A KR100993898B1 (ko) 2008-07-28 2008-07-28 분리 가능한 큐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145A KR20100012145A (ko) 2010-02-08
KR100993898B1 true KR100993898B1 (ko) 2010-11-11

Family

ID=42086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367A KR100993898B1 (ko) 2008-07-28 2008-07-28 분리 가능한 큐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8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621B1 (ko) 2019-04-08 2019-11-08 주식회사 월드인텍 모듈형 mcc
KR102042622B1 (ko) 2019-04-08 2019-11-08 주식회사 월드인텍 모듈형 mcc 설치용 안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8590B2 (ja) * 2011-07-22 2015-07-15 三菱電機株式会社 引出形遮断器の固定枠
KR101248608B1 (ko) * 2011-08-31 2013-03-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차단부 인출식 큐비클형 가스절연 개폐장치
CN117559253A (zh) * 2023-11-21 2024-02-13 扬州德云电气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可移动的模块化华式箱式变电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621B1 (ko) 2019-04-08 2019-11-08 주식회사 월드인텍 모듈형 mcc
KR102042622B1 (ko) 2019-04-08 2019-11-08 주식회사 월드인텍 모듈형 mcc 설치용 안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145A (ko) 201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898B1 (ko) 분리 가능한 큐비클
US7419394B2 (en) Electrical system having withdrawable unit with maintained control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US7124488B2 (en) Retrofit breaker adapter system and method
KR101031965B1 (ko)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방지장치
KR101158604B1 (ko)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EP3029789B1 (en) Withdrawable switchgear with bushing-type current transformer
KR20160131835A (ko) 지시등이 구비된 전력 공급 장치 및 사용방법
KR20110081687A (ko) 도어 인터록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
KR101010078B1 (ko)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및 이를 가진 차단기
KR100841649B1 (ko)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JP2011097768A (ja) スイッチギヤ
KR20070113063A (ko) 수납장치를 갖는 기중 차단기
KR100400806B1 (ko) 전자카드서랍용캐비넷의보수방법및그보수된캐비넷
JP5495834B2 (ja) スイッチギヤ
CN210006614U (zh) 开关箱,具有该开关箱的控制系统以及有轨电车
CN208522340U (zh) 一种开关柜
CN203850750U (zh) 走线单元、走线装置以及柜组
KR101288777B1 (ko) 중간 전압 또는 고 전압 스위치기어의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브 유닛
RU2192083C2 (ru) Коммут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акторного типа и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20170038330A (ko)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
KR20080081422A (ko)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
CN218997429U (zh) 快速组装开关柜的壳体结构
CN211629014U (zh) 矿用高压配电柜手自一体双侧推进断路器输入端隔离本体
CN217427420U (zh) 一种便于检修的低压柜
CN215735414U (zh) 一种具有抽拉结构的机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