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797B1 -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797B1
KR100872797B1 KR1020070021360A KR20070021360A KR100872797B1 KR 100872797 B1 KR100872797 B1 KR 100872797B1 KR 1020070021360 A KR1020070021360 A KR 1020070021360A KR 20070021360 A KR20070021360 A KR 20070021360A KR 100872797 B1 KR100872797 B1 KR 100872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floating
float
wire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1422A (ko
Inventor
유보선
이종민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1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797B1/ko
Publication of KR20080081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4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6Means to sense or control vehicle position or attitude with respect to rail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8Sliding or levita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30Tracks for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1/00Working rails, sleepers, baseplates, or the like, in or on the line; 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E01B31/02Working rail or other metal track components on the spot
    • E01B31/18Reconditioning or repairing worn or damaged parts on the spot, e.g. applying inlays, building-up rails by welding; Heating or cooling of parts on the spot, e.g. for reducing joint gaps, for hardening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Vehicles With Linear Motors And Vehicles That Are Magnetically Levitat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부상열차에 적용되는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상제어기의 유지보수 및 검사에 있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기부상열차에 적용되는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어를 위한 전선들과 연결하기 위한 전선 커넥터가 후방 측면에 설치되는 부상제어기와, 상기 부상제어기의 후방 측면과 대향하며 상기 전선 커넥터와는 덕트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되는 선거 (線渠) 인 전선 덕트와, 상기 부상제어기를 수용하며 외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부에 슬라이딩 레일을 가지는 부상제어기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상제어기, 박스, 슬라이딩 레일, 전선 커넥터

Description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LEVITATION CONTROLLER OF INSTALLATION STRUCTURE}
도 1a 는 본 발명의 부상제어기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1b 는 후방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부상제어기 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b 는 우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부상제어기가 부상제어기 박스에 수용되어 전선 덕트와의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 는 종래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상제어기
11 : 전선 커넥터
20 : 전선 덕트
21 : 덕트 커넥터
30 : 부상제어기 박스
31 : 슬라이딩 레일
32 : 잠금장치
33 : 조임볼트
본 발명은 자기부상열차에 적용되는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유지보수하고 시험하기 위하여 간단하면서도 안정성 있게 차량에 설치할 수 있는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기부상열차는 자력의 힘으로 레일 위를 부상하여 주행하는 차량이며, 일반 철도차량에서의 바퀴가 수행하는 지지 및 안내 기능을 대차에 설치된 전자석이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자기부상열차도 부상제어기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고장시에는 차량의 부상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자기부상열차에 있어서 부상상태를 제어하는 부상제어기는 핵심기술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도 4 에는 종래의 자기부상열차에 적용된 부상제어기와 전선관과의 설치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상제어기 (100) 의 앞측 (차량 외측) 일면에 복수의 전선 커넥터 (101) 가 나열되어 있고, 상기 부상제어기 (100) 보다 내측에 형성되는 전선관 (102) 으로부터 복수의 전선 (103) 이 부상제어기 (100) 의 앞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전선 커넥터 (101) 와 일대일 대응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조와 같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검사 및 유지보수를 자주 수행해야 하는 부상제어기 (100) 의 설치구조로는 적합하지 않다. 즉, 부상제어기 (100) 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전선관 (102) 으로부터 연결된 모든 전선 (103) 을 전선 커넥터 (101) 로부터 분리하고 차량과 부상제어기 (100) 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 및 너트를 분리해야만 부상제어기 (100) 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따라서, 차량 시운전시 및 고장시에는 시간적 손실을 초래하게 되고, 또한 유지보수 및 검사에 있어서도 동일한 문제가 있어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상제어기의 유지보수 및 검사에 있어서, 신속하고 용이하며 신뢰성 있게 수행할 수 있는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기부상열차에 적용되는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어를 위한 전선들과 연결하기 위한 전선 커넥터가 후방 측면에 설치되는 부상제어기와, 상기 부상제어기의 후방 측면과 대향하며 상기 전선 커넥터와는 덕트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되는 선거 (線渠) 인 전선 덕트와, 상기 부상제어기를 수용하며 외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부에 슬라이딩 레일을 가지는 부상제어기 박스를 포함하는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부상제어기 박스 내부의 하측 좌우면에 형성되어 서랍을 열고 닫는 방식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선 커넥터는 단자형상으로 형성되어 부상제어기가 탑재된 상기 부상제어기 박스의 슬라이딩 레일을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전선 덕트의 덕트 커넥터와 자동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부상제어기 박스에는 보수, 수리 및 검사가 완료된 이외의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이 고정되도록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부상제어기 박스에는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부상제어기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조이는 조임볼트가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a 는 본 발명의 부상제어기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1b 는 후방부를 나타내는 도, 도 2 는 본 발명의 부상제어기 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b 는 우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부상제어기가 부상제어기 박스에 수용되어 전선 덕트와의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는 차량의 부상상태를 제어하는 부상제어기 (10) 와, 상기 부상제어기 (10) 와 덕트 커넥터 (21) 를 통하여 연결되는 전선 덕 트 (20) 및 상기 부상제어기 (10) 를 수용하는 부상제어기 박스 (30) 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상제어기 (10) 는 상자형상의 육방체로 형성되며, 차량의 부상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차량 하부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전자석 두 개당 한 개씩 설치되어 한 량에는 12개가 설치되고, 제어를 위한 입출력신호 및 전원 등의 전선들과 연결되는 전선 커넥터 (11) 가 상기 여러 전선들과 일거에 연결가능하도록 후방 측면에 단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선 덕트 (20) 는 부상제어기 (10) 와 연결되어 제어에 필요한 입출력신호 및 전원 등을 전선을 통하여 송수신하는 선거 (線渠) 로서, 상기 전선 커넥터 (11) 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앞측에 덕트 커넥터 (21) 가 형성되어 압입 끼워맞춤으로써, 전선 커넥터 (11) 와 결합되어 부상제어기 (10) 와 연결된다.
부상제어기 박스 (30) 는 상기 부상제어기 (10) 를 수용하여 필요 부분만을 차량의 외측으로 꺼내어 용무 후 다시 재자리로 복귀시키기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부상제어기 박스(30) 내부의 하부 좌우면에는 슬라이딩 레일 (31) 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부상제어기 (10) 가 슬라이딩 레일 (31) 에 탑재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 (31) 을 따라 차량의 외측으로 서랍을 열고 닫는 방식과 같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좌우 양측에는 잠금장치 (32) 가 형성되어 있어 보수, 수리 및 검사가 완료된 이외의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 (31) 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또한,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에 따른 커넥터 (11, 21) 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조이는 조임볼트 (33) 를 상기 잠금장치 (32) 의 하측에 나란히 형성하여 부상제어기 (10) 의 하부 모서리가 고정되도록 구성하였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종래 차량의 외측을 향하고 있던 전선 커넥터 (101) 를, 전선 덕트 (20) 로부터 연결된 덕트 커넥터 (21) 와 쉽게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한 탈착식으로 변경하여 부상제어기 (10) 에 설치하였다. 이로써, 전선 덕트 (20) 로부터 연결된 전선들과 부상제어기 (10) 의 전선들이 단지 꽂기만 하면 양쪽에 미리 설치된 커넥터 (11, 21) 를 통하여 부상제어기 (10) 가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부상제어기 (10) 의 신속한 검사를 위해서 부상제어기 박스 (30) 를 별도로 제작하고, 그 내부에 부상제어기 (10) 를 수용하여 슬라이딩 레일 (31) 을 타고 차량 외부쪽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매우 용이하게 신속하게 검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상제어기 (10) 와 전선 덕트 (20) 와의 접속에 있어서도, 단순히 슬라이딩 레일 (31) 을 당기거나 미는 동작만으로 분리되거나 접속되므로 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종래의 부상제어기 (100) 에는 별도의 부상제어기 박스 (30) 가 없어서 부상제어기 (100) 를 수리하기 위해서는 전선 (103) 분리 후 부상제어기 (100) 와 차체를 연결하는 볼트 및 너트를 분해해야지만 부상제어기 (100) 를 차량 외부 로 꺼낼 수 있었다. 그러나, 새로 개선된 부상제어기 박스 (30) 는 슬라이딩 레일 (31) 이 부착된 타입이기 때문에 유지보수 등의 필요시에는 단순히 부상제어기 (10) 를 당긴 후, 부상제어기 (10) 와 부상제어기 박스 (30) 의 연결부위 (잠금장치) 만 분리하면 바로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부상제어기의 유지보수 및 검사에 있어서, 부상제어기의 전선 커넥터의 구조를 변경하고, 부상제어기 박스를 채용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하며 신뢰성 있게 수행할 수 있는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자기부상열차에 적용되는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어를 위한 전선들과 연결하기 위한 전선 커넥터가 후방 측면에 설치되는 부상제어기와,
    상기 부상제어기의 후방 측면과 대향하며 상기 전선 커넥터와는 덕트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되는 선거 (線渠) 인 전선 덕트와,
    상기 부상제어기를 수용하며 외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부에 슬라이딩 레일을 가지는 부상제어기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부상제어기 박스 내부의 하측 좌우면에 형성되어 서랍을 열고 닫는 방식으로 슬라이딩 되고,
    상기 전선 커넥터는 단자형상으로 형성되어 부상제어기가 탑재된 상기 부상제어기 박스의 슬라이딩 레일을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전선 덕트의 덕트 커넥터와 자동으로 접속되며,
    상기 부상제어기 박스에는 보수, 수리 및 검사가 완료된 이외의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이 고정되도록 잠금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부상제어기 박스에는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부상제어기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조이는 조임볼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70021360A 2007-03-05 2007-03-05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 KR100872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360A KR100872797B1 (ko) 2007-03-05 2007-03-05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360A KR100872797B1 (ko) 2007-03-05 2007-03-05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422A KR20080081422A (ko) 2008-09-10
KR100872797B1 true KR100872797B1 (ko) 2008-12-09

Family

ID=4002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360A KR100872797B1 (ko) 2007-03-05 2007-03-05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27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2871A (zh) * 2017-07-27 2017-09-15 株洲中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磁浮控制箱及具有该磁浮控制箱的磁浮列车
CN107231786A (zh) * 2017-07-27 2017-10-03 株洲中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磁浮控制箱及具有该磁浮控制箱的磁浮列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8180B (zh) * 2015-03-16 2017-01-18 南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磁浮列车以及悬浮控制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497Y1 (ko) 2002-05-10 2002-08-03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슬라이딩 수납 구조를 갖는 모터 제어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497Y1 (ko) 2002-05-10 2002-08-03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슬라이딩 수납 구조를 갖는 모터 제어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2871A (zh) * 2017-07-27 2017-09-15 株洲中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磁浮控制箱及具有该磁浮控制箱的磁浮列车
CN107231786A (zh) * 2017-07-27 2017-10-03 株洲中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磁浮控制箱及具有该磁浮控制箱的磁浮列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422A (ko) 200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53957B (zh) 固定的插接连接及其制造方法
US10899369B2 (en) Electric rail carriage
KR100872797B1 (ko) 부상제어기의 설치구조
US7724503B2 (en) Frequency converter
CN109032270A (zh) 一种服务器节点面板转接结构
CN101044050B (zh) 设备支架及其用途和具有该设备支架的车钩头部装配方法
AU2018203796A1 (en) A railway vehicle having an optimized electricity distribution network
ATE535430T1 (de) Übergangskupplung für schienenfahrzeuge
WO2003106239A1 (ja) 連接台車
EP2979916A1 (en) Railroad vehicle
CN108116208B (zh) 车顶封闭组件和组装车顶封闭组件的方法
CN109263751B (zh) 自动导引车
KR100993898B1 (ko) 분리 가능한 큐비클
CN207345549U (zh) 轨道车辆
CN208134329U (zh) 轨道列车及其电机悬吊机构
CN113022287A (zh) 带有辅助驾驶方式的连续式换电系统及换电方法
JP2002242225A (ja) 建設機械における電装品配設構造
CN114172067A (zh) 一种多模块遥控式低压防爆开关新型连接装置
CN111262197B (zh) 铁路车辆的机车以及电线束在机车中的安装方法
CN218549425U (zh) 一种调整型底盘汽配线束结构
CN212607899U (zh) 提升机通轨防尘对接装置
CN219304455U (zh) 一种线束插头浮动机构
CN102307443B (zh) 快速安装培训面板及使用该培训面板的电工培训柜
KR102045173B1 (ko) 교량 유지보수 장치
CN216598793U (zh) 一种铁路车辆用管路配线安装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