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082B1 - 인입출 가능한 냉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 Google Patents

인입출 가능한 냉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082B1
KR102070082B1 KR1020180028912A KR20180028912A KR102070082B1 KR 102070082 B1 KR102070082 B1 KR 102070082B1 KR 1020180028912 A KR1020180028912 A KR 1020180028912A KR 20180028912 A KR20180028912 A KR 20180028912A KR 102070082 B1 KR102070082 B1 KR 102070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ase
cooling unit
monitoring devic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539A (ko
Inventor
손민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8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08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7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은, 캐비닛의 내부에 고정된 지지판; 지지판의 상측에 인입출 가능하게 배치된 냉각 유닛; 및 지지판의 상면에 고정된 고정 기어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유닛은, 지지판의 상측에 배치된 베이스;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된 냉각팬; 베이스의 상면에 체결된 기어 마운터; 및 기어 마운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고정 기어와 맞물려 냉각 유닛을 이동시키는 인입출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입출 가능한 냉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WITHDRAWABLE COOLING UNIT AND SWITCHGEA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는 인입출 가능한 냉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전력계통의 감시, 제어 및 보호를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로서, 배전반에는 발전소 및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하여 차단기, 변류기 등 여러 전기 기기가 수납되어 사용된다.
배전반은 좁은 의미로는 스위치 보드(switchboard)만을 의미하나, 넓은 의미로는 스위치 보드(switchboard)는 물론 스위치 기어(switchgear), 모터 컨트롤 장치(MCC: Motor control center) 등을 통칭하는 표현으로도 사용된다.
최근 들어, 배전반의 용량은 대용량화되는 반면 크기는 소형화 되어 온도적인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배전반용 냉각팬의 사용 빈도가 잦아지게 되었고 그에 따라 냉각팬의 유지보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배전반 내부로 인입출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냉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은, 캐비닛의 내부에 고정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인입출 가능하게 배치된 냉각 유닛; 및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고정된 고정 기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배치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된 냉각팬;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체결된 기어 마운터; 및 상기 기어 마운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고정 기어와 맞물려 상기 냉각 유닛을 이동시키는 인입출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인입출 기어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고정 기어와 상기 인입출 기어의 체결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체결되고 상기 상태표시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표시부 마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인입출 기어의 회전 동력이 전달되는 회전 기어; 및 적어도 2개의 인덱스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인입출 기어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회전 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동력전달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 기어에는 핸들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태표시부 마운터에는, 상기 핸들 삽입구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인입출 기어의 하측 일부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기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관통홀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팬과 이격된 온도 감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냉각팬이 장착되는 제1파트; 상기 온도 감시장치가 장착되는 제2파트; 및 상기 제1파트와 상기 제2파트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기어 마운터가 고정된 제3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유닛은 배전반의 지지판에 인입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닛은, 냉각팬; 상기 냉각팬을 하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배치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체결된 기어 마운터; 및 상기 기어 마운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에 고정된 고정 기어와 맞물려 상기 냉각 유닛을 이동시키는 인입출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 유닛이 배전반에서 인입출 가능하므로 냉각 유닛의 유지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상태 표시부의 인덱스를 보고 냉각 유닛과 지지판의 체결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인입출 기어와 고정 기어가 기어 결합되어 냉각 유닛이 고정판에 인입출될 수 있으며, 전후 방향에 대한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유닛이 제거된 상태의 배전반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유닛이 장착된 상태의 배전반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냉각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인입출기어 어셈블리와 고정 기어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인입출기어와 상태 표시부와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유닛의 베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가 장착된 지지판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2가이드에 제1가이드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제2가이드에 제1가이드가 초기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제2가이드에 제1가이드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가 장착된 지지판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2가이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제2가이드에 제1가이드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1가이드가 도 12에 도시된 제2가이드의 후단을 지나 위치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배전반은 스위치 보드(switchboard), 스위치 기어(switchgear), 모터 컨트롤 장치(MCC: Motor control center) 등을 통칭하는 표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유닛이 제거된 상태의 배전반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유닛이 장착된 상태의 배전반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은 캐비닛(2)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2)은 배전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3), 탑 플레이트(4), 사이드 플레이트 및 백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비닛(2)의 내부에는 서로 구획된 복수개의 격실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개의 격실은 차단기가 배치되는 차단기실, 배전반을 제어하는 계전기가 배치된 계전기실, 모선이 배치되는 모선실, 케이블이 배치되는 케이블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실들은 주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 없이도 당업자는 이에 관하여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배전반(1)은 냉각 유닛(8)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유닛(8)은 캐비닛 내의 상기 복수개의 격실 중 적어도 하나로 유입되어 전장 부품의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냉각 유닛(8)은 캐비닛(2) 내부에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냉각 유닛(8)의 설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이하에서는 냉각 유닛(8)이 배전반(1)의 전방에서 인입출 되며 차단기실을 냉각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캐비닛(2)의 내부에는 냉각 유닛(8)이 배치되는 냉각 유닛 설치공간(6)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냉각 유닛 설치공간(6)은 상기 차단기실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실과 냉각 유닛 격실(6)은 구획판(미도시)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은 상기 차단기실의 저면 및 냉각 유닛 설치공간(6)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획판에는 후술할 냉각 유닛(8)에서 배출되는 냉풍이 차단기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냉각 유닛(8)은 차단기실의 내부로 냉풍을 유동시켜 상기 차단기실에서 요구되는 냉각 부하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캐비닛(2)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론트 도어(15a)(15b)(15c)가 구비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5a)(15b)(15c)는 배전반(1)의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한 격실들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론트 도어(15a)(15b)(15c)는 상기 계전실을 개폐하는 제1프론트 도어(15a)와, 상기 차단기실을 개폐하는 제2프론트 도어(15b)와, 냉각 유닛 설치공간(6)를 개폐하는 제3프론트 도어(15c)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제3프론트 도어(15c)를 개방하여 냉각 유닛(8)을 냉각 유닛 설치 공간(6)으로 인입출 시킬 수 있다.
또한, 제3프론트 도어(15c)에는 배전반(1)의 외부에서 냉각 유닛(6)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2)의 내부에는 지지판(7)이 고정될 수 있다.
지지판(7)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냉각 유닛 설치공간(6)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판(7)은 냉각 유닛(8)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고, 냉각 유닛(8)은 지지판(7)의 상측에 인입출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냉각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인입출기어 어셈블리와 고정 기어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인입출기어와 상태 표시부와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유닛(8)은 베이스(10)와, 냉각팬(11)과, 인입출 기어 어셈블리(13)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유닛(8)은 온도 감시장치(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냉각 유닛(8)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10)의 상측에는 냉각 유닛(8)에 포함되는 다수의 다른 부품등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0)는 지지판(7)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좌우 양단에는 사이드 플레이트(14)가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4)는 베이스(10)의 좌우 양단이 절곡되어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가 베이스(10)에 체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4)는 후술할 가이드 레일(7a)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안내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는 냉각팬(11)이 장착되는 제1파트(10a)와, 온도 감시장치(12)가 장착되는 제2파트(10b)와, 인입출 기어 어셈블리(13)가 고정되는 제3파트(1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3파트(10c)는 제1파트(10a)와 제2파트(10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냉각 유닛(8)을 슬라이딩에 의해 인입출 시키는 인입출 기어 어셈블리(13)의 구동력이 베이스(10) 전체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만일, 인입출 기어 어셈블리(13)가 베이스(10)의 좌우 어느 일측에 체결된다면 인입출 기어 어셈블리(13)의 구동력이 베이스(10) 전체로 용이하게 전달되지 않아 더 큰 힘이 필요할 뿐 아니라 베이스(10)에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에는 인입출 기어 어셈블리(13)의 일부가 통과하는 관통홀(16)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관통홀(16)은 베이스(10)의 제3파트(10c)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인입출 기어 어셈블리(13)의 인입출 기어(40)의 하측 일부는 관통홀(16)을 통과하여 후술할 고정 기어(15)와 맞물릴 수 있다.
한편, 냉각팬(11)은 냉방을 수행하는 냉풍을 송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냉각팬(11)은 홉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상기 토출구로 배출되도록 유동시키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냉각팬(11)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의해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냉각팬(11)은 베이스(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냉각팬(11)은 베이스(10) 중에서 제1파트(10a)의 상측에서 체결될 수 있다.
온도 감시장치(12)는 배전반(1) 내의 온도를 감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온도 감시장치(12)는 베이스(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냉각팬(11)과 이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온도 감시장치(12)는 베이스(10)의 제2파트(10b)의 상측에 배치되어 체결될 수 있다.
온도 감시장치(12)는 감시장치 본체(12a)와 장치 체결부(12b)를 포함할 수 있다.
감시장치 본체(12a)에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감시장치 본체(12a)에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를 전달받아 냉각팬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가 포함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장치 체결부(12b)는 감시장치 본체(12a)를 베이스(10)에 체결시킬 수 있다. 장치 체결부(12b)는 상하방향으로 베이스(10)와 감시장치 본체(12a)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장치 체결부(12b)의 크기는 감시장치 본체(12a)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팬(11)과 장치 체결부(12b)의 사이에는 인입출 기어 어셈블리(13)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즉, 인입출 기어 어셈블리(13)는 수평 방향으로 냉각팬(11)과 장치 체결부(12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인입출 기어 어셈블리(13)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감시장치 본체(12a)와 오버랩될 수 있다. 이로써, 냉각 유닛(8)의 크기가 컴팩트해질 수 있다.
다만, 감시장치 본체(12a)가 충분히 작은 경우에는, 장치 체결부(12b) 없이 감시장치 본체(12a)가 베이스(10)에 직접 체결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인입출 기어 어셈블리(13)는 냉각 유닛(8)을 지지판(7)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인입출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인입출 기어 어셈블리(13)는 냉각 유닛(8)이 냉각 유닛 설치공간(6, 도 1 참조)에 장착된 상태에서, 냉각 유닛(8)의 수평 방향, 좀 더 상세히는 전후 방향에 대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인입출 기어 어셈블리(13)은 베이스(10), 좀 더 상세히는 베이스(10)의 제3파트(10c)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인입출 기어 어셈블리(13)는 수평 방향으로 냉각팬(11)과 온도 감시장치(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인입출 기어 어셈블리(13)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베이스(10)에 형성된 관통홀(16)과 오버랩될 수 있으며, 관통홀(16)을 통해 지지판(7)에 구비된 고정 기어(15)와 맞물릴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인입출 기어 어셈블리(13)는 기어 마운터(20)와, 인입출 기어(40)와, 상태 표시부 마운터(30)와, 상태 표시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입출 기어(4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외둘레에는 한 줄 또는 여러 줄의 나사선(40a)이 형성될 수 있다.
인입출 기어(40)의 하측 일부는 베이스(10)에 형성된 관통홀(16)을 통해 지지판(7)에 구비된 고정 기어(15)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고정 기어(15)는 지지판(7)의 상면에 고정될 수 다. 고정 기어(15)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10)에 형성된 관통홀(16)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 기어(15)는 상측에 톱니(15c)가 형성된 바디부(15b)와, 상기 바디부(15b)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체결부(15a)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5b)의 상부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함몰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톱니(15c)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기어(15)의 톱니(15c)는 인입출 기어(40)의 나사선(40a)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인입출 기어(40)는 수나사에 대응되고 고정 기어(15)는 암나사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인입출 기어(40)와 고정 기어(15)는 서로 맞물려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인입출 기어(40)의 회전에 따라 냉각 유닛(8)이 지지판(7)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고정 기어(15)의 체결부(15a)는 바디부(15b)의 둘레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5a)에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고, 나사 등의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공과 지지판(7)을 관통하여 고정 기어(15)를 지지판(7)에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인입출 기어(40)의 양 단부에는 인입출 기어(4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회전축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인입출 기어(4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인입출 기어(4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프론트 회전축(41)과, 배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리어 회전축(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회전축(41)은 기어 마운터(20)의 프론트 플레이트(23)에 형성된 제1회전축 연결공(23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리어 회전축은 기어 마운터(20)의 리어 플레이트(22)에 형성된 제2회전축 연결공(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인입출 기어 어셈블리(13)는 동력전달 기어(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 기어(42)는 인입출 기어(40)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며 인입출 기어(4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동력전달 기어(42)는 인입출 기어(40)의 프론트 회전축(41)에 연결될 수 있다.
동력 전달 기어(42)는 후술할 회전 기어(44)와 기어 결합되어 인입출 기어(40)의 회전 동력을 상태표시부(43)로 전달 할 수 있다.
또한, 동력 전달 기어(42)에는 핸들 삽입구(42a)가 형성될 수 있다. 핸들 삽입구(42a)는 동력 전달 기어(42)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육각 렌치등과 같은 별개의 핸들(미도시)을 핸들 삽입구(42a)에 끼워 넣고 회전시킴으로써 인입출 기어(40) 및 동력전달 기어(42)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고, 이로써 냉각 유닛(8)이 지지판(7)에 대해 인입출될 수 있다.
한편, 기어 마운터(20)는 베이스(10), 좀 더 상세히는 제3파트(10c)의 상면에 체결될 수 있다. 기어 마운터(20)에는 인입출 기어(4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기어 마운터(20)는 탑 플레이트(21)와, 상기 탑 플레이트(21)의 전후 방향 단부에서 수직하게 형성된 프론트 플레이트(23) 및 백 플레이트(2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플레이트(23)에는 제1회전축 연결공(23a)이 형성될 수 있고, 리어 플레이트(22)에는 제1회전축 연결공(23a)와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2회전축 연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인입출 기어(40)의 회전축은 상기 제1회전축 연결공(23a)과 상기 제2회전축 연결공에 각각 연결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탑 플레이트(21)는 인입출 기어(40)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동력 전달 기어(42)는 프론트 플레이트(23)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프론트 플레이트(23) 및 백 플레이트(22)의 하단 중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각각 베이스 체결부(22a)(23a)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체결부(22a)(23a)에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고 나사 등의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공과 베이스(10)를 관통하여 기어 마운터(20)와 베이스(10)를 체결시킬 수 있다.
한편, 상태 표시부(43)는 냉각 유닛(8)의 지지판(7)에 대한 인입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상태 표시부(43)는 인입출 기어(40)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고정 기어(15)와 인입출 기어(40)의 체결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태 표시부(43)는 회전 기어(44)와 표시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기어(44)는 동력 전달 기어(42)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인입출 기어(40) 및 동력전달 기어(42)가 회전되면 회전 기어(44) 또한 회전할 수 있다.
회전기어(44)는 동력전달 기어(4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기어(44)의 직경은 동력전달기어(42)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인입출 기어(40) 및 동력전달기어(42)의 회전수에 비해 회전기어(44)의 회전수는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이로써 상태 표시부(43)의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표시부(45)는 회전 기어(44)와 함께 회전하도록 회전 기어(445)에 연결될 수 있다. 표시부(45)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부(45)는 회전 기어(44)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의 인덱스(46)(47)이 구비될 수 있다. 각 인덱스(46)(47)는 표시부(45)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인덱스(46)(47)는 서로 다른 형태나 색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작업자가 그 차이를 쉽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표시부(45)에는 제1인덱스(46)와 제2인덱스(47)가 구비될 수 있다. 각 인덱스(46)(47)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며, 표시부(45)의 원주 방향에 대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후술할 상태표시부 마운터(30)의 전면에는 보조 인덱스(미도시)가 표시될 수 있다. 상태 표시부(43)는 표시부(45)가 회전하여 제1인덱스(46)와 상기 보조 인덱스가 일치하는 경우, 인입출 기어(40)와 고정 기어(15)가 기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태 표시부(43)는 표시부(45)가 회전하여 제2인덱스(47)와 상기 보조 인덱스가 일치하는 경우 인입출 기어(40)와 고정 기어(15)가 체결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태표시부 마운터(30)는 베이스(10)의 상면에 체결되고, 상태 표시부(4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태 표시부 마운터(30)는 앞서 설명한 기어 마운터(2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부재로 형성되어 기어 마운터(20)에 체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태 표시부 마운터(30)는 상판(32)과, 상기 상판(32)의 후방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후판(31)과, 상기 상판(32)의 전방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전판(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32)은 회전 기어(44)를 상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기어(44)는 상기 전판(33)과 후판(3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후판(31)은 기어 마운터(20)의 탑 플레이트(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판(33)의 하단은 적어도 일부가 절곡되어 베이스 체결부(3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체결부(33a)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나사 등의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공과 베이스(10)를 함께 관통함으로써 상태 표시부 마운터(30)를 베이스(10)에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전판(33)에는 표시부(4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표시부 설치공(34)이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45)는 표시부 설치공(34)에 의해 관통되어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고, 작업자는 표시부(45)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판(33)에는 동력 전달 기어(42)의 핸들 삽입구(42a)가 노출되는 개구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35)는 전판(33)의 하측 일부가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핸들 삽입구(42a)는 개구부(35)를 통해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육각 렌치 등의 핸들을 개구부(35)를 통해 용이하게 핸들 삽입구(42a)에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개구부(35)는 표시부 설치공(34)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유닛의 베이스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가 장착된 지지판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2가이드에 제1가이드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제2가이드에 제1가이드가 초기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제2가이드에 제1가이드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은 제1가이드(18)와 제2가이드(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18)은 냉각 유닛(8)의 베이스(10)의 저면에 구비되고, 제2가이드(17)는 지지판(7)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가이드(17)는 제1가이드(18)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안내할 수 있으며, 제1가이드(18)를 상하 방향에 대해 구속할 수 있다.
제1가이드(18)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부(65)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62)이 형성될 수 있고, 냉각 유닛(8)의 베이스(1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제1가이드(18)는 냉각 유닛(8)의 베이스(10)에 체결되는 메인 바디부(65)와, 메인 바디부(65)에서 돌출된 돌출부(66)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부(65)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65)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66)는 메인 바디부(65)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66)는 메인 바디부(65)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66)는 메인 바디부(65)의 둘레면와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메인 바디부(65)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66)는 메인 바디부(65)와 단턱지게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66)의 높이(H1)는 메인 바디부(65)의 높이(H2) 보다 낮을 수 있다.
메인 바디부(65)는 상면이 베이스(10)의 저면에 접촉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메인 바디부(65)는 제2가이드(70)의 후술하는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73)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돌출부(66)는 베이스(10)의 저면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돌출부(66)는 후술하는 상승 제한부(71)와 베이스(10)의 저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가이드(17)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73)와,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73) 후단을 잇는 리어 스토퍼(7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73) 사이에는 제1가이드(18)가 수용되는 제1가이드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 수용공간의 후방은 리어 스토퍼(75)에 의해 막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73) 및 리어 스토퍼(75)는 저면이 지지판(7)의 상면에 접촉되게 체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73)의 각각에는 제2가이드(17)가 스크류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지지판(7)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재 관통공(73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17)에는 돌출부(66)의 상승을 제한하는 상승 제한부(71)가 형성될 수 있다. 상승 제한부(71)는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73) 및 리어 스토퍼(75)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상승 제한부(71)는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73) 및 리어 스토퍼(75)의 내측면 중 상측 일부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승 제한부(71)는 사이드 가이드(73) 및 리어 스토퍼(7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승 제한부(71)는 지지판(7)의 상면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가이드(18)가 제2가이드(17)에 슬라이드 완료되었을 때, 상승 제한부(71)는 제1가이드(18)의 돌출부(66)를 상측 방향에 대해 구속할 수 있다. 이로써, 냉각 유닛(8)이 슬라이드 완료되어 지지판(7)에 장착된 경우, 제1가이드(18) 및 제2가이드(17)에 의해 냉각 유닛(8)의 상하방향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지지판(7)에는 냉각 유닛(8)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7a)이 구비될 수 있다. 각 가이드 레일(7a)은 지지판(7)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될 수 있으며, 냉각 유닛(8)의 베이스(10)의 사이드 플레이트(14)에 연결되어 베이스(10)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안내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유닛(8)의 장착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냉각 유닛(8)은 지지판(7)의 위로 슬라이드되면서 장착될 수 있고, 냉각 유닛(8)은 한 쌍의 가이드레일(7a) 사이로 진입될 수 있다.
냉각 유닛(8)이 정해진 위치에 놓여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육각 렌치 등의 핸들을 인입출 기어 어셈블리(13)의 핸들 삽입구(42a)에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인입출 기어 어셈블리(13)의 인입출 기어(40)와 지지판(7)의 고정 기어(15)가 서로 맞물리며 냉각 유닛(8)이 후방으로 서서히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또한, 인입출 기어(40)의 회전력이 상태 표시부(43)로 전달되어 상태 표시부(43)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작업자가 핸들을 회전시키기 이전에는 제2인덱스(47)와 보조 인덱스(미도시)가 일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태 표시부(43)에 인입출 기어(40)와 고정 기어(15)가 아직 맞물리지 않은 상태임이 표시될 수 있다.
냉각 유닛(8)의 슬라이딩 과정에서, 냉각 유닛(8)의 저면에 설치된 제1가이드(18)는 지지판(7)의 상면에 설치된 제2가이드(17)로 진입되어 제2가이드(17)에 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가이드(18)는 냉각 유닛(8)의 베이스(10)에 고정된 상태에서 냉각 유닛(8)과 함께 지지판(7)의 상면에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제1가이드(18)는 제2가이드(17)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가이드(18)는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73) 사이로 슬라이드될 수 있고,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73)에 의해 후방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제1가이드(60)는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73)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가이드(18)의 돌출부(66)는 상승 제한부(71)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지지판(7)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제1가이드(18)는 제2가이드(17)의 리어 스토퍼(75)에 접할 때까지 슬라이딩 될 수 있고, 냉각 유닛(8)의 장착이 완료될 수 있다.
냉각 유닛(8)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태 표시부(43)의 제1인덱스(46)와 보조 인덱스(미도시)가 일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태 표시부(43)에 인입출 기어(40)와 고정 기어(15)가 맞물린 상태임이 표시될 수 있다.
냉각 유닛(8)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고정 기어(40)와 인입출 기어(15)의 맞물림에 의해 냉각 유닛(8)이 전후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장착 해제 과정 시, 작업자는 상태 표시부의 제2인덱스(47)와 보조 인덱스(미도시)가 일치할 때까지 핸들을 회전시켜 냉각 유닛(8)을 장착 해제 시킬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상태 표시부(43)를 보고 냉각 유닛(8)과 지지판(7)의 체결이 해제되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냉각 유닛의 장착 해제 과정은 장착 과정의 역순이므로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가 장착된 지지판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2가이드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제2가이드에 제1가이드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제1가이드가 도 12에 도시된 제2가이드의 후단을 지나 위치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제2가이드를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17`)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73`)를 포함하고, 리어 스토퍼(75, 도 10 참조)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제1가이드(18)의 돌출부(66)를 상측 방향으로 구속하는 상승 제한부(71`)는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73`)의 내면 중 상측 일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73`)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73`)의 사이에는 제1가이드(18)가 슬라이딩되어 수용되는 제1가이드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사이드 수용공간의 전단 및 후단은 각각 개방되어 제1개방부(75)와 제2개방부(76)를 형성할 수 있다.
제1가이드(18)는 제1개방부(75)로 삽입되어 후방으로 슬라이딩 안내될 수 있으며 제1가이드(18)의 일부가 제2개방부(76)를 통과한 상태에서 위치할 수 있어 제1가이드(18)의 이동이 크게 제한받지 않으면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2가이드(17)는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73`)에서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안착부(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74)는 사이드 가이드(73`)의 측면에 형성되고, 제2가이드(7)를 지지판에 고정시킬 수 있다. 각 안착부(74)에는 상하로 관통된 체결공(74a)이 형성될 수 있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공(74a)을 통과하여 제2가이드(17)를 지지판(7)에 체결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6: 냉각 유닛 설치공간 7: 지지판
8: 냉각 유닛 10: 베이스
11: 냉각팬 12: 온도 감시장치
13: 인입출 기어 어셈블리14: 사이드 플레이트
15: 고정 기어 16: 관통홀
17: 제2가이드 18: 제1가이드
20: 기어 마운터 30: 상태표시부 마운터
40: 인입출 기어 42: 동력전달 기어
42a: 핸들 삽입구 43: 상태 표시부
44: 회전 기어 45: 표시부
46, 47: 인덱스

Claims (11)

  1. 캐비닛의 내부에 고정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인입출 가능하게 배치된 냉각 유닛; 및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고정된 고정 기어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배치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된 냉각팬;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팬과 이격된 온도 감시장치;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체결된 기어 마운터; 및
    상기 기어 마운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고정 기어와 맞물려 상기 냉각 유닛을 이동시키는 인입출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감시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상측으로 이격된 감시장치 본체;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감시장치 본체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감시장치 본체를 상기 베이스에 체결시키며 상기 감시장치 본체보다 작은 장치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마운터 및 인입출 기어는,
    수평 방향으로 상기 냉각팬과 상기 장치 체결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상기 감시장치 본체와 오버랩 되는 배전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인입출 기어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고정 기어와 상기 인입출 기어의 체결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체결되고 상기 상태표시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표시부 마운터를 더 포함하는 배전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인입출 기어의 회전 동력이 전달되는 회전 기어; 및
    적어도 2개의 인덱스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배전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인입출 기어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회전 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동력전달 기어를 더 포함하는 배전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기어에는 핸들 삽입구가 형성된 배전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부 마운터에는, 상기 핸들 삽입구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배전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인입출 기어의 하측 일부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배전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관통홀의 하측에 위치한 배전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팬과 이격된 온도 감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배전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냉각팬이 장착되는 제1파트;
    상기 온도 감시장치가 장착되는 제2파트; 및
    상기 제1파트와 상기 제2파트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기어 마운터가 고정된 제3파트를 포함하는 배전반.
  11. 배전반의 지지판에 인입출 가능하게 구비된 냉각 유닛에 있어서,
    냉각팬;
    상기 냉각팬을 하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배치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팬과 이격된 온도 감시장치;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체결된 기어 마운터; 및
    상기 기어 마운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에 고정된 고정 기어와 맞물려 상기 냉각 유닛을 이동시키는 인입출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감시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상측으로 이격된 감시장치 본체;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감시장치 본체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감시장치 본체를 상기 베이스에 체결시키며 상기 감시장치 본체보다 작은 장치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마운터 및 인입출 기어는,
    수평 방향으로 상기 냉각팬과 상기 장치 체결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상기 감시장치 본체와 오버랩 되는 냉각 유닛.
KR1020180028912A 2018-03-12 2018-03-12 인입출 가능한 냉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102070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912A KR102070082B1 (ko) 2018-03-12 2018-03-12 인입출 가능한 냉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912A KR102070082B1 (ko) 2018-03-12 2018-03-12 인입출 가능한 냉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539A KR20190107539A (ko) 2019-09-20
KR102070082B1 true KR102070082B1 (ko) 2020-01-29

Family

ID=68067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912A KR102070082B1 (ko) 2018-03-12 2018-03-12 인입출 가능한 냉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0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7021A (zh) * 2020-05-09 2020-08-25 吴桂英 电力营销与配电业务数据同步设备的底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372B1 (ko) * 2021-04-21 2023-11-06 엘에스일렉트릭(주) 냉각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
CN115882376B (zh) * 2022-11-30 2024-04-02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马鞍山供电公司 具有工作环境自动监测功能的输变电预制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7281A (ja) * 1999-12-16 2001-06-29 Hitachi Ltd 冷却ユニット、および、局部冷却型電子機器装置
KR101194385B1 (ko) * 2012-06-13 2012-10-24 (주)서전기전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WO2017182025A1 (de) 2016-04-22 2017-10-26 Rittal Gmbh & Co. Kg Schaltschrankanordnung mit einem in einem schaltschrankgehäuse aufgenommenen kühlgerä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633Y1 (ko) * 2008-12-31 2012-04-03 황풍주 팬트래이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7281A (ja) * 1999-12-16 2001-06-29 Hitachi Ltd 冷却ユニット、および、局部冷却型電子機器装置
KR101194385B1 (ko) * 2012-06-13 2012-10-24 (주)서전기전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WO2017182025A1 (de) 2016-04-22 2017-10-26 Rittal Gmbh & Co. Kg Schaltschrankanordnung mit einem in einem schaltschrankgehäuse aufgenommenen kühlgerä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7021A (zh) * 2020-05-09 2020-08-25 吴桂英 电力营销与配电业务数据同步设备的底座
CN111587021B (zh) * 2020-05-09 2021-07-30 骏沣联锐商务咨询(深圳)有限公司 电力营销与配电业务数据同步设备的底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539A (ko) 2019-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082B1 (ko) 인입출 가능한 냉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CA2978568C (en) Motor control center unit with retractable stab assembly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8727456B1 (en) Draw out control compartment
US5999403A (en) Frame rack with module carriers and a ventilating installation
US8553394B2 (en) Circuit breaker racking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708020B1 (ko) 조작이 쉬운 인터록 장치를 갖춘 전동기 제어반
US11656024B2 (en) Refrigerator
WO2010107195A2 (en) Refrigerator
KR102638323B1 (ko) 냉장고
KR101520890B1 (ko) 자동제어반 컨트롤용 다단형 전장패널
KR20190114478A (ko) 냉장고
CN111817195B (zh) 多功能配电柜
CN111740338B (zh) 一种便于维修的配电柜
KR102599372B1 (ko) 냉각 유닛을 구비한 배전반
WO2015193128A1 (en) Retraction mechanism
KR100555634B1 (ko) 전동기 제어반
KR20170013615A (ko) 수배전반의 도어 개방 장치
CN214255328U (zh) 开关柜抽屉仓的联锁装置
JP2011097768A (ja) スイッチギヤ
KR20180073311A (ko) 모터 컨트롤 센터용 흔들림 방지장치
CN220172641U (zh) 一种方便维修的高低压开关柜
AU2015276408B2 (en) Retraction mechanism
CN212649081U (zh) 一种防火绝缘电缆分接箱
CN219576343U (zh) 一种电气安全配电箱
KR102716933B1 (ko) 서랍식 기기 패널을 갖는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