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633Y1 - 팬트래이유닛 - Google Patents

팬트래이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633Y1
KR200459633Y1 KR2020080017497U KR20080017497U KR200459633Y1 KR 200459633 Y1 KR200459633 Y1 KR 200459633Y1 KR 2020080017497 U KR2020080017497 U KR 2020080017497U KR 20080017497 U KR20080017497 U KR 20080017497U KR 200459633 Y1 KR200459633 Y1 KR 2004596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unit
fan
communication equipmen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080U (ko
Inventor
황풍주
김갑수
Original Assignee
황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풍주 filed Critical 황풍주
Priority to KR2020080017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63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0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0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6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6Cooling means comprising thermal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536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racks or cabinets of standardised dimensions, e.g. electronic racks for aircraft or telecommunication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통신장비가 수납되는 랙에 함께 장착되어 상기 통신장비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는 팬트래이유닛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팬과; 상기 각 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통신장비를 향하는 상기 케이스 일측에 형성된 개구와; 상기 개구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통신장비에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감지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팬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온도감지센서가 열원에 근접하여 설치 및 감지하므로 정확한 온도측정에 의한 팬 구동이 가능하여, 발열에 대한 통신장비의 안정성과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팬트래이유닛{FANTRAY UNIT}
본 고안은 각종 통신장비가 수납되는 랙에 함께 장착되어 상기 통신장비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는 팬트래이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정확한 온도측정에 따른 적절한 팬 구동으로 발열에 대한 통신장비의 안정성과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복수의 설정온도에 따라 각 팬의 동작이 조절가능하여 전력소모가 최소화되며, 종래 팬트래이의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생산비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킨 팬트래이유닛에 관한 것이다.
랙(RACK)이란 정보통신 분야에서 각종 정보통신장비(예를들어, 각종 서버, 광통신장비, 다중통신장비, IP용 SWITCH, INTERFACE 장비 등)를 실장하기 위한 캐비넷 형상의 장치를 지칭하는 말로서, 상기 랙 및 랙에 수납되는 각종 장비의 규격은 국제표준에 의해 규격화되어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하나의 랙에는 2 이상의 통신장비(300)가 상하로 적층된 형태로 수납되어 사용되는 바, 상기 각 통신장비는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하는 경우, 내부에 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발열소자 등 다양한 부품들로부터 열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발생된 열을 적절히 방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각 통신장비의 부품을 열화시켜 오작동을 유발하며, 제품수명을 단축시키고, 심한 경우에는 화재발생의 위험성이 있는 등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팬이 장착된 팬트래이를 상기 통신장비에 인접하여 랙에 함께 수납함으로써 상기 통신장비로 냉각공기를 송풍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팬트래이(110)는 케이스(130)의 내부에 다수의 팬(120)과, 전원부(140) 및 온도감지센서(160)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면부를 향하는 일측에 온도설정등을 위한 표시부(150)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팬트래이(110)는 온도감지센서(160)가 밀폐된 케이스(130)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케이스(130) 외부에 위치한 통신장비(300)에서 발생되는 열을 정확히 감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팬트래이(110) 내부에서 감지한 온도는 일반적으로 통신장비(300)에서 발생한 온도보다 낮으므로, 팬(120)이 적절한 시점에서 구동되지 않고 통신장비(300)가 과열된 상태에서 구동되게 되므로 효과적인 냉각이 수행될 수 없었다.
또한, 통신장비(300)마다 발열위치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고정된 위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실제 측정해야할 온도와 측정온도의 편차가 일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우기, 랙(200) 내부에 복수개의 통신장비(300)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팬트래이(110)에서 멀어질수록 온도편차가 더욱 심해져서 냉각수행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었다.
이 경우, 각 통신장비(300)마다 팬트래이(110)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랙 내부 공간이 협소해질 뿐 아니라 다수의 팬트래이(110)가 필요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전력소모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랙 내부의 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팬을 적절히 구동함으로써 통신장비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팬트래이유닛을 제공는 데 있다.
또한, 제어부의 기준온도를 복수로 설정가능하여 복수의 팬이 설정된 기준온도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구동됨으로써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팬트래이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온도감지 결과에 따라 경보를 알리거나, 외부로 연동된 경비회사의 경비시스템으로 화재경보신호를 전송하여 미연에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팬트래이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팬트래이유닛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팬 구동시 전력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팬트래이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각종 통신장비(300)가 수납되는 랙(200)에 함께 장착되어 통신장비(3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는 팬트래이유닛(10)에 있어서, 케이스(30)와, 케이스(30)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팬(20)과, 각 팬(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와, 통신장비(300)를 향하는 케이스(30) 일측에 형성된 개구(31)와, 개구(31)의 일측에 마련되어 개구(31)를 통하여 통신장비(300)에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60)와, 온도감지센서(60)의 감지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팬(20)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제어부(70)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온도감지센서(60)를 개구(31)를 통해 케이스(30) 외부로 인출하여 랙(200) 장치내 소정 위치에 장착가능한 길이로 마련되는 연장리드선(61)과, 온도감지센서(60)를 랙(200) 장치에 고정하는 고정부(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감지센서(60)가 랙(200) 내부에 통신장비(300)를 고정하는 체결부(201)에 장착되는 경우, 고정부(63)는 온도감지센서(60)의 일측이 수용되는 센서홀더(65)와, 센서홀더(65)를 관통하여 체결부(201)에 고정되는 장착스크루(67)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각종 통신장비(300)가 수납되는 랙(200)에 함께 장착되어 통신장비(3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는 팬트래이유닛(10)에 있어서, 케이스(30)와, 케이스(30)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팬(20)과, 각 팬(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와, 통신장비(300)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통신장비(300)에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60)와, 온도감지센서(60)의 일측이 수용되는 센서홀더(65)와, 센서홀더(65)를 관통하여 랙(200) 내부에 통신장비(300)를 고정하는 체결부(201)에 고정되는 장착스크루(67)와, 일단이 온도감지센서(60)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커넥터(69)가 마련된 연장리드선(61)과, 케이스(30)에 마련되며, 커넥터(69)를 수용하는 커넥터수용부(33)와; 온도감지센서(60)의 감지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팬(2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여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온도는 25℃ ~ 37℃ 범위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온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제1기준온도와 상대적으로 높은 제2기준온도로 설정되어, 감지온도가 상기 제1기준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복수의 팬(20) 중 일부만 동작되고, 상기 제2기준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복수의 팬(20) 모두가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기준온도는 25℃ ~ 29℃ , 제2기준온도는 33℃ ~ 37℃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70)는 감지온도가 과열과열경보온도 이상인 경우, 이를 알리는 경보알림부(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과열과열경보온도는 70℃ ~ 80 ℃ 범위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경보알림부(71)는 외부로 연동된 경비회사의 경비시스템으로 화재경보신호를 전송하는 화재신호전송부(73)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30) 전면부를 향하는 일측에 마련되어, 온도설정 및 감지온도를 나타내는 표시부(50) 및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르면, 온도감지센서가 통신장비를 향하여 케이스 일측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랙 내부온도를 직접 감지하거나, 온도감지센서가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어 통신장비에 인접하게 장착하여, 랙 내부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함으로써 팬이 설정된 온도에서 정확히 동작하여 통신장비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의 기준온도를 복수로 설정 가능하여, 감지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기준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복수의 팬 중 일부만 동작되고, 상대적으로 높은 기준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복수의 팬 모두가 동작되므로써 전력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랙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과열경보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화재신호전송부가 외부로 연동된 경비회사의 경비시스템으로 화재경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최소한의 부품으로 팬트래이유닛을 구성하여 전력소모가 최소화될 뿐 아니라 배선이 간단하여 보수에 용이하며 제조원가가 적게들어 경쟁시장에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각 실시예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팬트래이유닛(10)의 구성블록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팬트래이유닛(10)을 구현한 내부 사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팬트래이유닛(10)은 케이 스(30), 복수의 팬(20), 전원부(40), 개구(31), 온도감지센서(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한다.
케이스(30)는 박스형으로 마련되어 랙(200)의 수납부에 수납되도록 마련된다.
케이스(30)의 형상 및 치수는 국제표준규격에 규정된 바에 따라 마련되는 바, 예를 들어, 케이스(30)의 전면 가로폭은 랙(200)의 수납부에 대응하여 19인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케이스(30)의 높이 또한 표준 단위(Standard Unit)인 "U"(여기서, 1U 는 44mm 이다.)의 배수로 마련된다.
한편, 케이스(30) 일측에는 수납된 팬트래이유닛(10)을 랙(200)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30)의 전면부 일측에는 온도감지센서(50)에서 감지한 감지온도를 표시하며, 기준온도 및 과열경보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표시부(50)와 입력부(미도시)가 마련된다.
팬(20)은 케이스(30) 내부에 마련되어, 전원부(40)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작동되어 케이스(30)외부로 냉각공기를 송풍시키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팬(20)에 대응하는 케이스(30)의 하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공기가 유출되는 팬홀(21)이 형성된다.
팬(20)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로 마련될 수도 있고, 4개 이상으로 또는 2개 이하로 마련될 수도 있다.
팬(20)은 직류팬, 횡류팬 등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크기 또한 제한없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팬(20)에는 필요에 따라 먼지를 흡입하여 걸러내는 더스트(Dust) 필터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팬(20)은 다양한 방식으로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연결단자(35)에 각각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고, 직렬로 연결될수도 있다.
팬(20)은 제어부(70)에 의해 기준온도를 순차적으로 복수개 설정하고 상기 감지온도가 각 기준온도를 초과할 때마다 구동되는 팬(20)의 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기준온도를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제1기준온도와 상대적으로 높은 제2기준온도로 설정하는 경우, 온도감지센서(60)의 감지온도가 상기 제1기준온도(28℃)에 도달하면 복수의 팬(20) 중 하나 또는 두개의 팬(20)이 선택적으로 동작되고, 상기 제2기준온도(35℃)에 도달하면 나머지 팬(20)과 함께 복수의 팬(20)이 모두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랙(200) 내부의 감지온도에 대응하여 구동되는 팬(20)의 수가 선택적으로 구동됨으로써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랙(200) 내부의 온도가 과열되기 전에, 온도감지센서(60)의 감지온도에 대응하여 팬(20)이 적절히 동작함으로써 랙(200) 내부의 과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에 통신장비(300)의 안정성과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온도감지센서(60)는 랙(200)에 수납된 통신장비(300)에서 발생된 열을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제어부(70)로 전송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온도감지센서(60)는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온도감지센서(60)는 케이스(3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31)에 마련되어 개구(31)를 통하여 통신장비(300)에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개구(31)는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나, 통신장비(300)의 주열원이 발생하는 위치를 대응하여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개구(31)는 다양한 크기 및 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감지센서(60)의 크기 및 모양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2 이상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케이스(130) 내부에서 온도를 감지하는 것보다 더욱 정확하게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랙(200)에 장착되는 각종 통신장비(300)는 그 종류에 따라 열이 발생되는 위치가 다양하기 때문에, 하나의 통신장비(300)라도 그 측정위치에 따라 온도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d는, 팬트래이유닛(10)의 온도감지센서(60)를 통하여 랙(200) 장비 내부의 각 측정부위별 온도를 측정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랙(200)내부의 측정 온도값은 팬(20)을 구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결과값이며, 측정에 사용된 통신장비(300)의 명칭은 UNIMUX-5000이다.
온도감지센서(60)를 외부로 인출하여 랙(200) 내부 온도를 측정해 본 결과,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2 ℃ 값이 측정되었다.
또한, 도 3b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200) 장치 내 통신장비(300)의 측정위치에 따라 감지온도를 측정해본 결과, 각각 통신장비(300) 좌측에서는 33.3 ℃, 통신장비(300) 중앙부에서는 26.2 ℃, 통신장비(300) 우측에서는 26.3 ℃의 온도를 나타내었다.
즉, 통신장비(300)마다 발열위치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온도감지센서(60)가 랙(200) 내부의 어느 위치에 장착되어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지에 따라서 33.3℃ - 15.2 ℃ = 18.1 ℃ 의 큰 온도편차가 나타나는 바, 온도감지센서(60)의 측정위치는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더우기, 상기 측정결과는 온도감지센서(60)가 통신장비(300)의 각 위치에서 직접 측정한 것으로, 케이스(30) 내부에서 측정한 감지온도와는 더욱 큰 편차를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팬트래이유닛(10)은 통신장비(300)가 과열되기 이전에 팬(20)을 적절히 구동함으로써 통신장비(300)의 작동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팬트래이유닛(10)은 온도감지센서(60)와, 케이스(30) 일측에 형성된 개구(31)와, 온도감지센서(60)를 개구(31)를 통해 케이스(30) 외부로 인출하여 랙(200) 장치내 소정위치에 장착가능한 길로 마련되는 연장리드선(61)과, 온도감지센서(60)를 랙 장치에 고정하는 고정부(63)를 포함하여 마련된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감지센서(60)가 연장리드선(61)에 의해 개구(31)를 통해 열원에 인접하여 설치되므로 측정온도의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키며, 다양한 열원위치를 갖는 통신장비(300)에도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고정부(63)는 온도감지센서(60)를 소정위치에 고정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고정부(63)는 온도감지센서(60)를 랙(200)에 고정할 수도 있고, 통신장비(300)의 일측에 고정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고정부(63)는 온도감지센서(60)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200) 내부에 통신장비(300)가 장착되는 체결부(201)에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6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감지센서(60)의 일측을 수용하는 센서홀더(65)와, 센서홀더(65)를 관통하여 랙(200) 장치의 체결부(201)에 고정되는 장착스크루(67)로 마련될 수 있다.
센서홀더(65)는 온도감지센서(60)의 일측을 수용하여 지지고정한다.
센서홀더(65)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고리를 가진 밴드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탄성력을 가지는 공지된 다양한 형상의 집게(미도시)로 마련될 수 있 다.
장착스크루(67)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들어, 랙(200) 내부에 장착되는 통신장비(300) 및 팬트래이유닛(10)이 장착되는 체결부(20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63)는 온도감지센서(60)의 감지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63)의 회동방법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온도감지센서(60)가 수용된 센서홀더(65) 일측에 마련된 막힌지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온도감지센서(60)의 고정위치가 체결부(201)에 대응하여 한정되는 경우에도 온도감지센서(60)의 감지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도 온도감지센서(60)는 2이상으로 마련되어 랙(200) 내부의 다양한 위치의 온도를 동시에 감지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팬트래이유닛(10)은, 온도감지센서(60)는 연장리드선(61)의 단부에 커넥터(69)가 마련된 상태로 제어부(70)와 분리되어 마련되고, 케이스(30)에는 상기 커넥터(69)가 수용되는 커넥터수용부(33)가 마련되어 온도감지센서(60)에서 감지된 감지결과가 커넥터(69)를 통해 제어부(70)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온도감지센서(60) 측에는 전술한 센서홀더(65)와 장착스크루(67)가 마련되고, 온도감지센서(60)와 연결된 연장리드선(61)의 타단부에는 커넥터(69)가 마련된다.
여기서, 센서홀더(65) 및 장착스크루(67)는 전술한 특징과 동일하여 생략하고, 케이스(30)외부에서 용이하게 결합 및 해제가능한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연장리드선(61)은 일단이 온도감지센서(60)에 연결되고, 타단이 커넥터(69)에 연결된다.
연장리드선(6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감지센서(60)가 랙(200) 내부 다양한 위치에서 체결부(201)에 결합가능한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수용부(33)는 케이스(30) 다양한 위치에 마련가능한 바, 예를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0)의 배면에 마련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0) 전면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수용부(33)는 케이스(30) 내부에서 제어부(70)와 연결된다.
커넥터수용부(3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감지센서(60)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마련 가능하여, 온도감지센서(60)는 랙(200)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서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복수의 통신장비(300)가 장착된 랙(200)에 온도감지센서(60)를 복수개 연결하여 장착함으로써, 복수의 통신장비(300)에서 발생되는 열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팬(20)이 설정된 온도에서 적절히 동작하여 설치비용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전력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온도감지센서(60)에서 감지한 온도는 비교회로를 통하여 작동되고, 비교회로는 복수개의 온도감지센서(60)에서 감지한 온도 중 가장 낮은 감지온도를 우선순위로 하여 복수의 팬(20)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커넥터(69)는 커넥터수용부(33)에 대응하여 결합가능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69)와 커넥터수용부(33)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숫 커넥터(69) 또는 USB 커넥터(69)로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온도감지센서(60)는 공지된 다양한 센서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들어,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써미스터(THERMISTER) 방식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온도감지센서(60)의 설정범위가 0.1 ℃ 단위까지 설정이 가능하여 정확한 온도측정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각 실시예는 어느 한가지로만 사용될 수도 있고, 2 이상의 실시예가 함께 적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70)는 온도감지센서(60)의 감지온도에 따라 팬(20)의 구동을 제어한 다.
제어부(70)의 팬(20) 구동방법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온도감지센서(60)의 감지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전원부(40)로부터 팬(20)으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기준온도는 팬(20)의 구동온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통신장비(300)가 소정 시간이상 구동되어 통신장비(300)에서 발생한 열이 통신장비(300)에 영향을 주기 시작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준온도는 각 통신장비(300)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25℃ ~ 37℃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는 온도감지센서(60)의 감지온도가 상기 기준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팬(20)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70)는 감지온도가 기준온도를 초과하고 상기 과열경보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외부로 위험신호를 알리는 경보알림부(71)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과열경보온도는 통신장비(30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통신장비(300)의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하거나, 통신장비(300)가 손상을 입을 수 있는 온도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상기 기준온도 이상으로 설정된다.
상기 과열경보온도 또한 통신장비(300)마다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70℃ ~ 200℃ 범위내에서 설정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 80℃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온도감지센서(60)의 감지온도가 과열경보온도에 도달하면, 경보알림 부(71)는 청각적 또는 시각적 등의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부저, 램프 또는 경고메시지(실시간 SMS문자 전송)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경보알림부(71)는 외부로 연동된 경비회사의 경비시스템(예를들어, CAPS 또는 ADT 등)으로 화재경보신호를 전송하는 화재신호전송부(73)로 마련될 수 있다.
화재신호전송부(73)는 연동된 경비회사의 보안시스템(CAPS 또는 ADT 등)으로 화재경보신호를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회로이다.
화재신호전송부(73)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연동된 경비 또는 보안 시스템으로 연결되는 외부경보단자(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랙(200) 내부의 과열로 인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각 기준온도 및 과열경보온도는 랙(200)이 설치된 장소 또는 랙(200)에 수납된 통신장비(300)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각 기준온도 및 과열경보온도는 하나의 온도감지센서(60)에서 순차적으로 감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 별개의 온도감지센서(60)에서 각각 감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과열경보온도는 제어부(70)를 통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케이스(30)의 전면부 일측에는 온도설정을 위한 입력부(미도시)와 설정된 온도가 표시되는 표시부(5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7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미리 장착된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감지결과를 수신할 수 있는 외부센서연결단자(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종래 팬트래이유닛(110)에 비하여 최소한의 구성부품으로 구현하여 팬트래이유닛(10)의 구성을 단순화하였다.
예를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팬트래이유닛(110)은 A, B, C 3개의 PCB 회로기판과 100 여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팬트래이유닛(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PCB 회로기판(D)과 20 여개의 부품으로 최적화된 회로로 설계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팬트래이유닛(10)은 부품수가 적어 전력소모가 최소화될 뿐 아니라 배선이 간단하여 보수에 용이하며 제조원가가 적게들어 가격경쟁력에서도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 팬트래이유닛의 내부 사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팬트래이유닛(10)의 구성블록도,
도 2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팬트래이유닛(10)의 내부 사진,
도 3a 내지 도 3d는 랙 내부의 다양한 온도측정위치 및 그 결과를 나타낸 설치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 따른 팬트래이유닛의 하부를 도시한 사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팬트래이유닛에서 온도감지센서의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장착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팬트래이유닛의 전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팬트래이유닛, 20: 팬,
21: 팬홀, 30: 케이스,
31: 개구, 33: 커넥터수용부,
35: 팬연결단자, 37: 외부경보단자,
40: 전원부, 50: 표시부,
60: 온도감지센서, 61: 연장리드선,
63: 고정부, 65: 센서홀더,
67: 장착스크루, 69: 커넥터,
70: 제어부, 71: 경보알림부,
73: 화재신호전송부, 110: 종래 팬트래이,
120: 종래 팬, 130: 종래 케이스,
140: 종래 전원부, 150: 종래 표시부,
160: 종래 온도감지센서, 200: 랙,
201: 체결부, 300: 통신장비.

Claims (11)

  1. 각종 통신장비가 수납되는 랙에 함께 장착되어 상기 통신장비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는 팬트래이유닛에 있어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복수의 팬과;
    상기 각 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복수의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각 온도감지센서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까지 복수의 기준온도가 입력저장되며, 상기 각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감지온도 중 가장 낮은 감지온도로부터 상기 각 기준온도에 순차적으로 도달할 때마다 구동되는 상기 팬의 갯수가 증가하도록 각 팬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하는 제어부와;
    일단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온도감지센서를 상기 랙 장치 내의 소정위치에 장착 가능한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각 온도감지센서에 연결된 복수의 연장리드선과;
    상기 케이스 전면부를 향하는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기준온도를 설정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기준온도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감지온도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트래이 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센서가 상기 랙 내부에 상기 통신장비를 고정하는 체결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일측이 수용되는 센서홀더와, 상기 센서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에 고정되는 장착스크루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트래이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장리드선의 타단에 마련되는 커넥터와,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며, 상기 커넥터가 수용접속되는 복수의 커넥터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트래이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온도는 25℃ ~ 37℃ 범위내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트래이유닛.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감지온도가 과열과열경보온도 이상인 경우, 이를 알리는 경보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팬트래이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과열경보온도는 70℃ ~ 80 ℃ 범위내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트래이유닛.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알림부는 외부로 연동된 경비회사의 경비시스템으로 화재경보신호를 전송하는 화재신호전송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트래이유닛.
  11. 삭제
KR2020080017497U 2008-12-31 2008-12-31 팬트래이유닛 KR2004596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497U KR200459633Y1 (ko) 2008-12-31 2008-12-31 팬트래이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497U KR200459633Y1 (ko) 2008-12-31 2008-12-31 팬트래이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080U KR20100007080U (ko) 2010-07-08
KR200459633Y1 true KR200459633Y1 (ko) 2012-04-03

Family

ID=44452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497U KR200459633Y1 (ko) 2008-12-31 2008-12-31 팬트래이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6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90234A (zh) * 2015-06-11 2015-10-21 国家电网公司 机房温控系统
KR101631115B1 (ko) * 2015-01-07 2016-06-17 몬트롤 주식회사 자가진단 알고리즘엔진이 내장된 모듈형 데이터센터용 스마트 모니터링 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718B1 (ko) * 2010-11-12 2011-07-26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과냉각 보호 방법
KR102070082B1 (ko) * 2018-03-12 2020-01-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입출 가능한 냉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CN113010384A (zh) * 2021-03-17 2021-06-22 喻孟 一种基于计算机数据收集的信息系统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2442A (ja) * 1993-11-30 1995-06-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子装置の温度監視・制御装置および温度監視・制御方法
JPH07162180A (ja) * 1993-12-07 1995-06-23 Fujitsu Ltd 電子機器の冷却構造
KR19980052348A (ko) * 1996-12-24 1998-09-25 윤종육 팬 트레이 유니트 시스템
KR19990017737A (ko) * 1997-08-25 1999-03-15 유병권 온도조절을 위한 전자 냉각장치와 히터의 구동제어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2442A (ja) * 1993-11-30 1995-06-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子装置の温度監視・制御装置および温度監視・制御方法
JPH07162180A (ja) * 1993-12-07 1995-06-23 Fujitsu Ltd 電子機器の冷却構造
KR19980052348A (ko) * 1996-12-24 1998-09-25 윤종육 팬 트레이 유니트 시스템
KR19990017737A (ko) * 1997-08-25 1999-03-15 유병권 온도조절을 위한 전자 냉각장치와 히터의 구동제어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115B1 (ko) * 2015-01-07 2016-06-17 몬트롤 주식회사 자가진단 알고리즘엔진이 내장된 모듈형 데이터센터용 스마트 모니터링 제어장치
CN104990234A (zh) * 2015-06-11 2015-10-21 国家电网公司 机房温控系统
CN104990234B (zh) * 2015-06-11 2017-08-25 国家电网公司 机房温控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080U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9633Y1 (ko) 팬트래이유닛
US7652888B2 (en) Controller housing with connector retention assembly and method
CA2730080C (en) Method and apparatus to accurately read ambient room temperature for a room sensor apparatus
US20060229740A1 (en) Portable user interface assembly and method
US8044329B2 (en) Compact limiter and controller assembly and method
CA22914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flame emissions from an electronics enclosure
KR101747342B1 (ko) 스마트 온도측정기
CN101741065A (zh) 具有集成温度传感器的控制单元
JP2010103116A (ja) 温度センサーが内蔵された電気装置
EP1869535B1 (en) Power controller assembly and method
KR101615640B1 (ko) 화재감지 장치
JP2008536472A5 (ko)
JP4176675B2 (ja) 避雷器
EP2117284B1 (en) Safety loop for a light fixture
EP2028678B1 (en) Circuit breaker with temperature sensor
KR101974585B1 (ko) 팬 구동 모니터링 시스템
US20060249507A1 (en) Modular controller user interface and method
JP2019193542A (ja) 異常検知システム及び異常検知方法
CN107608423B (zh) 一种具有侧向升降式保护装置的温度控制器
JP5997593B2 (ja) サーミスタ付き端子台
KR101549652B1 (ko) 디스플레이형 팬 어셈블리 장치
JP2012216395A (ja) 端子台およびこれを用いた配電装置
CN213450918U (zh) 散热装置及封闭式设备
US20060230297A1 (en) Electronic device mounting assembly and method
US7878068B2 (en) Digital pressure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