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602B1 -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mcc - Google Patents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mc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602B1
KR101528602B1 KR1020140122265A KR20140122265A KR101528602B1 KR 101528602 B1 KR101528602 B1 KR 101528602B1 KR 1020140122265 A KR1020140122265 A KR 1020140122265A KR 20140122265 A KR20140122265 A KR 20140122265A KR 101528602 B1 KR101528602 B1 KR 101528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receiving
guide members
housing uni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관
Original Assignee
윤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관 filed Critical 윤여관
Priority to KR1020140122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67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truck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73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draw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CC에 구비되는 수납유닛 조립체에서, 인출 및 삽입되는 수납유닛의 이동시, 안정된 지지상태와 정확한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여 커넥터의 전기적 접속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MCC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납유닛(110)과; 상기 수납유닛(110)의 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 레일(212)의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부에 수납유닛(110)이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고정판(211)에 고정되면서 상기 수납유닛(110)의 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수납유닛(110)의 이동시 안정되면서도 정확한 정렬이 가능하여 수납유닛(110)에 구비되는 커넥터의 접속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MCC{Receiving Unit Assembly Easying Arrangement and Motor Control Cente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MCC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MCC에 구비되는 수납유닛 조립체에서, 인출 및 삽입되는 수납유닛의 이동시, 안정된 지지상태와 정확한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여 커넥터의 전기적 접속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CC(Motor Control Center)(전동기 제어반)는 다양한 산업 시설에 설치되는 전동기와 관련 부하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시스템으로서, 이러한 MCC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차단기, 복수의 커넥터(1차 내지 3차 커넥터), 릴레이, CT(current transformer), 표시램프, 조작 스위치 등이 구비되고, 이러한 구조의 기능은 보수관리의 난이도 및 안전성을 좌우한다.
이러한 MCC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C(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납유닛(10)들이 인출가능하도록 서랍식으로 구비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수납유닛(10)들을 인출함에 따라 차단기 및 커넥터의 분리가 이루어져서 전기적 접속상태가 해제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납유닛(10)은 전면도어(11)에 차단기를 조작하는 조작핸들(12)과, 유닛 수용실에 수납유닛(10)을 꺼내거나 넣을 수 있는 인출핸들(13)이 갖추어져 있다.
상기 조작핸들(12)에 의한 차단기의 조작은, 예를 들어 등록실용신안 제 20-458158호(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작핸들(12)과 샤프트를 통해 연동되는 플레이트를 마련하고, 이 플레이트의 단부에 형성된 푸시돌기가 암의 잠홈에 끼워져서 원호방향으로 회전하면, 암의 홀에 끼워져 있는 차단기의 스위치가 좌우로 이동하여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는, 등록특허 제 10-1667926호(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작 손잡이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되는 조작레버를 조작핸들과 연결되도록 하고, 이 조작핸들내에는 차단기의 스위치와 연결되는 포지션 플레이트를 마련하여 조작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조작레버의 회전으로 조작핸들내에서 포지션 플레이트가 회동하여 차단기의 스위치를 동작시켜서 개폐되도록 한다.
따라서, 수납유닛(10)의 인출이 필요한 경우, 수납유닛(10)의 내부에 갖추어진 전기적 접속을 위한 커넥터의 접속상태를 해제시켜서 인출해야 하는데, 수납유닛(10)이 삽입되는 MCC의 내부 양쪽에는 가이드 레일이 갖추어져서 수납유닛(10)이 가이드되면서 삽입 및 인출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수납유닛(10)은 가이드 레일내에서 원활한 이동을 위해서 수납유닛(10)의 양쪽에는 롤러를 구비하는 경우가 많은데, 가이드 레일내에 롤러가 삽입되어 이동을 할뿐만 아니라, 필요시 가이드 레일로부터 수납유닛(10)을 완전히 분리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과 어느 정도의 유격이 형성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수납유닛(10)을 MCC의 내부 수납실에 삽입하는 경우에, 가이드 레일과의 유격으로 인해 정확하게 정렬되어 삽입되지 못하고 약간 삐뚤어진 상태로 삽입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면, 수납유닛(10)의 전면도어(11)의 반대편에 형성된 후면판에 설치되는 커넥터의 접속상태가 양호하게 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전원공급을 받기 위한 1차 커넥터인 경우, MCC의 내부에 형성된 부스바와의 접속시, 정확한 접속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수납유닛(10)의 정렬상태에 따라 부스바와 1차 커넥터가 충돌하여 손상을 입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458158호(공고일 : 2012.1.2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67926호(공고일 : 2011.9.2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납유닛의 저면과 수납유닛이 삽입되는 MCC 내부의 고정판에 가이드부재를 마련하여 수납유닛의 정렬이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커넥터의 정확한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MCC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 수단은, 수납유닛과; 상기 수납유닛의 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와; 상기 수납유닛이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고정판에 고정되면서 상기 수납유닛의 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의 수용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수납유닛의 이동시, 안정되면서도 정확한 정렬이 가능하여 수납유닛에 구비되는 커넥터의 접속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유닛의 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라운드부를 가지는 제 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 1가이드부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라운드부를 가지는 제 2가이드부재와; 상기 제 1.2가이드부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연장되는 삽입부를 가지는 제 3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가이드부재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라운드부는 몸체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더 크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가이드부재의 몸체부에는 수납유닛에 고정시 위치를 잡아주도록 하는 위치고정돌기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3가이드부재를 이루는 삽입부의 양쪽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장홈을 가지는 제 1수용가이드부재와; 상기 제 1수용가이드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장홈을 가지는 제 2수용가이드부재와;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절곡,형성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를 가지는 제 3수용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수용가이드부재는, 장홈의 선단부 양쪽면에 끝단부로 갈수록 확개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3수용가이드부재를 이루는 지지부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는 제 3수용가이드부재는, 제 2수용가이드부재와 간격만큼 단차를 두고 고정판의 안쪽에 배치되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납유닛 조립체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MCC를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납유닛 조립체를 이루는 수납유닛을, MCC를 이루는 수납실안에 구비시, 제 1,2가이드부재 및 제 1,2수용가이드부재의 삽입동작에 의해 수납유닛의 좌,우 요동을 방지할 수 있고, 더욱이 제 3가이드부재 및 제 3수용가이드부재의 삽입동작에 의해 상부방향으로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어, 수납실안으로 수납유닛의 삽입시, 안정되면서도 정확한 정렬이 가능하여 수납유닛에 구비된 커넥터의 접속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MCC의 정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 및 MCC의 모습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의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CC의 수납실에 구비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의 저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수용 가이드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이 수납실에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CC의 수납실에 구비되는 제 1수용가이드부재에 수납유닛에 구비되는 제 1가이드부재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CC의 수납실에 구비되는 제 3수용가이드부재에 수납유닛에 구비되는 제 3가이드부재가 삽입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CC의 수납실에 구비되는 수납유닛의 정면에서 본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 및 MCC의 모습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100)는, 차단기, 커넥터(1차,2차,3차 커넥터) 등을 구비하는 수납유닛(110)을 가진다.
또한, 상기 수납유닛(110)은, 예를 들어 전면판(111)과, 양쪽 측면판(112)과, 후면판(113) 및 하부판(114)으로 이루어져서 그 내부에 수납 공간부를 형성한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유닛(110)은, 전면판(111), 측면판(112), 후면판(113), 하부판(114)으로 둘레를 구성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레이트 대신에 프레임 구조로 구성하여 그 내부에 수납 공간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납유닛(110)의 양쪽 측면부(112)의 하부에는 수납유닛(110)의 삽입 및 인출동작과 같은 이동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롤러(115)가 갖추어지는데, 이 롤러(115)는 양쪽 선단부(후면판(113) 방향)에만 구비할 수 있지만, 전면판(111)의 양쪽에 구비하여 양쪽 측면판(112)에 2개씩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11)은 도어식으로 개폐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면판(111)에는 수납유닛(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차단기(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핸들(116)이 설치되고, 인출동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1개 또는 2개의 손잡이(117)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수납유닛(110)의 저면에 복수의 가이드부재가 갖추어지는데, 제 1,2,3가이드부재(120)(130)(140)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납유닛(110)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수납실(210)이 제공되고, 이 수납실(210)의 하부에는 고정판(21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211)은, MCC에 적용하는 경우에, MCC의 길이방향(높이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면서 수납실(210)을 형성하며, 각 수납실(210)의 양쪽 측면에는 가이드레일(212)이 구비된 구조를 가진다.
물론, MCC에 수납실(210)을 형성함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지지 프레임을 간격을 두고 측면에 구비하고, 측면판을 구비하여 수납실(210)이 외부로부터 차단되어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됨으로써, MCC의 외함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는 하나의 분리된 수납유닛(110)과, 수납실(210)의 하부에 삽입된 상태의 별도의 다른 수납유닛(110)이 도시되어 있는데, 길이방향(MCC의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납실(210) 및 수납유닛(110)이 갖추어짐을 편의상 생략하여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한쌍의 가이드레일(212)의 앞쪽 선단부에는 수납실(210)안에 삽입된 다음 수납유닛(110)의 인출시 1차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인출동작시, 수납유닛(110)이 수납실(210)로부터 쉽게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각각 걸림돌기(212a)가 돌출,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수납실(210)의 안쪽 차단면(213)에는 커넥터가 삽입되어 접속가능하도록 하는 삽입구(214)(215)(216)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수납유닛(110)의 후면판(113)에는 각각 1차 커넥터(150), 2차 커넥터(152), 3차 커넥터(154)가 갖추어진다.
상기 삽입구(214)(215)(216)에는 개폐가능한 셔터배리어가 갖추어질 수 있다.
상기 수납실(210)의 고정판(211)상에는 상기 제 1,2,3가이드부재(120)(130)(140)와 대응되는 복수의 수용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는데, 이 복수의 수용 가이드부재는 제 1,2,3수용 가이드부재(220)(230)(24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제 1,2,3가이드부재(120)(130)(14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가이드부재(120)는, 소정의 길이와 두께를 가지는 몸체부(121)와, 이 몸체부(121)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라운드부(122)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또한, 상기 라운드부(122)는 몸체부(121)의 폭(도 7에서 몸체부(121)의 횡방향 길이)보다 반경방향으로 크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져서, 라운드부(122)의 사이에 위치하는 몸체부(121)는 직선면으로 이루어지며, 라운드부(122)에는 수납유닛(110)의 하부판(114)에 체결부재(볼트 또는 나사 등)를 통해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공(122a)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몸체부(121)에는 수납유닛(110)의 하부판(114)에 제 1가이드부재(120)의 고정시, 고정위치를 쉽게 잡아주도록 하는 위치고정돌기(123)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위치고정돌기(123)는 하부판(114)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여 먼저 위치를 잡은 다음, 라운드부(122)에 형성된 결합공(122a)을 통해 체결부재로 고정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제 2가이드부재(130)는 상기 제 1가이드부재(12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즉, 소정의 길이와 두께를 가지는 몸체부(131)와, 이 몸체부(131)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라운드부(132)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2가이드부재(130)는 제 1가이드부재(120)와 동일 규격(길이, 두께 등)을 가지도록 구성되는데, 경우에 따라 동일 구조를 가지면서 다른 규격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라운드부(132)는 몸체부(131)의 폭보다 반경방향으로 크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져서, 라운드부(132)의 사이에 위치하는 몸체부(131)는 직선면으로 이루어지며, 라운드부(132)에는 수납유닛(110)의 하부판(114)에 체결부재(볼트 또는 나사 등)를 통해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공(132a)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몸체부(131)에는 수납유닛(110)의 하부판(114)에 제 2가이드부재(130)의 고정시, 고정위치를 쉽게 잡아주도록 하는 위치고정돌기(133)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위치고정돌기(133)를 하부판(114)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여 먼저 위치를 잡은 다음, 라운드부(132)에 형성된 결합공(132a)을 통해 체결부재(볼트 또는 나사 등)로 고정하면 된다.
도 4에 있어서, 상기 제 1,2가이드부재(120)(130)에 형성되는 위치고정돌기(123)(133)의 위치는 다르게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없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2가이드부재(120)(130)는 몸체부(121)(131)의 양단부에 라운드부(122)(132)가 형성된 구조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라운드부(122)(132) 없이 직선형으로 형성된 구조(예를 들어 평면상 직사각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가이드부재(140)는, 수납유닛(100)의 하부판(114)에 고정되면서 평평한 구조를 가지는 고정부(141)와, 이 고정부(141)의 측면방향으로 하향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절곡부(142) 및 이 절곡부(142)로부터 평평하게 형성되는 삽입부(14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141)와 삽입부(143)는 절곡부(142)에 의해 높이차를 두고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고정부(141)에는 수납유닛(100)의 하부판(114)에 체결부재(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공(141a)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삽입부(143)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단부의 상면에는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경사면(143a)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도 4 참조).
도 3은 제 1,2,3가이드부재(120)(130)(140)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1가이드부재(120)는 수납유닛(110)의 하부판(114)의 저면에 가장 안쪽이면서 중앙위치(도면상 최상부)에 배치되고, 제 2가이드부재(130)는 하부판(114)의 저면에서 도면상 우측 하부에 배치되며, 제 3가이드부재(140)는 상기 제 2가이드부재(130)와 반대편 즉, 도면상 하부판(114)의 좌측 하부에 배치된다.
한편,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MCC의 수납실(210) 고정판(211)에는 복수의 가이드부재가 마련되는데,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MCC의 수납실(210) 고정판(211)에 구비되는 복수의 수용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제 1,2,3 수용 가이드부재(220)(230)(240)로 이루어지는데, 제 1수용 가이드부재(220)는 몸체부(221)와, 이 몸체부(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홈(222)과, 상기 장홈(222)의 양쪽에 형성되는 걸림턱(223) 및 결합공(224)을 포함한 구조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223)은 예를 들어 몸체부(221)의 하부로 돌출되면서 횡방향으로 절곡되어서 고정판(211)의 형성된 구멍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걸림턱(223)을 구성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공(224)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225)(볼트 또는 나사 등)를 관통하여 수납실(210)의 고정판(211)에 결합하여 제 1수용가이드부재(2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장홈(222)의 진입부 양쪽면에는 끝단부로 갈 수록 확개되도록 하는 경사면(222a)이 형성되어서 제 1가이드부재(120)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7은 제 1수용가이드부재(220) 및 제 1가이드부재(120)의 삽입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제 1가이드부재(120)가 제 1수용가이드부재(220)의 장홈(222)안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제 1가이드부재(120)의 양쪽 단부에 형성된 라운드부(122)가 제 1수용가이드부재(220)의 장홈(222)의 내측면에 접촉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이때 라운드부(122)를 제외한 나머지 몸체부(121) 부분(직선 형태의 측면)은 장홈(222)의 내측면에 접촉하지 않고 떨어진 상태로 있는 것이며, 이럼으로써 진입및 분리시 최소한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 감소로 원활한 인출 및 삽입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수용 가이드부재(230)는 상기 제 1수용 가이드부재(220)와 동일 구조를 가진다. 즉, 몸체부(231)와, 이 몸체부(2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홈(232)과, 상기 장홈(232)의 양쪽에 형성되는 걸림턱(233) 및 결합공(234)을 포함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장홈(232)의 진입부 양쪽면에는 경사면(232a)이 형성되어서 제 2가이드부재(130)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제 1수용가이드부재(220) 및 삽입된 제 1가이드부재(120)와 마찬가지 상태로 제 2수용가이드부재(230)의 장홈(232)안에 제 2가이드부재(130)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 3수용 가이드부재(240)는 수납유닛(110)의 하부판(114) 저면에 결합,고정되는 제 3가이드부재(140)와 대응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데, 수납실(210)의 고정판(211)에 고정되는 고정부(241)와, 이 고정부(241)로부터 상향 절곡되는 절곡부(242)와, 이 절곡부(24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243)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제 3수용 가이드부재(240)의 고정부(241)에는 고정판(211)에 체결부재(볼트 또는 나사 등)를 통해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결합공(241a)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의 지지부(243)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끝단부의 하부면에는 경사면(243a)이 형성되어 제 3가이드부재(140)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제 3수용 가이드부재(240)는 수납유닛(110)의 하부판(114) 저면에 고정되는 제 3가이드부재(140)와 동일 구조를 가지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되게 배치하여 제 3가이드부재(140)의 삽입부(143)이 제 3수용 가이드부재(240)의 지지부(243)의 하부로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규격을 정해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유닛(110)에 형성된 롤러(115)가 하부로 돌출된 길이(반경방향)에 맞게(예를 들어 롤러(115)의 돌출된 길이와 동일한 길이)제 1,2 가이드부재(120)(130)의 두께(높이)를 정할 수 있다.
도 9에서 고정판(211)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납유닛(110)은 전면판(111)을 생략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고정판(211)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납유닛(110)은 전면판(111)을 구비한 상태의 도면이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가이드부재(120)(130)는 고정판(211)의 상면으로부터 약간 떠서 삽입될 수 있고, 또는 고정판(211)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성할 수 도 있다.
이때, 제 3가이드부재(140)의 절곡부(142)를 통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삽입부(143)의 높이(하부판(114)으로부터 떠 있는 높이(또는 간격))과, 수납유닛(110)의 삽입시, 상기 삽입부(143)가 삽입되는 제 3수용 가이드부재(240)의 지지부(243)의 높이(고정판(211)으로부터 떠 있는 높이(또는 간격))도 수납유닛(110)의 삽입시 서로 충돌되지 않고 원활하게 삽입가능하도록 제작 및 설치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제 1,2,3수용가이드부재(220)(230)(240)는,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 수납실(210)의 고정판(212)에 배치되는데, 제 1수용가이드부재(220)는 가장 안쪽(도 3에서 상부) 중앙위치에 배치되고, 제 2수용 가이드부재(230)는 하부 우측에 배치되며,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는 제 2수용가이드부재(230)와 반대편 즉, 도면상 고정판(211)의 하부 좌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2수용가이드부재(230)의 하부 끝단부와 제 3수용 가이드부재(240)의 하부 끝단부는 가상의 수평선(실선)을 그었을때, 소정의 간격(d)이 형성되도록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가 제 2수용가이드부(230)보다 고정판(211)의 안쪽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유닛(110)을 수납실(210)안에 삽입시, 수납실(210)의 양쪽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12)에 수납유닛(110)의 양쪽 사이드에 구비된 롤러(115)를 진입시킨 다음, 수납실(210)의 안쪽 방향으로 밀면, 상기 가이드레일(212)을 따라 롤러(115)가 회전이동하면서 수납유닛(110)이 수납실(210)안으로 삽입된다.
이때, 수납유닛(110)의 하부판(114)의 저면에 구비된 제 1,2,3가이드부재(120)(130)(140)가 이동하게 되면서 수납실(210)의 고정판(211)에 결합된 제 1,2,3수용 가이드부재(220)(230)(240)에 근접하게 된다.
다음에, 수납유닛(110)이 수납실(210)안에 더욱 진입하게 되면, 첨부된 예시도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유닛(210)의 하부판(114)의 저면에 고정된 제 1,2가이드부재(120)(130)가 수납실(210)의 고정판(211)상에 결합,고정된 제 1,2수용가이드부재(220)(230)의 각 장홈(222)(232)안으로 동시에 진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2수용가이드부재(220)(230)의 장홈(222)(232)의 앞쪽 선단부 양쪽면에는 경사면(222a)(232a)이 형성되어 있어, 장홈(222)(232)의 입구가 확개되어 제 1,2가이드부재(120)(130)의 진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2수용가이드부재(220)(230)의 장홈(222)(232)안으로 제 1,2가이드부재(120)(130)가 동시에 진입시, 제 1,2가이드부재(120)(130)의 선단부는 둥근 형태의 라운드부(122)(132)가 형성되어 있어, 이 라운드부(122)(132)가 제 1,2수용가이드부재(220)(230)의 장홈(222)(232)의 양쪽 측면에 접촉하면서 진입되고, 이어서 상기 제 1,2가이드부재(120)(130)의 후단부에도 라운드부(122)(132)가 형성되어 있어, 제 1,2수용가이드부재(220)(230)의 장홈(222)(232)안으로의 진입시 장홈(222)(232)의 양쪽 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 1,2가이드부재(120)(130)는 제 1,2수용 가이드부재(220)(230)의 장홈(222)(232)안에 완전히 진입하게 되면, 양단부에 형성된 라운드부(122)(132)의 측면만이 접촉하게 되어서, 장홈(222)(232)안으로의 진입시 접촉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진입 및 분리 동작시 접촉에 따른 마찰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진입 및 분리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 1,2가이드부재(120)(130)는 수납실(210)의 고정판(211) 상면을 안정된 상태로 약간 떠서 이동하거나 또는 접촉하면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 1,2수용가이드부재(220)(230)의 장홈(222)(232)안으로 제 1,2가이드부재(120)(130)가 약간 진입하게 되면,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에 제 3가이드부재(140)가 삽입되기 시작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수용가이드부재(230)의 끝단부(도면상 하단부)와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의 끝단부(도면상 하단부)는 간격(d)만큼 단차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가 제 2수용가이드부재(230)보다 간격(d)만큼 안쪽으로 들어가서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데, 만일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와 제 2수용가이드부재(230)가 간격(d) 없이 수평방향으로 평행한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수납유닛(110)을 수납실(210)안에 삽입시, 쉽게 삽입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왜냐하면, 수납유닛(110)의 삽입시, 상기 제 1,2,3수용가이드부재(220)(230)(240)에 제 1,2,3가이드부재(120)(130)(140)가 동시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특히 제 3가이드부재(140)의 삽입부(143)가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의 지지부(243)의 하부에 삽입되는 것이 약간의 치수공차 등이 발생하여 서로 충돌되어 진입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진입이 용이한 제 1,2수용가이드부재(220)(230)의 장홈(222)(232)안으로 제 1,2가이드부재(120)(130)을 먼저 약간 진입시켜서 1차 정렬된 상태를 유지한 다음, 제 3가이드부재(140)를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에 삽입하면, 간섭없이 정확하고 용이한 삽입동작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는 고정부(241)로부터 상향 절곡된 절곡부(242)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243)가 고정판(21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제 3가이드부재(140)는 수납유닛(110)의 하부판(114)에 고정부(141)가 고정되어 하향 절곡된 절곡부(142)로부터 연장된 삽입부(143)도 하부판(114)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의 지지부(243) 하부로 상기 제 3가이드부재(140)의 삽입부(143)가 삽입되기 시작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 1,2수용가이드부재(220)(230)에 제 1,2가이드부재(120)(130)가 진입하기 시작하여 1차로 가이드된 다음,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에 제 3가이드부재(140)가 삽입되는 동안, 수납유닛(110)의 1,2,3차 커넥터(150)(152)(154)가 정확한 위치로 정렬되어 접속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상기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에 제 3가이드부재(140)가 삽입되기 시작하여 삽입이 완료되는 시점이 되면, 이와 동시에 커넥터와 부스바(B)의 완전히 삽입되어 커넥터의 접속이 완료되는 것이다(도 6b 참조).
또한, 상기 수납유닛(110)을 수납실(210)안에 삽입동작시,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의 지지부(243)의 하부 공간으로 제 3가이드부재(140)의 삽입부(143)가 진입하기 때문에, 지지부(243)에 의해 구속된 상태로 가이드되면서 이동이 가능하여 수납유닛(110)의 상부방향으로의 요동을 방지하여 정확히 정렬된 상태로 삽입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제 1,2수용가이드부재(220)(230)는 제 1,2가이드부재(120)(130)의 삽입시, 좌,우측으로의 요동을 잡아주지만, 상부방향으로는 개방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상부방향으로 요동이 발생하는 것은 방지할 수 없는 구조이다.
또한, 수납실(210)의 양쪽 사이드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12)도 유격으로 인한 좌,우 및 상부방향으로 요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만일, 제 3가이드부재(140)와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의 구조 및 삽입방식이 아니라면, 수납유닛(110)의 상부방향으로의 요동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정렬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제 3가이드부재(140) 및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의 삽입구조에 의해 좌우는 물론, 특히, 수납유닛(110)의 상부방향으로의 요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상기 1,2차 커넥터(150)(152)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의 지지부(243) 하부로 제 3가이드부재(140)의 삽입부(143)가 삽입되는 동안, 1,2차 커넥터(150)(152)는 수납실(210)의 안쪽 차단판(213)에 형성된 삽입구(214)(215)를 통과하여 차단판(213)의 바깥쪽 배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된 부스바(B)가 1,2차 커넥터(150)(152)의 접속클립(151)(153)에 끼워져서 접속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의 지지부(243) 양쪽 단부에는 경사면(243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 3가이드부재(140)의 삽입부(143) 양쪽 단부에도 경사면(143a)이 형성되어 있어, 제 3가이드부재(140)의 삽입부(143)가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의 지지부(243)의 하부로 삽입시, 자연스럽게 유도되면서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반대로, 수납유닛(110)을 수납실(210)안으로부터 분리시에는,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의 지지부(243)의 하부로부터 제 3가이드부재(140)의 삽입부(143)가 빠져나올때, 경사면(243a)(143a)으로 인해 분리동작시 원활하게 유도되면서 분리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B)의 배치구조 및 1,2,3차 커넥터(150)(152)(154)의 구체적인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공지의 구조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1,2,3차 커넥터(150)(152)(154)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조 및 배치상태의 커넥터를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수납유닛(110)을 수납실(210)안에 삽입시, 종래와 달리 5점 지지를 통해 안정되면서 정확하게 정렬된 상태로 삽입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어, 커넥터(1,2,3차 커넥터)의 접속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수납실(210)안의 양쪽 사이드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212)에 의한 정렬 및 지지(2점 지지)와, 제 1,2,3수용가이드부재(220)(230)(240)에 의한 정렬 및 지지(3점 지지)에 의해 수납유닛(110)이 수납실(210)안에 안정되면서 정확한 정렬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커넥터의 접속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수납실(210)안의 고정판(211)에 고정된 제 1,2수용가이드부재(220)(230)안에 제 1,2가이드부재(120)(130)가 동시에 삽입되고,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에 제 3가이드부재(140)가 삽입되기 때문에, 좌우 및 상부방향으로의 흔들림(요동)을 방지하고, 수납유닛(110)의 삽입 방향이 약간 편향되어서 직진도가 떨어지는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B : 부스바
100 ; 수납유닛 조립체
110 : 수납유닛
111 : 전면판
112 : 측면판
113 : 후면판
114 : 하부판
115 : 롤러
116 : 조작핸들
117 : 손잡이
120 : 제 1가이드부재
121 : 몸체부
122 : 라운드부
122a : 결합공
123 : 위치고정돌기
130 : 제 2가이드부재
131 : 몸체부
132 : 라운드부
132a : 결합공
133 : 위치고정돌기
140 : 제 3가이드부재
141 : 고정부
141a : 결합공
142 : 절곡부
143 : 삽입부
143a : 경사면
150 : 1차 커넥터
151 : 접속클립
152 : 2차 커넥터
153 : 접속클립
154 : 3차 커넥터
210 : 수납실
211 : 고정판
212 : 가이드레일
213 : 차단판
214,215,216 : 삽입구
220 : 제 1수용가이드부재
221 : 몸체부
222 : 장홈
222a : 경사면
223 : 걸림턱
224 : 결합공
225 : 체결부재
230 : 제 2수용가이드부재
231 : 몸체부
232 : 장홈
232a : 경사면
233 : 걸림턱
234 : 결합공
240 : 제 3수용가이드부재
241 : 고정부
242 : 절곡부
243 : 지지부
243a : 경사면

Claims (10)

  1. 수납유닛(110)과;
    상기 수납유닛(110)의 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와;
    수납유닛(110)이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고정판(211)에 고정되면서 상기 수납유닛(110)의 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의 수용 가이드부재와;
    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유닛(110)의 하부판(114) 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는,
    몸체부(121)와, 상기 몸체부(121)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라운드부(122)를 가지는 제 1가이드부재(120)와;
    상기 제 1가이드부재(12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몸체부(131)와, 상기 몸체부(131)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라운드부(122)를 가지는 제 2가이드부재(130)와;
    상기 제 1.2가이드부재(120)(13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고정부(141)와, 상기 고정부(141)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142)와, 상기 절곡부(142)로부터 연장되는 삽입부(143)를 가지는 제 3가이드부재(140);
    를 포함하여,
    상기 수납유닛(110)의 이동시, 안정되면서도 정확한 정렬이 가능하여 수납유닛(110)에 구비되는 커넥터의 접속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2가이드부재(120)(130)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라운드부(122)(132)는, 몸체부(121)(131)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더 크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2가이드부재(120)(130)의 몸체부(121)(131)에는, 수납유닛(110)에 고정시 위치를 잡아주도록 하는 위치고정돌기(123)(133)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가이드부재(130)를 이루는 삽입부(143)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단부에는 경사면(143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211)에 고정되는 복수의 수용 가이드부재는,
    몸체부(221)와, 상기 몸체부(221)에 형성되는 장홈(222)을 가지는 제 1수용가이드부재(220)와;
    상기 제 1수용가이드부재(220)와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몸체부(231)와, 상기 몸체부(231)에 형성되는 장홈(232)을 가지는 제 2수용가이드부재(230)와;
    상기 제 1,2수용 가이드부재(220)(230)와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고정판(211)에 고정되는 고정부(241)와, 상기 고정부(241)로부터 절곡,형성되는 절곡부(242)와, 상기 절곡부(24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243)를 가지는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2수용가이드부재(220)(230)는, 장홈(222)(232)의 선단부 양쪽면에 끝단부로 갈 수록 확개되는 경사면(222a)(23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8.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를 이루는 지지부(243)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단부에는, 경사면(243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211)에 고정되는 제 3수용가이드부재(240)는, 제 2수용가이드부재(230)와 간격(d)만큼 단차를 두고 고정판(211)의 안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10.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9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납유닛 조립체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C.
KR1020140122265A 2014-09-15 2014-09-15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mcc KR101528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265A KR101528602B1 (ko) 2014-09-15 2014-09-15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mc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265A KR101528602B1 (ko) 2014-09-15 2014-09-15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mc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602B1 true KR101528602B1 (ko) 2015-06-12

Family

ID=5350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265A KR101528602B1 (ko) 2014-09-15 2014-09-15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mc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60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330A (ko) 2015-09-30 2017-04-07 주식회사 피닉스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
KR20170038329A (ko) 2015-09-30 2017-04-07 주식회사 피닉스 서랍형유닛 인입인출장치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
KR20180125427A (ko) * 2018-11-15 2018-11-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터 컨트롤 센터용 흔들림 방지장치
KR102115325B1 (ko) * 2019-07-18 2020-05-26 이덕환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mcc
KR20200120147A (ko) * 2019-04-11 2020-10-21 엘에스일렉트릭(주) 포지션 잠금 장치를 갖는 배전반
WO2022220362A1 (ko) * 2021-04-13 2022-10-20 엘에스일렉트릭(주) 대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1710A (ja) * 2000-03-07 2001-09-14 Yaskawa Electric Corp 配電盤のユニット位置表示装置
KR20120125873A (ko) * 2011-05-09 2012-11-19 김진웅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1710A (ja) * 2000-03-07 2001-09-14 Yaskawa Electric Corp 配電盤のユニット位置表示装置
KR20120125873A (ko) * 2011-05-09 2012-11-19 김진웅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330A (ko) 2015-09-30 2017-04-07 주식회사 피닉스 서랍형유닛의 기구형 인디케이터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
KR20170038329A (ko) 2015-09-30 2017-04-07 주식회사 피닉스 서랍형유닛 인입인출장치 및 이를 장착한 인출형 모터컨트롤센터
KR20180125427A (ko) * 2018-11-15 2018-11-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터 컨트롤 센터용 흔들림 방지장치
KR101997560B1 (ko) * 2018-11-15 2019-07-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터 컨트롤 센터용 흔들림 방지장치
KR20200120147A (ko) * 2019-04-11 2020-10-21 엘에스일렉트릭(주) 포지션 잠금 장치를 갖는 배전반
KR102208664B1 (ko) 2019-04-11 2021-01-28 엘에스일렉트릭(주) 포지션 잠금 장치를 갖는 배전반
US11715939B2 (en) 2019-04-11 2023-08-01 Ls Electric Co., Ltd. Distributing board having position lock device
KR102115325B1 (ko) * 2019-07-18 2020-05-26 이덕환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mcc
WO2022220362A1 (ko) * 2021-04-13 2022-10-20 엘에스일렉트릭(주) 대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602B1 (ko)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mcc
US7347715B2 (en) Connector device
US7530838B2 (en) Connector, a connector assembly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US7294002B2 (en) Connector device
JP5789494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4486815A (en) Shutter device for control unit of control center
US6716069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and a retainer held securely on the housing
EP1801925B1 (en) A connector
CN101536278B (zh) 插接式壳体模块及开关装置/配电盘
KR20150089777A (ko) 배전반
KR102431932B1 (ko) 패널 유니트가 구비된 mcc
EP3053230B1 (en) Snap-in shutter system for rack out circuit breakers
KR20020024805A (ko) 커넥터
CA2935822A1 (en) Miniature circuit breaker for a no-touch load center
US8147258B2 (en) Adapter for accommodating electrical installation devices and for fixing to a conductor rail system
KR102208664B1 (ko) 포지션 잠금 장치를 갖는 배전반
GB2284505A (en) Slide switch
KR100954559B1 (ko)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동작표시형 배전반
KR102523893B1 (ko) Mcc용 셔터 장치
US6448519B1 (en) Contact system arrangement for plug-in circuit breakers and base
WO2023162765A1 (ja) コネクタ
CN114667645B (zh) 用于连接器的保持框架
KR19990037647U (ko) 배전반 기기유니트의 인입인출장치
KR20210037132A (ko) 셔터 배리어와 이를 구비하는 mcc
US20080305671A1 (en) Electrical Plug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