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20362A1 - 대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 - Google Patents

대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20362A1
WO2022220362A1 PCT/KR2021/017456 KR2021017456W WO2022220362A1 WO 2022220362 A1 WO2022220362 A1 WO 2022220362A1 KR 2021017456 W KR2021017456 W KR 2021017456W WO 2022220362 A1 WO2022220362 A1 WO 202222036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ocket
coupled
bogie device
connector assembly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745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한주
양홍익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US18/272,14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079860A1/en
Publication of WO202222036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2036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67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truck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73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drawer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Abstract

대차장치의 일 실시예는, 가로프레임, 가로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결합하고, 한 쌍으로 구비되는 세로프레임, 양단부가 한 쌍의 세로프레임 각각의 일단에 결합하는 엔드바(end bar), 및 엔드바에 상하좌우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커넥터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어셈블리는, 복수의 배선 터미널이 구비되는 소켓부, 소켓부가 장착되고, 판형으로 구비되는 소켓장착부, 및 소켓부와 이격된 위치에 소켓장착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중공을 가지는 가이드부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
본 발명은 대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구조가 향상된 대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고압 전력계통에 설치되어 단락이나 과전류 등의 위험상황이 발생할 경우 회로를 차단하여 전력계통을 보호하도록 구성된 회로차단기의 일종으로서 진공상태에서의 절연성능과 아크 소호력이 우수한 점을 활용하여 설계된 것이다.
이러한 차단기는 발전소 및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를 위해 여러 전기기기를 설치하여 관리하는 배전반에 부설되며, 배전반에 고정된 크래들(Cradle) 내부에 수납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차단기는 일반적으로 진공차단기로 구비될 수 있다.
배전반 내부에는 회로차단기의 터미널이 크래들의 부하단자에 접속되어 전압과 전류가 공급되는 운전(Connected)위치와 크래들의 단자들로부터 분리되어 차단기의 동작 테스트만 가능한 시험(Test)위치를 가지고 있다.
한편, 차단기 작동의 ON/OFF 상태를 표시하는 MOC(Mechanical Operated Cell switch)가 배전함 크래들에 장착되어 차단기가 시험위치에 있을 때에는 차단기의 동작을 테스트하거나 점검하고, 차단기가 운전위치에 있을 때에는 MOC의 접점출력을 이용하여 주변기기들을 동작시키거나 인터록을 구현하여 차단기 운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차단기를 유지보수하거나 기타 다른 목적을 위해서 크래들 밖으로 인출하거나 다시 크래들 내로 인입시키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차단기를 크래들에 대하여 이동시키기 위해, 차단기에는 대차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대차장치에는 크래들에 구비되는 다른 부품과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구비된다.
대차장치의 커넥터와 다른 부품의 커넥터는 복수의 매일(male)과 피매일(female)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복수의 매일과 피매일의 상하방향 위치가 달라질 경우 대차장치의 수평방향 이동만으로는 매일과 피매일의 결합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부품과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를 가진 차단기에 구비되는 대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대차장치를 구비하고 크래들에 장착되는 구조를 가진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대차장치의 일 실시예는, 가로프레임, 가로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결합하고, 한 쌍으로 구비되는 세로프레임, 양단부가 한 쌍의 세로프레임 각각의 일단에 결합하는 엔드바(end bar), 및 엔드바에 상하좌우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커넥터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어셈블리는, 복수의 배선 터미널이 구비되는 소켓부, 소켓부가 장착되고, 판형으로 구비되는 소켓장착부, 및 소켓부와 이격된 위치에 소켓장착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중공을 가지는 가이드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엔드바에는 소켓부가 장착되는 소켓장착홀이 형성되고, 소켓장착홀의 상하방향 길이는 소켓부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어셈블리는, 소켓장착부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연결플레이트, 및 일단부는 연결플레이트와 결합하고, 타단부는 대차장치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결합부에 결합하는 커넥터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브라켓은, 연결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제1피스, 제1피스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피스, 및 제3피스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대차장치의 전후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단부가 커넥터결합부에 결합하는 제3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피스에는 결합부삽입홀이 형성되고, 커넥터결합부의 상단부는 결합부삽입홀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어셈블리는, 일단부가 제2피스에 결합하고, 타단부가 커넥터결합부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이 제3피스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엔드바에는 가이드부시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부시장착홀이 형성되고, 부시장착홀은 엔드바의 상하방향 지름이 엔드바의 좌우방향지름보다 큰 장공(slot hole)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시는, 소켓장착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장착부, 및 소켓장착부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장착부를 포함하고, 제2장착부는 부시장착홀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어셈블리는 소켓장착부의 적어도 일부가 엔드바의 외측면에 접촉하고, 커넥터어셈블리는 엔드바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대차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는 본체, 및 본체의 하부에 결합하는 전술한 대차장치를 포함하고, 대차장치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 외측에 세로프레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에 의한 커넥터어셈블리의 대차장치에 대한 결합구조에서는, 커넥터어셈블리의 상하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구조는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커넥터어셈블리는 대차장치에 탄성부에 의해 결합한 상태에서 대차부의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커넥터어셈블리는 외부에 구비되는 커플링어셈블리와 용이하게 결합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차장치에서, 커넥터어셈블리는 대차장치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커넥터어셈블리와 커플링어셈블리가 상하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커넥터어셈블리와 커플링어셈블리는 원활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장치에서 커넥터어셈블리가 장착된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바 일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브라켓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측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어셈블리가 커플링어셈블리에 결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어셈블리가 커플링어셈블리에 결합하는 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어셈블리가 커플링어셈블리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차단기(10)는 배전반에 구비되는 크래들(30) 내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차단기(10)는 본체(12)와 상기 본체(12)의 하부에 결합하고 크래들(3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대차장치(11)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10)는 차단상태, 테스트상태 및 연결상태에 놓일 수 있다. 상기 차단상태에서는 차단기(10)가 통전오프(off)된 상태에 있고, 테스트상태와 연결상태에서는 차단기(10)가 통전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통전된 상태에 있는 경우, 차단기(10)는 투입상태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차단기(10)의 위치는 상기 대차장치(11)가 크래들(30)에 대하여 이동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대차장치(11)는 크래들(30)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는 대차장치(11)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차단기(10)를 크래들(30)에 인입하거나 상기 크래들(30)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장치(1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대차장치(11)는 가로프레임(100), 세로프레임(200) 엔드바(300)(end bar) 및 커넥터어셈블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프레임(100)은 세로프레임(200)과 결합하여 대차장치(11)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세로프레임(200)은 상기 가로프레임(100)의 양단에 각각 결합하고,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세로프레임(200)은 가로프레임(100)과 결합하여 대차장치(11)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엔드바(300)는 양단부가 한 쌍의 상기 세로프레임(200) 각각의 일단에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엔드바(300)는 가로프레임(100) 및 세로프레임(200)과 함께 대차장치(11)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어셈블리(400)는 상기 엔드바(300)에 상하좌우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크래들(30)에 구비되고 대차장치(11)의 외부에 구비되는 커플링어셈블리(1000)와 결합하여, 상기 커플링어셈블리(1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대차장치(11)는 롤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600)는 한 쌍의 상기 세로프레임(200) 외측에 상기 세로프레임(2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롤러(600)는 세로프레임(2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크래들(30)에는 상기 롤러(6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될 수 있고, 롤러(600)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어셈블리(4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장치(11)에서 커넥터어셈블리(400)가 장착된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바(300) 일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브라켓(450)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커넥터어셈블리(400)는 소켓부(410), 소켓장착부(420) 및 가이드부시(43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부(410)는 복수의 배선 터미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켓부(410)는 대차장치(11)의 외부에 배치되는 커플링어셈블리(1000)에 구비되는 커플링소켓(1100)과 결합할 수 있다. 도면에서, 대차장치(11)의 구조를 명확히 도시하기 위해 소켓부(410)와 커플링소켓(1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상기 커플링소켓(1100)에는 상기 소켓부(410)와 대응하는 복수의 배선 터미널이 구비될 수 있다. 소켓부(410)와 커플링소켓(1100)이 서로 결합하면 커넥터어셈블리(400)와 커플링어셈블리(1000)는 서로 통전될 수 있다.
소켓부(410)와 커플링소켓(1100)은 서로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켓부(410)의 배선 터미널들은 매일(male)로 형성되고, 커플링소켓(1100)의 배선 터미널들은 피매일(female)로 형성되어, 소켓부(410)와 커플링소켓(1100)은 서로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소켓장착부(420)는 상기 소켓부(410)가 장착되고,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소켓부(410)는 상기 소켓장착부(420)를 관통하는 구조로 상기 소켓장착부(420)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커넥터어셈블리(400)가 엔드바(300)에 장착되면, 소켓장착부(420)의 일면은 상기 엔드바(300)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커넥터어셈블리(400)는 엔드바(300)를 구비하는 대차장치(11)에, 소켓장착부(4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부시(430)는 상기 소켓부(410)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소켓장착부(420)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중공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시(430)는 소켓장착부(42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시(430)는 길이방향이 판형의 소켓장착부(420)의 전후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고, 예를 들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부시(430)는 소켓부(410)의 양측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될 수 있다. 가이드부시(430)에 구비되는 중공은 소켓장착부(420)를 관통하여 상기 소켓장착부(420)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시(430)는 제1장착부(431)와 제2장착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장착부(431)는 상기 소켓장착부(42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장착부(432)는 상기 소켓장착부(420)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시(430)에 구비되는 중공은 제1장착부(431), 소켓장착부(420) 및 제2장착부(432)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플링어셈블리(1000)에는 상기 가이드부시(430)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핀(12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핀(1200)은 커플링소켓(1100)의 양측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결합핀(1200)은 가이드부시(430)를 마주보도록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시(430)와 결합핀(1200)은 커넥터어셈블리(400)의 소켓부(410)와 커플링어셈블리(1000)의 커플링소켓(1100) 사이의 위치를 정렬하는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결합핀(1200)의 첨단은 샤프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핀(1200)과 가이드부시(430)의 중공 사이의 위치가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약간 어긋나더라도 결합핀(1200)은 가이드부시(430)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결합핀(1200)이 가이드부시(430)의 중공에 끼워지면, 소켓부(410)와 커플링소켓(1100)은 서로 원활하게 결합할 수 있는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계속하여 결합핀(1200)이 가이드부시(430)에 더 깊이 끼워지면, 소켓부(410)와 커플링소켓(1100)은 정렬된 위치에서 원활하게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엔드바(300)에는 부시장착홀(310) 및 소켓장착홀(320)이 형성될 수 있다. 부시장착홀(310)에는 상기 가이드부시(430)가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시(430)는 예를 들어, 단면이 원형인 외주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부시장착홀(310)도 단면이 대체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장착부(432)는 상기 부시장착홀(310)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장착부(432)가 부시장착홀(310)에 삽입되고, 소켓부(410)가 소켓장착홀(320)에 삽입되며, 엔드바(300)의 일면과 소켓장착부(420)의 일면이 접촉한 상태로 커넥터어셈블리(400)는 엔드바(300)에 결합할 수 있다.
소켓장착홀(320)에는 상기 소켓부(410)가 장착될 수 있다. 소켓부(410)는 예를 들어, 단면이 대체로 사각형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소켓장착홀(320)도 단면이 대체로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시장착홀(310)과 소켓장착홀(320)은 상기 가이드부시(430)와 상기 소켓부(410)에 대응되는 위치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부시장착홀(310)은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부시장착홀(310)은 소켓장착홀(320)의 양측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부시장착홀(310)의 좌우방향지름 D2는 제2장착부(43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켓장착홀(320)의 좌우방향 폭은 소켓부(410)의 좌우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커넥터어셈블리(400)는 엔드바(300)의 좌우방향으로 소정범위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시(430)와 결합핀(1200)이 차단기(10)의 좌우방향으로 다소 어긋난 위치에 있더라도, 커넥터어셈블리(400)와 커플링어셈블리(1000)는 서로 원활하게 결합할 수 있다.
커넥터어셈블리(400)는 연결플레이트(440)와 커넥터브라켓(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플레이트(440)는 상기 소켓장착부(420)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플레이트(440)는 커넥터어셈블리(400)의 소켓장착부(420)에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연결플레이트(440)와 소켓장착부(42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커넥터브라켓(450)은 일단부는 상기 연결플레이트(440)와 결합하고, 타단부는 커넥터결합부(500)에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대차장치(11)는 상기 가로프레임(100)과 세로프레임(200)의 하측에 결합하는 바닥프레임(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프레임(700)의 상면은 대차장치(11)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결합부(500)는 상기 대차장치(11)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결합부(500)는 대차장치(11)의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대차장치(11)와 별도로 제작되에 적절한 결합기구에 의해 상기 대차장치(11)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커넥터결합부(500)는 그 길이방향이 대차장치(11)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대차장치(11)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결합부(500)의 상단부에는 상기 커넥터브라켓(450)이 결합할 수 있다.
커넥터브라켓(450)은 연결플레이트(440)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커넥터어셈블리(400)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커넥터브라켓(450)의 제1피스(451)는 상기 연결플레이트(440)에 결합볼트(401)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피스(451)와 연결플레이트(440) 사이에는 와셔(402)가 장착되고, 상기 제1피스(451), 와셔(402) 및 연결플레이트(440)에는 결합볼트(401)가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커네터브라켓과 연결플레이트(440)는 서로 결합할 수 있다.
한편, 결합볼트(401)의 머리부분이 대차장치(11)의 하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대차장치(1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프레임(700)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어셈블리(400)가 대차장치(11)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결합볼트(401)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바닥프레임(700)의 위치에는 결합볼트(401)와 간섭을 제거할 수 있는 적절한 도피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브라켓(450)은 제1피스(451), 제2피스(452) 및 제3피스(4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피스(451), 제2피스(452) 및 제3피스(45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피스(4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플레이트(440)와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피스(452)는 상기 제1피스(451)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피스(452)는 대차장치(11)의 상측방향으로 향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제3피스(453)가 커넥터결합부(500)의 상단부에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3피스(453)는 상기 제1피스(451)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대차장치(11)의 전후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단부가 상기 커넥터결합부(50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3피스(453)에는 결합부삽입홀(4531)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결합부(500)의 상단부는 상기 결합부삽입홀(4531)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삽입홀(4531)은 커넥터결합부(500)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 예를 들어, 슬릿(sli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삽입홀(4531)의 대차장치(11) 전후방향의 길이는 상기 커넥터결합부(500)의 상단부의 대차장치(11) 전후방향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3피스(453)는 커넥터결합부(500)의 상단부에 용이하게 끼워지고, 커넥터어셈블리(400) 전체는 상기 커넥터결합부(500)에 대하여 대차장치(11)의 전후방향으로 어느정도 이동할 수 있다.
커넥터어셈블리(400)가 커넥터결합부(500)와 엔드바(300)에 느슨하게 결합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커넥터어셈블리(400)가 대차장치(11)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대차장치(11)에 탄성부(460)를 결합시킴으로써, 커넥터어셈블리(400)는 대차장치(11)에 타이트하게 장착될 수 있다.
커넥터어셈블리(400)는 탄성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460)는 일단부가 상기 제2피스(452)에 결합하고, 타단부가 상기 커넥터결합부(500)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이 상기 제3피스(453)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460)는 예를 들어 인장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460)의 일단부가 결합하기 위해 제2피스(452)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460)는 일단부에 형성되는 후크(hook)가 상기 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460)는 제2피스(452)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460)의 타단부가 결합하기 위해 커넥터결합부(500)에는 함몰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46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후크가 상기 함몰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탄성부(460)는 커넥터결합부(500)와 결합할 수 있다.
탄성부(460)는 커넥터어셈블리(400)가 커넥터결합부(500)와 엔드바(300)에 결합한 상태를 타이트하게 하고 동시에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460)는 탄성력으로 커넥터어셈블리(400)의 제2피스(452)와 커넥터결합부(500)를 함께 잡아당길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커넥터어셈블리(400)의 소켓장착부(420)의 일면은 엔드바(300)의 일면과 밀착하고, 이들 사이의 밀착으로 인해 커넥터어셈블리(400)는 엔드바(300)에 타이트하게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460)에 의한 커넥터어셈블리(400)의 대차장치(11)에 대한 결합구조에서는, 상기 커넥터어셈블리(400)의 상하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구조는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어셈블리(400)는 대차장치(11)에 탄성부(460)에 의해 결합한 상태에서 대차장치(11)의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커넥터어셈블리(400)는 외부에 구비되는 커플링어셈블리(1000)와 용이하게 결합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하기에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대차장치(11)의 커넥터어셈블리(400)와 대차장치(11)의 외부에 구비되는 커플링어셈블리(1000)가 서로 원활하고 용이하게 결합되기 위해서는, 커넥터어셈블리(400)와 커플링어셈블리(1000) 차단기(10)의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
그러나, 차단기(10)의 구조와 커플링어셈블리(1000)가 장착되는 크래들(30)의 구조, 가공공차 등으로 인해, 커넥터어셈블리(400)와 커플링어셈블리(1000)의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있지 않고 서로 어긋날 수 있다.
즉, 커넥터어셈블리(400)는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커플링어셈블리(1000)에 대하여, 차단기(10)의 상하방향으로 약간 높은 위치에 있거나, 반대로 약간 낮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위치가 어긋난 상태에서도 커넥터어셈블리(400)와 커플링어셈블리(1000)가 원활하고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해서는, 커넥터어셈블리(400)가 대차장치(11)에 결합한 상태에서도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대차장치(11)에서, 상기 커넥터어셈블리(400)는 상기 소켓장착부(42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엔드바(300)의 외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커넥터어셈블리(400)는 상기 엔드바(30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대차장치(11)에 장착될 수 있다.
커넥터어셈블리(400)가 엔드바(300)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구조는 전술하였다. 이하에서는 커넥터어셈블리(4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소켓장착홀(320)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소켓부(410)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소켓장착홀(320)의 상하방향 길이는 소켓부(410)의 상하방향 이동거리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소켓장착홀(320)은 소켓부(4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차단기(10)의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시장착홀(310)은 상기 엔드바(300)의 상하방향 지름이 상기 엔드바(300)의 좌우방향지름보다 큰 장공(slot hole)로 형성될 수 있다. 부시장착홀(310)은 가이드부시(430)의 외형과 대응하도록 대체적으로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가이드부시(430)의 상하방향 이동을 위해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부시장착홀(310)의 상하방향지름 D1은 좌우방향지름 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부시장착홀(310)의 상하방향지름의 크기는 가이드부시(430)의 상하방향 이동거리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460)에 의해 대차장치(11)에 타이트하게 장착된 커넥터어셈블리(400)에 대하여, 상기 탄성부(460)는 커넥터어셈블리(400)의 차단기(10)의 상하방향 이동을 구속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커넥터어셈블리(400)는 대차장치(11)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엔드바(30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의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10)의 측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어셈블리(400)가 커플링어셈블리(1000)에 결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어셈블리(400)가 커플링어셈블리(1000)에 결합하는 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어셈블리(400)가 커플링어셈블리(1000)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에서는 커넥터어셈블리(400)와 커플링어셈블리(1000)의 상하방향 위치가 서로 어긋난 상태에서 이들이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커넥터어셈블리(400)가 보다 상측에 있고, 커플링어셈블리(1000)가 보다 하측에 있는 상태에서 이들이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이에 대해 설명한다.
대차장치(11)는 커플링어셈블리(100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대차장치(11)의 커넥터어셈블리(400)는 커플링어셈블리(1000)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결합핀(1200)의 첨단은 원뿔모양의 경사부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시(430)의 중공에 결합핀(1200)의 첨단이 삽입되면, 가이드부시(430)는 경사부위로 형성되는 결합핀(1200)의 첨단에 가이드되어 하측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커넥터어셈블리(400)의 가이드부시(430)의 중공에 커플링어셈블리(1000)의 결합핀(1200)이 끼워진 후에 대차장치(11)가 커플링어셈블리(1000)를 향해 나아가면, 커넥터어셈블리(400)의 소켓부(410)와 가이드부시(430)는 결합핀(1200)에 의해 가이드되어 소정거리 하측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가이드부시(430)와 결합핀(1200)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되고, 가이드부시(430)는 더이상 하강하지 않는다.
이때, 소켓부(410)는 엔드바(300)에 형성되는 소켓장착홀(320)을 따라 하강하고, 가이드부시(430)는 엔드바(300)에 장공으로 형성되는 부시장착홀(310)을 따라 하강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대차장치(11)가 커플링어셈블리(1000)에 더욱 가까이 가면, 결합핀(1200)은 가이드부시(430)에 더욱 깊숙이 삽입되고, 이에 따라 커넥터어셈블리(400)의 소켓부(410)와 커플링어셈블리(1000)의 커플링소켓(1100)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소켓부(410)와 커플링소켓(1100)은 서로 용이하고 원활하게 결합할 수 있다.
대차장치(11)가 커플링어셈블리(1000)에 더욱더 가까이 가면, 결합핀(1200)은 가이드부시(430)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동시에 매일로 구비되는 소켓부(410)는 피매일로 구비되는 커플링소켓(1100)에 삽입되어 이들 사이의 결합이 완료되고, 커넥터어셈블리(400)와 커플링어셈블리(1000)는 서로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반대의 경우, 즉 커넥터어셈블리(400)가 보다 하측에 있고 커플링어셈블리(1000)가 보다 상측에 있는 상태에서도, 커넥터어셈블리(400)가 대차장치(11)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므로, 커넥터어셈블리(400)와 커플링어셈블리(1000)는 원활하게 결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실시예에서, 커넥터어셈블리(400)는 대차장치(11)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커넥터어셈블리(400)와 커플링어셈블리(1000)가 상하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커넥터어셈블리(400)와 커플링어셈블리(1000)는 원활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10)

  1. 가로프레임;
    상기 가로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결합하고, 한 쌍으로 구비되는 세로프레임;
    양단부가 한 쌍의 상기 세로프레임 각각의 일단에 결합하는 엔드바(end bar); 및
    상기 엔드바에 상하좌우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커넥터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어셈블리는,
    복수의 배선 터미널이 구비되는 소켓부;
    상기 소켓부가 장착되고, 판형으로 구비되는 소켓장착부; 및
    상기 소켓부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소켓장착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중공을 가지는 가이드부시
    를 포함하는,
    대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바에는 상기 소켓부가 장착되는 소켓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장착홀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소켓부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대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어셈블리는,
    상기 소켓장착부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연결플레이트; 및
    일단부는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결합하고, 타단부는 상기 대차장치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결합부에 결합하는 커넥터브라켓
    을 더 포함하는,
    대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브라켓은,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제1피스;
    상기 제1피스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피스; 및
    상기 제2피스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대차장치의 전후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단부가 상기 커넥터결합부에 결합하는 제3피스
    를 포함하는,
    대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피스에는 결합부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결합부의 상단부는 상기 결합부삽입홀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대차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어셈블리는,
    일단부가 상기 제2피스에 결합하고, 타단부가 상기 커넥터결합부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이 상기 제3피스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대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바에는 상기 가이드부시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부시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부시장착홀은 상기 엔드바의 상하방향 지름이 상기 엔드바의 좌우방향지름보다 큰 장공(slot hole)로 형성되는,
    대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시는,
    상기 소켓장착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장착부; 및
    상기 소켓장착부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장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장착부는 상기 부시장착홀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대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어셈블리는 상기 소켓장착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엔드바의 외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커넥터어셈블리는 상기 엔드바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대차장치에 장착되는,
    대차장치.
  10.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하는 제1항에 기재된 대차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대차장치는,
    한 쌍의 상기 세로프레임 외측에 상기 세로프레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차단기.
PCT/KR2021/017456 2021-04-13 2021-11-25 대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 WO2022220362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272,145 US20240079860A1 (en) 2021-04-13 2021-11-25 Bogie apparatus and circuit breaker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566A KR102506782B1 (ko) 2021-04-13 2021-04-13 대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
KR10-2021-0047566 2021-04-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20362A1 true WO2022220362A1 (ko) 2022-10-20

Family

ID=83640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7456 WO2022220362A1 (ko) 2021-04-13 2021-11-25 대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79860A1 (ko)
KR (1) KR102506782B1 (ko)
WO (1) WO202222036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488A (ko) * 2009-03-11 2010-09-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의 접촉 장치
US20120228095A1 (en) * 2011-03-08 2012-09-13 Eaton Industries Gmbh Flexible cover for contacts of a plug-in or withdrawable unit
KR101528602B1 (ko) * 2014-09-15 2015-06-12 윤여관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mcc
KR101759603B1 (ko) * 2016-02-15 2017-07-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제어단자 접속장치
US20180287311A1 (en) * 2015-12-01 2018-10-04 Connecteurs Electriques Deutsch Snap-Lock Relay Socke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955B1 (ko) * 2010-03-23 2011-11-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488A (ko) * 2009-03-11 2010-09-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의 접촉 장치
US20120228095A1 (en) * 2011-03-08 2012-09-13 Eaton Industries Gmbh Flexible cover for contacts of a plug-in or withdrawable unit
KR101528602B1 (ko) * 2014-09-15 2015-06-12 윤여관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mcc
US20180287311A1 (en) * 2015-12-01 2018-10-04 Connecteurs Electriques Deutsch Snap-Lock Relay Socket
KR101759603B1 (ko) * 2016-02-15 2017-07-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제어단자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431A (ko) 2022-10-20
KR102506782B1 (ko) 2023-03-06
US20240079860A1 (en)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48178A2 (ko) 전자기 전기 접속 장치의 개량구조
WO2019151581A1 (ko) 영구자석 하우징을 갖는 직류 릴레이
WO2014107094A1 (ko) 이차전지모듈용 센싱어셈블리 및 상기 센싱어셈블리를 구비한 이차전지모듈
WO2015137568A1 (ko) 고전압 수형 커넥터
WO2020209507A1 (ko)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모듈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WO2014051209A1 (ko) 전자접촉기
WO2022065611A1 (ko)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충전장치
WO2018182105A1 (ko) 고속스위치
WO2019164114A1 (ko) 부싱형 변류기를 적용한 배전반
WO2022220362A1 (ko) 대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
WO2020036352A1 (en) Adapter
WO2009145457A1 (en) Elastic member and shielde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WO2020060061A1 (ko) 전원 공급 장치
WO2012033293A2 (en) High voltage connector
WO2015130011A1 (ko) 안전 콘센트
WO2010093079A1 (ko)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WO2021112339A1 (ko) 회전형 셔터 구조를 갖는 배전반
WO2019132237A1 (ko) 직류 차단기
WO2023132390A1 (ko) 조립식 저압반
WO2019054578A1 (ko) 전선낙하 방지장치
WO2021182791A2 (ko) Statcom 및 hvdc 용 바이패스 스위치
WO2023013831A1 (ko) 인터록 모듈, 차단기 이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WO2020209515A1 (ko) 포지션 잠금 장치를 갖는 배전반
WO2021125447A1 (ko)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WO2020242063A1 (ko) 바이패스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370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272145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9370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