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893B1 - Mcc용 셔터 장치 - Google Patents

Mcc용 셔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893B1
KR102523893B1 KR1020210053895A KR20210053895A KR102523893B1 KR 102523893 B1 KR102523893 B1 KR 102523893B1 KR 1020210053895 A KR1020210053895 A KR 1020210053895A KR 20210053895 A KR20210053895 A KR 20210053895A KR 102523893 B1 KR102523893 B1 KR 102523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support case
shutter plate
hol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6950A (ko
Inventor
윤여관
Original Assignee
코리아알프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알프스(주) filed Critical 코리아알프스(주)
Priority to KR1020210053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893B1/ko
Publication of KR20220146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24Shutters or gu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4Shutters or guards for preventing access to conta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73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draw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CC용 셔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셔터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셔터 프레임; 상기 셔터 프레임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셔터판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유니트는, 상기 셔터판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셔터판에 접근 또는 이격되게 이동하는 이동 부재가 마련된 셔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MCC용 셔터 장치{Shutter Apparatus for MCC}
본 발명은 호환성을 가지는 MCC용 셔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 분배 공급, 전력 차단, 전력 공급 상황 등을 일괄적으로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사용되고 있는 배전반의 내부에는 부스바가 설치되어 있고, 배전반의 전면에는 배전반으로 진입하게 되는 접속 유니트와 부스바 간에 접속시 스파크 튐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고자 셔터 배리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셔터 배리어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54939호(등록일 2004.06.22,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배전반의 셔터 배리어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에 제시된 셔터 배리어의 셔터 플레이트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동작을 취하면서 개폐되는데, 이때 이러한 슬라이드 이동시 셔터 플레이트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슬라이드 동작을 위한 여유 공차에 의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그에 따라, 상승 및 하강 시에 셔터 플레이트의 일측 상단 모서리와 타측 하단 모서리가 가이드 리브의 내면에 찍히는 형태로 접촉하게 되면서 마찰력이 강하게 형성된다.
그로 인해 셔터 플레이트의 승,하강에 대한 슬라이드 동작이 뻑뻑하게 이루어지거나 또는 승,하강 동작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54939호(등록일 : 2004.06.22)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셔터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이 셔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매립됨으로써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여 오동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 MCC 본체부에 수납되는 다양한 형태의 수납 유니트를 수용할 수 있는 셔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셔터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셔터 프레임; 상기 셔터 프레임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셔터판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유니트는, 상기 셔터판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셔터판에 접근 또는 이격되게 이동하는 이동 부재가 마련된 셔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작 유니트를 고정된 상태의 셔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고, 따라서, 고객 니즈에 따라 조작 유니트중에서 지지 케이스만 남겨두고 록킹 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기본형 또는 지지 케이스와 록킹 부재를 부가적으로 갖춘 옵션형중 선택하여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물쇠를 채우는 록킹 부재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인 지지 케이스와 이동 부재는 셔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다양한 타입 및 사이즈의 수납 유니트를 변형없이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자물쇠를 채우는 록킹 부재가 지지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 구조이므로,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셔터판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이동 부재는 지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이물질이 침투할 가능성이 없고, 따라서 이물질의 침투에 의해 이동 부재의 이동 동작이 비정상적인 오동작이 발생하거나 또는 동작 불능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듈화된 구조를 이루므로, 분해 조립 및 유지 보수 측면에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일측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작 유니트의 사시도로서, (a) 내지 (d)는 보는 각도를 달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6의 조작 유니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셔터 장치에 푸시핀을 삽입하기 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푸시핀을 삽입하고 셔터판을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셔터 장치의 일측에 마련된 조작 유니트에 푸시핀을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평단면도로서, (a)는 푸시핀 삽입전 상태, (b)는 푸시핀 단부가 삽입된 상태, (c)는 푸시핀을 완전히 삽입한 상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조작 유니트에서 지지 케이스중 제2 지지 케이스 부재를 분리하고 이동 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리 정면도로서, (a)는 푸시핀이 삽입되기 전 상태, (b)는 스토퍼를 이동 부재의 결합공으로부터 분리하고 푸시핀이 삽입부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이동 부재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셔터 장치에 접속 커넥터를 삽입하기 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셔터 장치를 개방하고 접속 커넥터를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일측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셔터 장치(10)는 셔터 프레임(100), 셔터 프레임(100)에서 개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셔터판(200)(210), 셔터 프레임(100)의 일측에 마련되고 셔터판(200)(21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 유니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셔터 프레임(100)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셔터 프레임(100)에 구비되는 셔터판(200)(210)은 폐쇄 상태의 제1 위치와 개방 상태의 제2 위치로 동작되며, 셔터 프레임(100)에는 셔터판(200)(210)이 개방 위치로 전환되면 개방되는 개구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셔터 프레임(100)의 개구부(110)가 개방되면, 접속 커넥터가 삽입되어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셔터 장치(10)는 차단기, 커넥터 등 각종 전기 부품이 내장된 수납 유니트가 수납되는 MCC 본체부안에 마련될 수 있고, 수납 유니트를 MCC 본체부의 수납홈안에 삽입하면 수납 유니트의 전면에 구비된 접속 커넥터가 셔터 장치(100)의 셔터판(120)(122)을 개방하면서 삽입되고, 그러면 MCC 본체부의 후면에 설치된 부스바에 접속 커넥터가 접속되면서 전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셔터 프레임(10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푸시핀(410)이 삽입되어서 조작 유니트(300)를 동작시켜서 셔터판(200)(210)을 개방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관통공(10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공(102)의 일측에는 연통되는 결합공(103)이 형성되어서 후술하는 록킹 부재(300)의 장착시 스토퍼(332)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102)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조립공(104)이 형성될 수 있고, 조립공(104)에는 조작 유니트(300)의 록킹 부재(330)의 상부 및 하부가 결합되어 조립될 수 있다.
복수의 셔터판(200)(210)은 각각 셔터판(200)(2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축(202)(212)이 마련될 수 있다.
조작 유니트(300)는 셔터판(200)(21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접속 커넥터의 일측면에 마련된 푸시핀(410)이 삽입되면, 셔터판(200)(210)을 개방할 수 있도록 록킹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푸시핀(410)의 단부에는 경사면(411)이 형성될 수 있고, 푸시핀(410)이 삽입 관통되는 조작 유니트(300)의 이동 부재(320)의 삽입부(321)에 형성된 삽입공(321a)에도 경사면(321c)이 형성될 수 있다.
조작 유니트(300)는 셔터 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지지 케이스(310), 지지 케이스(310)의 안쪽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 부재(320), 이동 부재(320)의 이동을 제한하는 록킹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케이스(310)는 2개의 지지 케이스 부재가 조립되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제1 지지 케이스 부재(310a)와 제2 지지 케이스 부재(310b)가 조립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동 부재(320)는 푸시핀(410)이 삽입되는 삽입부(321), 삽입부(321)의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돌출되게 형성되는 이동 로드(32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321)에는 푸시핀(410)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321a)이 형성될 수 있고, 삽입부(321)는 셔터판(200)(210)중 어느 하나의 배면에 대면되어서 셔터판의 개방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321)가 이동하면 셔터판(200)(210)의 저지 상태가 해제되므로 셔터판(200)(210)은 개방될 수 있다.
지지 케이스(310)의 한쪽인 제1 지지 케이스 부재(310a)에는 이동 부재(320)의 이동 로드(322)가 이동할 수 있는 홈 형태의 이동 통로(311)가 형성될 수 있고, 이동 로드(322)의 외주면에는 탄성 부재(312)가 탄지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312)는 이동 통로(311)에 수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동 로드(322)는 탄성 부재(312)를 탄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고, 탄성 부재(312)가 이동 로드(322)의 외주면에 마련되므로, 이동 로드(322)는 탄성 부재(312)의 내부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동 통로(311)의 끝단부에는 탄성 부재(312)의 한쪽 끝단부가 지지되게 하는 걸림턱(3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로드(322)는 예를 들어 단면상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걸림턱(313)은 이동 로드(322)가 대면되면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로드(322)는 걸림턱(313)에 안치되면, 걸림턱(313)의 돌출 높이에 의해 이동 통로(311)로부터 약간 이격된 상태에서 탄성 부재(312)와의 간섭없이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이동하면 지지 케이스(310)의 측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지지 케이스 부재(310a)에 걸림턱(313)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걸림턱(313)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탄성 부재(312)의 직경을 이동 로드(322)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지지 케이스 부재(310a)의 외부로 돌출되기 위한 구멍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지지되게 할 수 있다.
이동 통로(311)와 이동 로드(322)간에 형성되는 간격은 탄성 부재(312)가 탄지될 수 있는 공간일 수 있다.
제1 지지 케이스 부재(310a)에는 제1 관통공(315a) 및 제2 관통공(315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공(315a)은 제1 지지 케이스 부재(310a)의 일단부가 개구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관통공(315b)은 제1 관통공(315a)와 연통되게 개구된 상태이며, 제1 관통공(315a)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 케이스 부재(310b)에는 제1 지지 케이스 부재(310a)와 마찬가지로 각각 제3 관통공(317a)과 제4 관통공(317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케이스 부재(310a)의 제1 관통공(315a)에는 셔터 장치(10)의 셔터판(200)(210)을 개방하기 위해 삽입되는 푸시핀(410)이 관통될 수 있다. 제1 관통공(315a)을 관통한 푸시핀(410)은 삽입부(321)의 삽입공(321a)을 관통하고, 제3 관통공(317a)을 관통할 수 있다. 이럼으로써, 삽입부(321)는 측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셔터판(200)(210)은 개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지지 케이스 부재(310a)의 제1 관통공(315a) 및 제2 관통공(315b)는 서로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고, 제2 지지 케이스 부재(310b)의 제3 관통공(317a) 및 제4 관통공(317b)은 서로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며, 제1 지지 케이스 부재(310a)와 제2 지지 케이스 부재(310b)의 제조시 금형으로부터 성형후 분리하여 냉각 과정을 거치는데, 냉각 과정중 제1 지지 케이스 부재(310a)와 제2 지지 케이스 부재(310b)는 수축할 수 있다.
제1 지지 케이스 부재(310a)와 제2 지지 케이스 부재(310b)는 수축 과정에서 변형될 소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지지 케이스 부재(310a)의 제1 관통공(315a) 및 제2 관통공(315b)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고, 특히 제2 관통공(316b)을 제1 관통공(315a)에 비해 작게 형성함으로써, 성형후 수축되는 과정에서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만일, 제1 관통공(315a)과 제2 관통공(315b)의 크기를 동일하게 하는 경우에는 제1 관통공(315a)과 제2 관통공(315b)에 의한 상하 부의 수평 길이는 동일한 크기의 제1 관통공(315a)과 제2 관통공(315b)의 횡방향 길이에 해당하므로, 그 만큼 길이가 길어지게 될 수 있다.
제1 지지 케이스 부재(310a)의 제1 관통공(315a)과 제2 관통공(315b)에 의한 상하 부의 수평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제1 관통공(315a)과 제2 관통공(315b)의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변형되기 쉬워지고, 그에 따라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관통공(315a)과 제2 관통공(315b)의 개구 면적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푸시핀(410) 및 스토퍼(332)의 삽입시 지장을 줄 수 있다.
제2 지지 케이스 부재(310b)도 제1 지지 케이스 부재(310a)와 마찬가지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즉, 제2 지지 케이스 부재(310b)의 제3 관통공(317a)와 제4 관통공(317b)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 제3 관통공(317a)와 제4 관통공(317b)에 의해 형성되는 상하 부의 수평 길이는 제3 관통공(317a)와 제4 관통공(317b)의 횡방향 길이에 해당하므로, 그 만큼 길어질 수 있다.
제3 관통공(317a)와 제4 관통공(317b)의 상하 부의 수평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제3 관통공(317a)과 제4 관통공(317b)의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변형되기 쉬어지고 그에 따라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3 관통공(317a)과 제4 관통공(317b)의 개구 면적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푸시핀(410)의 삽입시 지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제1 관통공(315a)와 제2 관통공(315b)의 크기를 달리하고, 더욱이 제2 관통공(315b)의 크기를 제1 관통공(315a)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제1 관통공(315a)에 의한 상하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성형 작업 완료후 수축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관통공(317a)과 제4 관통공(317b)의 크기를 달리하고, 더욱이 제4 관통공(317b)의 크기를 제3 관통공(317a)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제1 관통공(317a)에 의한 상하면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성형 작업 완료후 수축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록킹 부재(330)는 지지 케이스(310)에 직교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고, 따라서, 지지 케이스(310)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게 결합될 수 있다.
록킹 부재(330)는 셔터 프레임(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 부재(331), 고정 부재(331)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이동 부재(320)의 삽입부(321)에 형성된 결합공(321b)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스토퍼(33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331)는 지지 케이스(310)에 결합시, 지지 케이스(331)의 높이 방향(수직 방향)의 외주면에 끼워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331)는 자물쇠를 채울 수 있는 자물쇠 결합공(331b)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332)의 일측에는 손잡이(333)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고정 부재(331)에는 스토퍼(332)의 손잡이(333)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이동공(33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케이스 부재(310a)의 제2 관통공(315b)은 록킹 부재(330)의 스토퍼(332)가 삽입되고 이동 부재(320)의 삽입부(321)에 형성된 결합공(321b)에 삽입되어서 이동 부재(320)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MCC 본체부 안쪽면에 설치될 수 있고, 수납 유니트의 삽입시 수납 유니트의 전면에 구비된 접속 커넥터는 셔터 장치(10)의 셔터판(200)(210)을 개방하여 삽입되어서 전기 공급을 위한 부스바에 접속될 수 있다.
접속 커넥터가 셔터 장치(10)를 개방하는 경우, 접속 커넥터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푸시핀(410)은 셔터 장치(10)의 조작 유니트(300)에 접근할 수 있다.
푸시핀(410)은 조작 유니트(300)의 지지 케이스(310)안에 구비된 이동 부재(320)의 삽입부(321)에 형성된 삽입공(321a)을 관통하고, 이때 푸시핀(410)의 단부는 경사면(411)이 형성되고, 삽입공(321a)의 일측에도 경사면(321c)이 형성된 구조이므로, 푸시핀(410)의 경사면(411)이 삽입공(321a)의 경사면(321c)과 대면되며, 이 상태에서 푸시핀(410)을 계속해서 전진시키면, 푸시핀(410)의 경사면(411)에 의해 삽입부(321)는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푸시핀(410)은 삽입부(321)의 삽입공(321a)을 계속해서 관통 이동하면, 삽입부(321)는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탄성 부재(312)를 압축할 수 있다.
삽입부(321)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이동 로드(32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푸시핀(410)의 전진 이동에 따라 도면상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삽입부(321)와 동시에 이동 로드(322)가 지지 케이스(310)의 이동 통로(311)에서 가이드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이동 로드(322)가 이동하면, 지지 케이스(3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고, 이때 삽입부(321)에 의해 이동 로드(322)의 외주면에 탄지된 탄성 부재(312)는 압축될 수 있다. 탄성 부재(312)의 한쪽 단부는 이동 통로(311)의 끝단부에 형성된 걸림턱(313)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고, 삽입부(321)는 이동 통로(311)의 바깥쪽에서 지지 케이스(310)의 안쪽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아무런 간섭없이 이동할 수 있고, 이때 삽입부(321)는 이동시 탄성 부재(312)를 밀면서 이동하므로, 탄성 부재(312)는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321)의 일단부는 셔터판(200)(210)의 배면에 위치하고 있다가 삽입부(321)의 이동으로 셔터판(200)(210)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셔터판(200)(210)은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접속 커넥터는 개방 가능한 상태의 셔터판(200)(210)을 밀고 삽입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셔터판(200)(210)의 안쪽에 마련된 부스바와 전기적 접속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셔터 장치(1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셔터 장치(10)를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
셔터 장치(10)가 폐쇄된 상태일때에는 조작 유니트(300)의 삽입부(321)의 일단부가 셔터판(200)(210)의 배면에 위치한 상태이고, 이때 록킹 부재(330)의 스토퍼(332)는 삽입부(321)의 결합공(321b)에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고정 부재(331)의 자물쇠 결합공(331b)에 자물쇠를 채우면 록킹된 상태가 되므로, 셔터 장치(10)는 임의로 개방될 수 없다.
셔터 장치(10)에 록킹 수단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조건 셔터 장치(10)의 셔터판(200)(210)이 개방될 수 있고, 그러면 MCC를 유지 보수하는 경우 작업자가 개방 가능한 셔터 장치(10)를 통해 그 내부에 설치된 부스바와 접촉할 수 있으며, 전기 공급이 차단되지 않는다면 전기적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MCC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안전을 위해 셔터 장치(10)를 강제적으로 폐쇄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물쇠를 채우는 록킹 부재(33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인 지지 케이스(310)와 이동 부재(320)는 셔터 프레임(100)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다양한 타입 및 사이즈의 수납 유니트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작 유니트(300)를 셔터 프레임(100)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고, 따라서, 고객 니즈(needs)에 따라 기본형 또는 옵션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기본형은 조작 유니트(300)에서 록킹 부재(330)를 설치하지 않고 지지 케이스(310)만 마련한 구조이고, 옵션형은 록킹 부재(330)를 설치한 구조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자물쇠를 채우는 록킹 부재(330)는 지지 케이스(310)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 구조이므로,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셔터 장치(10)를 장착하는 전기 설비에 따라 자물쇠를 채우는 타입이 필요 없는 경우, 록킹 부재(330)는 필요없게 되므로, 이때에는 록킹 부재(330)를 제거하고 지지 케이스(310)만을 셔터 프레임(100)의 일측 배면에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셔터판(200)(21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이동 부재(320)는 지지 케이스(310)의 내부에 구비되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이물질이 침투할 가능성이 없고, 따라서 이물질의 침투에 의해 이동 부재(320)의 이동 동작이 비정상적인 오동작이 발생하거나 또는 동작 불능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셔터 장치에 접속 커넥터를 삽입하기 전 상태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서 셔터 장치를 개방하고 접속 커넥터를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접속 커넥터(500)를 셔터 장치(10)에 삽입하는 경우, 접속 커넥터(500)의 일측면에 결합된 푸시핀(410)을 셔터 프레임(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공(102)을 통해 삽입할 수 있다.
푸시핀(410)이 셔터 프레임(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공(102)을 통과하면 지지 케이스(310)내의 이동 부재(320)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셔터판(200)(210)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고, 이때 접속 커넥터(500)은 셔터판(200)(210)을 밀고 들어갈 수 있다. 셔터판(200)(210)을 통과한 접속 커넥터(500)은 접속 커넥터(500)에 마련된 복수의 접속 클립(510)이 부스바(도시되지 않음)와 접속되어서 전기 공급을 받을 수 있다.
10... 셔터 장치 100... 셔터 프레임
102... 관통공 103... 결합공
104... 조립공
110... 개구부 200,210... 셔터판
202,212... 힌지축
300... 조작 유니트 310... 지지 케이스
310a... 제1 지지 케이스 부재 310b... 제2 지지 케이스 부재
311... 이동 통로 312... 탄성 부재
313... 걸림턱 315a... 제1 관통공
315b... 제2 관통공 317a... 제3 관통공
317b... 제4 관통공
320... 이동 부재 321... 삽입부
321a... 삽입공 321b... 결합공
321c... 경사면 322... 이동 로드
330... 록킹 부재 331... 고정 부재
331a... 이동공 331b... 자물쇠 결합공
332... 스토퍼 333... 손잡이
410... 푸시핀 411... 경사면
500... 접속 커넥터 510... 접속 클립

Claims (12)

  1.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셔터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셔터 프레임;
    상기 셔터 프레임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셔터판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유니트는,
    상기 셔터판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셔터판에 접근 또는 이격되게 이동하는 이동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조작 유니트는,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을 저지하는 록킹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부재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토퍼; 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이동 부재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출입되는 셔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유니트는,
    상기 셔터 프레임의 일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셔터판의 배면에서 상기 이동 부재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셔터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유니트는,
    상기 셔터 프레임의 일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지지 케이스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마련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 탄지되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셔터판의 개방을 위한 푸시핀이 삽입되어 관통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셔터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이동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로드의 외주면에는 상기 탄성 부재가 탄지되며,
    상기 삽입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 로드는 상기 탄성 부재의 내부를 이동하고,
    상기 셔터판의 개방시 상기 삽입부가 이동하여 상기 탄성 부재를 압축하며,
    상기 상기 셔터판의 폐쇄시 상기 삽입부가 상기 압축된 탄성 부재의 반발력에 의해 자동 복귀되는 셔터 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손잡이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스토퍼의 손잡이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이동공이 형성되는 셔터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스토퍼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자물쇠를 채울 수 있는 자물쇠 결합공이 형성되는 셔터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판을 개방하기 위한 푸시핀이 마련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셔터판의 배면에 대면되어서 셔터판의 개방을 저지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핀의 일단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는 상기 푸시핀의 경사면과 대면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푸시핀은 상기 셔터판의 개방을 위해 상기 삽입공을 관통하는 경우,
    상기 푸시핀의 경사면과 상기 삽입공의 경사면이 대면되고, 경사면에 의해 이동 부재는 상기 셔터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셔터판이 개방되는 상태가 되며, 상기 개방 상태의 셔터판을 밀어서 개방하는 셔터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유니트는,
    상기 셔터 프레임에 구비되는 지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하며,
    상기 지지 케이스와 이동 부재는 상기 셔터 프레임의 배면에 구비되며,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 커넥터가 상기 셔터판을 개방하면서 삽입되고,
    상기 접속 커넥터의 일측에는 푸시핀이 구비되며,
    상기 접속 커넥터를 삽입하면, 상기 푸시핀이 상기 이동 부재를 관통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셔터판을 개방하는 셔터 장치.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유니트는,
    상기 셔터 프레임의 배면에 마련되고, 상기 이동 부재가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셔터판의 개방을 위한 푸시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가지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이동 로드;
    상기 이동 로드의 외주면에 탄지되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핀의 삽입으로 상기 이동 부재가 셔터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이동하면, 상기 이동 부재의 삽입부는 상기 탄성 부재를 압축하면서 이동하고, 상기 이동 로드는 상기 지지 케이스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셔터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유니트는,
    상기 셔터 프레임의 배면에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이동 부재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 케이스;
    상기 이동 부재의 일측에 탄지되는 탄성 부재;
    상기 지지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탄성 부재의 단부를 지지하는 걸림턱;
    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에는 상기 탄성 부재와 걸림턱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관통하면서 왕복 이동하는 이동 로드가 형성되는 셔터 장치.
KR1020210053895A 2021-04-26 2021-04-26 Mcc용 셔터 장치 KR102523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895A KR102523893B1 (ko) 2021-04-26 2021-04-26 Mcc용 셔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895A KR102523893B1 (ko) 2021-04-26 2021-04-26 Mcc용 셔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950A KR20220146950A (ko) 2022-11-02
KR102523893B1 true KR102523893B1 (ko) 2023-04-26

Family

ID=84043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895A KR102523893B1 (ko) 2021-04-26 2021-04-26 Mcc용 셔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8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3527A (ja) 2004-08-24 2006-03-09 Bunka Shutter Co Ltd シャッター用サイドフレーム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462A (ko) * 1995-06-30 1997-01-29 김광호 무선전화기의 이상상태 검출회로
KR200354939Y1 (ko) 2004-03-26 2004-07-01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배전반의 셔터 배리어
KR102095937B1 (ko) * 2013-03-05 2020-04-01 조규완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KR101602920B1 (ko) * 2014-02-17 2016-03-11 주식회사 엘스콤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KR101659327B1 (ko) * 2014-02-26 2016-09-30 윤여관 자동 록킹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3527A (ja) 2004-08-24 2006-03-09 Bunka Shutter Co Ltd シャッター用サイドフレーム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950A (ko)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8559B2 (en) Power outlet with jack safety shield device
EP0577111B1 (en) Safety shutter device for drawout type switch gear
EP0631347A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liding cam
US10468807B2 (en) Tamper resistant mechanism for electrical wiring devices
MX2008012440A (es) Ensamble de conector electrico con auxiliar de empalme y una cubierta de funda de alambre.
EP2609658B1 (en) Electrical connector
US7172468B2 (en) Divided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it
CN102891053A (zh) 带有可多阶段定位的盖的模块化开式熔断器保持器
JP2018206617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10454199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CN101211699B (zh) 用于断路器的钥匙锁装置
KR101528602B1 (ko)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mcc
WO2013178773A1 (en) Electrical connector
US6935904B2 (en) Connector
KR102523893B1 (ko) Mcc용 셔터 장치
JPH11250973A (ja) コネクタの係止構造
CN1054002C (zh) 电气插座
KR20150089777A (ko) 배전반
KR100932421B1 (ko) 배전반 유니트 인출장치
US7431596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mold removal hole
EP2656449B1 (en) Water proof connector assembly
US6864444B2 (en) Locking device
KR20210001980A (ko) 피드백을 갖는 정합 보조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JP4656911B2 (ja) コネクタ
AU2003204259B2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