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777A - 배전반 - Google Patents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777A
KR20150089777A KR1020140010777A KR20140010777A KR20150089777A KR 20150089777 A KR20150089777 A KR 20150089777A KR 1020140010777 A KR1020140010777 A KR 1020140010777A KR 20140010777 A KR20140010777 A KR 20140010777A KR 20150089777 A KR20150089777 A KR 20150089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terlock
interlock bar
plat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4280B1 (ko
Inventor
이한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0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280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차단기가 테스트위치 및 운전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배전반케이스; 상기 배전반케이스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상기 차단기가 상기 운전위치로 이동 시 상기 도어가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인터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인터록장치는, 상기 배전반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잠금위치와 도어잠금해제위치로 왕복 직선이동하는 인터록바; 일측이 차단기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의 운전위치로 이동 시 회전되고, 타측이 상기 인터록바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인터록바를 상기 도어잠금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유닛; 일단부가 상기 인터록바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가 상기 테스트위치로 이동 시 상기 인터록바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이 제공된다. 이에 의해, 구조가 단순하고 도어 인터록 동작의 정확성 및 반복 구현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반{SWITCHBOARD}
본 발명은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配電盤 ; switchboard)은 발전소나 변전소 또는 전기시설이 되어 있는 곳에 설치되어, 전기계통의 감시·제어·보호 등을 행하는 기기이다.
상기 발전소 및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배전반 내에 차단기 및 안전장치·계기·표시등·계전기(繼電器) 등의 여러 전기기기가 배치되어, 전로의 개폐나 기기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는 배전반의 차단기실 내부에 수납되어 사용되며, 크게 2가지 위치로, 즉 운전(RUN)위치와 테스트(TEST)위치로 나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가 배전반 내부에서 후방의 운전위치로 이동되는 경우에, 차단기의 후방에 구비된 터미널이 배전반의 배면에 구비된 단자에 접속되어, 차단기의 주회로부를 통해 부하측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가 배전반 내부에서 전방의 테스트위치로 이동되는 경우에, 차단기의 후방에 구비된 터미널이 배전반의 배면에 구비된 단자로부터 분리되어, 차단기의 동작만을 테스트할 수 있을 뿐 차단기의 주회로부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차단기가 테스트위치에 있을 경우에 사용자가 차단기실의 문을 열어도 차단기 내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감전 등의 위험에 노출될 염려가 없다.
하지만, 일반적인 배전반의 경우, 차단기가 운전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임의로 차단기실의 문을 열 수 있으므로, 고전압이 차단기의 주회로부에 인가될 경우에 차단기의 고전압 전류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차단기가 테스트위치에 있을때에만 차단기실의 문이 열리고, 차단기가 운전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차단기실의 문이 열리지 않도록 하는 도어 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하기 특허문헌 D1 참조)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도 1은 상기 특허 D1에 따른 도어 락 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상기 도어 락 장치의 일 구성요소인 록바(1)(lock bar)는, 일단부가 회전플레이트(2)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단이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단에서 상하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자유단이며, 상기 회전플레이트(2)와 연동하여 도어잠금해제위치에서 도어잠금위치로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도어 락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차단기가 배전반 후방의 운전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 차단기본체의 전면커버(6) 상단에 결합된 록플레이트(7)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플레이트(2)의 일단부를 가압한다(S1).
가압된 회전플레이트(2)는 회전핀(3)을 중심으로 회전하며(S2), 록바(1)의 타단부가 하강하여 도어(4)에 부착된 도어록(5)의 가이드홀(5a)에 삽입된다(S3).
상기 도어록(5)(door lock)이 록바(1)(lock bar)에 의해 걸림으로 차단기가 운전위치에 있는 경우에 도어(4)가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 D1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록바(1)는, 고정단과 자유단 사이의 길이가 길고 그 길이에 비해 직경이 작으므로, 외부 충격에 의한 작은 휨 발생 등으로 인해 록바(1)의 록킹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어록(5)은 고정단과 자유단 사이의 길이가 길고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외부 충격에 의한 작은 휨 발생 등으로 인해 도어록(5)의 가이드홀(5a)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록플레이트(7)의 반복하중에 의한 휨이나 조립공차 등으로 인해 록바(1)의 삽입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어(4) 락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도어(4) 락 동작이 불완전함으로 인해 도어(4) 락 동작이 이루어졌더라도 도어(4) 개방 동작 시 록바(1)가 도어록(5)의 가이드홀(5a)에서 이탈되어, 도어(4) 락 장치의 본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D1 : 등록특허 10-116808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외부충격 등에 의한 휨 발생이 적고, 반복하중 및 조립공차 등에 의한 인터록바의 변형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도어인터록장치를 구비한 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배전반케이스, 도어, 도어인터록장치를 포함하는 배전반이 제공된다.
상기 배전반케이스에 차단기가 테스트위치 및 운전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배전반케이스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인터록장치는, 상기 차단기가 상기 운전위치로 이동 시 상기 도어가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인터록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 인터록바, 회전유닛,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배전반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잠금위치와 도어잠금해제위치로 왕복 직선이동할 수 있다.
상기 회전유닛은, 일측이 차단기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의 운전위치로 이동 시 회전되고, 타측이 상기 인터록바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인터록바를 상기 도어잠금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인터록바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가 상기 테스트위치로 이동 시 상기 인터록바를 원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일측이 도어핸들과 연결되어 승강이동하고, 타측에 걸림홈이 형성된 도어록킹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가 상기 운전위치로 이동 시 상기 인터록바의 타단부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고, 상기 인터록바에 의해 걸림으로 상기 도어록킹플레이트의 상승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인터록장치는, 상기 배전반케이스의 측면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는 플레이트 구조이고, 상기 배전반케이스의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도어의 열림방향 및 닫힘방향으로 수평하게 직선이동할 수 있다.
상기 록킹플레이트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승강이동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은, 상기 인터록바의 타단부가 삽입가능하게 상기 록킹플레이트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일측 테두리단부 내측면에서 돌출형성된 테두리커버부재와, 상기 테두리커버부재에 상기 인터록바와 교차되게 형성되어 상기 인터록바가 관통하는 가이드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는, 상기 차단기본체의 일측 모서리부 측면에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측면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유닛은, 돌출부 및 가압돌기가 구비된 회전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면커버의 이동경로와 교차되도록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테두리부의 일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차단기가 운전위치로 이동시 상기 측면커버로부터 가압됨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테두리부의 타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인터록바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인터록바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측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리세스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리세스부에 비해 폭이 좁고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긴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슬라이드홀; 및 상기 슬라이드홀을 통해 상기 리세스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터록바본체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배전반케이스에 구비되어, 위급상황 시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 인터록바를 해제시키는 해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전반에서는 컴팩트(COMPACT)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도어 인터록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홀 및 지지부재를 통해 인터록바의 직진성이 유지되고, 인터록바의 이동거리가 짧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의한 변형 발생을 제거하여 도어 인터록의 불완전 동작 및 동작 불능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인터록 동작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인터록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인터록바 및 회전플레이트의 구조가 매우 단순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매개물을 제거하여 조립공차 및 반복하중 등에 의한 변형발생 및 동작의 부조화 요인을 제거하고 도어잠금기능을 안정적으로 발휘하여 감전 등 안전사고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인터록 모듈의 사이즈가 작고 설치공간이 감소되며, 배전반케이스의 측면 밀착형으로 차단기 조작케이블 덕트 등 타 조작기기와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인터록장치가 차단기실 도어를 개방하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곳에 위치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 락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차단기가 테스트위치에 있는 경우를 보여주는 배전반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차단기가 운전위치에 있는 경우를 보여주는 배전반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핸들과 록킹플레이트가 잠금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핸들과 록킹플레이트가 잠금해제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인터록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인터록장치의 인터록 동작 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인터록 동작 전 회전플레이트 및 인터록바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인터록장치의 인터록 동작 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인터록 동작 후 회전플레이트와 인터록바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서 인터록 동작 후 회전플레이트 및 인터록바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서 차단기가 테스트위치에 있는 경우를 보여주는 배전반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차단기가 운전위치에 있는 경우를 보여주는 배전반의 내부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핸들과 록킹플레이트가 잠금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핸들과 록킹플레이트가 잠금해제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면서 도어인터록장치(130)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배전반(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배전반(100)은 차단기(120)가 내장된 배전반케이스(101)와, 배전반케이스(101)에 결합되는 도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전반케이스(101)는 직사각체 형태의 박스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전반케이스(101)의 내부에 차단기(120)를 수납하기 위한 차단기실(10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실(102)은 배전반케이스(101)의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0)는 일측 모서리에 힌지를 구비하여 배전반케이스(101)의 일측 모서리에 힌지 구조로 결합되고, 여닫이문 등과 같이 회전됨으로 배전반케이스(101)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110)는 타측 모서리와 인접한 전면 가장자리부에 도어핸들(1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핸들(111)의 상단부는 도어(110)에 힌지 구조로 결합되어, 이의 하단부가 전방으로 회전가능한 구조이며, 도어핸들(111)이 사용자의 손으로 앞으로 당겨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핸들(111)을 놓으면 도어핸들(111)에 내장된 스프링 등과 같은 동작복귀수단에 의해 원래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0)의 측면에 도어잠금유닛이 구비될 수 있고, 도어잠금유닛은 도어핸들(111)과 연동되어 도어잠금위치 및 도어잠금해제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0)는 도어잠금유닛에 의해 배전반케이스(101)에 잠기거나 또는 배전반케이스(101)로부터 분리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핸들(111)을 앞쪽으로 잡아당기면 도어잠금유닛이 배전반케이스(101)로부터 잠금해제되어 도어(110)가 개방될 수 있다.
반대로, 도어(110)를 닫은 후 도어핸들(111)을 원위치시키면 도어잠금유닛에 의해 도어(110)가 잠금상태로 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0)의 타측 테두리부의 배면에 테두리커버부재(112)가 상하수직방향의 모서리를 따라 연속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커버부재(112)의 후면부는 도어(110)전면패널과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커버부재(112)의 내측에 록킹플레이트(113)가 상하수직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록킹플레이트(113)는 도어(110)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록킹플레이트(113)는 상단부가 도어핸들(111)과 연결되어, 상하로 승강이동될 수 있다.
상기 록킹플레이트(113)의 하측에 걸림홈(114)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120)는 차단기본체(121), 트럭어셈블리, 전면커버(125), 측면커버(126), 터미널(122), 트럭어셈블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본체(121)는 진공용기 내에 가동접점부 및 고정접점부를 구비하여 통전경로를 개폐하는 진공인터럽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본체(121)의 후방에 터미널(122)이 구비되고, 배전반케이스(101)의 후방에 단자(1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본체(121)가 배전반케이스(101)의 후방, 즉 운전위치로 이동될 경우에 상기 터미널(122) 및 단자(123)가 접속됨으로 차단기(120)의 주회로부를 통해 부하측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기본체(121)가 배전반케이스(101)의 전방, 즉 테스트위치로 이동될 경우에 상기 터미널(122) 및 단자(123)가 분리됨으로 차단기(120)의 주회로부에 전류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본체(121)는 트럭어셈블리에 의해 배전반케이스(101) 내에서 전후방향, 즉 테스트위치(전방) 및 운전위치(후방)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트럭어셈블리는 차단기본체(121)의 하단부를 받쳐주기 위한 이동프레임과, 이동프레임의 양측 측면 모서리부에 이동바퀴를 구비하여, 차단기본체(121)를 배전반케이스(101)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본체(121)의 측면에 측면플레이트(1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본체(121)의 전면에는 전면커버(1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125)의 앞쪽면에 차단기(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125)의 양측 단부에 측면커버(126)가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면커버(126)의 측면은 차단기본체(121)의 측면플레이트(124)에 비해 측방향으로 더 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커버(126)는, 배전반케이스(101)의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커버(126)는, 차단기본체(121)와 일체로 연결되어 차단기본체(121)와 함께 테스트위치 및 운전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배전반케이스(101)의 내부 측면에 차단기 인입레일(10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 인입레일(103)은 배전반케이스(101)의 내부 하측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배전반(100) 내부로 차단기(120)의 인입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기(120)가 배전반케이스(101)의 개방부를 통해 인입될 경우 트럭어셈블리의 이동바퀴가 차단기 인입레일(103)에 삽입되어 레일을 따라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차단기(120)를 배전반케이스(101)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 인입레일(103)은, 일측이 도어(110)의 수직면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타측이 배전반케이스(101)의 배면과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차단기실(102)의 양측 저면에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기 인입레일(103)은 배전반케이스(101)의 입구단에서 차단기(120)의 이동거리까지 연장형성되어, 차단기(120)가 운전위치 및 테스트위치로 직선이동하는 것을 원활하게 안내 및 유지할 수 있다.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인터록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인터록장치(130)는 록킹플레이트(113)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인터록바(132) 모듈 및 차단기(120)와 연동되는 회전유닛(13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132) 모듈은 베이스플레이트(131), 인터록바(132), 지지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31)는 차단기 인입레일(103)의 일면(一面)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31)는 배전반케이스(101)의 일 측면 내측에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31)의 상하 폭방향의 중간부에 리세스부(131a)가 측방향 안쪽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부(131a)는 베이스플레이트(13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132)는 리세스부(131a)에 삽입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132)는 리세스부(131a)의 상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더 좁고 베이스플레이트(131)의 전후방향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더 길고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132)는 베이스플레이트(131)에 전후방향으로 직선이동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132)는 복수의 슬라이드홀(13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홀(133)은 인터록바(132)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홀(133)은 단축방향(인터록바(132)의 상하폭방향)에 비해 장축방향(인터록바(132)의 전후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인터록바(132)의 슬라이드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132)는 지지부재(134)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4)는 축부(134a) 및 이탈방지돌기(13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부(134a)는 슬라이드홀(133)을 관통하여 인터록바(132)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축부(134a)는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축부(134a)의 외경은 슬라이드홀(133)의 단축방향 길이보다 약간 작아 슬라이드홀(133)을 통해 축부(134a)의 삽입을 허용할 뿐 아니라 인터록바(132)의 슬라이드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4)의 축부(134a)는 슬라이드홀(133)의 간격과 동일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록바(132)가 전방(도면에서 왼쪽임)으로 최대한 이동하면 슬라이드홀(133)의 오른쪽 끝면이 지지부재(134)의 축부(134a)에 걸리고, 상기 인터록바(132)가 후방(도면에서 오른쪽임)으로 최대한 이동하면 슬라이드홀(133)의 왼쪽 끝면이 지지부재(134)의 축부(134a)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탈방지돌기(134b)는, 축부(134a)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로 돌출형성되어 인터록바(132)가 축부(134a)에서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110)의 테두리커버부재(112)의 후면부에 가이드홀(112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12a)은 록킹플레이트(113)의 걸림홈(114)과 함께 인터록바(132)의 수평이동경로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12a)은 록킹플레이트(113)의 걸림홈(114)과 인터록바(132)의 전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록킹플레이트(113)의 걸림홈(114)은 도어(110)의 아우터패널과 도어(110)의 내측 테두리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록킹플레이트(113)가 하강하는 경우에 걸림홈(114)이 가이드홀(112a)과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록킹플레이트(113)가 최저로 하강하는 경우에, 걸림홈(114)이 가이드홀(112a)과 전후방향의 일직선으로 이격되게 혹은 좁은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록킹플레이트(113)가 최저 높이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인터록바(132)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가이드홀(112a)을 관통하여 록킹플레이트(113)의 걸림홈(114)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112a)은 록킹플레이트(113)가 최대한 하강했을 때 위치하는 걸림홈(114)과 인터록바(132) 사이의 연장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유닛(135)은 회전플레이트(1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플레이트(136)는 베이스플레이트(13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플레이트(136)는 배전반케이스(101)의 내부에서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플레이트(136)는 힌지축(137)에 의해 차단기 인입레일(103)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회전플레이트(136)는 수평하게 유지된 상태로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137)은 차단기 인입레일(103)에 베이스플레이트(131)의 후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137)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플레이트(136)를 자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플레이트(136)는 일측에 돌출부(136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플레이트(136)의 최대회전반경은 힌지축(137)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최대한 먼 곳에 위치한 돌출부(136a)의 정점까지의 거리에 따라 한정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6a)는 회전플레이트(136)의 가장자리 일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차단기(120)에 부착된 측면커버(126)의 이동경로와 교차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120)가 운전위치로 이동될 경우에 측면커버(126)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플레이트(136)의 돌출부(136a)를 후방으로 때려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플레이트(136)는 돌출부(136a)를 통해 측면커버(126)로부터 가압력을 받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6a)는 회전플레이트(136)의 테두리부의 일부이며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측면커버(126)의 이동 중 측면커버(126)와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플레이트(136)의 회전운동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플레이트(136)는 타측에 가압돌기(136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압돌기(136b)는 인터록바(132)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인터록바(132)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돌기(136b)는 후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플레이트(136)는, 가압돌기(136b)의 끝에서 반경방향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136c)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록바(132)의 후단부가 탄성부재(139)에 의해 후방으로 이끌리도록 탄성지지되어 가압돌기(136b)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39)의 일례로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부는 인터록바(132)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형성된 스프링고정홀을 통해 연결되고, 코일스프링의 타단부는 베이스플레이트(131)의 후단부에 형성된 스프링고정홈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록바(132)의 일단부와 가압돌기(136b)의 접촉지지되는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인터록바(132)의 일단부에 접촉부(13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38)는 인터록바(132)의 일단부에서 측방향 안쪽으로 벤딩되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38)는 그 끝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게 테이퍼짐으로 그 끝면이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접촉돌기(138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138a)는 회전플레이트(136)의 수용홈(136c)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138a)는 탄성부재(139)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끌리어 가압돌기(136b)에 밀착될 수 있다.
한편, 평상 시, 즉 차단기(120)가 테스트위치에 있는 경우에 회전플레이트(136)의 돌출부(136a)는 차단기본체(121)의 측면플레이트(124)에 접촉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면플레이트(124)는 스톱퍼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138a)가 탄성부재(139)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돌기(136b)에 밀착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136)의 돌출부(136a)는 측면플레이트(124)에 의해 가로 막혀 반시계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하는 못하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138a)는 가압돌기(136b)의 회전반경 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138a)는 가압돌기(136b)에서 시계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136c)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6a)가 차단기(120)의 측면플레이트(124)에 접촉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돌기(136b)의 끝단은 접촉부(138)에서 쐐기형상의 접촉돌기(138a)가 시작되는 지점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120)가 운전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 차단기본체(121)의 측면커버(126)가 후방 이동하면서 돌출부(136a)를 때림으로 회전플레이트(13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플레이트(13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압돌기(136b)가 회전플레이트(136)와 연동하여 동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돌기(136b)가 힌지축(137)을 중심으로 측방향 안쪽으로 회전하여 접촉돌기(138a)의 쐐기형 경사면을 가압하면, 인터록바(132)는 전후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므로, 인터록바(132)는 접촉돌기(138a)의 쐐기형 경사면 구조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플레이트(136)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은 차단기본체(121)의 앞쪽에 위치한 측면커버(126)와 차단기본체(121)의 측면에 위치한 측면플레이트(124)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플레이트(136)의 돌출부(136a)를 접선방향으로 가압함으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기(120)가 테스트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 회전플레이트(136)의 돌출부(136a)가 탄성부재(139)의 탄성력에 의해 차단기본체(121)의 측면플레이트(124)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반대로, 차단기(120)가 운전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 회전플레이트(136)의 돌출부(136a)가 측면커버(126)로부터 동력을 받아 탄성부재(139)의 탄성력을 이기고 시계방향으로 회전면서 측면커버(126)를 타고 올라가 측면커버(126)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플레이트(136)의 가압돌기(136b)가 인터록바(132)의 접촉부(138)에서 쐐기형상의 접촉돌기(138a)를 가압함으로, 회전플레이트(136)의 회전운동이 인터록바(132)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되어 인터록바(132)가 도어잠금해제위치에서 도어잠금위치로, 즉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도어(110) 인터록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인터록장치의 인터록 동작 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인터록 동작 전 회전플레이트 및 인터록바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인터록장치의 인터록 동작 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인터록 동작 후 회전플레이트와 인터록바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에서 인터록 동작 후 회전플레이트 및 인터록바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상기 차단기(120)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운전위치에 있으면 록킹플레이트(113)가 인터록바(132)에 의해 걸림으로 도어핸들(111)이 도어잠금해제위치로 당겨지는 것이 불가능하다.
상기 도어(110) 인터록 동작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상기 차단기(120)가 후방 이동하면 차단기본체(121)의 측면커버(126)가 후방으로 이동한다(S1).
계속해서, 상기 측면커버(126)는 회전플레이트(136)의 돌출부(136a)를 접선방향으로 때림으로 회전플레이트(136)가 회전하여, 회전플레이트(136)의 돌출부(136a)가 측면커버(126) 위를 타고 올라간 상태로 유지된다(S2).
이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136)의 가압돌기(136b)가 인터록바(132)의 일단부를 가압함으로 인터록바(132)가 전방으로 직선이동된다(S3).
계속해서, 상기 인터록바(132)의 타단부가 도어(110)테두리부재의 가이드홀(112a)을 통과하여 록킹플레이트(113)의 걸림홈(114)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상기 록킹플레이트(113)가 인터록바(132)에 의해 걸림으로 록킹플레이트(113)와 연동되는 도어핸들(111)를 잠금상태로 유지되어, 사용자가 도어(110)를 임의로 개방할 수 없다.
따라서, 차단기(120)가 운전위치로 이동되는 경우에 위급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도어(110)가 열리지 않으므로 감전 등 안전사고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10)의 측면 모서리부에 인터록바(132) 해제홀(112b)이 구비되어, 위급 상황 시 인터록바(132) 해제홀(112b)을 통해 해제용 핀을 삽입하여 인터록바(132)를 걸림홈(114)에서 분리함으로 도어(110)를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록바(132)가 슬라이드홀(133)을 구비하고, 일직선으로 이격 배치된 지지부재(134)에 의해 인터록바(132)의 양측이 지지되므로, 인터록바(132)의 슬라이드 동작을 반복적으로 구현가능함으로써, 인터록바(132)의 변형 등에 의한 동작 불능 및 불완전 동작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홀(133)의 장축방향 거리는 매우 짧고, 인터록바(132)의 이동하는 도어잠금위치와 도어잠금해제위치 사이의 이동거리도 매우 짧으므로, 선행기술 대비 인터록바(132)의 이동 시 반복하중 및 조립공차 등으로 인한 동작 불능 및 불완전 동작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록바(132)가 직선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드홀(133)이 인터록바(132)의 직진성을 안내하므로, 인터록 동작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인터록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록바(132) 및 회전플레이트(136)의 구조가 매우 단순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매개물을 제거하여 조립공차 및 반복하중 등에 의한 변형발생 및 동작의 부조화 요인을 제거하고 도어(110)잠금기능을 안정적으로 발휘하여 감전 등 안전사고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선행특허의 도어(110) 인터락은 차단기실(102) 상부의 케이블 덕트(104)공간 내에 차단기(120) 조작케이블의 인입 방향과 일치하게 설치되어, 도어(110) 인터록이 케이블과 간섭없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므로, 차단기 조작케이블 덕트(104) 설계 시 레이아웃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인터록장치(130)는 모듈 사이즈가 작고 설치공간을 줄이며, 배전반케이스(101)의 측면 밀착형으로 차단기 조작케이블 덕트(104) 등 타 조작기기와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선행특허의 도어(110) 인터락 장치를 수리 및 교체하기 위해서는 차단기실(102) 상부에 적층된 저압반 및 타 차단기실(102) 등의 해체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인터록장치(130)는 차단기실(102) 도어(110)를 개방하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곳에 위치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 : 배전반
101 : 배전반케이스
102 : 차단기실
103 : 차단기 인입레일
104 : 차단기 조작케이블 덕트
110 : 도어
111 : 도어핸들
112 : 테두리커버부재
112a : 가이드홀
112b : 해제홀
113 : 록킹플레이트
114 : 걸림홈
120 : 차단기
121 : 차단기본체
122 : 터미널
123 : 단자
124 : 측면플레이트
125 : 전면커버
126 : 측면커버
130 : 도어인터록장치
131 : 베이스플레이트
131a : 리세스부
132 : 인터록바
133 : 슬라이드홀
134 : 지지부재
134a : 축부
134b : 이탈방지돌기
135 : 회전유닛
136 : 회전플레이트
136a : 돌출부
136b : 가압돌기
136c : 수용홈
137 : 힌지축
138 : 접촉부
138a : 접촉돌기
139 : 탄성부재

Claims (9)

  1. 차단기가 테스트위치 및 운전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배전반케이스;
    상기 배전반케이스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상기 차단기가 상기 운전위치로 이동 시 상기 도어가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인터록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인터록장치는,
    상기 배전반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잠금위치와 도어잠금해제위치로 왕복 직선이동하는 인터록바;
    일측이 차단기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의 운전위치로 이동 시 회전되고, 타측이 상기 인터록바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인터록바를 상기 도어잠금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유닛;
    일단부가 상기 인터록바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가 상기 테스트위치로 이동 시 상기 인터록바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측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리세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록바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리세스부에 비해 폭이 좁고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긴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슬라이드홀; 및
    상기 슬라이드홀을 통해 상기 리세스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터록바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는, 상기 차단기본체의 일측 모서리부 측면에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측면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유닛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측면커버의 이동경로와 교차되도록 테두리부의 일측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차단기가 운전위치로 이동시 상기 측면커버로부터 가압되어 회전하는 회전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테두리부의 타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인터록바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인터록바를 직선 이동시키는 가압돌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바는, 일단부의 일부가 측방향으로 벤딩되어 연장형성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끝단에서 상기 가압돌기의 회전반경 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쐐기형상의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일측이 도어핸들과 연결되어 승강이동하고, 타측에 걸림홈이 형성된 도어록킹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기가 상기 운전위치로 이동 시 상기 인터록바의 타단부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고, 상기 인터록바에 의해 걸림으로 상기 도어록킹플레이트의 상승동작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인터록장치는, 상기 배전반케이스의 측면 하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바는 플레이트 구조이고, 상기 배전반케이스의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도어의 열림방향 및 닫힘방향으로 수평하게 직선이동가능하고,
    상기 록킹플레이트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승강이동가능하며,
    상기 걸림홈은, 상기 인터록바의 타단부가 삽입가능하게 상기 록킹플레이트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일측 테두리단부 내측면에서 돌출형성된 테두리커버부재와, 상기 테두리커버부재에 상기 인터록바와 교차되게 형성되어 상기 인터록바가 관통하는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측면에 인터록바 해제홀을 구비하여, 위급상황 시 상기 해제홀을 통해 해제용 핀을 삽입함으로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 인터록바를 분리 및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KR1020140010777A 2014-01-28 2014-01-28 배전반 KR101604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777A KR101604280B1 (ko) 2014-01-28 2014-01-28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777A KR101604280B1 (ko) 2014-01-28 2014-01-28 배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777A true KR20150089777A (ko) 2015-08-05
KR101604280B1 KR101604280B1 (ko) 2016-03-17

Family

ID=53886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777A KR101604280B1 (ko) 2014-01-28 2014-01-28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28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2850A (zh) * 2019-08-26 2019-12-06 南平德赛技术装备有限公司 一种24千伏断路器转盘式自动检测系统
KR102166909B1 (ko) * 2019-05-31 2020-10-16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
CN115565812A (zh) * 2022-10-25 2023-01-03 电光防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矿用隔爆兼本质安全型低压永磁机构真空馈电开关
KR20230000291U (ko) * 2021-07-30 2023-02-07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 도어
WO2024210313A1 (ko) * 2023-04-04 2024-10-10 엘에스일렉트릭 (주) 차단기용 가이드 레일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493B1 (ko) * 2010-02-02 2010-05-14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진공차단기반 케이스 도어 잠금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909B1 (ko) * 2019-05-31 2020-10-16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
CN110542850A (zh) * 2019-08-26 2019-12-06 南平德赛技术装备有限公司 一种24千伏断路器转盘式自动检测系统
CN110542850B (zh) * 2019-08-26 2021-10-12 南平德赛技术装备有限公司 一种24千伏断路器转盘式自动检测系统
KR20230000291U (ko) * 2021-07-30 2023-02-07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 도어
CN115565812A (zh) * 2022-10-25 2023-01-03 电光防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矿用隔爆兼本质安全型低压永磁机构真空馈电开关
CN115565812B (zh) * 2022-10-25 2023-11-07 电光防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矿用隔爆兼本质安全型低压永磁机构真空馈电开关
WO2024210313A1 (ko) * 2023-04-04 2024-10-10 엘에스일렉트릭 (주) 차단기용 가이드 레일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280B1 (ko) 201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280B1 (ko) 배전반
US9685282B2 (en) Door interlock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KR101191159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EP2228878B1 (en) Circuit breaker with apparatus for preventing withdrawing or inserting of carriage of circuit breaker
KR101158653B1 (ko) 접지 스위치의 인터록 장치
CN103380553A (zh) 用于电开关装置的可抽出单元
KR102517740B1 (ko) 배전반의 도어 잠금 장치
KR101993450B1 (ko)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KR101602920B1 (ko)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KR102166909B1 (ko) 배전반
US9595817B2 (en) Transformer position adjustment preventing device of switchboard
KR101033271B1 (ko) 기기간 기계적 전기적 인터록에 의한 안전 시스템
KR101650698B1 (ko)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RU2619763C2 (ru) Выдвижная рам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выдвижного коммутационного аппарата, а также блок из выдвижной рамы и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выдвижного коммутационного аппарата
KR100852436B1 (ko) 진공차단기의 도어 및 투입 인터록장치
EP2482399B1 (en) Interlocks for withdrawable circuit breakers
KR200461615Y1 (ko) 배전반 차단기의 도어 잠금 장치
EP2639902A1 (en) Draw-out switching device
KR100954559B1 (ko)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동작표시형 배전반
KR101650697B1 (ko)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101941481B1 (ko) 전장박스 도어의 인터록 장치
CN113711451A (zh) 具有位置锁定装置的配电盘
KR102237722B1 (ko) 차단기의 위치 잠금장치
CN104953496A (zh) 用于挡板的联锁系统
KR200478313Y1 (ko) 진공차단기의 셔터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