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022B1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Google Patents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6022B1 KR101586022B1 KR1020150042170A KR20150042170A KR101586022B1 KR 101586022 B1 KR101586022 B1 KR 101586022B1 KR 1020150042170 A KR1020150042170 A KR 1020150042170A KR 20150042170 A KR20150042170 A KR 20150042170A KR 101586022 B1 KR101586022 B1 KR 1015860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ing
- gear
- shaft
- storage unit
- housing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73—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drawer typ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 상태가 오프 상태일 경우에만 수납유닛을 조작하여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수납유닛의 현재 위치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판(12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수납유닛(110)과; 상기 수납유닛(110)의 내부에 갖추어져서 수납유닛(1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납유닛 조작 구조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유닛 조작 구조체(200)는, 상기 수납유닛(110)을 이동시키도록 나선홈(212)이 형성되는 이동축(210)과; 상기 이동축(210)의 회전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이동축(210)의 연결축(211)으로부터 구비되는 기어 조립체(220)와; 차단기가 OFF 상태일때, 상기 차단기 조작핸들(130)의 핸들축(131)에 의해 조작되어서 수납유닛(110)을 인출 또는 삽입시, 좌,우로 움직여서 이동축(210)을 회전시키도록 이동축(210)과 연결된 연결축(211)을 개폐시키는 링크 조립체(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정판(12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수납유닛(110)과; 상기 수납유닛(110)의 내부에 갖추어져서 수납유닛(1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납유닛 조작 구조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유닛 조작 구조체(200)는, 상기 수납유닛(110)을 이동시키도록 나선홈(212)이 형성되는 이동축(210)과; 상기 이동축(210)의 회전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이동축(210)의 연결축(211)으로부터 구비되는 기어 조립체(220)와; 차단기가 OFF 상태일때, 상기 차단기 조작핸들(130)의 핸들축(131)에 의해 조작되어서 수납유닛(110)을 인출 또는 삽입시, 좌,우로 움직여서 이동축(210)을 회전시키도록 이동축(210)과 연결된 연결축(211)을 개폐시키는 링크 조립체(2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기 상태가 오프 상태일 경우에만 수납유닛을 조작하여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수납유닛의 현재 위치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CC(Motor Control Center)(전동기 제어반)는 모터를 운전함에 있어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모터 제어장치이다.
이러한 MCC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차단기, 복수의 커넥터(1차 내지 3차 커넥터), 릴레이, CT(current transformer) 등이 구비되고, 이러한 구조의 기능은 보수관리의 난이도 및 안전성을 좌우한다.
이러한 MCC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C(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납유닛(10)들이 인출가능하도록 서랍식으로 구비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수납유닛(10)들을 인출함에 따라 차단기 및 커넥터의 분리가 이루어져서 전기적 접속상태가 해제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납유닛(10)은 전면도어(11)에 차단기를 조작하는 조작핸들(12)과, 유닛 수용실에 수납유닛(10)을 꺼내거나 넣을 수 있는 인출핸들(13)이 갖추어져 있다.
상기 조작핸들(12)에 의한 차단기의 조작은, 예를 들어 등록실용신안 제 20-458158호(특허문헌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작핸들(12)과 샤프트를 통해 연동되는 플레이트를 마련하고, 이 플레이트의 단부에 형성된 푸시돌기가 암의 잠홈에 끼워져서 원호방향으로 회전하면, 암의 홀에 끼워져 있는 차단기의 스위치가 좌우로 이동하여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는, 등록특허 제 10-1667926호(특허문헌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작 손잡이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되는 조작레버를 조작핸들과 연결되도록 하고, 이 조작핸들내에는 차단기의 스위치와 연결되는 포지션 플레이트를 마련하여 조작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조작레버의 회전으로 조작핸들내에서 포지션 플레이트가 회동하여 차단기의 스위치를 동작시켜서 개폐되도록 한다.
따라서, 수납유닛(10)의 인출이 필요한 경우, 수납유닛(10)의 내부에 갖추어진 커넥터의 접속상태를 해제시켜서 인출해야 하는데, 커넥터의 접속력이 상당히 강하게 이루어져 있어, 작업자는 초기에 차단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핸들(12)을 오프모드에 위치시킨 다음, 인출핸들(13)을 잡고 작업자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될때, 상당한 힘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커넥터로부터 분리가 이루어지는 순간, 작업자는 잡아당기는 힘의 관성에 의해 수납유닛(10)을 계속해서 강하게 인출하는 동작을 바로 멈추지 못하여 수납유닛(10)이 MCC(1)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바닥으로 낙하함으로써 작업자의 발등을 떨어져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종래의 수납유닛(10)은 이러한 과도한 힘에 의한 인출시 이를 멈추게 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항상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MCC의 시험, 점검 등과 같은 테스트 작업시, 수납유닛(10)을 테스트 위치로 설정할 수 없어 항상 수납유닛(10)을 인출해야 하고, 따라서, 인출시 쉽게 분리되지 않음으로 인한 상기에서와 같은 수납유닛의 낙하로 인해 항상 안전사고의 가능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납유닛은 인출모드, 커넥터의 접속이 이루어져서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는 완전 삽입모드, 수납유닛이 소정 간격만큼 인출된 상태에서 테스트에 필요한 전원 공급을 받을 수 있도록 커넥터에 접속되는 테스트 모드 상태 등을 쉽게 육안으로 구분할 수 있는 수단이 강구되어 있지 않아서, 수납유닛의 정확한 모드를 알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단기 상태가 오프 상태일 경우에만 수납유닛을 조작하여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수납유닛의 현재 위치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고정판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수납유닛과; 상기 수납유닛의 내부에 갖추어져서 수납유닛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납유닛 조작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유닛 조작 구조체는, 상기 수납유닛을 이동시키도록 나선홈이 형성되는 이동축과;
상기 이동축의 회전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이동축의 연결축으로부터 구비되는 기어 조립체와; 차단기가 OFF 상태일때, 상기 차단기 조작핸들의 핸들축에 의해 조작되어서 수납유닛을 인출 또는 삽입시, 좌,우로 움직여서 이동축을 회전시키도록 이동축과 연결된 연결축을 개폐시키는 링크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판상에는 상기 이동축과 맞물려서 이동축이 나선이동가능하도록 하는 맞물림부재가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기어조립체는, 연결축상에 구비되는 제 1기어와, 이 제 1기어의 상부에 맞물려서 제 1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 2기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기어의 전면에는 제 2기어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알림판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수납유닛의 전면판에는 알림판이 보이도록 하는 투시창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링크 조립체는, 수납유닛의 바닥판으로부터 수직하게 고정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에 갖추어지면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전면에 구비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면서 고정판에 형성된 걸림공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바아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이동공과, 상기 이동공의 하부에 형성되는 횡공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공은 일측방향으로 구부러진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이동공에는 결합나사가 관통하여 이동부재를 지나서 걸림바아와 결합되는 구조이다.
또한, 횡공에는 결합나사가 관통하여 이동부재와 결합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면에는 곡선형의 이동공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공에 결합나사가 관통되어 걸림바아와 결합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걸림바아의 상부에는 결합나사를 통해 결합되는 회동부재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에는 결합나사를 통해 걸림바아와 결합되도록 곡선형을 이루는 장공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에는 회동부재의 뒷편에 있는 지지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공을 통해 차단기 조작핸들의 핸들축이 삽입되어 회동가능하도록 삽입공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연결축의 입구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연장편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연장편은 연결축의 걸림홈을 개방시키는 요홈과, 연결축의 걸림홈을 폐쇄시키는 단부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 일측에는 회동부재의 회전시 가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홈을 가지는 가이드부재가 결합,고정되는 구조이다.
상기 제 2기어에는 환형부가 돌출,형성되고, 이 환형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기어 조립체의 외부에는 기어 브래킷이 감싸면서 구비되고, 이 기어 브래킷에는 2개의 스위치 구조체가 마련되어서 수납유닛의 삽입모드와 테스트 모드를 알려주도록 한다.
기어 브래킷의 상부 내부에는 탄성부재를 마련하고, 기어 조립체의 제 2기어의 환형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과 상기 탄성부재가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납유닛의 인출시 각 모드별로 알려주도록 한다.
또한, 수납유닛의 전면판에는 차단 커버체를 마련하여 수납유닛의 인출시 개방하여 수납유닛 조작핸들을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수납유닛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는 MCC에 복수,설치시 차단기가 ON상태일때에는 걸림바아에 의한 걸림상태가 유지됨과 동시에, 링크 조립체의 이동부재에 형성된 연장편의 단부가 수납유닛 조작핸들을 삽입하기 위한 연결축의 걸림홈을 폐쇄시킨 상태로 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수납유닛을 인출할 수 없어 전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수납유닛의 조작이 방지되어서 안전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유닛의 전면판에 투시창을 형성하여 전면판 안쪽에 구비된 알림판을 통해 수납유닛의 각 모드별 위치를 쉽게 알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종에 따라 차단기의 사양이 달라서 차단기 조작핸들의 높이를 높거나 낮추어야 하는 경우에는, 그에 맞는 링크 조립체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호환성이 갖출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MCC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다른 측면에서 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성하는 수납유닛 조작 구조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배면에서 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어 조립체에 의해 수납유닛이 이동하는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로부터 수납유닛이 이동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조립체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상태에서 링크 조립체의 조작으로 수납유닛을 인출 또는 삽입하기 위한 연결축을 막은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에 구비되는 기어 조립체의 제 2기어에 형성되는 환형부재의 모드별 위치로서 삽입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b는 도 7a의 상태에서 제 2기어가 약간 회전한 테스트 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c는 도 7b의 상태에서 제 2기어가 더 회전한 차단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d는 도 7c의 상태에서 제 2기어가 더 회전한 인출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수납유닛 조립체가 MCC에 구비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다른 측면에서 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성하는 수납유닛 조작 구조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배면에서 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어 조립체에 의해 수납유닛이 이동하는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로부터 수납유닛이 이동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조립체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상태에서 링크 조립체의 조작으로 수납유닛을 인출 또는 삽입하기 위한 연결축을 막은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에 구비되는 기어 조립체의 제 2기어에 형성되는 환형부재의 모드별 위치로서 삽입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b는 도 7a의 상태에서 제 2기어가 약간 회전한 테스트 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c는 도 7b의 상태에서 제 2기어가 더 회전한 차단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d는 도 7c의 상태에서 제 2기어가 더 회전한 인출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수납유닛 조립체가 MCC에 구비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유닛 조립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다른 측면에서 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납유닛 조립체(100)는, 소정 크기의 수납실(111)을 가지는 수납유닛(110)과, 상기 수납유닛(110)의 내부에 갖추어져서 수납유닛(1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납유닛 조작 구조체(200)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유닛(110)은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판(112)과, 후면판(113) 및 전면판(114)과 바닥판(11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 측면판(112)의 하부에는 수납유닛(110)의 하부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고정판(120)상에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롤러(112a)가 갖추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유닛(110)의 전면판(114)에는 차단기 조작핸들(130)이 갖추어진다.
또한, 상기 수납유닛(110)의 전면판(114)에는 수납유닛(110)의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116)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유닛 조작 구조체(20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유닛(110)을 이동시키도록 하는 이동축(210)과, 상기 이동축(210)의 회전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이동축(210)의 연결축(211)으로부터 구비되는 기어 조립체(220)와, 상기 차단기 조작핸들(130)의 핸들축(131)에 의해 조작되어 좌,우로 움직여서 이동축(2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연결축(211)을 개폐시키도록 하는 링크 조립체(23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축(210)은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홈(212)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이동축(210)은 고정판(120)에 고정되는 맞물림부재(121)에 맞물려서 회전이동하도록 된다.
상기 맞물림부재(121)는 요철부 구조를 이루어서 이동축(210)의 나선홈(212)과 맞물리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축(211)의 단부에는 걸림홈(211a)이 형성되어서 수납유닛 조작핸들(240)로 삽입하여 회전시켜서 이동축(210)을 회전시킴에 따라 수납유닛(110)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축(210)의 외부에는 이동축 브래킷(213)이 감싸는 구조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기어 조립체(220)는 연결축(211)상에 형성되는 제 1기어(221)와, 이 제 1기어(221)의 상부에 맞물려서 동력을 전달받는 제 2기어(222)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 조립체(220)의 외부에는 상기 이동축 브래킷(213)과 일체 또는 조립되는 기어 브래킷(224)이 감싸는 구조로 고정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동축 브래킷(213)과 기어 브래킷(224)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기어 브래킷(224)의 전면에는 제 2기어(222)와 연동되도록 동축으로 연결되면서 수납유닛(110)의 현재상태를 알려주도록 하는 알림판(226)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알림판(226)에는 삽입모드, 테스트 모드, 차단모드, 인출모드를 알 수 있도록 표시가능한바, 예를 들어 삽입모드는 "OPER", 테스트 모드는 "TEST", 차단모드는 "DISC", 인출모드는 "MOVING"으로 표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 조립체(230)는, 수납유닛(110)의 바닥판(115)으로부터 수직하게 고정되는 지지부재(231)와, 이 지지부재(231)의 전면에 갖추어지면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232)와, 상기 이동부재(232)의 전면에 구비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면서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바아(233)를 포함한 구조이다.
상기 지지부재(231)에는 상,하 방향(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이동공(231a)과, 상기 이동공(231a)의 하부에 형성되는 횡공(231b)을 가진다.
상기 이동공(231a)은 일측방향으로 구부러진 곡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횡공(231b)은 횡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형성되면서 간격을 두고 2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공(231a)에는 결합나사(234)가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재(232)를 지나서 걸림바아(233)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횡공(231b)에는 결합나사(235)가 관통하여 이동부재(232)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이동부재(232)의 일측면에는 곡선형의 이동공(232a)이 형성되어서 상기 결합나사(234)가 관통되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걸림바아(233)의 상부에는 회동부재(236)가 결합나사(237)를 통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회동부재(236)에는 곡선형을 이루는 장공(236a)이 형성되어서 상기 결합나사(237)가 관통되어 걸림바아(233)의 단부와 결합된다.
또한, 회동부재(236)는 삽입공(236b)이 형성되어서 회동부재(236)의 뒷편에 있는 지지부재(231)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공(231c)을 통해 차단기 조작핸들(130)의 핸들축(131)이 삽입되어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회동부재(236)의 삽입공(236b)은 사각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지지부재(231)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공(231c)은 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232)는 개폐기능을 하는 연장편(232b)이 형성되어서 연결축(211)의 입구를 개폐시키도록 한다.
상기 연장편(232b)에는 요홈(232c)과,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단부(232d)가 형성되어서, 연장편(232b)이 좌우로 이동하면서 요홈(232c)을 통해 연결축(211)의 입구를 개방시키고, 단부(232d)를 통해서는 연결축(211)의 입구를 폐쇄시키도록 한다.
상기 연장편(232b)은 이동부재(232)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연장됨과 동시에, 다시 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결축(211)을 지나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걸림바아(233)는 차단기 조작핸들(130)의 핸들축(131)의 좌우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되는데, 지지부재(231)의 절곡된 바닥면(231d)에 형성된 관통공(231e)과 수납유닛(111)의 바닥판(115)을 관통하여 고정판(120)의 걸림공(122)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지지부재(231)의 상부 일측에는 가이드부재(250)가 결합,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부재(250)는 가이드홈(251)이 형성되어서 상기 회동부재(236)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회동부재(236)의 회전시 가이드되도록 한다.
또한, 이동축(210)을 감싸고 있는 이동축 브래킷(213)의 상면에는 2개의 스위치 구조체(260)(260a)가 갖추어진다.
상기 스위치 구조체(260)(262)는, 각각 삽입 모드와 테스트 모드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하는데, 스위치 본체(260a)(262a)와, 이 스위치 본체(260a)(262a)와 접촉 또는 해제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치 판(260b)(262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치판(260b)(262b)은 기어조립체(220)를 감싸고 있는 기어 브래킷(224)의 측면에 결합되는데, 기어조립체(220)를 구성하는 제 2기어(222)와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환형부(223)에 돌기(223a)가 형성되고, 환형부(223)가 회전하면서 상기 돌기(223a)와 만나게 되면 전진하여 스위치 본체(260a)(262a)와 각각 접속되어 그 상태(모드)를 알려주도록 하는 이동편(260c)(262c)이 기어 브래킷(224)을 관통하여 스위치판(260)(262)과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스위치 본체(260a)(262a)의 전면에는 각각 상기 이동편(260c)(262c)이 이동하여 눌러주게 되어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접점부(260a-1)(262a-1)가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형부(223)의 원주방향으로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홈(223b)(223c)(223d)가 형성되고, 기어 브래킷(224)의 상면에는 탄성부재(227)가 탄지되어서 상기 걸림홈(223c)(223d)(223e)(223f)에 걸리면서 탄지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227)는 "V"자 형으로 형성되어서 수납유닛(110)의 인출 또는 삽입을 위해 연결축(211)을 회전시킴에 따라 제 1기어(22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제 2기어(222)가 회전함에 따라 각 걸림홈(223c)(223d)(223e)(223f)에 진입하게 될때마다 "딱" 소리가 나도록 하면서 탄지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탄성부재(227)는 상기 각 걸림홈(223c)(223d)(223e)(223f)이 넘어갈때에는 탄성부재(227)가 상부방향으로 압축되었다가 각 걸림홈(223c)(223d)(223e)(223f)과 다시 만나면 탄발력에 의해 걸림이 이루어진다.
상기 각 걸림홈(223c)(223d)(223e)(223f)은 수납유닛(110)이 각 모드별(삽입모드/테스트모드/차단모드/인출모드)로 움직일때 탄성부재(227)가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기어 브래킷(224)에는 걸림핀(225)이 관통,결합되어서 상기 제 2기어(222)의 회전시, 제 2기어(222)의 뒷편에 형성된 환형부(223)의 돌출부(223g)가 상기 걸림핀(225)에 걸려서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한다.
또한, 수납유닛(110)의 전면판(114)에는 상기 알림판(226)이 육안으로 보이도록 하여 수납유닛(110)의 현재 상태(삽입모드/테스트모드/차단모드/인출모드)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투시창(114a)이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114)에는 수납유닛(110)을 인출 또는 삽입 동작시, 조작하기 위한 삽입공(271)이 형성되는 차단 커버체(270)가 구비된다.
상기 차단 커버체(270)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공(271)을 개폐시키도록 하는 개폐부재(272)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삽입공(271)의 일측에는 상기 개폐부재(272)를 이동시킬 수 있는 돌출된 구조의 손잡이(273)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손잡이(273)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차단 커버체(270)의 전면에는 이동공(270a)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이동공(270a)을 통해 손잡이(273)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되어서 횡방향으로 개폐부재(272)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단 커버체(270)는 평소에는 개폐부재(272)를 닫힌상태로 있도록 하여 이물질이 삽입공(271)을 통해 침투하지 않도록 하며, 물이 쉽게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차단 커버체(270)의 전면을 보면, 삽입공(271)의 측면에는 반시계방향으로는 "OUT", 시계방향으로는 "IN"으로 표시되어서 수납유닛(110)의 인출방향(out)과 삽입방향(in)을 알려주는 것이며, 손잡이(273)를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개폐부재(272)가 차단 커버체(270)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삽입공(271)을 폐쇄시키는데, 이때 손잡이(272)의 좌측부분에는 "OPEN"이라는 문구와 함께 좌측 화살표가 기재되어서 오픈시 좌측으로 이동시키라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 유닛 조립체(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C(300)에 구비되는데, MCC(300)의 길이방향(높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납유닛 조립체(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MCC(300)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고정판(120)이 갖추어지면서 수납유닛 조립체(100)의 수납유닛(110)이 인출 및 삽입되도록 하는데, 양측으로 가이드 레일(124)이 갖추어져서 수납유닛(110)의 양측면에 형성된 롤러(112a)가 가이드되면서 인출 및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MCC(3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지지 프레임을 간격을 두고 측면에 구비하고, 측면판을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차단되는 독립된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MCC(300)의 외함을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수납유닛(110)이 MCC(300)에 삽입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수납유닛(110)안에 구비되는 수납유닛 조작 구조체(200), 차단기(400), 외부에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는 1차 커넥터(500), 부스바(510), 암 커넥터(610)와 숫 커넥터(620)로 이루어지면서 공급된 전원을 각 부품으로 분배해주는 2차 커넥터(600), 암 커넥터(710)와 숫 커넥터(720)를 가지면서 보조전원이 공급되어서 테스트 모드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는 3차 커넥터(700)의 배치 및 접속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차단기(400)에는 차단기 스위치(401)가 마련되고, 상기 차단기 스위치(401)를 동작시켜서 차단기(400)의 ON/OFF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단기 개폐기구부(4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차단기(400)에는 차단기 스위치(401)가 마련되고, 상기 차단기 스위치(401)를 동작시켜서 차단기(400)의 ON/OFF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단기 개폐기구부(410)가 구비된다.
도 8은 MCC(300)의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부스바(510), 2,3차 커넥터(600)(700)의 숫 커넥터(620) 및 암 커넥터(710)가 설치되는 편의상 영역은 생략한 상태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납유닛 조립체(100)를 삽입모드/테스트 모드/차단모드/인출모드별로 동작시키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모드는 수납유닛(110)이 MCC(300)내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서, 1,2,3차 커넥터(500)(600)(700)가 모두 접속된 상태이고, 테스트 모드는 수납유닛(110)이 약간 인출되어 1차 커넥터(500)와 2차 커넥터(600)의 접속이 해제된 상태이다. 따라서, 3차 커넥터(700)는 접속된 상태이므로, 테스트를 위한 보조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이다,
또한, 차단모드는 1,2,3차 커넥터(500)(600)(700)와의 접속상태가 해제된 상태로서, 모든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를 의미하며, 인출모드는 이러한 차단모드에서 수납유닛(110)을 완전히 인출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C(300)에 삽입된 수납유닛 조립체(100)를 인출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납유닛(110)의 전면판(114)에 형성된 차단 커버체(270)의 손잡이(273)를 도면상 왼쪽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삽입공(271)을 개방한다.
상기 손잡이(273)는 왼쪽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개폐부재(272)가 동시에 이동하면서 삽입공(271)을 개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소정의 구조를 가지는 수납유닛 조작핸들(240)(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절곡된 구조)을 삽입공(271)안으로 삽입하면, 그 내부 즉, 전면판(114)의 안쪽에는 연결축(211)이 배치되어 있어, 수납유닛 조작핸들(240)이 삽입공(271)을 통과함과 동시에 연결축(211)의 걸림홈(211a)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수납유닛(110)을 인출하고자 하는 방향인 "OUT" 방향으로 돌리면(반시계방향), 연결축(211)과 연결된 이동축(210)이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이동축(210)은 하부에 구비된 고정판(120)에 형성된 맞물림부재(121)로부터 나선이동하게 되어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유닛(110)이 인출되기 시작한다.
이동축(210)이 맞물림부재(121)의 선단부까지 이동된 다음에는, 수납유닛(110)을 손잡이(116)를 잡고 앞쪽으로 잡아당겨서 인출하면 가이드 레일(3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인출된다.
여기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유닛 조작핸들(240)을 연결축(211)의 걸림홈(211a)안에 끼워서 회전시킴에 따라 이동축(210)이 회전,이동하게 될 때, 연결축(211)에는 이동부재(232)의 연장편(232a) 단부(232d)가 이동되어서 연결축(211)의 걸림홈(211a)이 개방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차단기 조작핸들(130)을 통해 차단기(400)(도 9 참조)가 OFF 상태일때 연결축(211)의 걸림홈(211a)이 개방된 상태가 되고, 차단기가 ON 상태일때에는 연결축(211)의 걸림홈(211a)은 폐쇄된 상태가 되는데, 차단기 조작핸들(130)의 핸들축(131)이 회동부재(236)의 삽입공(236b) 및 지지부재(231)의 삽입공(231c)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어, 차단기 조작핸들(130)을 통해 차단기(400)를 ON상태에서 OFF상태로 조작하기 위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동부재(23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회동부재(236)의 단부측 장공(236a)에서 결합나사(237)를 통해 연결된 걸림바아(233)는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걸림바아(233)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할때, 걸림바아(233)는 그 뒷편에 마련된 이동부재(232)를 결합나사(234)를 통해 관통되어 있는데, 이동부재(232)의 해당위치에는 곡선형의 이동공(232a)이 형성되어 있고, 이동부재(232)의 뒷편에 고정된 지지부재(231)의 해당위치에는 이동공(231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각 이동공(231a)(232a)을 결합나사(234)가 관통하여 걸림바아(233)와 결합되어 있는데, 걸림바아(233)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결합나사(234)도 동시에 이동부재(232)의 이동공(232a) 및 지지부재(231)의 이동공(231a)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나사(234)는, 이동부재(232)의 이동공(232a)을 따라 상부로 이동할때, 이동부재(232)의 뒷편에 마련된 지지부재(231)의 이동공(231a)을 따라 동시에 이동하면서 이동부재(232)를 우측으로 밀면서 상승하게 된다.
그에 따라 이동부재(232)는 지지부재(231)의 횡공(231b)을 통해 결합나사(235)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어, 자연스럽게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연장편(232b)이 동시에 이동하게 되며, 그러면, 연장편(232b)의 단부(232d)도 동시에 이동하면서 요홈(232c)이 위치하게 되어 연결축(211)의 걸림홈(211a)이 개방된다.
걸림홈(211a)이 개방됨에 따라 수납유닛 조작핸들(240)을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수납유닛(110)을 인출할 수 있게된다.
이때, 상기 걸림바아(233)는 지지부재(231)의 바닥면(231d)과 수납유닛(110)의 바닥판(115)을 통과하여 그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판(120)의 걸림홈(122)에 걸려 있다가, 차단기 조작핸들(130)의 조작으로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고정판(120)의 걸림홈(122)으로부터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결국, 수납유닛(110)은 삽입된 상태에서는 걸림바아(233)에 의해 고정판(120)에 걸림상태로 있게 됨과 동시에, 이동부재(232)의 연장편(232b)의 단부(232d)에 의해 연결축(211)의 걸림홈(211a)이 폐쇄된 상태로 있게 되므로, 수납유닛(110)을 근본적으로 인출할 수 없게 되고, 차단기를 OFF상태로 조작시에만 수납유닛(110)을 인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수납유닛(110)의 인출 및 삽입동작시, 매우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유닛(110)의 전면판(114)에는 투시창(114a)이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육안으로 수납유닛(110)의 현재 상태(삽입모드/테스트 모드/차단 모드/인출모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수납유닛 조작핸들(240)을 통해 연결축(211)을 회전시키면, 연결축(211)과 연결된 제 1기어(221)가 회전하게 되고, 그러면,제 1기어(221)의 상부에 맞물린 제 2기어(222)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제 2기어(222)에는 기어 브래킷(224)의 전면에 위치하는 알림판(226)이 동축으로 연동되게 연결되어 있어, 제 2기어(222)가 회전함에 따라 알림판(226)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알림판(226)에는 삽입모드/테스트 모드/차단모드/인출모드가 구획되어 표시되어 있어, 수납유닛(110)이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인출되는 과정에서 각 모드별로 위치할때, 알림판(226)이 회전하면서 해당 모드 위치를 알려주게 된다.
또한, 도 7a 내지 도 7d는 수납유닛 조작핸들(240)을 통해 이동축(210)을 회전시켜서 수납유닛(110)을 인출하는 과정시 제 2기어와 탄성부재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a는 수납유닛(110)이 완전 삽입모드일때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2기어(222)의 환형부(223)에 형성된 걸림홈(223c)이 탄성부재(227)에 걸린 모습이고, 이때, 2개의 스위치 구조체중 한쪽 스위치 구조체(260)의 스위치 본체(260a)에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돌기(223a)가 위치한다.
수납유닛(110)이 삽입모드일때, 이동편(260c)이 스위치판(260b)를 통해 기어 브래킷(224)를 관통하여 상기 돌기(223a)와 접촉되도록 되어 있어, 돌기(223a)에 의해 이동편(260c)이 밀리면서 스위치판(260b)이 약간 들리면서 스위치 본체(260a)가 접점되어서 삽입모드임을 알려준다.
따라서, 수납유닛(110)이 테스트 모드로 이동하는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기어(222)의 회전으로 환형부(223)의 두번째 걸림홈(223d)이 회전이동되어서 탄성부재(227)에 걸리게 되고, 이때, 돌기(223a)는 이동편(262c)와 만나면서 밀게되고, 그에 따라 2번째 스위치 구조체(262)의 스위치 본체(262a)와 접점되어서 테스트 모드임을 알려준다.
이때, 이동편(262c)은 스위치판(262b) 및 기어 브래킷(224)을 관통하여 돌기(223a)와 접촉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기(400)의 규격이 다른 경우, 차단기 조작핸들(130)의 핸들축(131) 위치도 달라질 수 있는데, 이때에는 차단기(400)의 규격에 맞는 높이로 셋팅하기 위해서 적합한 링크 조립체(230)의 지지부재(231) 및 걸림바아(233)를 교체하여 조립하면 된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100 : 수납유닛 조립체
110 : 수납유닛
111 : 수납실
112 : 측면판
112a : 롤러
113 :후면판
114 : 전면판
114a : 투시창
115 : 바닥판
116 : 손잡이
120 : 고정판
121 : 맞물림부재
122 : 걸림공
124 : 가이드 레일
130 : 차단기 조작핸들
131 : 핸들축
200 : 수납유닛 조작 구조체
210 : 이동축
211 : 연결축
211a : 걸림홈
212 : 나선홈
213 : 이동축 브래킷
220 : 기어 조립체
221 : 제 1기어
222 : 제 2기어
223 : 환형부
223a : 돌기
223c,223d,223e,223f : 걸림홈
223g : 돌출부
224 : 기어 브래킷
225 : 걸림핀
226 : 알림판
227 : 탄성부재
230 : 링크 조립체
231 : 지지부재
231a : 이동공
231b : 횡공
231c : 삽입공
231d : 바닥면
231e : 관통공
232 : 이동부재
232a : 이동공
232b 연장편
232c : 요홈
232d : 단부
233 : 걸림바아
234,235,237 : 결합나사
236 : 회동부재
236a : 장공
236b : 삽입공
240 : 수납유닛 조작핸들
250 : 가이드부재
251 : 가이드홈
260,262 : 스위치 구조체
260a,262a: 스위치 본체
260a-1,262a-1 : 접점부
260b,262b : 스위치 판
260c,262c : 이동편
270 : 차단 커버체
270a : 이동공
271 : 삽입공
272 : 개폐부재
273 : 손잡이
300 : MCC
400 : 차단기
401 : 차단기 스위치
410 : 차단기 개폐기구부
500 : 1차 커넥터
510 : 부스바
600 : 2차 커넥터
610 : 암 커넥터
620 : 숫 커넥터
700 : 3차 커넥터
710 : 암 커넥터
720 : 숫 커넥터
110 : 수납유닛
111 : 수납실
112 : 측면판
112a : 롤러
113 :후면판
114 : 전면판
114a : 투시창
115 : 바닥판
116 : 손잡이
120 : 고정판
121 : 맞물림부재
122 : 걸림공
124 : 가이드 레일
130 : 차단기 조작핸들
131 : 핸들축
200 : 수납유닛 조작 구조체
210 : 이동축
211 : 연결축
211a : 걸림홈
212 : 나선홈
213 : 이동축 브래킷
220 : 기어 조립체
221 : 제 1기어
222 : 제 2기어
223 : 환형부
223a : 돌기
223c,223d,223e,223f : 걸림홈
223g : 돌출부
224 : 기어 브래킷
225 : 걸림핀
226 : 알림판
227 : 탄성부재
230 : 링크 조립체
231 : 지지부재
231a : 이동공
231b : 횡공
231c : 삽입공
231d : 바닥면
231e : 관통공
232 : 이동부재
232a : 이동공
232b 연장편
232c : 요홈
232d : 단부
233 : 걸림바아
234,235,237 : 결합나사
236 : 회동부재
236a : 장공
236b : 삽입공
240 : 수납유닛 조작핸들
250 : 가이드부재
251 : 가이드홈
260,262 : 스위치 구조체
260a,262a: 스위치 본체
260a-1,262a-1 : 접점부
260b,262b : 스위치 판
260c,262c : 이동편
270 : 차단 커버체
270a : 이동공
271 : 삽입공
272 : 개폐부재
273 : 손잡이
300 : MCC
400 : 차단기
401 : 차단기 스위치
410 : 차단기 개폐기구부
500 : 1차 커넥터
510 : 부스바
600 : 2차 커넥터
610 : 암 커넥터
620 : 숫 커넥터
700 : 3차 커넥터
710 : 암 커넥터
720 : 숫 커넥터
Claims (22)
- 고정판(12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수납유닛(110)과;
상기 수납유닛(110)의 내부에 갖추어져서 수납유닛(1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납유닛 조작 구조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유닛 조작 구조체(200)는,
상기 수납유닛(110)을 이동시키도록 나선홈(212)이 형성되는 이동축(210)과;
상기 이동축(210)의 회전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이동축(210)의 연결축(211)으로부터 구비되는 기어 조립체(220)와;
차단기가 OFF 상태일 때, 상기 수납유닛(110)의 전면에 구비되는 차단기 조작핸들(130)의 핸들축(131)에 의해 조작되어서 수납유닛(110)을 인출 또는 삽입시, 좌,우로 움직여서 이동축(210)을 회전시키도록 이동축(210)과 연결된 연결축(211)을 개폐시키는 링크 조립체(230);
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조립체(230)는,
수납유닛(110)의 바닥판(115)으로부터 수직하게 고정되는 지지부재(231)와,
상기 지지부재(231)의 전면에 갖추어지면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232)와,
상기 이동부재(232)의 전면에 구비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면서 고정판(120)에 형성된 걸림공(122)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바아(233)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231)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일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이동공(231a)과, 상기 이동공(231a)의 하부에 형성되는 횡공(231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20)상에는 상기 이동축(210)과 맞물려서 이동축(210)이 나선이동가능하도록 하는 맞물림부재(121)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어조립체(220)는, 연결축(211)상에 구비되는 제 1기어(221)과, 이 제 1기어(221)의 상부에 맞물려서 제 1기어(22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 2기어(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기어(222)의 전면에는 제 2기어(222)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알림판(22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4에 있어서,
수납유닛(110)의 전면판(114)에는 알림판(226)이 보이도록 하는 투시창(11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공(231a)에는 결합나사(234)가 관통하여 이동부재(232)를 지나서 걸림바아(233)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9에 있어서,
횡공(231b)에는 결합나사(235)가 관통하여 이동부재(232)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232)의 일측면에는 곡선형의 이동공(232a)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공(232a)에 결합나사(234)가 관통되어 걸림바아(233)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바아(233)의 상부에는 결합나사(237)를 통해 결합되는 회동부재(23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236)에는 결합나사(237)를 통해 걸림바아(233)와 결합되도록 곡선형을 이루는 장공(236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236)에는 회동부재(236)의 뒷편에 있는 지지부재(231)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공(231c)을 통해 차단기 조작핸들(130)의 핸들축(131)이 삽입되어 회동가능하도록 삽입공(236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232)는 연결축(211)의 입구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연장편(232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연장편(232b)은 연결축(211)의 걸림홈(211a)을 개방시키는 요홈(232c)과, 연결축(211)의 걸림홈(211a)을 폐쇄시키는 단부(232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2에 있어서,
지지부재(231)의 상부 일측에는 회동부재(236)의 회전시 가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홈(251)을 가지는 가이드부재(250)가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기어(222)에는 환형부(223)가 돌출,형성되고, 이 환형부(223)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홈(223c)(223d)(223e)(223f)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8에 있어서,
기어 조립체(220)의 외부에는 기어 브래킷(224)이 감싸면서 구비되고, 이 기어 브래킷(224)에는 수납유닛(110)의 삽입모드와 테스트 모드를 알려주도록 하는 복수의 스위치 구조체(260)(262)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기어 브래킷(224)의 상부 내부에는 탄성부재(227)를 마련하고, 기어 조립체(220)의 제 2기어(222)의 환형부(223)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223c)(223d)(223e)(223f)과 상기 탄성부재(227)가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납유닛의 인출시 각 모드별로 알려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납유닛(110)의 전면판(114)에는 수납유닛(110)의 인출시 개방하여 수납유닛 조작핸들(240)을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수납유닛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차단 커버체(27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 조립체.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21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C.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2170A KR101586022B1 (ko) | 2015-03-26 | 2015-03-26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2170A KR101586022B1 (ko) | 2015-03-26 | 2015-03-26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6022B1 true KR101586022B1 (ko) | 2016-01-15 |
Family
ID=55173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42170A KR101586022B1 (ko) | 2015-03-26 | 2015-03-26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6022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5949B1 (ko) * | 2018-06-07 | 2018-12-06 | 세명엔지니어링(주) | 모터제어설비 |
KR102115325B1 (ko) * | 2019-07-18 | 2020-05-26 | 이덕환 |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mcc |
KR20220013753A (ko) * | 2020-07-27 | 2022-02-04 | 정석관 |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니트 조립체를 구비한 mcc |
KR20230100323A (ko) * | 2021-12-28 | 2023-07-05 | 이덕환 | 수납 유니트 조립체가 구비된 mcc |
KR102588765B1 (ko) * | 2023-04-26 | 2023-10-13 | (주)광명전기 | 배전반의 도어에 형성된 핸들 투입구를 개폐하는 셔터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4292A (ko) | 1994-07-11 | 1996-02-23 | 신치재·서상기 | 산업로 열간 보수용 화염용사재료 |
KR100797159B1 (ko) | 2006-05-11 | 2008-01-23 |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 제어반의 리셉터클 커넥터 설치구조 |
KR101067926B1 (ko) | 2010-01-27 | 2011-09-26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동기 제어반의 조작 핸들 |
KR200457636Y1 (ko) | 2010-01-29 | 2011-12-28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동기 제어 장치 |
KR200458158Y1 (ko) | 2010-05-04 | 2012-01-20 | 성호전기 주식회사 | 차단기용 조작 핸들 |
KR101143817B1 (ko) * | 2012-02-14 | 2012-05-09 | (주)서전기전 | Mccb 핸들과 unit 투입 핸들 및 포지션 스위치를 일체화한 unit 수납 구조를 가지는 mcc |
KR101194385B1 (ko) * | 2012-06-13 | 2012-10-24 | (주)서전기전 |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
KR101440264B1 (ko) * | 2014-05-26 | 2014-09-17 | 윤여관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
2015
- 2015-03-26 KR KR1020150042170A patent/KR10158602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4292A (ko) | 1994-07-11 | 1996-02-23 | 신치재·서상기 | 산업로 열간 보수용 화염용사재료 |
KR100797159B1 (ko) | 2006-05-11 | 2008-01-23 |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 제어반의 리셉터클 커넥터 설치구조 |
KR101067926B1 (ko) | 2010-01-27 | 2011-09-26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동기 제어반의 조작 핸들 |
KR200457636Y1 (ko) | 2010-01-29 | 2011-12-28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동기 제어 장치 |
KR200458158Y1 (ko) | 2010-05-04 | 2012-01-20 | 성호전기 주식회사 | 차단기용 조작 핸들 |
KR101143817B1 (ko) * | 2012-02-14 | 2012-05-09 | (주)서전기전 | Mccb 핸들과 unit 투입 핸들 및 포지션 스위치를 일체화한 unit 수납 구조를 가지는 mcc |
KR101194385B1 (ko) * | 2012-06-13 | 2012-10-24 | (주)서전기전 |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
KR101440264B1 (ko) * | 2014-05-26 | 2014-09-17 | 윤여관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5949B1 (ko) * | 2018-06-07 | 2018-12-06 | 세명엔지니어링(주) | 모터제어설비 |
KR102115325B1 (ko) * | 2019-07-18 | 2020-05-26 | 이덕환 |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mcc |
KR20220013753A (ko) * | 2020-07-27 | 2022-02-04 | 정석관 |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니트 조립체를 구비한 mcc |
KR102410867B1 (ko) * | 2020-07-27 | 2022-06-20 | 정석관 |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니트 조립체를 구비한 mcc |
KR20230100323A (ko) * | 2021-12-28 | 2023-07-05 | 이덕환 | 수납 유니트 조립체가 구비된 mcc |
KR102682698B1 (ko) * | 2021-12-28 | 2024-07-08 | 이덕환 | 수납 유니트 조립체가 구비된 mcc |
KR102588765B1 (ko) * | 2023-04-26 | 2023-10-13 | (주)광명전기 | 배전반의 도어에 형성된 핸들 투입구를 개폐하는 셔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6022B1 (ko)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
KR101443314B1 (ko)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
KR101387368B1 (ko)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
KR101194385B1 (ko) |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 |
KR101440264B1 (ko)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
KR101708020B1 (ko) | 조작이 쉬운 인터록 장치를 갖춘 전동기 제어반 | |
KR101362256B1 (ko)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
KR101143817B1 (ko) | Mccb 핸들과 unit 투입 핸들 및 포지션 스위치를 일체화한 unit 수납 구조를 가지는 mcc | |
JPWO2008087746A1 (ja) | スイッチギヤ | |
KR101528602B1 (ko) | 정렬이 용이한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mcc | |
KR101630678B1 (ko) |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 |
KR100932421B1 (ko) | 배전반 유니트 인출장치 | |
KR101073681B1 (ko) | 바이패스 전원절체장치의 인터록 장치 | |
KR101492556B1 (ko) |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 | |
KR100854382B1 (ko) | 회로차단기 | |
KR101890681B1 (ko) | 기중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 | |
CN210156280U (zh) | 固定式开关柜的操作联锁机构 | |
KR101759603B1 (ko) |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제어단자 접속장치 | |
KR20110015920A (ko) |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 |
KR101412592B1 (ko) |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안전장치 | |
KR102357414B1 (ko) |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러한 조립체를 구비하는 mcc | |
KR102115325B1 (ko) |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mcc | |
KR20100019043A (ko) |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동작표시형 배전반 | |
CN210806410U (zh) | 一种低压成套开关柜 | |
CN113711451B (zh) | 具有位置锁定装置的配电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