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867B1 -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니트 조립체를 구비한 mcc - Google Patents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니트 조립체를 구비한 mc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867B1
KR102410867B1 KR1020200093093A KR20200093093A KR102410867B1 KR 102410867 B1 KR102410867 B1 KR 102410867B1 KR 1020200093093 A KR1020200093093 A KR 1020200093093A KR 20200093093 A KR20200093093 A KR 20200093093A KR 102410867 B1 KR102410867 B1 KR 102410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unit
lever
receiving unit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3753A (ko
Inventor
정석관
Original Assignee
정석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관 filed Critical 정석관
Priority to KR1020200093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867B1/ko
Publication of KR20220013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73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draw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22Integrated protection, motor control centres
    • E05Y2900/606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니트 조립체를 구비한 MCC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 전기 기기를 수납하고 전면에 손잡이와 차단기 핸들을 구비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안에 마련되고 수납부의 인출 및 삽입 동작을 제어하는 트리거 스위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스위치 장치는,
상기 수납부를 록킹 및 해제하는 록킹 해제 유니트, 차단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록킹 해제 유니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걸림 유니트, 상기 수납부의 위치에 따라 포지션을 제어해주는 포지션 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 스위치 장치는 상기 수납부의 인출, 삽입, 테스트 모드의 따라 수납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수납 유니트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니트 조립체를 구비한 MCC{Receiving Unit Assembly and Motor Control Cente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니트 조립체를 구비한 MCC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CC(Motor Control Center; 모터 제어반)는 각종 산업설비에 구비되는 모터를 운전함에 있어서 전원을 중앙에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러한 MCC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납 유니트들이 인출가능하도록 서랍식으로 구비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수납 유니트들을 인출함에 따라 차단기 및 커넥터의 분리가 이루어져서 전기적 접속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유니트의 인출 및 삽입 동작에 따른 모드 상태가 확실하게 표시 및 작동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각 모드별 동작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고, 조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니트 조립체를 구비한 MCC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각종 전기 기기를 수납하고 전면에 손잡이와 차단기 핸들을 구비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안에 마련되고 수납부의 인출 및 삽입 동작을 제어하는 트리거 스위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스위치 장치는,
상기 수납부를 록킹 및 해제하는 록킹 해제 유니트, 차단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록킹 해제 유니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걸림 유니트, 상기 수납부의 위치에 따라 포지션을 제어해주는 포지션 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 스위치 장치는 상기 수납부의 인출, 삽입, 테스트 모드의 따라 수납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수납 유니트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납 유니트 조립체를 구비하는 MCC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MCC에 마련되는 복수의 수납 유니트 조립체로서, 수납 유니트 조립체를 이루는 수납부의 동작 즉, 인출, 삽입, 테스트 동작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납부의 인출시 수납부이 전면에 마련된 누름 버튼을 눌러서 트리거 스위치 장치의 동작으로 록킹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트리거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록킹 해제 유니트의 이동 부재의 직선 전진 이동에 따라 수납부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며, 차단기 핸들 조작에 의해 걸림 유니트의 회동 캠의 회전 동작에 의해 작동 제어 부재의 승강 동작으로 이동 부재의 전진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2중으로 록킹 상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MCC의수리 작업시 보다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고, 함부로 열 수 없기 때문에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지션 유니트의 동작에 의해 수납부의 각 포지션(인출, 삽입, 테스트 위치)별로 정확한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스크류 구조체를 마련하고, 별도의 공구를 통해 이동 스크류를 회전시켜서 수납부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용량이 큰 대형 사이즈의 수납 유니트 조립체인 경우에는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쉽게 수납부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납 유니트 조립체가 MCC에 마련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납 유니트 조립체에 구비되는 트리거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트리거 스위치 장치의 록킹 해제 유니트와 포지션 유니트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록킹 해제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부재 및 록킹 레버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걸림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작동 제어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동 캠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결정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결정 블록의 평면도로서, 수납부가 삽입 모드에서 인출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이동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일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납 유니트 조립체가 MCC에 마련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수납 유니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트리거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수납 유니트 조립체의 작동 제어 부재 및 이동 스크류 구조체 및 막음 부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수납 유니트 조립체의 고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수납 유니트 조립체의 작동 제어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수납 유니트 조립체의 막음 부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수납부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수납부에 마련되는 손잡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수납부에 마련되는 손잡이의 배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으로부터 누름 버튼의 다른 위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수납부에 마련되는 손잡이의 평면도로서, 누름 부재의 위치가 변경되어 결합공 위치가 변경됨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예](소용량)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납 유니트 조립체가 MCC에 마련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납 유니트 조립체(2)는 MCC(1) 함체에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납 유니트 조립체(2)는 MCC(1) 함체의 한칸(또는 1개 층)에 대하여 2개를 나란히 이웃하게 배치할 수 있다.
MCC(1)의 한칸에 대하여 2개의 수납 유니트 조립체(2)를 마련한 구조는 전기 처리 용량이 소용량일 수 있다.
수납 유니트 조립체(2)는 각종 전기 기기가 수납되는 공간을 가지는 수납부(10), 수납부(10)의 전면에 마련되고 수납부(10)안에 마련되는 차단기(미도시)를 온/오프시킬 수 있는 차단기 핸들(30), 수납부(10)의 삽입 상태에 따라 모드를 표시해주는 모드 표시부(40), 수납부(10)를 인출 또는 삽입시 용이하게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50)가 마련될 수 있다.
모드 표시부(40)에는 수납부(10)의 삽입 모드, 테스트 모드, 인출 모드에 따라 표시해주는 모드 표시봉(42)이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수납부(10)의 삽입 모드는 수납부(10)를 MCC(1) 함체 내부에 완전히 삽입한 상태, 테스트 모드는 수납부(10)를 약간 인출한 상태, 인출 모드는 수납부(10)를 완전히 인출한 상태일 수 있다.
각 모드에 따라 수납부(10)안에 구비된 전기 접속 커넥터간의 접속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수납 유니트 조립체에 구비되는 트리거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트리거 스위치 장치(100)는 수납부(10)를 록킹 및 해제하는 록킹 해제 유니트(110), 차단기 핸들(30)의 조작에 따라 록킹 해제 유니트(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걸림 유니트(120), 수납부(10)의 위치에 따라 포지션을 제어해주는 포지션 유니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트리거 스위치 장치의 록킹 해제 유니트와 포지션 유니트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록킹 해제 유니트(110)는 케이스(111), 케이스(111)안으로 입출되고, 수납부(10)의 전면에 마련된 누름 버튼(70)을 누르면 직선 이동하는 이동 부재(112), 이동 부재(112)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제1 걸림 돌기(113)와 제2 걸림 돌기(1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 부재(112)에는 가이드 핀(116)이 마련되고, 이동 부재(112)의 단부(112a)에는 탄성 부재(117)가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제2 걸림 돌기(114)로부터 단부(112a) 방향으로는 경사면(112b)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12b)로부터 단부(112a) 방향으로는 걸림턱(112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부재(112)의 일측에는 록킹 레버(115)가 수직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록킹 레버(115)에는 레버 핀(115a)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1)의 상면에는 제1 장공(111a)이 형성되고, 제1 장공(111a)를 통해 이동 부재(112)의 제2 걸림 돌기(114)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케이스(111)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 핀(116)이 삽입되고 이동 부재(112)의 이동시 가이드하는 제2 장공(111b)이 형성될 수 있다.
레버 핀(115a)은 이동 부재(112)의 경사면(112b)과 대면되고, 이동 부재(112)의 직선 이동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며, 그에 따라 록킹 레버(115)는 바닥면을 관통하고 수납부(10)의 록킹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 유니트(120)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고정 부재(121), 고정 부재(121)의 단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캠(122), 고정 부재(121)의 일면에 회동 캠(122)의 회동에 의해 이동되고 이동 부재(112)의 이동 동작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 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고정 부재(121)의 상부에는 회동 캠(12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121a)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는 걸이편(121b)이 형성될 수 있다. 걸이편(121b)에는 탄성 부재(124)를 걸 수 있다. 걸이편(121b)의 양측은 뚫린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간부를 통해 걸이편(121b)에 탄성 부재(124)를 걸어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회동 캠(122)에는 관통공(122a)이 형성될 수 있고, 차단기 핸들(30)의 조작으로 회동하여 수납부(10)안에 마련된 차단기(미도시)를 개폐시키는 바아가 삽입될 수 있다. 바아는 단면상 각이진 사각형 등으로 형성되고, 관통공(122a)도 단면상 사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아의 회전에 따라 회동 캠(122)도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회전 캠(122)의 배면에는 편심 돌기(122b)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편심 돌기(122b)는 작동 제어 부재(123)를 하방으로 밀어서 이동시키고, 그러면 작동 제어 부재(123)에 의해 이동 부재(112)의 직선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작동 제어 부재(123)는 일측면에 연장되어 돌출되는 제1 스토퍼(123a)가 형성되고, 고정 부재(121)의 걸이편(121b)이 보이는 배치공(123b)이 형성되며, 배치공(123b)의 하부에는 탄성 부재(124)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걸이편(123c)이 형성되고, 걸이편(123c)의 일측에는 가이드공(123d)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토퍼(123a)의 하부에는 제1 스토퍼(123a)와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스토퍼(123e)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공(123d)은 장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126)를 체결하여 그 안쪽에 위치한 고정 부재(121)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 제어 부재(123)의 승강시 체결 부재(126)는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 제어 부재(123)의 가이드공(123a)에 의해 작동 제어 부재(123)는 정확하게 가이드되면서 승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작동 제어 부재(123)는 회동 캠(122)의 회전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면, 제1 스토퍼(123a)는 이동 부재(112)의 제1 걸림 돌기(113)에 대면되고 걸림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캠(122)의 편심 돌기(122b)가 작동 제어 부재(123)를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대로 회동 캠(122)의 편심 돌기(122b)가 돌출되어 보이도록 배치하는 경우, 회동 캠(122)의 최하단면이 작동 제어 부재(123)를 밀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편심 돌기(122b)로 작동 제어 부재(123)를 미는 것보다 보다 확실하게 밀 수 있고, 편심 돌기(122b)는 사용 도중에 부러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포지션 유니트(130)는 수납부(10)의 인출 또는 삽입 동작시, 이동하는 제1 스윙 레버(131), 제1 스윙 레버(131)의 동작에 따라 스윙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스윙 레버(132)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지션 유니트(130)는 수납부(10)안에 장착되는 마운팅 베이스(133)가 형성되고, 마운팅 베이스(133)에 제1 스윙 레버(131)와 제2 스윙 레버(13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스윙 레버(131)는 스윙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윙 축(131a)이 형성되고, 스윙 축(131a)의 일측에는 곡선형의 장공(131b)이 형성되며, 장공(131b)에는 이동핀(131c)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스윙 레버(132)는 스윙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윙 축(132a)이 형성되고, 제2 스윙 레버(132)의 일단은 제1 스윙 레버(131)의 하부에 대면되면서 연동되도록 이동핀(131c)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제2 스윙 레버(132)의 타단은 모드 표시부(40)의 모드 표시봉(42)을 회전시켜서 모드 표시를 해주도록 하는 동력 전달 부재(44)를 동작시키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동력 전달 부재(44)는 모드 표시봉(42)의 단부측에 형성되는 피니언(44a), 피니언(44a)과 맞물리고 직선 이동하는 랙크(44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랙크(44b)는 제2 스윙 레버(132)의 타단과 연결되고, 제2 스윙 레버(132)의 스윙 동작에 따라 직선 이동하며, 랙크(44b)의 직선 이동에 따라 맞물린 피니언(44a)이 회전하고, 모드 표시봉(42)의 회전으로 수납부(10)는 각 모드별(인출/삽입/테스트 모드) 위치를 외부에서 알 수 있다.
또한, 제1 스윙 레버(131)의 타단측에는 마운팅 베이스(133)에 형성된 곡선형의 이동공(133a)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이동하는 결합핀(131d)이 마련될 수 있고, 제1 스윙 레버(131)의 일측에는 돌기(131e)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131e)에는 작동편(134)이 대면될 수 있다. 작동편(134)의 일측에는 다른 작동편(135)이 마련되고, 작동편(135)의 일단은 제2 스윙 레버(132)의 스윙 축(132a)과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지ㅈ;되는 탄성 부재(136)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 부재(136)는 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동력 전달 부재(44)에 위치하면서 마운팅 베이스(133)의 일측 단부에는 지지판(137)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작동편(134)(135)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되는 스위치(140)가 마련되고, 스위치(140)는 하우징(150)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위치 결정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MCC의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수납부가 삽입 모드에서 인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위치결정 블록(160)은 MCC(1)의 바닥면(1a)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161)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제1 삽입홈(162)과 제2 삽입홈(16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홈(163)에는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경사면(163a)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63a)의 일측은 걸림면(164)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이동 부재(112)의 다른 예를 나타낸 일부 확대 정면도로서, 이동 부재(112)의 경사면(112b) 위치에 장공(112d)를 형성하고, 록킹 레버(115)에는 장공(112d)에서 가이드되는 롤러(115b)를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수납부(10)를 MCC(1)의 함체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 동작시, 수납부(10)의 전면에 형성된 손잡이(50)를 잡고 잡아 당길 수 있다. 이때 손잡이(50)에는 누름 버튼(70)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누름 버튼(70)을 누르면서 수납부(10)를 잡아 당긴다.
누름 버튼(70)을 누름에 따라 트리거 스위치 장치(100)를 이루는 록킹 해제 유니트(110)의 이동 부재(112)가 눌려지고, 이동 부재(112)는 안쪽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부재(112)가 눌려서 이동함에 따라 제2 걸림 돌기(114)는 케이스(111)의 제1 장공(111a)을 따라 이동하고, 경사면(112b)이 이동함에 따라 록킹 레버(115)가 상승하게 된다.
록킹 레버(115)에는 레버 핀(115a)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경사면(112b)에 대면된 상태이므로, 이동 부재(112)의 이동에 따라 경사면(112b)이 이동하면, 경사면(112b)의 경사 각도에 의해 레버 핀(115a)은 상승할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 도면 부호 119는 탄성 지지 부재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록킹 레버(115)는 케이스(111)의 내부에 마련된 상태이지만, 레버 핀(115a)은 케이스(111)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레버 핀(115a)은 이동 부재(112)의 이동에 따라 아무 간섭없이 상승할 수 있다.
록킹 레버(115)는 수납부(10)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MCC(1)의 함체 바닥면에서 걸림 상태로 있고, 따라서, 록킹 레버(115)가 이동 부재(112)에 의해 상승하면, 록킹이 해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수납부(10)는 인출할 수 있다.
이동 부재(112)의 제2 걸림턱(114)은 케이스(111)의 제1 장공(111a)에서 이동하고, 제1 장공(111a)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며, 또한, 록킹 레버(115)의 레버 핀(115a)이 경사면(112b)을 타고 넘어가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동 부재(112)의 단부(112a)에는 탄성 부재(117)가 걸림턱(112c)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이므로, 이동 부재(112)가 이동함에 따라 탄성 부재(117)는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부재(112)를 누른 상태에서 놓으면 탄성 부재(117)의 반발력에 의해 이동 부재(112)는 다시 원위치될 수 있다.
만일, 차단기가 온 상태인 경우에는, 안전을 위해 수납부(10)는 인출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모드 표시부(40)에서 모드 표시봉(42)에 의해 인출 모드인 경우에는 인출이 가능하지만, 인출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인출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모르고, 부주의하게 강제로 수납부(10)를 인출하는 경우에는 절대로 인출되지 않도록 이동 부재(112)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인출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걸림 유니트(120)에 의해 이동 부재(112)는 저지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걸림 유니트(120)에는 작동 제어 부재(123)가 마련되어 있고, 작동 제어 부재(123)의 제1 스토퍼(123a)는 이동 부재(112)의 제1 걸림턱(113)에 대면되면서 제1 걸림턱(113)의 이동을 제한해줄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부재(112)에 형성된 제1 걸림턱(113)의 이동이 저지된 상태이므로, 누름 버튼(70)이 눌러지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수납부(10)는 원천적으로 인출 동작을 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인출 모드시에는 수납부(10)의 인출이 가능한데, 이것은 차단기 핸들(30)의 조작에 따라 그 안쪽의 회동 캠(122)이 회전하고, 회동 캠(122)의 위치에 따라 작동 제어 부재(123)는 하부 방향으로 눌려지거나 눌려지지 않은 상태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동 부재(112)의 이동이 좌우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회동 캠(122)의 회전시, 편심 돌기(122b)에 의해 작동 제어 부재(123)의 상단면을 하부 방향을 밀게 되면, 고정 부재(121)에 대하여 작동 제어 부재(123)는 하강할 수 있고, 하강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21)에 고정된 체결 부재(126)가 관통된 가이드공(123d)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하강되며, 이때 걸림편(123c)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탄성 부재(124)를 압축하면서 하강할 수 있다.
반대로, 회동 캠(122)의 회전으로 편심 돌기(122b)의 위치 이동으로 작동 제어 부재(123)의 누름 상태가 해제되면, 압축된 탄성 부재(125)의 반발력에 의해 작도 제어 부재(123)는 상승하며, 그러면 제1 스토퍼(123a)의 위치도 상승된 위치 즉, 이동 부재(112)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되고, 제1 걸림 돌기(113)의 저지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작동 제어 부재(123)에 수직하게 형성된 제2 스토퍼(123e)도 하강된 위치에서 상승하면서 걸림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즉, 제2 스토퍼(123e)는 걸림 상태시 수납부(10)의 바닥면을 관통하고 MCC(1)의 바닥면에 걸림된 상태이므로, 제2 스토퍼(123e)의 상승으로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수납부(10)를 인출 또는 삽입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MCC(1)의 바닥면(1a)에는 위치 결정 블록(160)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부(10)를 인출하기 위해 누름 버튼(70)을 누르면, 이동 부재(112)가 수납부(10)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때 록킹 레버(115)는 상승하게 되면서 위치 결정 블록(160)의 제1 삽입홈(162)으로부터 이탈되며, 동시에 걸림 유니트(120)의 작동 제어 부재(123)에 수직하게 형성된 제2 스토퍼(123e)가 바닥면(1a)에 형성된 걸림공(1b)으로부터 이탈된 상태가 되어서 수납부(10)의 록킹이 해제되며, 이 상태에서 수납부(10)의 인출이 가능해진다.
모드 표시부(40)의 모드 표시봉(42)에 의한 모드 표시는 수납부(10)의 인출 또는 삽입 동작에 따라 동작하는 포지션 유니트(13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포지션 유니트(130)는 마운팅 베이스(133)에 마련되고, 마운팅 베이스(133)는 수납부(10)의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수납부(10)의 이동시 동시에 이동하고, 수납부(10)가 삽입된 상태일때에는 제1 스윙 레버(131)의 일단부에 형성된 결합핀(131d)는 위치 결정 블록(160)의 걸림면(164)에 대면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 스윙 레버(131)와 제2 스윙 레버(132)가 탄성 부재(136)의 압축으로 반발력을 받고 있는 상태로서, 수납부(10)를 인출하면, 위치 결정 블록(160)의 걸림면(164)으로부터 멀어지므로, 탄성 부재(136)의 반발력에 의해 곡선형의 이동공(133a)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이동하고, 그러면 제1 스윙 레버(131)는 스윙축(131a)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장공(131b)안에 결합된 이동핀(131c)에 의해 제2 스윙 레버(132)도 스윙축(132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제2 스윙 레버(132)의 회동에 따라 동력 전달 부재(44)의 랙크(44b)가 이동하게 되고, 랙크(44b)에 맞물린 피니언(44a)도 동시에 회전하므로, 피니언(44a)과 결합된 모드 표시봉(42)이 회전하여 모드를 표시해줄 수 있다.
[제2 실시 예](대용량)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납 유니트 조립체가 MCC에 마련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16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수납 유니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트리거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수납 유니트 조립체(4)는 각종 전기 기기가 수납되는 공간을 가지는 수납부(10), 수납부(10)의 전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에는 수납부(10)안에 마련되는 차단기(미도시)를 온/오프시킬 수 있는 차단기 핸들(30), 수납부(10)의 삽입 상태에 따라 모드를 표시해주는 모드 표시부(40), 수납부(10)을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손잡이(50)(52), 수납부(10)안의 전기 기기의 제어 상태를 표시해주는 제어 패널부(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한쪽 손잡이(50)에는 누름 버튼(70)이 형성될 수 있다. 누름 버튼(70)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자물쇠를 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납 유니트 조립체(4)를 구성하는 트리거 스위치 장치(200)는 제1 실시 예와 일부는 동일하고 추가 또는 다른 구조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수납 유니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트리거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트리거 스위치 장치(200)는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록킹 해제 유니트(110)와 걸림 유니트(120)가 구비되고, 걸림 유니트(120)의 전면에 마련되는 지지판(137)의 안쪽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한 막음 부재(210)가 마련되며, 걸림 유니트(120)의 일측에는 이동 스크류 구조체(220)가 갖추어질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수납 유니트 조립체의 작동 제어 부재 및 이동 스크류 구조체 및 막음 부재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수납 유니트 조립체의 막음 부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7 및 도 20을 참조하면, 막음 부재(210)는 막음 부재(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장공(211), 제2 장공(212), 제3 장공(213)이 형성되고, 막음 부재(210)의 일측에는 절곡된 연결편(214)과, 연결편(214)과 연결되고 단부에 위치하는 막음편(2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장공(211)과 제3 장공(213)은 수평 상태의 구멍이고, 제2 장공(212)은 경사진 구조의 구멍일 수 있다.
막음 부재(210)의 제1 장공(211)과 제3 장공(213)에는 고정 부재(121)에 결합된 가이드핀(121e)이 삽입되고, 경사진 제2 장공(212)에는 작동 제어 부재(123)에 마련된 결합핀(123f)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 제어 부재(123)의 승강 동작에 따라 제2 장공(212)에 삽입된 결합핀(123f)이 승강되고, 그러면 경사진 제2 장공(212)의 구조에 의해 막음 부재(210)는 도면상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막음 부재(210)의 막음편(215)은 이동 스크류 구조체(220)의 회전축(222)을 막아서 폐쇄시킨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작동 제어 부재(123)은 하강된 위치에 있고, 그에 따라 록킹 해제 유니트(110)의 이동 부재(112)는 이동이 저지된 상태일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수납 유니트 조립체의 고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9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부재(121)는 결합공(121a), 결합공(121a)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걸이편(121c), 걸이편(121c)의 하부에 형성되는 장공(121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이편(121c)의 외주면에는 탄성 부재(124)가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수납 유니트 조립체의 작동 제어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작동 제어 부재(123)는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스토퍼(123a), 탄성 부재(124)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걸이편(123c), 걸이편(123c)의 일측에는 장공(123d),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스토퍼(123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6 및 도 17를 참조하면, 이동 스크류 구조체(220)는 브라켓(221), 브라켓(211)의 전면에 형성되고 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축(222), 브라켓(221)의 내부에 갖추어지고 회전축(222)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이동 스크류(2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221)은 수납부(10)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그 내부에 이동 스크류(223)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회전축(222)은 수납부(10)의 전면에 마련된 도어(2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이동 스크류 구조체(220)의 이동 스크류(223)는 수납부(10)의 바닥면에 관통된 구멍을 통해 MCC(1)의 바닥면(1a)에 대면되고, 이때 바닥면(1a)에는 이동 스크류(223)과 맞물리는 나선형의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222)에 형성된 삽입홈에 공구를 삽입하고 회전시키면, 이동 스크류(223)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수납부(10)를 인출 또는 삽입시킬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수납부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수납부에 마련되는 손잡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손잡이(50)의 일측면에는 절곡된 오목부(50a)가 형성되고, 오목부(50a)에는 누름 버튼(70)이 삽입될 수 있다.
오목부(50a)는 사용자가 손잡이(50)를 잡고 누름 버튼(70)을 누를때, 좀더 편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오목부(50a)가 없이 평평한 면으로만 된 경우에는 누름 버튼(70)이 손잡이(50)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한손으로 손잡이(50)를 잡고 엄지 손가락으로 누름 버튼(70)을 누를때 불편할 수 있다.
오목부(50a)에는 누름 버튼(70)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공(51)이 형성되고, 삽입공(51)의 일측에는 지지부재(80)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공(51a)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80)는 누름 버튼(70)이 삽입공(51)안에 삽입후 틀어지지 않고 삽입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누름 버튼(70)을 지지할 수 있다.
누름 버튼(70)은 자물쇠를 채울 수 있는 결합공(71)이 형성되고, 누름 버튼(70)의 길이 방향 일측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7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공(51)의 상부 및 하부 일측에는 누름 버튼(70)의 돌기부(72)가 끼워지는 제1 끼움공(51b)과 제2 끼움공(51c)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수납부에 마련되는 손잡이의 배면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손잡이(50)에 삽입된 누름 버튼(70)은 제1 끼움공(51b)에 누름 버튼(70)의 돌기부(71)가 삽입된 상태로서, 이 경우에는 누름 버튼(70)에 형성된 결합공(71)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 방향으로 개방된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4와 같이 누름 버튼(70)의 삽입 위치를 달리하면, 결합공(71)의 위치가 횡 방향으로 개방된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도 24를 참조하면, 누름 버튼(70)를 손잡이(50)의 삽입공(51)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돌기부(71)가 삽입공(51)의 제2 끼움공(51c)에 끼워지게 위치시키면, 결합공(71)은 횡 방향으로 위치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누름 버튼(70)의 결합공(7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결합공(71)에 채워지는 자물쇠(미도시)의 채우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만일, 결합공(71)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 방향으로 개방된 위치인 경우, 채워진 자물쇠는 횡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고, 횡방향으로 개방된 위치인 경우, 채워진 자물쇠는 종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자물쇠의 크기에 따라 그 하부에 마련된 다른 수납부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자물쇠가 작은 경우에는 누름 버튼(70)의 결합공(71)이 종 방향으로 개방된 구조에 채워도 무방하고, 자물쇠가 큰 경우에는 결합공(71)이 횡 방향으로 개방된 구조에 채우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자물쇠가 종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그 하부에 마련된 수납부(10)의 조작시 간섭없이 조작할 수 있다.
1... 수납 유니트 조립체 1a... 바닥면
1b... 걸림공 2,4... 수납 유니트 조립체
10... 수납부 20... 도어
30... 차단기 핸들 40... 모드 표시부
42... 모드 표시봉 44... 동력 전달 부재
44a... 피니언 44b... 랙크
50,52... 손잡이 50a... 오목부
51... 삽입공 51a... 지지공
51b... 제1 끼움공 51c... 제2 끼움공
60... 제어 패널부 70... 누름 버튼
71... 결합공 72... 돌기부
80... 지지부재
100... 트리거 스위치 장치
110... 록킹 해제 유니트 111... 케이스
111a... 제1 장공 111b... 제2 장공
112... 이동 부재 112a... 단부
112b... 경사면 112c... 걸림턱
112d... 장공 113... 제1 걸림 돌기
114... 제2 걸림 돌기 115... 록킹 레버
115a... 레버 핀 115b... 롤러
116... 가이드 핀 117... 탄성 부재
119... 탄성 지지 부재
120... 걸림 유니트 121... 고정 부재
121a... 결합공 121b... 걸림편
121c... 걸림편 121d... 장공
122... 회동 캠 122a... 관통공
122b... 편심 돌기 123... 작동 제어 부재
123a... 제1 스토퍼 123b... 배치공
123c... 걸이편 123d... 장공
123e... 제2 스토퍼 124... 탄성 부재
130... 포지션 유니트
131... 제1 스윙 레버 131a... 스윙 축
131b... 장공 131c... 이동 핀
131d... 결합핀 131e... 돌기
132... 제2 스윙 레버 132a... 스윙 축
133... 마운팅 베이스 133a... 이동공
134,135... 작동편 136... 탄성 부재
137... 지지판 140... 스위치
150... 하우징 160... 위치 결정 블록
161... 체결공 162... 제1 삽입홈
163... 제2 삽입홈 163a... 경사면
164... 걸림면
200... 트리거 스위치 장치 210... 막음 부재
211... 제1 장공 212... 제2 장공
213... 제3 장공 214... 연결편
215... 막음편 220... 이동 스크류 구조체
221... 브라켓 222... 회전축
223... 이동 스크류

Claims (18)

  1. 각종 전기 기기를 수납하고 전면에 손잡이와 차단기 핸들을 구비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안에 마련되고 수납부의 인출 및 삽입 동작을 제어하는 트리거 스위치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스위치 장치는,
    상기 수납부를 록킹 및 해제하는 록킹 해제 유니트, 차단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록킹 해제 유니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걸림 유니트, 상기 수납부의 위치에 따라 포지션을 제어해주는 포지션 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 스위치 장치는 상기 수납부의 인출, 삽입, 테스트 모드에 따라 수납부의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포지션 유니트는,
    상기 수납부의 인출 또는 삽입 동작시, 이동하는 제1 스윙 레버, 상기 제1 스윙 레버의 동작에 따라 스윙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스윙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윙 레버의 타단측에는 마운팅 베이스에 형성된 곡선형의 이동공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이동하는 결합핀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스윙 레버의 스윙 축에는 제2 스윙 레버의 스윙 동작시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되는 수납 유니트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해제 유니트는,
    상기 손잡이에 마련된 누름 버튼을 누르면 수납부의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수납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에는 상기 수납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록킹 레버가 이동 부재와 직교 방향으로 마련되는 수납 유니트 조립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해제 유니트는,
    상기 손잡이에 마련된 누름 버튼을 누르면 수납부의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수납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수납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록킹 레버에 형성된 레버 핀이 대면되고,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에 따라 레버 핀이 경사면을 타고 상승하면 록킹 레버의 상승으로 수납부의 록킹이 해제되는 수납 유니트 조립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유니트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단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캠, 상기 고정 부재의 일면에 상기 회동 캠의 회동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걸림 유니트의 이동 동작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수납 유니트 조립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캠의 일단부에는 상기 작동 제어 부재를 이동시키는 편심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납 유니트 조립체.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유니트는,
    상기 수납부안에 장착되는 마운팅 베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제1 스윙 레버와 제2 스윙 레버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스윙 레버는 스윙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윙 축이 형성되고, 상기 스윙 축의 일측에는 곡선형의 장공이 형성되며, 장공에는 이동핀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스윙 레버는 스윙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윙 축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스윙 레버의 일단은 상기 제1 스윙 레버의 하부에 대면되면서 연동되도록 이동핀에 함께 결합되는 수납 유니트 조립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윙 레버의 타단은 모드 표시부의 모드 표시봉을 회전시켜서 모드 표시를 해주도록 하는 동력 전달 부재를 동작시키도록 연결되고,
    상기 동력 전달 부재는 모드 표시봉의 단부측에 형성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고 직선 이동하는 랙크로 이루어지는 수납 유니트 조립체.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유니트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일면에서 승강되고 상기 걸림 유니트의 이동 동작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에는 걸이편이 형성되며, 상기 걸이편의 양측은 뚫린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를 통해 걸이편에 탄성 부재를 걸어서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성기 작동 제어 부재에는 일측면에 연장되어 돌출되고, 걸림 유니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의 일면에서 승강시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의 걸이편과 함께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걸이편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 제어 부재의 걸이편의 일측에는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토퍼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스토퍼와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서 상기 수납부의 록킹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 스토퍼가 형성되는 수납 유니트 조립체.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해제 유니트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안으로 입출되고, 상기 수납부의 전면에 마련된 누름 버튼을 누르면 직선 이동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제1 걸림 돌기와 제2 걸림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걸림 돌기는 걸림 유니트에 의해 제어되는 수납 유니트 조립체.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해제 유니트는,
    케이스 내에서 왕복 이동하는 이동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이동 부재에는 가이드 핀이 마련되며, 상기 이동 부재의 단부에는 이동 부재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가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이동 부재에 형성된 제2 걸림 돌기로부터 단부 방향으로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단부 방향으로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의 일측에는 록킹 레버가 이동 부재와 직교 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제1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장공을 통해 이동 부재의 상기 제2 걸림 돌기가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 핀이 삽입되고, 이동 부재의 이동시 가이드하는 제2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 레버에 형성된 레버 핀은 상기 이동 부재의 상기 경사면과 대면되고, 상기 이동 부재의 직선 이동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록킹 레버 의 승강 동작에 따라 상기 수납부의 록킹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수납 유니트 조립체.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누름 버튼이 마련되며, 상기 누름 버튼에는 자물쇠를 채울 수 있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수납 유니트 조립체.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쪽 손잡이의 일측에는 상기 누름 버튼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에는 상기 누름 버튼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돌기부가 끼워지는 제1 끼움공과 제2 끼움공이 형성되는 수납 유니트 조립체.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의 일측에는 상기 누름 버튼을 지지해주는 지지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납 유니트 조립체.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누름 버튼이 삽입되는 수납 유니트 조립체.
  1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손잡이에 마련된 누름 버튼을 누르면 이동하도록 대면되는 수납 유니트 조립체.
  18. 제1 항 내지 제5 항, 제7 항, 제8 항, 제 10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납 유니트 조립체를 구비하는 MCC.
KR1020200093093A 2020-07-27 2020-07-27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니트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102410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093A KR102410867B1 (ko) 2020-07-27 2020-07-27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니트 조립체를 구비한 mc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093A KR102410867B1 (ko) 2020-07-27 2020-07-27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니트 조립체를 구비한 mc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753A KR20220013753A (ko) 2022-02-04
KR102410867B1 true KR102410867B1 (ko) 2022-06-20

Family

ID=8026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093A KR102410867B1 (ko) 2020-07-27 2020-07-27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니트 조립체를 구비한 mc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8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256B1 (ko) * 2013-12-26 2014-02-12 윤여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101586022B1 (ko) * 2015-03-26 2016-01-15 윤여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101630678B1 (ko) * 2015-09-18 2016-06-24 윤여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932B1 (ko) * 2020-06-11 2022-08-11 이덕환 패널 유니트가 구비된 mcc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256B1 (ko) * 2013-12-26 2014-02-12 윤여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101586022B1 (ko) * 2015-03-26 2016-01-15 윤여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101630678B1 (ko) * 2015-09-18 2016-06-24 윤여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753A (ko)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0867B1 (ko)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니트 조립체를 구비한 mcc
US6637785B2 (en) Handle device
KR101811180B1 (ko) 멀티 타입 수납부의 일괄 잠금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공구함
KR100854382B1 (ko) 회로차단기
KR200475425Y1 (ko) 래치식 평면핸들장치
KR100823022B1 (ko) 미닫이문의 잠금 및 잠금 해제장치
CN209071152U (zh) 一种开关装置
KR100903246B1 (ko) 슬라이딩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CN112212574B (zh) 冰箱
CN211472675U (zh) 脚踏阀锁紧装置及挖掘机
CN108631203B (zh) 一种抽出式配电柜及其上的辅助开关触发机构
CN111520027A (zh) 保险柜及其操作方法
CN219299008U (zh) 一种储物柜
KR100479979B1 (ko) 도어 잠금장치
KR20040080076A (ko)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냉장고
CN218828748U (zh) 一种带后装模块化关门联锁结构的底盘车
KR200456759Y1 (ko) 서랍형 내화 캐비넷의 잠금장치
JP3966428B2 (ja) 保管庫の抽斗ロック装置
CN212516970U (zh) 一种机械程序锁及开关柜
KR20200052143A (ko) 보조배터리 충전용 크래들, 보조배터리 충전장치 및 보조배터리 대여기
CN211874169U (zh) 电控锁及具有该电控锁的共享车辆
CN218978562U (zh) 穿鞋辅助装置
KR102453445B1 (ko) 도어 잠금장치
CN217439739U (zh) 锁仓装置和自动施封设备
CN115434604B (zh) 一种抽屉式控制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