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445B1 -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445B1
KR102453445B1 KR1020220030896A KR20220030896A KR102453445B1 KR 102453445 B1 KR102453445 B1 KR 102453445B1 KR 1020220030896 A KR1020220030896 A KR 1020220030896A KR 20220030896 A KR20220030896 A KR 20220030896A KR 102453445 B1 KR102453445 B1 KR 102453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ok
latch
elevat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율
Original Assignee
우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0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cover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8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a rotary bar for actuating the fastening means
    • E05C9/085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a rotary bar for actuating the fastening means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do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E05Y2900/60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 잠금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도어 잠금장치는 평평한 제1 평면에 고정되고, 일방향으로 열려있는 제1 잠금홈을 포함하는 제1 걸이구; 상기 제1 걸이구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평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잠금홈과 동일 방향으로 열려있는 제2 잠금홈을 포함하는 제2 걸이구; 상기 제1 평면과 직각을 이루는 평평한 제2 평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걸이구 및 상기 제2 걸이구가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승강가이드부재; 상기 승강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승강가이드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잠금홈 아래에 위치하는 높이로 상기 승강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재로부터 상기 제1 걸이구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걸쇠;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승강가이드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잠금홈 아래에 위치하는 높이로 상기 승강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재로부터 상기 제2 걸이구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걸쇠; 및 상기 제2 평면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평평한 제3 평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와 연결되고, 상하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 동작을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승강조작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 잠금장치{DOOR LOCK}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소 등에 설치되는 충전기, 각종 배전반 및 각종 기계기구 장치의 컨트롤박스 도어에 사용되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도어에는 링크 기구를 이용하는 기계적 또는 전자적으로 도어를 잠금과 잠금을 해지할 수 있는 도어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적용 대상 및 도어의 개폐동작 또는 재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며 특히 배전반, 충전소에 설치되는 자동차 충전장치에는 내부를 외부인이 함부로 조작할 수 없도록 잠금장치가 설치되며, 그 종류도 다양하다.
예를 들어 국내등록실용신안 20-0481611호의 잠금장치는 배전반용 잠금장치의 일예로,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부에 수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부에 형성된 수납부에 수납되고 소정의 각도로 개폐되는 도어 손잡이와,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수납부의 하부에 수납되고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열기 위한 키뭉치를 포함하며,
상기 키뭉치는, 도어를 잠그거나 열기 위해 회전하는 잠금편을 일체로 구비하는 키꽂이부와, 상기 몸체의 수납부에 안착하여 상기 키꽂이부를 상기 몸체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력수단 및 상기 키꽂이부와 결합되고 고정핀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단 후부에 링크편을 구비하며, 내측부에는 키꽂이부 결합부가 형성되고, 우측면부에는 버튼부를 구비하는 키하우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잠금장치는 고정핀이 구조적인 한계로 약하고, 확실한 잠금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다른 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60758호, 배전반용 도어 잠금장치도 있다. 이 고안과 같이 종래의 도어 잠금장치는 하나의 록킹바를 통해 잠금 및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므로 도어의 잠금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견고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잠금 및 잠금해제를 위한 조작이 간편해지도록 한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단순하면서도 잠금 상태를 견고하고 확실히 유지할 수 있으며, 고장 및 수리가 간편하고, 여기에 본 발명이 설치되는 충전기와 배전반 등의 케이스 측벽에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을 해지하는 레버가 설치되어 도어의 전면과 도어 안쪽의 내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케이스에 형성된 개방부에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개방부의 테두리 안쪽에 폐문시 도어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기둥을 구비하고, 이 기둥과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를 잠금하고 잠금을 해지하는 도어 잠금장치로써,
도어의 내측면 상부에 케이스의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하방이 열려있는 제1 잠금홈이 마련된 제1 걸이구; 상기 제1 걸이구의 하부에 이격 거리를 두고 도어의 내측면 하부에 설치되며 케이스의 안쪽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하방이 열려있는 제2 잠금홈이 마련된 제2 걸이구; 폐문시 도어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기둥의 면을 정면으로 할 때, 이 기둥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걸이구 및 상기 제2 걸이구가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승강가이드부재; 상기 승강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승강가이드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걸쇠부가 상기 제1 잠금홈 아래에 위치하는 높이로 상기 승강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1 걸쇠;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승강가이드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걸쇠부가 상기 제2 잠금홈 아래에 위치하는 높이로 상기 승강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2 걸쇠; 및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재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회전 조작할 때 승강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며, 이 승강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 2걸쇠부가 제1,2 잠금홈 각각에 끼워지거나 이격되며 잠금 또는 잠금이 해지되도록 하는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도어 잠금장치에 따르면, 제1 걸쇠 및 제2 걸쇠가 상, 하로 이격되고, 이들 제1 걸이구 및 제2 걸이구 각각을 잠금 또는 잠금을 해지함으로써 이전 하나의 걸쇠 및 하나의 걸이구로 잠기는 잠금장치에 비해 견고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및 잠금해지를 조작하는 승강조작핸들이 상, 하 회전식 구조로 구비되어서 잠금 및 잠금해제를 위한 조작이 간편하고, 이 승강조작핸들이 도어가 아닌 배전반 또는 충전기의 케이스 측벽에 설치되어 도어의 전면과 도어의 안쪽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도 5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의 총전소 등에 설치되는 충전기 또는 각종 배전반은 내부에 충전 및 전기공급을 위한 각종 장치가 설치되는 케이스로 구성되고, 이 케이스의 일측면에 마련된 개방부에는 도어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는 일측단이 힌지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개폐되고, 본 발명의 도어 잠금장치는 상기 힌지의 대향측에 위치하여 도어를 잠금하고 잠금을 해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방부의 테두리 안쪽에는 기둥이 설치되며, 이 기둥은 폐문시 도어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면을 정면으로 하고, 배면 그리고 정면과 배면을 잇는 측면으로 구성된 각형 기둥으로 이루어지며 이 기둥의 배면에 후술하는 승강가이드부재가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제1 실시 예는, 충전기 케이스의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1 걸이구(110)와 제2 걸이구(120)를 포함하고, 케이스 내부에 세워진 기둥의 배면에 설치되는 승강가이드부재(130)와 상기 승강가이드부재(130)를 따라 상하이동하는 승강부재(140)와 상기 승강부재(140)에 결합되는 제1 걸쇠(150) 및 제2 걸쇠(160) 그리고 케이스의 측벽에 설치되는 승강조작핸들(17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걸이구(110)는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일방향으로 열려있는 예컨데 도면과 같이 하향이 열려있는 제1 잠금홈(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걸이구(110)는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플레이트부(111),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부(111)의 상부에서 케이스의 안쪽으로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제1 수평연장부(112), 상기 제1 수평연장부(112)의 말단으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1 수직연장부(11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잠금홈(114)은 상기 제1 수평연장부(112) 및 상기 제1 수직연장부(113)의 내측변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제2 걸이구(120)는 상기 제1 걸이구(1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잠금홈(114)과 동일 방향으로 열려있는 제2 잠금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걸이구(120)는 상기 제1 걸이구(110)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고정플레이트부(121), 제2 수평연장부(122) 및 제2 수직연장부(12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잠금홈(124)은 상기 제2 수평연장부(122) 및 제2 수직연장부(123)의 내측변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도면 부호 115 및 125는 도어의 내측면에서 직교로 연장된 도어 플레이트로써, 상기 제1, 2걸이구의 제1, 2고정플레이트부(111),(121)가 이 도어 플레이트(115),(125) 각각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승강가이드부재(130)는 폐문 시 도어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기둥의 면을 정면으로 할때 그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걸이구(110) 및 상기 제2 걸이구(120)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삭제
다시 말해 상기 승강가이드부재(130)는 기둥의 배면에 고정되며 제1 걸쇠(150)의 이동을 안내하여 상기 제1 걸이구(110)의 제1 잠금홈(114)에 끼워지게 하는 제1 가이드레일(131)과, 상기 제1 가이드레일과 이격된 상태에서 기둥의 배면에 고정되고 제2 걸쇠(160)의 이동을 안내하여 상기 제2 걸이구(120)의 제2 잠금홈(124)에 끼워지게 하는 제2 가이드레일(132)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재(140)는 상기 승강가이드부재(1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승강부재(140)는 승강프레임(141), 제1 슬라이딩부재(142) 및 제2 슬라이딩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프레임(141)은 일정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제1 걸이구(110) 및 상기 제2 걸이구(120)의 이격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승강프레임(141)은 횡방향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142)는 상기 승강프레임(141)의 상부에 조립되며 일측면에 구비된 제 1롤러(1422)가 상기 제1 가이드레일(1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142)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승강프레임(141)에 결합되는 제1 결합플레이트(1421) 및 상기 제1 결합플레이트(1421)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결합플레이트(14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1 롤러(14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결합플레이트(1421)는 상기 다수의 제1 롤러(1422)가 결합된 면의 반대면이 상기 승강프레임(141)의 안쪽면에 결합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 결합플레이트(1421)의 하부가 상기 승강프레임(141)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로 제1 결합플레이트(1421)의 일부가 승강프레임(141)의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143)는 상기 승강프레임(141)의 하부에 조립되며 일측면에 구비된 제 2롤러(1432)가 상기 제2 가이드레일(1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143)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승강프레임(141)에 결합되는 제2 결합플레이트(1431) 및 상기 제2 결합플레이트(1431)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결합플레이트(143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2 롤러(14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 결합플레이트(1431)는 상기 다수의 제2 롤러(1432)가 결합된 면의 반대면이 상기 승강프레임(141)의 안쪽면에 결합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2 결합플레이트(1431)의 상부가 상기 승강프레임(141)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2 결합플레이트(1431)의 일부가 승강프레임(141)의 하부측으로 돌출되어 결합된다.
제1 걸쇠(150)는 상기 승강부재(140)가 상기 승강가이드부재(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잠금홈(114) 아래에 위치하는 높이로 상기 승강부재(140) 상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재(140)로부터 상기 제1 걸이구(11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걸쇠(150)는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142)의 상기 제1 결합플레이트(1421)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제1 플레이트부(151) 및 상기 제1 플레이트부(151)의 일측변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걸쇠부(15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걸쇠부(152)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151)의 폭의 절반 이하의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일측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플레이트부(151)는 상기 제1 걸쇠부(152)가 없는 영역이 상기 제1 결합플레이트(1421)에 결합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 플레이트부(151)는 상기 제1 결합플레이트(1421)의 상부 다시 말해 상기 승강프레임(141)의 상부에 노출되는 영역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걸쇠(160)는 상기 승강부재(140)가 상기 승강가이드부재(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잠금홈(124) 아래에 위치하는 높이로 상기 승강부재(140) 상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재(140)로부터 상기 제2 걸이구(12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걸쇠(160)는 상기 제1 걸쇠(150)와 동일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2 플레이트부(161) 및 제2 걸쇠부(16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플레이트부(161)는 상기 제2 결합플레이트(1431)의 하부 다시 말해 상기 승강프레임(141)의 하부에 노출되는 영역 상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부재(140)는 상기 제1 걸쇠(150) 및 상기 제2 걸쇠(16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141) 상에 고정되는 승강가동프레임(1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가동프레임(144)은 상기 승강프레임(141)의 폭보다 큰 폭으로 구비되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승강가동프레임(144)은 일단이 상기 승강프레임(141)의 일측의 장축변으로부터 돌출되어 그 돌출된 일단 방향에 레버삽입홈(1441)이 형성될 수 있다.
승강조작핸들(170)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케이스의 측벽에 설치되고, 상하로 회전하며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 동작을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승강조작핸들(170)은 핸들회전축(171), 승강가동레버(172) 및 조작핸들(1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회전축(171)은 상기 케이스의 측벽을 관통하고, 이 측벽을 기준으로 상기 조작핸들(173)은 외부로 위치하고 승강가동레버(172)는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승강가동레버(172)는 상기 핸들회전축(171)의 상기 승강가동프레임(144)을 향하는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레버삽입홈(1441)에 삽입되고, 작업자에 의해 상하 조작되는 상기 핸들회전축(17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조작핸들(173)은 상기 핸들회전축(171)의 타단에 설치되고, 케이스의 측벽 외측으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조작핸들이 연결된 핸들회전축(171)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잠금 및 잠금이 해지된다.
일 예로, 상기 조작핸들(173)의 말단이 아래를 향하는 경우 상기 승강가동레버(172)는 상측으로 경사지며 승강가동프레임(144)을 밀어올려 잠금이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핸들(173)의 말단이 위를 향하는 경우 상기 승강가동레버(172)는 하측으로 경사지며 승강가동프레임(144)을 끌어내려 잠금이 해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해제 과정은 상기 승강부재(140)의 승강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승강부재(140)가 승강될 때 상기 제1 걸쇠(150) 및 상기 제2 걸쇠(160)가 상기 제1 걸이구(110) 및 상기 제2 걸이구(120)에 끼워지거나 이격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승강부재(140)의 승강 조작은 상기 승강조작핸들(170)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조작핸들(173)을 상, 하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통해 상기 승강부재(14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도 2는 잠금 상태를 나타낸다. 도 2와 같이 잠긴 상태에서, 잠금을 해제시키고자 하는 경우, 먼저 수직의 상기 조작핸들(173)을 상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회전축(171)이 회전하면서 승강가동프레임(144)의 레버삽입홈(1441)에 단부가 삽입되어 있는 승강가동레버(172)가 하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가동프레임(144)을 하측 방향으로 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프레임(141)이 하강하여 상기 제1 걸쇠(150) 및 상기 제2 걸쇠(160)가 상기 제1 걸이구(110)의 제1 잠금홈(114) 및 상기 제2 걸이구(120)의 제2 잠금홈(124)으로부터 이격되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다시 잠금 상태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상기 조작핸들(173)을 반대 방향으로 하향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회전축(171)이 회전하고, 승강가동프레임(144)의 레버삽입홈(1441)에 단부가 삽입되어 있는 승강가동레버(172)가 상측으로 회전하며 승강가동프레임(144)을 상측 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프레임(141)이 상승하여 상기 제1 걸쇠(150) 및 상기 제2 걸쇠(160)가 상기 제1 걸이구(110)의 제1 잠금홈(114) 및 상기 제2 걸이구(120)의 제2 잠금홈(124)에 삽입되어 잠금 상태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는 제1 걸쇠(150) 및 제2 걸쇠(160)가 서로 상, 하로 이격된 구성이며, 마찬가지로 서로 이격된 제1 걸이구(110) 및 제2 걸이구(120)에 대응되어서 잠기는 구조를 가지므로 하나의 걸쇠 및 하나의 걸이구로 잠기는 잠금장치에 비해 견고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및 잠금해제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핸들이 상, 하 회전식 구조로 구비되어서 잠금 및 잠금해제를 위한 조작이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도 5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는 제1 걸이구(210), 제2 걸이구(220), 제1 걸쇠(230), 제2 걸쇠(240), 승강가이드부재(250), 승강부재(260), 제1 걸쇠가동부재(270), 제2 걸쇠가동부재(280), 승강조작핸들(29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도어의 내측면에 제1 걸이구(210)와 제2 걸이구(220)가 설치되고, 승강가이드부재(250)는 기둥의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재(260)를 구성하는 승강프레임(261)의 상부에는 제1 슬라이딩부재(262)가, 하부에는 제2 슬라이딩부재(263)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가이드부재(250)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프레임(261)에는 승강가동프레임(264)이 설치되고, 케이스의 측벽에 설치되는 승강조작핸들(290)의 승강가동레버(292)이 상기 승강가동프레임과 연결되는 구성이 동일하고, 여기에 제2 실시 예는 잠금 및 잠금 해지가 용이한 제1 걸쇠(230), 제2 걸쇠(240)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의 제1 걸이구(210)는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케이스의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잠금축(2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걸이구(210)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어, 사각형상의 제1 결합부(2111) 및 상기 제1 결합부(2111)의 두 변의 일측 끝으로부터 케이스의 안쪽 방향을 향해 테이퍼지면서 삼각뿔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돌출부(2112)를 포함하는 제1 결합플레이트부(211) 및 상기 제1 돌출부(2112)의 말단의 일면으로부터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1 잠금축(212)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제2 걸이구(220)는 상기 제1 걸이구(2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며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잠금축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잠금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걸이구(220)는 제2 결합부(2211) 및 제2 돌출부(2212)를 포함하는 제2 결합플레이트부(221), 및 제2 잠금축(222)을 포함할 수 있고, 그 형태는 상기 제1 걸이구(210)와 동일할 수 있다.
삭제
제1 걸쇠(230)는 제1 잠금홈(231)을 포함하고, 기둥의 측면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폐문시 도어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기둥의 면을 정면을 할때, 상기 승강가이드부재(250)는 기둥의 배면에 설치되고, 이 기둥의 배면과 정면을 잇는 측면에 상기 제1 걸쇠(230)와 후술하는 제2 걸쇠(240)가 위치하여 제1 잠금축과 제2 잠금축을 걸 수 있다.
상기 제1 걸쇠(230)는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결합되는 제1 걸쇠장착플레이트(201) 및 제2 걸쇠장착플레이트(202)를 통해 기둥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걸쇠장착플레이트(201) 및 상기 제2 걸쇠장착플레이트(202)의 서로 평행하게 마주하는 각각의 일측변에 상기 제1 잠금축(212)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축수용홈(201a, 202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축수용홈(201a, 202a)의 상측으로는 상기 제1 걸쇠(23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걸쇠회전축(204)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축수용홈(201a, 202a)의 옆으로는 상기 제1 걸쇠(230)의 상기 제1 잠금홈(231)의 반대편의 말단 방향을 지지하는 제1 걸쇠지지축(205)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걸쇠(230)는 상기 제1 걸쇠회전축(20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때 상기 제1 잠금홈(231)이 상기 제1 축수용홈(201a, 202a)으로 삽입된 제1 잠금축(212)을 향해 회전하여 상기 제1 잠금축(212)을 감쌀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걸쇠(240)는 제2 잠금홈(241)을 포함하고, 기둥의 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잠금홈(241)이 상기 제2 잠금축(222)을 감싸거나 이격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걸쇠(240)는 제2 축수용홈(206a, 207a)을 갖는 제3 걸쇠장착플레이트(206) 및 제4 걸쇠장착플레이트(207) 사이에서 제2 걸쇠회전축(20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때 제2 걸쇠지지축(209)에 상기 제2 걸쇠(240)의 상기 제2 잠금홈(241) 반대편의 말단 방향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걸쇠장착플레이트(206) 및 상기 제4 걸쇠장착플레이트(207)의 구조는 상기 제1 걸쇠장착플레이트(201) 및 상기 제2 걸쇠장착플레이트(202)의 구조와 동일하고, 상기 제2 걸쇠회전축(208) 및 상기 제2 걸쇠지지축(209)은 상기 제1 걸쇠회전축(205) 및 상기 제1 걸쇠지지축(205)과 동일하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걸쇠(240)는 상기 제2 걸쇠회전축(20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때 상기 제2 잠금홈(241)이 상기 제2 축수용홈(206a, 207a)으로 삽입된 제2 잠금축(222)을 향해 회전하여 상기 제2 잠금축(222)을 감쌀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다.
삭제
승강가이드부재(250)는 기둥의 배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걸이구 및 상기 제2 걸이구가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승강가이드부재(250)는 상기 제1 걸이구(210) 방향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레일(251)과, 상기 제2 걸이구(220) 방향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레일(252)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재(260)는 상기 승강가이드부재(25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승강부재(260)는 승강프레임(261), 제1 슬라이딩부재(262) 및 제2 슬라이딩부재(2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프레임(261),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262) 및 제2 슬라이딩부재(26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프레임(261), 제1 슬라이딩부재(262) 및 제2 슬라이딩부재(263)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걸쇠가동부재(270)는 제1 걸쇠체결구멍(27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쇠체결구멍(271)에 상기 제1 걸쇠(230)의 말단이 끼워지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걸쇠가동부재(270)는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262)에 결합되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제1 고정부(272), 상기 제1 고정부(272)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일측변으로부터 절곡되는 제1 절곡부(273), 및 상기 제1 절곡부(273)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일측변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 고정부(272)와 평행하며 일측에 상기 제1 걸쇠체결구멍(271)을 갖는 제1 걸쇠연결부(2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걸쇠가동부재(280)는 제2 걸쇠체결구멍(28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걸쇠체결구멍(281)에 상기 제2 걸쇠(240)의 말단이 끼워지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걸쇠와 제2 걸쇠는 각각이 제1,2 걸쇠장착플레이트와 제3,4 걸쇠장착플레이트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단은 제1,2 걸쇠회전축에 끼워지고 타단은 걸쇠장착플레이트 보다 길게 연장되어 제1,2 걸쇠체결구멍에 각각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 제2 걸쇠가동부재(280)는 제2 고정부(282), 제2 절곡부(283), 및 상기 제2 걸쇠체결구멍(281)을 일측에 갖는 제2 걸쇠연결부(28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282), 상기 제2 절곡부(283) 및 상기 제2 걸쇠연결부(284)는 상기 제1 걸쇠연결부(274), 상기 제1 절곡부(273) 및 상기 제1 걸쇠연결부(274)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승강부재(260)는 상기 제1 걸쇠(230) 및 상기 제2 걸쇠(24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261) 상에 고정되는 승강가동프레임(26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가동프레임(264)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승강가동프레임(264)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승강조작핸들(290)은 케이스의 측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하 회전하여 상기 승강부재(260)의 승강 동작을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일 실시예로, 상기 승강조작핸들(290)은 핸들회전축(291), 승강가동레버(292) 및 조작핸들(29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회전축(291), 상기 승강가동레버(292) 및 상기 조작핸들(29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핸들회전축(291), 승강가동레버(292) 및 조작핸들(293)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해제 과정은 상기 승강부재(260)의 승강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부재(260)가 승강될 때 상기 제1 걸쇠(230) 및 상기 제2 걸쇠(240)가 상기 제1 걸이구(210)의 제1 잠금축(212) 및 상기 제2 걸이구(220)의 제2 잠금축(222)을 감싸거나 이격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260)의 승강 조작은 상기 승강조작핸들(290)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조작핸들(293)을 상, 하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통해 상기 승강부재(26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도 6은 잠금 상태를 나타낸다. 도 6과 같이 잠긴 상태에서, 잠금을 해제시키고자 하는 경우, 먼저 상기 조작핸들(293)을 상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회전축(291)이 회전하면서 승강가동프레임(264)의 레버삽입홈(2641)에 단부가 삽입되어 있는 승강가동레버(292)가 하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가동프레임(264)을 하측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상기 승강프레임(261)이 하강하고, 하강하는 승강프레임(261)에 연결된 상기 제1 걸쇠가동부재(270) 및 상기 제2 걸쇠가동부재(280)도 하강하게 된다. 아울러 제1 걸쇠체결구멍(271)과 제2 걸쇠체결구멍(281) 각각에 말단이 끼워진 제1 걸쇠(230)와 제2 걸쇠(240)가 각각의 걸쇠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걸쇠(230)의 제1 잠금홈(231)은 상기 제1 잠금축(212)과 이격되며, 상기 제2 걸쇠(240)의 제2 잠금홈(241)은 상기 제2 잠금축(222)과 이격되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다시 잠금 상태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상기 조작핸들(293)을 하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회전축(291)이 회전하면서 승강가동프레임(264)의 레버삽입홈(2641)에 단부가 삽입되어 있는 승강가동레버(292)가 상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가동프레임(264)을 상부로 밀어 올리면 상기 승강프레임(261)이 상승하고, 상승하는 승강프레임(261)과 함께 상기 제1 걸쇠가동부재(270) 및 상기 제2 걸쇠가동부재(280)가 상승하면서 상기 제1 걸쇠(230) 및 상기 제2 걸쇠(240) 각각의 말단을 밀어서, 상기 제1 걸쇠(230) 및 상기 제2 걸쇠(240)가 상기 제1 걸쇠회전축(205) 및 상기 제2 걸쇠회전축(208)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걸쇠(230)의 제1 잠금홈(231)은 상기 제1 잠금축(212)을 감싸며, 상기 제2 걸쇠(240)의 제2 잠금홈(241)은 상기 제2 잠금축(222)을 감싸서, 잠금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 역시 하나의 걸쇠 및 하나의 걸이구로 잠기는 잠금장치에 비해 견고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및 잠금해제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핸들이 상, 하 회전식 구조로 구비되어서 잠금 및 잠금해제를 위한 조작이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잠금장치 110, 120: 제1걸이구, 제2걸이구
130: 승강가이드부재 140 : 승강부재
150 : 제1걸쇠 160 : 제2걸쇠

Claims (4)

  1.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케이스에 형성된 개방부에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개방부의 테두리 안쪽에 폐문시 도어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기둥을 구비하고, 이 기둥과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를 잠금하고 잠금을 해지하는 도어 잠금장치로써,
    도어의 내측면 상부에 케이스의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하방이 열려있는 제1 잠금홈이 마련된 제1 걸이구;
    상기 제1 걸이구의 하부에 이격 거리를 두고 도어의 내측면 하부에 설치되며 케이스의 안쪽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하방이 열려있는 제2 잠금홈이 마련된 제2 걸이구;
    폐문시 도어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기둥의 면을 정면으로 할 때, 이 기둥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걸이구 및 상기 제2 걸이구가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승강가이드부재;
    상기 승강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승강가이드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걸쇠부가 상기 제1 잠금홈 아래에 위치하는 높이로 상기 승강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1 걸쇠;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승강가이드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걸쇠부가 상기 제2 잠금홈 아래에 위치하는 높이로 상기 승강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2 걸쇠; 및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재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회전 조작할 때 승강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며, 이 승강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 2걸쇠부가 제1,2 잠금홈 각각에 끼워지거나 이격되며 잠금 또는 잠금이 해지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승강조작핸들을 포함하는 도어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부재는,
    상기 기둥의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걸쇠부가 제1 걸이구에 끼워지지거나 이격되도록 안내하는 제1 가이드레일;
    상기 제1 가이드레일과 이격 거리 두고 기둥의 배면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걸쇠부가 제2 걸이구에 끼워지지거나 이격되도록 안내하는 제2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재는,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슬라이딩부재;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걸쇠는 제1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걸쇠는 제2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도어 잠금장치.
  3. 삭제
  4.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케이스에 형성된 개방부에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개방부의 테두리 안쪽에 폐문시 도어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기둥을 구비하고, 이 기둥과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를 잠금하고 잠금을 해지하는 도어 잠금장치로써,
    케이스의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도어의 내측면 상부에 설치되고, 말단에 제1 잠금축이 구비된 제1 걸이구,
    상기 제1 걸이구의 하부에 일정 거리로 이격되며, 케이스의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말단에 제2 잠금축이 구비된 제2 걸이구;
    제1 잠금홈을 포함하고, 폐문시 도어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기둥의 면을 정면으로 할때 기둥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잠금홈이 상기 제1 잠금축을 감싸거나 이격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걸쇠;
    제2 잠금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쇠의 하방으로 거리를 두고 기둥의 측면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잠금홈이 상기 제2 잠금축을 감싸거나 이격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걸쇠;
    상기 기둥의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걸이구 및 상기 제2 걸이구가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승강가이드부재;
    상기 승강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부재;
    제1 걸쇠체결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쇠체결구멍에 상기 제1 잠금홈 반대편의 상기 제1 걸쇠 말단이 끼워진 상태로 상기 승강부재에 연결되어 상하이동하는 제1 걸쇠가동부재;
    제2 걸쇠체결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걸쇠체결구멍에 상기 제2 잠금홈 반대편의 상기 제2 걸쇠 말단이 끼워진 상태로 상기 승강부재에 연결되어 상하이동하는 제2 걸쇠가동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하 회전하는 승강가동레버가 상기 승강부재와 연결되며, 이 승강가동레버의 상하 회전에 의해 승강부재와 상기 제1, 2걸쇠가동부재가 상하 이동하며 제1, 2걸쇠를 회전시키며 잠금 및 잠금이 해지되도록 하는 승강조작핸들을 포함하는 도어 잠금장치.
KR1020220030896A 2022-03-11 2022-03-11 도어 잠금장치 KR102453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896A KR102453445B1 (ko) 2022-03-11 2022-03-11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896A KR102453445B1 (ko) 2022-03-11 2022-03-11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445B1 true KR102453445B1 (ko) 2022-10-12

Family

ID=83598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896A KR102453445B1 (ko) 2022-03-11 2022-03-11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4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7453A (ja) * 2012-09-13 2014-03-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イッチギヤの扉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7453A (ja) * 2012-09-13 2014-03-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イッチギヤの扉ロッ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446B1 (ko) 모티스 도어록
EP2935741B1 (en) Latch mechanism
JP2000086097A (ja) エレベータの制御盤開閉装置
KR101193963B1 (ko) 모티스 및 이를 갖춘 도어록
US20020140327A1 (en) Cabinet having double locking mechanism
KR200390909Y1 (ko) 금고잠금장치
KR102453445B1 (ko) 도어 잠금장치
KR200452304Y1 (ko) 고정후크가 마련된 도어록 장치
CN207749937U (zh) 一种箱包锁及箱包
KR102133349B1 (ko) 도어형과 서랍형 수납장에 모두 적용 가능한 도어락 장치
KR100823022B1 (ko) 미닫이문의 잠금 및 잠금 해제장치
KR20060112280A (ko) 금고잠금장치
KR101539772B1 (ko)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KR102337674B1 (ko) 가구용 디지털 도어록
KR101075216B1 (ko) 비상 개방이 가능한 금고문
KR101304840B1 (ko) 도어잠금장치의 액츄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도어잠금장치
KR101312239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200456759Y1 (ko) 서랍형 내화 캐비넷의 잠금장치
KR100297890B1 (ko) 게임기의로크장치
KR20200111596A (ko) 래치볼트 자동 해정식 도어락 모티스
JP3966428B2 (ja) 保管庫の抽斗ロック装置
KR101312234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2126516B1 (ko) 도어의 잠금 안전성을 향상시킨 분전함
CN216142688U (zh) 一种门护栏
KR101192549B1 (ko) 내부 개방이 가능한 금고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