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516B1 - 도어의 잠금 안전성을 향상시킨 분전함 - Google Patents
도어의 잠금 안전성을 향상시킨 분전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6516B1 KR102126516B1 KR1020180132856A KR20180132856A KR102126516B1 KR 102126516 B1 KR102126516 B1 KR 102126516B1 KR 1020180132856 A KR1020180132856 A KR 1020180132856A KR 20180132856 A KR20180132856 A KR 20180132856A KR 102126516 B1 KR102126516 B1 KR 1021265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door
- push button
- button
- clasp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ing or frame
- E05C1/16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ing or frame with sliding handl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4—Hinged covers or doors
-
- E05Y2900/606—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에 매립되고, 벽면으로 노출되는 커버를 갖는 박스 본체; 일단이 상기 커버에 힌지 결합되어 커버의 노출부를 개폐하고, 타단측의 양측 모서리부가 연결된 측벽부에 각각 잠금홀을 구비한 도어; 및 상기 커버에서 상기 잠금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커버 외면으로 노출되는 버튼부와, 상기 잠금홀에 끼워지는 걸쇠부와, 상기 버튼부의 푸시 동작에 의해 상기 걸쇠부를 커버 외측 방향으로 후퇴시켜 걸쇠부가 잠금홀에서 이탈되게 하는 중계체와, 상기 중계체를 잠금 위치로 복귀하도록 강제하는 탄성체를 구비한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도어의 양측 사이드 측벽부에서 잠금이 이루어져 잠금 상태에서 도어의 일부가 들려서 틈새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양측 잠금수단의 동시 작동으로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전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체에 매립되고, 벽면으로 노출되는 커버를 갖는 박스 본체; 일단이 상기 커버에 힌지 결합되어 커버의 노출부를 개폐하고, 타단측의 양측 모서리부가 연결된 측벽부에 각각 잠금홀을 구비한 도어; 및 상기 커버에서 상기 잠금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커버 외면으로 노출되는 버튼부와, 상기 잠금홀에 끼워지는 걸쇠부와, 상기 버튼부의 푸시 동작에 의해 상기 걸쇠부를 커버 외측 방향으로 후퇴시켜 걸쇠부가 잠금홀에서 이탈되게 하는 중계체와, 상기 중계체를 잠금 위치로 복귀하도록 강제하는 탄성체를 구비한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도어의 양측 사이드 측벽부에서 잠금이 이루어져 잠금 상태에서 도어의 일부가 들려서 틈새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양측 잠금수단의 동시 작동으로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전함에 관한 것이다.
분전함은 주택의 각 구역으로 전기를 인가하거나 차단한다.
이러한 분전함은 대부분 주택의 출입구 벽면 또는 출입구에 설치된 신발장 등의 가구 내측 벽면에 매립되어 설치된다.
등록특허 제10-0678577호,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059536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55582호,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11628호 등에는 종래의 분전함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분전함은 차단기 세트가 설치되는 박스 본체가 벽체에 매립되어 있으며, 박스 본체의 전면 개구부에 차단기 세트의 스위치들을 노출시키는 커버가 결합되고, 커버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분전함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일단이 커버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며, 도어의 타단측 중앙에 원터치 방식으로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되어, 폐쇄된 도어의 타단측을 누르면 힌지부의 스프링으로 인해 도어가 자동으로 회동하여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되는 도어를 구비한 분전함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째, 도어의 힌지부 반대편 중앙에 도어의 잠금을 위한 원터치 잠금수단이 구비되어, 도어의 양측 사이드 측벽부가 커버에 결속되지 않아 해당 부위가 들려서 커버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될 위험성이 있다.
특히 대부분의 도어는 플라스틱류의 합성수지 소재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되는 바, 일정 크기 이상의 도어를 사출 성형하게 되면 사출 후 냉각 시 뒤틀림 등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잠금수단에 결속되지 않은 부위가 들려서 도어 폐쇄 상태에서 커버와의 사이에 정확히 밀폐되지 않아 틈새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도어 개폐의 편의를 위한 원터치 방식의 잠금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나, 이는 별도의 조작 없이 잠금수단이 구비된 부위에 대한 단순한 가압 내지 터치만으로 도어의 자동 개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린아이들이 출입구를 드나들거나 신발장 등을 사용할 때 실수 또는 장난 등의 이유로 도어가 쉽게 개방될 수 있어, 전기가 연결된 차단기 세트가 무방비로 노출됨에 따라 안전사고의 유발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분전함 내측에 대한 밀폐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도어 개폐를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하면서도, 어린이 등의 단순 실수 또는 장난에 의해 도어가 바로 개방되지 않고, 비교적 간편한 추가 조작에 의해서만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도어의 잠금 안전성을 향상시킨 분전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전함은,
벽체에 매립되고, 벽면으로 노출되는 커버를 갖는 박스 본체;
일단이 상기 커버에 힌지 결합되어 커버의 노출부를 개폐하고, 타단측의 양측 모서리부가 연결된 측벽부에 각각 잠금홀을 구비한 도어; 및
상기 커버에서 상기 잠금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커버 외면으로 노출되는 버튼부와, 상기 잠금홀에 끼워지는 걸쇠부와, 상기 버튼부의 푸시 동작에 의해 상기 걸쇠부를 커버 외측 방향으로 후퇴시켜 걸쇠부가 잠금홀에서 이탈되게 하는 중계체와, 상기 중계체를 잠금 위치로 복귀하도록 강제하는 탄성체를 구비한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분전함에서,
상기 잠금수단은,
외측단에 상기 버튼부를 갖고, 내외측으로 전후진하게 구비된 푸시버튼,
내측단에 상기 걸쇠부를 갖고, 내외측으로 전후진하게 구비되되, 상기 푸시버튼과 소정 간격 이격하는 위치에 배열된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체는 상기 푸시버튼과 상기 잠금부재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고, 각각 상기 푸시버튼과 잠금부재에 연결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푸시버튼과 잠금부재가 연동하게 하는 양측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전함에서,
상기 푸시버튼은 내측단에 제1 회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잠금부재는 외측단에 제2 회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중계체는 양 측단 받침부에 각각 상기 제1 회동축과 제2 회동축이 힌지 결합되는 제1 축공과 제2 축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분전함에서,
상기 중계체는 받침부들 중 어느 하나에 끼움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체는 일단이 상기 끼움돌기에 끼워지고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중계체가 원위치로 회전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 안전성을 향상시킨 분전함은,
도어의 잠금수단이 도어의 양측 사이드 측벽부를 결속시킴에 따라, 힌지부와 함께 도어 전체를 4점 고정으로 커버에 밀착시켜 도어와 커버 사이에 틈새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양측 버튼의 푸시 동작만으로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여 종래의 분전함과 같이 사용상의 편의를 높이면서도, 도어 개방 시 비교적 간편하면서도 추가적인 동시 동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어린이 등이 도어에 대한 가벼운 터치 내지 가압을 행하더라도 도어가 바로 개방되지 않아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전함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전함의 분해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전함의 분해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잠금 안정성을 향상시킨 분전함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분전함의 벽체 매립 설치를 감안하여 도면의 상하 방향과 설치를 가정한 전후 방향이 혼용되어 설명될 수 있으며,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잠금 안전성을 향상시킨 분전함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벽체에 매립 설치되는 분전함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차단기 세트(C)가 내장되는 박스 본체(10), 상기 박스 본체(1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0), 상기 도어(20)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게 하는 잠금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박스 본체(10)는 벽체에 매립되고, 벽면으로 노출되는 커버(11)를 포함하는 것으로,
박스 본체(10)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차단기 또는 차단기 세트(C)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11)에는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결합구들로 이루어진 노출부(12)가 구비되어, 차단기(들)의 스위치가 각 결합구에 결합되어 전면으로 노출된다.
상기 커버(11)는 사변의 테두리부 내측에 폐쇄되는 도어(20)의 수용을 위한 수용부(13)가 테두리부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오목하게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13) 내측에 상기 노출부(12)가 수용부(13)보다 낮은 높이를 갖게 오목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11)의 수용부(13) 일측단 양 측면부에는 도어(20)의 힌지 결합을 위한 축부가 구비되어, 도어(20)의 내측면 일측단 양측에 구비된 힌지부가 축부에 끼워지면서 힌지 결합되어, 도어(20)가 힌지부를 축으로 회동하여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된다.
아울러 상기 커버(11)는 각 축부의 반대편 타단측 모서리부가 연결된 측면부(11A)(11B)에서 모서리부와 인접한 위치에 관통하여 형성된 노출구(11a)가 구비되어, 각 노출구(11a)에 각 잠금수단(30)의 버튼부(331)가 끼워져 커버(11) 외부로 노출된다.
즉, 상기 노출구(11a)는 양측 제1 측면부(11A)에서 각 축부의 반대편 끝단부 또는 제2 측면부(11B)의 양 측단에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20)는 일단이 상기 커버(11)에 힌지 결합되어 커버(11)의 노출부(12)를 개폐하는 것으로,
테두리의 끝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 연결된 측벽부(22)(22`)를 구비하고, 일측단의 양측 각 힌지부에 도어(20)를 개방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1)가 구비되어, 도어(20)에 대한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면 별도의 도어(20) 개방 동작 없이 자동으로 도어(20)가 개방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도어(20)는 종래의 도어와 같이 원터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잠금부가 힌지부의 반대편 끝단부 중앙이 아니라, 각 힌지부의 반대편 타단측의 양측 모서리부가 연결된 측벽부(22)(22`) 상에 잠금수단(30)을 위한 잠금홀(23)이 관통하여 구비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은 도어(20)의 양측 제1 측벽부(22)에서 힌지부의 반대편 끝단부 또는 도어의 제2 측벽부(22`)에서 중앙이 아닌 양 측단에 각각 잠금홀(23)이 구비되어, 도어(20) 잠금 상태에서 도어(20)의 힌지부 2곳과 반대편의 모서리부 2곳이 모두 커버(11)의 힌지부와 잠금수단(30)에 의해 결속되어, 도어(20)의 모서리부 네 곳을 커버(11)의 수용부(13) 상에 밀착시켜 도어(20)와 커버(11)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도어(20)는 상기 잠금홀(23)의 하측 측벽부(22)(22`) 끝단에 걸쇠부(341)의 경사면과 대응하게 경사진 가압부(24)가 구비되어, 도어(20) 폐쇄 시 걸쇠부(341)가 가압부(24)에 의해 밀려서 자동으로 후퇴 후 전진하여 잠금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핵심인 상기 잠금수단(30)은,
상기 커버(11)에서 상기 잠금홀(23)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커버(11) 외면으로 노출되는 버튼부(331)와, 상기 잠금홀(23)에 끼워지는 걸쇠부(341)와, 상기 버튼부(331)의 푸시 동작에 의해 상기 걸쇠부(341)를 커버(11) 외측 방향으로 후퇴시켜 걸쇠부(341)가 잠금홀(23)에서 이탈되게 하는 중계체(35)와, 상기 중계체(35)를 잠금 위치로 복귀하도록 강제하는 탄성체(36)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잠금수단(30)은,
외측단에 상기 버튼부(331)를 갖고, 내외측으로 전후진하게 구비된 푸시버튼(33),
내측단에 상기 걸쇠부(341)를 갖고, 내외측으로 전후진하게 구비되되, 상기 푸시버튼(33)과 소정 간격 이격하는 위치에 배열된 잠금부재(34)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체(35)는 상기 푸시버튼(33)과 상기 잠금부재(34)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고, 각각 상기 푸시버튼(33)과 잠금부재(34)에 연결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푸시버튼(33)과 잠금부재(34)가 연동하게 하는 양측 받침부(352)(354)를 포함한다.
이러한 잠금수단(30)은 상기 푸시버튼(33), 잠금부재(34), 탄성체(36)가 하우징에 내장되어, 커버(11)의 측면부 내측에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호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31)과 하부 하우징(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31)은 하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하우징을 커버(11) 내측에 조립되도록 측벽들 외면에 하나 이상의 볼트 결합공(311)이 구비되고, 외측벽 타측에 상기 노출구(11a)와 연통하여 상기 버튼부(331)가 인출입 가능하게 형성된 제1 인출구(312)가 개구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 인출구(312)와 대칭되도록 내측벽 일측에 상기 잠금홀(23)과 연통하여 상기 걸쇠부(341)가 인출입 가능하게 형성된 제2 인출구(313)가 개구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31)은 측벽들 외면에 하부 하우징(32)과의 후크 결합을 위한 걸림돌기(314)가 하나 이상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 하우징(31)은 상측면 내측 중앙에 상기 중계체(35)의 좌우 회전을 위한 회전축(315)이 하측으로 돌설되어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32)은 상기 상부 하우징(31)의 하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걸림돌기(314)와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돌기(314)가 걸려서 결합되는 걸림편(321)이 상측으로 돌설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315)과 대응하는 위치에 회전축(315)이 끼워져 결합되는 축홀(322)이 구비된다.
상기 푸시버튼(33)은 상기 제1 인출구(312) 상으로 상기 버튼부(331)가 인출입되도록 하우징 내부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푸시버튼(33)은 외측 끝단부에 버튼부(331)가 하측으로 절곡하여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을 갖고, 내측 끝단부의 하면에 제1 회동축(332)이 하측으로 돌설되어 있다.
상기 잠금부재(34)는 상기 제2 인출구(313) 상으로 상기 걸쇠부(341)가 인출입되도록 하우징 내부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잠금부재(34)는 내측 끝단부에 걸쇠부(341)가 돌출되어 있으며, 걸쇠부(341)의 하면에 지지단이 하측으로 돌출하여 연결되어, 상기 푸시버튼(33)과 대응하는 'ㄱ'자 형상을 갖고, 외측 끝단부의 하면에 제2 회동축(342)이 하측으로 돌설되어 있다.
상기 중계체(35)는 상기 푸시버튼(33)과 잠금부재(34)의 각 회동축(332)(342) 사이를 연결하는 바(bar) 타입의 부재로써, 회전을 통해 푸시버튼(33)의 전진 압력을 잠금부재(34)의 후진 압력으로 전달하여, 푸시버튼(33)과 잠금부재(34)가 연동하여 동작하게 한다.
이러한 중계체(35)는 양 측단에 상기 푸시버튼(33)과 잠금부재(34)의 'ㄱ'자 형상에 대응하는 제1, 제2 받침부(352)(354)가 각각'ㄴ'자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계체(35)는 중앙에 상기 축홀(322)과 대응하게 형성된 관통홀(351)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양 측단 받침부(352)(354)에 각각 상기 제1 회동축(332)과 제2 회동축(342)이 힌지 결합되는 제1 축공(353)과 제2 축공(355)이 상하면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따라서 푸시버튼(33) 및 잠금부재(34)의 각 회동축(332)(342)을 중계체(35)의 각 축공(353)(355)에 끼움 결합한 후, 버튼부(331)와 걸쇠부(341)가 각 인출구(312)(313)에 배열되게 하면서, 회전축(315)이 관통홀(351) 및 축홀(322)에 끼워지도록 상부 하우징(31)과 하부 하우징(32)을 조립하면, 푸시버튼(33) 및 잠금부재(34)가 중계체(35)를 통해 링크 구조로 연결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전후진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중계체(35)는 받침부(352)(354)들 중 어느 하나에 끼움돌기(356)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체(36)는 일단이 상기 끼움돌기(356)에 끼워지고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중계체(35)가 원위치로 회전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끼움돌기(356)는 받침부(352)(354)들 중 어느 것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잠금수단(30)의 소형화 및 커버(11) 측면부의 폭 너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푸시버튼(33)이 힌지 결합되는 제1 받침부(352)의 배면 측에 상기 끼움돌기(356)가 내측으로 돌출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부 하우징(31)의 내측벽 일부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코일 스프링의 장착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면서, 코일 스프링의 내측단 지지를 위한 받침단(316)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잠금수단(30)은 버튼부(331)에 외압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상기 탄성체(36)(코일 스프링)가 중계체(35)의 제1 받침부(352)를 외측으로 밀어서 푸시버튼(33)이 외측으로 후진 작동하여, 제1 인출구(312)에서 인출된 버튼부(331)가 커버(11)의 노출구(11a)로 노출되며,
이 상태에서는 푸시버튼(33)의 외측방향 후진에 의해 중계체(35)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강제됨에 따라, 중계체(35)의 제2 받침부(352)(354)가 내측으로 밀려서 푸시버튼(33)이 내측으로 전진 작동하여, 제2 인출구(313)에서 인출된 걸쇠부(341)가 폐쇄된 도어(20)의 잠금홀(23)에 끼워져 걸림 결합되면서, 도어(20)의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도어(20) 개방을 위해 푸시버튼(33)의 버튼부(331)를 내측으로 누르면, 푸시버튼(33)이 내측으로 전진하면서 중계체(35)를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푸시버튼(33)의 전직 작동에 따른 반작용으로 잠금부재(34)가 외측으로 후진하면서 제2 인출구(313)로 인입되어, 잠금홀(23)에 걸려 있던 걸쇠부(341)가 이탈하여 도어(20)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져, 도어(20)가 탄성부재(21)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된다.
이때 중계체(35)의 회전에 의해 제1 받침부(352)와 받침단(316) 사이에 고정된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탄성력이 발생하게 되고, 버튼부(331)에 대한 가압이 해소되면, 코일 스프링이 팽창하면서 중계체(35)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푸시버튼(33) 및 잠금부재(34) 역시 잠금 위치로 자동 복귀한다.
이렇게 잠금수단(30)이 잠금 위치로 복귀된 상태에서, 도어(20)를 다시 닫으면, 상기 가압부(24)가 걸쇠부(341)의 경사면을 밀어서 잠금부재(34)의 후진 작동이 이루어지며, 이에 연동하여 중계체(35) 및 푸시버튼(33)이 상기한 바와 같이 연동하여 작동한 후, 코일 스프링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걸쇠부(341)가 잠금홀(23)로 끼워져, 도어(20)가 잠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의 잠금수단(30)이 커버(11)의 양 측면부, 보다 엄밀하게는 도어(20)가 힌지 결합된 부위의 반대편 끝단부 상에 각각 구비되어 있어, 도어(20)의 4점 고정이 가능해짐은 물론, 도어(20) 개방 시 각각의 잠금수단(30)을 동시에 작동해야 하기 때문에 어린이 등의 실수나 장난으로 도어(20)를 터치하거나 가압하더라도 도어(20)의 자동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특히 종래의 분전함은 도어(20)의 잠금 해제에 필요한 가압면이 도어(20)의 전면에 노출되어 접근이 용이한 반면에, 본 발명은 커버(11)의 양 측면부에 잠금수단(30)의 버튼부(331)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 접근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각 잠금수단(30)에 대한 가압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므로, 도어(20)의 쉬운 개방으로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원터치 방식의 도어(20) 개폐를 통한 사용상의 편의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30)은 분전함의 전체 조립 시 각 부품별로 함께 조립되는 것도 가능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박스 본체(10) 및 도어(20)를 비롯한 분전함의 조립과 별개로, 잠금수단(30)만을 모듈화하여 먼저 조립한 상태에서, 모듈화된 잠금수단(30)을 커버(11)에 장착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도어의 잠금 안정성을 향상시킨 분전함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박스 본체 11 : 커버
12 : 노출부 13 : 수용부
20 : 도어 21 : 탄성부재
22 : 측면부 23 : 잠금홀
24 : 가압부
30 : 잠금수단 31 : 상부 하우징
32 : 하부 하우징 33 : 푸시버튼
34 : 잠금부재 35 : 중계체
36 : 탄성체
311 : 결합공 312, 313 : 인출구
314 : 걸림돌기 315 : 회전축
316 : 받침단 321 : 걸림편
322 : 축홀 331 : 버튼부
332, 342 : 회동축 341 : 걸쇠부
351 : 관통홀 352, 354 : 받침부
353, 355 : 축공 356 : 끼움돌기
C : 차단기 세트
12 : 노출부 13 : 수용부
20 : 도어 21 : 탄성부재
22 : 측면부 23 : 잠금홀
24 : 가압부
30 : 잠금수단 31 : 상부 하우징
32 : 하부 하우징 33 : 푸시버튼
34 : 잠금부재 35 : 중계체
36 : 탄성체
311 : 결합공 312, 313 : 인출구
314 : 걸림돌기 315 : 회전축
316 : 받침단 321 : 걸림편
322 : 축홀 331 : 버튼부
332, 342 : 회동축 341 : 걸쇠부
351 : 관통홀 352, 354 : 받침부
353, 355 : 축공 356 : 끼움돌기
C : 차단기 세트
Claims (4)
- 벽체에 매립되고, 벽면으로 노출되는 커버(11)를 갖는 박스 본체(10);
일단이 상기 커버(11)에 힌지 결합되어 커버(11)의 노출부(12)를 개폐하고, 각 힌지부의 반대편 타단측의 양측 모서리부가 연결된 측벽부(22)(22`)에 각각 잠금홀(23)을 구비한 도어(20); 및
상기 커버(11)에서 상기 잠금홀(23)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커버(11) 외면으로 노출되는 버튼부(331)와, 상기 잠금홀(23)에 끼워지는 걸쇠부(341)와, 상기 버튼부(331)의 푸시 동작에 의해 상기 걸쇠부(341)를 커버(11) 외측 방향으로 후퇴시켜 걸쇠부(341)가 잠금홀(23)에서 이탈되게 하는 중계체(35)와, 상기 중계체(35)를 잠금 위치로 복귀하도록 강제하는 탄성체(36)를 구비한 잠금수단(30);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수단(30)은,
외측단에 상기 버튼부(331)를 갖고, 내외측으로 전후진하게 구비된 푸시버튼(33),
내측단에 상기 걸쇠부(341)를 갖고, 내외측으로 전후진하게 구비되되, 상기 푸시버튼(33)과 소정 간격 이격하는 위치에 배열된 잠금부재(34)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체(35)는 상기 푸시버튼(33)과 상기 잠금부재(34)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고, 각각 상기 푸시버튼(33)과 잠금부재(34)에 연결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푸시버튼(33)과 잠금부재(34)가 연동하게 하는 양측 받침부(352)(354)를 포함하되,
상기 푸시버튼(33)은 외측 끝단부에 버튼부(331)가 하측으로 절곡하여 연결되어 'ㄱ'자 형상을 갖고, 내측 끝단부의 하면에 제1 회동축(332)이 하측으로 돌설되어 있고,
상기 잠금부재(34)는 내측 끝단부에 걸쇠부(341)가 돌출되어 있으며, 걸쇠부(341)의 하면에 지지단이 하측으로 돌출하여 연결되어, 상기 푸시버튼(33)과 대응하는 'ㄱ'자 형상을 갖고, 외측 끝단부의 하면에 제2 회동축(342)이 하측으로 돌설되어 있으며,
상기 중계체(35)는 양 측단에 상기 푸시버튼(33)과 잠금부재(34)의 'ㄱ'자 형상에 대응하는 제1, 제2 받침부(352)(354)가 각각'ㄴ'자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1, 제2 받침부(352)(354)에 각각 상기 제1 회동축(332)과 제2 회동축(342)이 힌지 결합되는 제1 축공(353)과 제2 축공(35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함.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체(35)는 받침부(352)(354)들 중 어느 하나에 끼움돌기(356)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체(36)는 일단이 상기 끼움돌기(356)에 끼워지고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중계체(35)가 원위치로 회전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2856A KR102126516B1 (ko) | 2018-11-01 | 2018-11-01 | 도어의 잠금 안전성을 향상시킨 분전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2856A KR102126516B1 (ko) | 2018-11-01 | 2018-11-01 | 도어의 잠금 안전성을 향상시킨 분전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0173A KR20200050173A (ko) | 2020-05-11 |
KR102126516B1 true KR102126516B1 (ko) | 2020-06-25 |
Family
ID=70729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2856A KR102126516B1 (ko) | 2018-11-01 | 2018-11-01 | 도어의 잠금 안전성을 향상시킨 분전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6516B1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8374Y1 (ko) * | 1987-05-15 | 1989-11-25 | 상도전기주식회사 | 분전함 도어 개폐장치 |
KR0138839Y1 (ko) * | 1993-10-11 | 1999-04-01 | 전성원 | 트레이의 록킹장치 |
KR101622228B1 (ko) * | 2014-02-21 | 2016-05-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
2018
- 2018-11-01 KR KR1020180132856A patent/KR102126516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0173A (ko) | 2020-05-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866564C (en) | Lock assembly with locking handle | |
KR101319373B1 (ko) | 사물함용 전자 도어락 | |
KR102126516B1 (ko) | 도어의 잠금 안전성을 향상시킨 분전함 | |
KR101877877B1 (ko) | 슬라이딩 도어가 구비된 세대 분전반 | |
KR102099405B1 (ko) | 도어의 잠금 안전성을 향상시킨 분전함 | |
KR200489050Y1 (ko) | 베이비룸용 문고리장치 | |
KR101242404B1 (ko) | 사물함용 전자 도어락 | |
KR200478968Y1 (ko) | 푸쉬 핸들의 강제잠금 구조체 | |
CN213510047U (zh) | 机柜锁 | |
KR101853837B1 (ko) | 도어록 장치 | |
KR100432810B1 (ko) | 도어 록킹장치 | |
CN110353457B (zh) | 物品存取装置 | |
KR200392358Y1 (ko) | 도어록용 키홀 보호덮개 | |
CN209942441U (zh) | 一种安全联锁 | |
KR101961308B1 (ko) |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 | |
KR20120000042U (ko) |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 | |
KR101902494B1 (ko) | 미닫이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 |
JP3622605B2 (ja) | 住宅用分電盤 | |
KR102087774B1 (ko) | 세대단자함용 커버 잠금장치 | |
KR102519271B1 (ko) | 도어 잠금장치 | |
KR200252596Y1 (ko) | 도어 록킹장치 | |
JP3651335B2 (ja) | 住宅用分電盤 | |
CN213510046U (zh) | 机柜锁 | |
CN219061230U (zh) | 把手、智能锁及防护门 | |
KR101915583B1 (ko) | 배전반의 도어핸들조립체용 시건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