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042U -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 - Google Patents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042U
KR20120000042U KR2020100006735U KR20100006735U KR20120000042U KR 20120000042 U KR20120000042 U KR 20120000042U KR 2020100006735 U KR2020100006735 U KR 2020100006735U KR 20100006735 U KR20100006735 U KR 20100006735U KR 20120000042 U KR20120000042 U KR 201200000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unit
handle
lock
roto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규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공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공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공진
Priority to KR2020100006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042U/ko
Publication of KR201200000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04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일체로 된 자물쇠유티트가 별도의 조작부재 없이 핸들을 잠금상태로 채워 도어의 무단개방을 정확하게 저지할 수 있는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핸들의 레치체(42)에 수납되고 후방에 로우터(68)가 일체로 형성된 자물쇠유니트(60)와; 상기 자물쇠유니트(60)의 로우터(68)와 대응하고 케이싱(20)의 전면수납실(30)에 설치된 고정지지구(32)를 포함하여 단일체로 제작되는 자물쇠유니트에 의해 별도의 체결부재를 적용하지 않게 되므로 전체구성이 간단해지고, 제작조립비를 절감할 수 있고, 고장의 우려가 없음과 동시에 생산성 향상은 물론 경제적인 사용을 이루게 한다.

Description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PLANE HANDLE DEVICE HAVING A LOCK UNIT}
본 고안은 배전반 수납 박스 등의 고정틀체에 대하여 도어를 잠그는데 사용되는 평면핸들의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체로 된 자물쇠유티트가 별도의 조작부재 없이 핸들을 잠금상태로 채워 도어의 무단개방을 정확하게 저지할 수 있는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 단자함, 휴즈박스, 계량기 보온함, 그리고 금고나, 캐비넷 등과 같은 본체에는 개폐문을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가 구비되고, 핸들의 회동 조작으로 개폐가 이루어진다
또한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회동을 단속하기 위한 날개와, 타인들의 개방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위하여 잠금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통상 케이싱의 다른쪽 단부에 수용고정된 자물쇠 유니트와; 자물쇠 유니트의 로터에 연동장비되어, 로터를 해정위치에 돌렸을 때, 래치체와 핸들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쪽 방향으로 래치체를 후퇴구동시키는 조작부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물쇠 부착 평면핸들장치에서는, 자물쇠 유니트의 로터 외에 연계되는 조작부재가 별도로 연결되어 연동장비를 이루게 되어서 조작이 번잡하는 난점이 있고, 제작조립 비용을 절감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잠루쇠의 전체 구성이 간단해지고 제작조립비용을 절감하여 생산성향상을 이루면서 경제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간의 통상 업무 중에는 원터치 조작으로 간편하게 핸들을 돌출시킬 수 있는 반면, 야간 등의 통상업무를 종료한 후에는 본격 시정하여 도어의 무단개방을 정확하게 막을 수 있는,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에 고정하고 후방에 이면본체를 형성하는 케이싱과, 케이싱의 전면수납실에 출몰자재로 수납되어 있는 핸들과, 핸들을 몰입위치에 잠금 고정하는 래치체와, 래치체를 해정위치로 구동하는 자물쇠유니트로 이루어진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레치체에 수납되고 후방에 로우터가 일체로 형성된 자물쇠유니트와; 상기 자물쇠유니트의 로우터와 대응하고 케이싱의 전면수납실에 설치된 고정지지구)를 포함하는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를 제공한다.
또 상기 자물쇠유니트는 전면에 키가 출입되는 키홀이 마련되는 원기둥체의 전방은 캠사면을 갖는 캠이 형성되고, 후방부에 직경이 작게 형성된 보조원통에 로우터를 설치한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를 제공한다.
또, 상기 고정지지구는 상면에 상기 로우터가 출입과 수용을 이루는 결합홈이 형성된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자물쇠유니트의 후면은 레치체의 내부 바닥면에 돌출된 핀축과 결합되는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해, 단일체로 제작되는 자물쇠유니트에 의해 별도의 체결부재를 적용하지 않게 되므로 전체구성이 간단해지고, 제작조립비를 절감할 수 있고, 고장의 우려가 없음과 동시에 생산성 향상은 물론 경제적인 사용을 이루게 한다.
또한 주간의 일상 업무 중에는 자물쇠유니트가 해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핸들을 케이싱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돌출시킬 수 있어 도어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고, 야간 등의 통상업무 종료 후에는 자물쇠유니트의 로우터를 시정위치에 설정함으로써 로우터을 고정지지구 내의 몰입위치에 견고하게 잠금고정하여 도어의 무단개방을 정확하게 저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평면핸들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평면핸들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평면핸들의 정면도이고,
도 4은 도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a,6b는 본 고안에 의한 자물쇠유니트의 정면 및 배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케이싱의 배면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평면핸들을 분리 사시도로 나타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평면핸들을 배면사시도로 나타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평면핸들을 정면도로 나타내고, 도 4은 도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3의 B-B선 단면도로 나타내고, 도 6a,6b는 본 고안에 의한 자물쇠유니트을 정면 및 배면사시도로 나타내고,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케이싱을 배면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10)에 고정하고 후방에 이면본체(76)를 형성하는 케이싱(20)과, 케이싱(20)의 전면수납실(30)에 출몰자재로 수납되어 있는 핸들(40)과, 핸들(40)을 몰입위치에 잠금 고정하는 래치체(42)와, 래치체(42)를 해정위치로 구동하는 자물쇠유니트(60)를 주요부품으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자물쇠유니트(60)는 전면에 키(70)가 출입되는 키홀(62)이 마련되어 있고 원기둥체(63) 전면은 캠(64)이 마련되며, 후방부에는 자물쇠유니트(6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보조원통체(66)의 일측에 로우터(68)를 설치한다.
상기 케이싱(20)의 전면수납실(30)에는 고정지지구(32)가 상기 로우터(68)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면에는 결합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자물쇠유니트(60)을 수용하고 있는 래치체(42)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자물쇠유니트(60)의 보조원통체(66) 후방에 삽입되는 핀축(44)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는 자물쇠유니트(60)의 로우터(68)와 전면수납실(30)의 고정지지구(32)가 대응하여 잠금 및 해정을 이루게 된다.
즉,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핸들(40)이 전면수납실(30)에 수납된 상태가 되고 키(70)을 돌려 해정상태가 될 때에는 로우터(68)가 상기 고정지지구(32)의 결합홈(34)으로 부터 이탈되어 핸들(40)을 자유롭게 외부로 인출시켜 손잡이로 사용하여 도어(10)의 개방을 이루게 한다.
한편, 통상업무가 종료된 야간이나 휴일에 있어서 도어(10)를 닫힌 상태로 본격시정하고자 할 때는, 열쇠(70)를 자물쇠유니트(60)의 키홀(62)에 삽입하고 자물쇠유니트(60)에 대하여 로우터(68)를 시정위치까지 회전시킨다.
이때는, 도 6a와 도 6b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터(68)가 상기 고정지지구(32)의 결합홈(34)에 들어가게 되므로 로우터(68)가 정확하게 구속유지되므로 도어(10)를 열 수 없는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핸들(10)은 케이싱(30)의 전면수납실(30)에 몰입된 상태로 정확하게 구속유지되고, 열쇠(29)를 소지하지 않은 사람에 의한 도어(1)의 무단개방이 저지된다.
한편, 상기 핀축(44)은 자물쇠유니트(60)의 후면에 삽입되어 자물쇠유니트(60)의 회전시 안내부 역할을 이루게 함과 동시에 이탈을 방지하여 회전중심을 항상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자물쇠유니트(6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캠(64)은 핸들(30)의 레치체(42)와 대응하여 캠사면 운동으로 자물쇠유니트(60)의 회전범위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범위 내에서 정확하게 키(70)의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10; 도어 20; 케이싱
30; 전면수납실 32; 고정지지구
34; 결합홈 40; 핸들
42; 레치체 44; 핀축
60; 자물쇠유니ㅌ 62; 키홈
64; 캠 66; 보조원통체
68; 로우터

Claims (4)

  1. 도어(10)에 고정하고 후방에 이면본체(76)를 형성하는 케이싱(20)과, 케이싱(20)의 전면수납실(30)에 출몰자재로 수납되어 있는 핸들(40)과, 핸들(40)을 몰입위치에 잠금 고정하는 래치체(42)와, 래치체(42)를 해정위치로 구동하는 자물쇠유니트(60)로 이루어진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레치체(42)에 수납되고 후방에 로우터(68)가 일체로 형성된 자물쇠유니트(60)와;
    상기 자물쇠유니트(60)의 로우터(68)와 대응하고 케이싱(20)의 전면수납실(30)에 설치된 고정지지구(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유니트(60)는 전면에 키(70)가 출입되는 키홀(62)이 마련되는 원기둥체(63)의 전방은 캠사면을 갖는 캠(64)이 형성되고, 후방부에 직경이 작게 형성된 보조원통(66)에 로우터(68)를 설치한 것을 더 포함하는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구(32)는 상면에 상기 로우터(68)가 출입과 수용을 이루는 결합홈(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유니트(60)의 후면은 레치체(42)의 내부 바닥면에 돌출된 핀축(44)과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
KR2020100006735U 2010-06-25 2010-06-25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 KR201200000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735U KR20120000042U (ko) 2010-06-25 2010-06-25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735U KR20120000042U (ko) 2010-06-25 2010-06-25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042U true KR20120000042U (ko) 2012-01-02

Family

ID=4584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735U KR20120000042U (ko) 2010-06-25 2010-06-25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04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244A (ko) *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예림임업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
KR20190087769A (ko) * 2018-01-17 2019-07-25 백창목 도어 래치용 수용구
US20220205274A1 (en) * 2017-03-02 2022-06-30 Industrilås I Nässjö Aktiebolag Door handle arrangement with intermediate opening posi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05274A1 (en) * 2017-03-02 2022-06-30 Industrilås I Nässjö Aktiebolag Door handle arrangement with intermediate opening position
KR20190069244A (ko) *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예림임업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
KR20190087769A (ko) * 2018-01-17 2019-07-25 백창목 도어 래치용 수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66066B (zh) 一种新型电子储物柜锁
KR20120000042U (ko) 평면핸들의 자물쇠구조
CN107355139B (zh) 电子锁及应用其的门禁系统
KR20060133938A (ko) 레버형 도어록의 잠금버튼
CN204002130U (zh) 电子锁定装置
JP4127712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CN109057545B (zh) 一种两边电子钥匙独立控制的电子锁芯
KR101324014B1 (ko) 금고
KR101206056B1 (ko) 디지털 도어록의 인바디
US1501315A (en) Means for securing locks
CN103938940B (zh) 磁扣锁
KR20110005319U (ko) 이중잠금장치를 갖는 전기기기박스용 도어핸들구조
KR101683129B1 (ko) 창호용 창 잠금장치
CN209942441U (zh) 一种安全联锁
EP2239399B1 (en) Cabinet door for electrical panel cabinet
JP2015169070A (ja) 磁石サイドロック
CN219910360U (zh) 智能锁
CN215803815U (zh) 一种机械密码锁
CN219431583U (zh) 用于区块链智能门锁的解锁机构
KR101312385B1 (ko) 양문형 도어 개폐용 측면아대
CN211115245U (zh) 一种带有电池盒锁紧机构的电子密码门锁
JP5268547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
CN210508691U (zh) 一种智能锁结构
CN209942404U (zh) 一种安全联锁
KR200439277Y1 (ko) 디지털 도어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