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775Y1 - 모터 콘트롤 센터의 제어 유니트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콘트롤 센터의 제어 유니트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775Y1
KR200213775Y1 KR2020000025075U KR20000025075U KR200213775Y1 KR 200213775 Y1 KR200213775 Y1 KR 200213775Y1 KR 2020000025075 U KR2020000025075 U KR 2020000025075U KR 20000025075 U KR20000025075 U KR 20000025075U KR 200213775 Y1 KR200213775 Y1 KR 2002137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oor
guide hole
control unit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찬식
Original Assignee
금성제어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제어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성제어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5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7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775Y1/ko

Link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 콘트롤 센터에 있어서, 도어를 구비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다단으로 설치되며, 힌지홀을 구비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슬라이딩 장착되는 이동 프레임과; 상기 이동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메임 프레임 방향으로 개구된 브라켓 가이드홀을 가진 힌지 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힌지 브라켓과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에 결합되며, 상기 일단에는 일측이 개구된 힌지핀 가이드홀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의 오픈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힌지 레버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힌지홀과 힌지 레버의 힌지핀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 레버의 회전시 상기 힌지핀 가이드홀 및 브라켓 가이드홀을 통해 이동하는 힌지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콘트롤 센터의 제어 유니트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터 콘트롤 센터의 제어 유니트 분리 장치{SEPARATION DEVECE OF CONTROL UNIT FROM MOTOR CONTROL CENTER}
본 고안은 모터 콘트롤 센터(MOTOR CONTROL CENT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터 콘트롤 센터로부터 제어 유니트(CONTROL UNIT)를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모터 콘트롤 센터는 빌딩이나 공장 등과 같이 많은 모터를 사용해야 하는 곳에서 각각의 모터에 필요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공급 방향을 바꾸는 등 모터의 회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어 유니트를 하나의 콘트롤 센터에서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배전 기기이다.
상기 모터 콘트롤 센터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임 프레임에 슬라이딩 형태로 장착되는 다수개의 제어 유니트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 유니트는 이동 프레임과, 상기 이동 프레임에 장착된 제어 회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임 프레임에 슬라이딩 장착되면서 커넥터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 모터 콘트롤 센터의 메인 프레임과 제어 유니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에 의해 견고하게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어 유니트를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제어 유니트를 무리하게 잡아 당기다보면 커넥터 부분 및 제어 유니트가 손상될 위험이 높아지고, 이로인해 모터 콘트롤 센터의 유지 보수에도 어려움이 많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작은 힘으로도 제어 유니트를 모터 콘트롤 센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모터 콘트롤 센터의 제어 유니트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모터 콘트롤 센터에 있어서, 도어를 구비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다단으로 설치되며, 힌지홀을 구비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슬라이딩 장착되는 이동 프레임과; 상기 이동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메임 프레임 방향으로 개구된 브라켓 가이드홀을 가진 힌지 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힌지 브라켓과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에 결합되며, 상기 일단에는 일측이 개구된 힌지핀 가이드홀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의 오픈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힌지 레버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힌지홀과 힌지 레버의 힌지핀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 레버의 회전시 상기 힌지핀 가이드홀 및 브라켓 가이드홀을 통해 이동하는 힌지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콘트롤 센터의 제어 유니트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콘트롤 센터의 메인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플레이트에 슬라이딩 장착된 이동 프레임을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인 프레임 110 : 고정 플레이트
114 : 힌지홀 200 : 이동 프레임
220 : 힌지 브라켓 230 : 힌지 레버
240 : 힌지 핀 300 : 도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콘트롤 센터의 메인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플레이트에 슬라이딩 장착된 이동 프레임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콘트롤 센터는 메인 프레임(10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슬라이딩 장착되는 다수개의 이동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1. 메인 프레임(100)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모터 콘트롤 센터의 골격을 이루는 부분이다.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도어(300) 및 다수개의 고정 플레이트(110)를 구비한다.
상기 도어(300)는 도어 힌지(31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11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다단으로 설치되며, 중앙 부분에 힌지홀(114)을 가진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110)의 양쪽 하단에는 각각 가이드 레일(112)을 형성한다.
2. 이동 프레임(200)
상기 이동 프레임(200)은 메인 프레임(100)의 고정 플레이트(110)에 장착되는 각 제어 유니트의 골격을 이루는 부분이다. 즉, 상기 이동 프레임(200)에 제어 회로를 이루는 각종 부속품이 설치됨으로써 제어 유니트를 구성한다.
상기 이동 프레임(200)은 양쪽에 위치한 측판(202), 상기 각 측판(202)의 후단에 결합된 후면판(204) 및 상기 각 측판(202)의 상단에 결합된 연결 부재(206)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판(202)의 외측면 상단에는 각각 다수개의 가이드 돌기(210)를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돌기(210)는 이동 프레임(200)이 메인 프레임(100)의 고정 플레이트(110)에 슬라이딩 장착될 때, 상기 고정 플레이트(110)의 가이드 레일(112)에 삽입된다.
상기 이동 프레임(200)에는 힌지 브라켓(220), 힌지 레버(230) 및 힌지핀(240)이 설치된다. 상기 힌지 브라켓(220)은 상기 이동 프레임(20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메임 프레임(100)의 내측 방향으로 개구된 브라켓 가이드홀(222)을 가진다.
상기 힌지 레버(230)는 일단이 상기 힌지 브라켓(220)과 힌지(231)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300)에 결합된다. 상기 힌지 레버(230)는 일단에 일측이 개구된 힌지핀 가이드홀(234)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300)의 오픈시 상기 힌지(231)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힌지 레버(230)의 타단에는 도어(300)와 의 결합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238)을 가진 절곡면(236)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핀(240)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110)의 힌지홀(114)과 힌지 레버(230)의 힌지핀 가이드홀(234)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 레버(230)의 회전시 상기 힌지핀 가이드홀(234) 및 브라켓 가이드홀(222)을 통해 이동한다. 상기 힌지핀(240)의 이동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110)와 이동 프레임(200)간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힌지 레버(230)의 힌지핀 가이드홀(234) 끝단부의 중심점이 상기 힌지 레버(230)의 힌지(231)점과 수직한 방향의 위치에서 힌지(231)점 중심으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2 ~ 3°내(바람직하게는 2.71°)에 유지되도록 하여 도어의 닫힘상태에서 도어 이동시 자중력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도록 하게 된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유니트 분리 장치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메인 프레임(100)의 고정 플레이트(110)에 이동 프레임(200)이 장착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110) 쪽에 설치된 커넥터(120)와 이동 프레임(200)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커넥터(120)는 주모선(122)과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가 도어(300)를 열면, 상기 도어(300)는 도어 힌지(310)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도어(300)에 타단 절곡면(236)이 결합되어 있는 힌지 레버(230)도 힌지(231)를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어, 상기 힌지 레버(230)가 회전함에 따라 힌지핀(240)이 힌지핀 가이드홀(234)과 브라켓 가이드홀(222)을 통해 이동한다. 이때, 상기 힌지핀(240)은 고정 플레이트(110)의 힌지홀(114)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힌지핀(240)의 이동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110)와 이동 프레임(200)간에 반발력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반발력의 발생으로 인해 고정 플레이트(110) 쪽 커넥터(120)에 연결되어 있던 이동 프레임(200)이 커넥터(120)로부터 분리되고, 사용자는 용이하게 이동 프레임(200)을 포함한 제어 유니트를 메인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콘트롤 센터의 제어 유니트 분리 장치는 메인 프레임의 도어를 열 때 메인 프레임과 제어 유니트간의 커넥터 연결이 자동으로 해제되므로, 상기 제어 유니트를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모터 콘트롤 센터에 있어서,
    도어를 구비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다단으로 설치되며, 힌지홀을 구비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슬라이딩 장착되는 이동 프레임과;
    상기 이동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메임 프레임 방향으로 개구된 브라켓 가이드홀을 가진 힌지 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힌지 브라켓과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에 결합되며, 상기 일단에는 일측이 개구된 힌지핀 가이드홀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의 오픈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힌지 레버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힌지홀과 힌지 레버의 힌지핀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 레버의 회전시 상기 힌지핀 가이드홀 및 브라켓 가이드홀을 통해 이동하는 힌지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콘트롤 센터의 제어 유니트 분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양쪽 하측단에 형성한 가이드 레일과;
    상기 이동 프레임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콘트롤 센터의 제어 유니트 분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레버의 타단에는 도어와 결합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을 가진 절곡면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콘트롤 센터의 제어 유니트 분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도어의 닫힘상태에서 도어 이동시 자중력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상기 힌지 레버의 힌지핀 가이드홀 끝단부의 중심점이 상기 힌지 레버의 힌지점 중심으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2~3°내에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콘트롤 센터의 제어 유니트 분리장치.
KR2020000025075U 2000-09-04 2000-09-04 모터 콘트롤 센터의 제어 유니트 분리 장치 KR200213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075U KR200213775Y1 (ko) 2000-09-04 2000-09-04 모터 콘트롤 센터의 제어 유니트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075U KR200213775Y1 (ko) 2000-09-04 2000-09-04 모터 콘트롤 센터의 제어 유니트 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775Y1 true KR200213775Y1 (ko) 2001-02-15

Family

ID=73088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075U KR200213775Y1 (ko) 2000-09-04 2000-09-04 모터 콘트롤 센터의 제어 유니트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7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330B1 (ko) 2010-08-30 2012-06-08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KR101387368B1 (ko) 2013-12-26 2014-04-22 윤여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330B1 (ko) 2010-08-30 2012-06-08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KR101387368B1 (ko) 2013-12-26 2014-04-22 윤여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 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26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power to rack mounted servers
JP4562545B2 (ja) プラグインアダプタ
EP3262906A1 (en) Door module and uses thereof
US20120275085A1 (en) Electrical component enclosure
ITMI20071094A1 (it) Scatola per interruttore automatico con porta monolitica
CN101944459A (zh) 电路断路器及其安装装置
KR200213775Y1 (ko) 모터 콘트롤 센터의 제어 유니트 분리 장치
CA2824054C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talling motorized window shade mechanism in aircraft
CN108544966B (zh) 一种便于安装与检修的充电桩
JP5466960B2 (ja) モータコントロールセンタ用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モータコントロールセンタ
CN216905154U (zh) 一种网络设备安装定位装置
CN210628559U (zh) 一种可插拔式模块结构
CN210775938U (zh) 一种快速拆装的光缆终端盒
JP3797261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及び多室型空気調和機
KR20040039701A (ko) 전기선로 교체용 전선가이드 롤러
CN210015632U (zh) 一种用于电网可免停电安装的安健环安装装置
KR200443499Y1 (ko) 내부커버를 구비하는 분전반장치
CA2263899A1 (en) Center with pivot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CN215528393U (zh) 一种电力工程用电控箱
US20230373752A1 (en) Elevator car assembly
CN216057871U (zh) 一种带逻辑判断自动重合的联网控制器
CN220476112U (zh) 一种应用pdu单元的室外智能机柜
CN214255094U (zh) 一种方便拆卸的电力柜
CN213015857U (zh) 一种电表箱用智能锁及电表箱
US20230144867A1 (en) Improved cabling device for electrical distribution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