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563A - 보드 장치 - Google Patents

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563A
KR20190016563A KR1020197000706A KR20197000706A KR20190016563A KR 20190016563 A KR20190016563 A KR 20190016563A KR 1020197000706 A KR1020197000706 A KR 1020197000706A KR 20197000706 A KR20197000706 A KR 20197000706A KR 20190016563 A KR20190016563 A KR 20190016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board
front panel
color
boar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4594B1 (ko
Inventor
사토루 사사카와
신이치 하기하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6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5/00Supervisory desks or panels for centralised control or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배전반이나 컨트롤 센터 등의 보드 장치에 있어서의 보드면의 색표시를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게 하고, 보드 장치의 보드면에 대해 색표시에 관한 사양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처 가능하게 한다. 표시부(2)와 조작부(3)를 가지고 보드 장치 본체에 탑재되는 보호 계전 장치 또는 계측 장치 등의 기기 요소(1)를 구비하고, 기기 요소(1)는 상기 보드 장치 본체의 보드면에 마련되는 사변형의 정면 패널(4)을 가지고, 정면 패널(4)에는 표시부(2)의 표시 화면 영역과 조작부(3)의 조작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DR, PR)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정면 패널(4)은 정면 패널(4)에 상당하는 다른 색의 패널(5, 6)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와 교환 가능하게 했다.

Description

보드 장치
본 발명은 보호 계전 장치나 계측 장치 등의 기기 요소를 탑재하는 배전반이나 컨트롤 센터 등의 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이나 컨트롤 센터 등의 보드 장치에 있어서의 보드면의 도장색은, 통상 표준색이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유저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배전반의 적용 설비마다 표준색 이외의 색으로의 도장을 지정하는 일이 있고, 이 요구에 응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유저가 지정하는 색의 도료를 준비하고, 보드면 전체를 도장할 필요가 있었다. 특별 고압반은 그레이, 이중계의 피더(feeder)반은 각각 파랑과 핑크 등과 같이 지정되는 일이 있다. 이들 도장에는 전용색이 필요하기 때문에, 배전반의 가격 상승 요인이 되고 있었다. 또한, 사양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배전반의 도장을 다시 칠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은 보드 장치와는 다르지만, 전기 기기의 하우징에 있어서, 고객이 요구하는 색을 붙이는 기술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개평10-257618(단락 [0004], 도 3)
본 발명은 보드 장치에 있어서의 식별을 위한 보드면에서의 색표시를 용이하게 실시하게 할 수 있고, 또한, 그 색표시를 간결한 수법으로 변경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전기 기기의 하우징에 있어서, 고객이 요구하는 색을 붙이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하우징은 유리 섬유 보강의 폴리에스테르이며, 필요에 따라서 보드면의 색표시를 변경하는 것은 아니며, 색표시에 의한 식별을 행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장치는, 표시부와 조작부를 가지고 보드 장치 본체에 탑재되는 기기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기기 요소는 상기 보드 장치 본체의 보드면에 마련되는 정면 패널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정면 패널에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 영역과 상기 조작부의 조작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정면 패널 전체 또는 그 일부를 다른 색의 보드면 부재와 교환 가능하게 하거나, 혹은,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 또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 화면의 화면 설정을 변경하여, 상기 정면 패널 전체 또는 그 일부 혹은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 또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 화면의 색을 바꾸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드 장치에 있어서의 보드면의 색표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보드 장치의 보드면에 대해 색표시에 관한 사양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처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보드 장치에 탑재되는 기기 요소의 정면 패널부 전체를 교환 가능하게 한 경우의 도면으로, (a)는 교환 가능한 부위를 사선으로 나타내는 기기 요소의 사시도, (b), (c)는 교환 패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배전반에 탑재되는 보호 계전 장치나 계측 장치로 이루어지는 기기 요소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기기 요소를 탑재한 보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기기 요소에서 정면 패널부의 표시부 주변을 교환 가능하게 한 경우의 도면으로, (a)는 교환 가능한 부위를 사선으로 나타내는 기기의 사시도, (b), (c)는 교환 패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기기 요소를 탑재한 보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기기 요소의 정면 패널부의 상단부를 교환 가능하게 한 경우의 도면으로, (a)는 교환 가능한 부위를 사선으로 나타내는 기기의 사시도, (b), (c)는 교환 패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기기 요소의 정면 패널부의 오른쪽 단부를 교환 가능하게 한 경우의 도면으로, (a)는 교환 가능한 부위를 사선으로 나타내는 기기 요소의 사시도, (b), (c)는 교환 패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기기 요소를 탑재한 보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기기 요소의 정면 패널부 및 측면 패널부를 교환 가능하게 한 경우의 도면으로, (a)는 교환 가능한 부위를 사선으로 나타내는 기기 요소의 사시도, (b), (c)는 교환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기기 요소의 정면 패널에 마련한 표시부로 사용하는 LCD 백라이트 또는 LED 등의 발광소자의 점등색을 용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게 한 경우의 도면으로, (a)는 표시부의 발광소자를 색 식별용으로서 특정 색으로 점등시켰을 경우의 사시도, (b)는 표준색으로 되돌린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기기 요소를 탑재한 보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6에 있어서의 기기 요소의 정면 패널부 전체에서 사용하는 LCD 백라이트 또는 LED 등의 발광소자의 점등색을 용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게 한 경우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배전반에 탑재되는 보호 계전 장치나 계측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보호 계전 장치나 계측 장치 등의 기기 요소(1)는 일반적으로 LCD로 불리는 액정 표시 장치나 LED 등의 발광소자에 의해 구성되는 표시부(2) 및 조작부(3) 등을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2)는 입력된 전압·전류나 당해 장치의 기기 가동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작부(3)는 조작용의 스위치류에 의해 구성되어 화면의 전환이나 설정의 변경 등을 행하는 것이다.
종래 장치에서는, 기기 요소(1)의 정면에 탈착 가능한 보호 커버 등이 장착되어 있는 것도 있지만, 어디까지나 표시부(2)나 조작부(3)의 보호를 목적으로 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 보드면의 색표시를 변경하는 것은 아니며, 색표시에 의한 식별을 행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1을 도 1 내지 도 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보드 장치에 마련되는 기기 요소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의 (a)는 교환 가능한 부위를 사선으로 나타내는 기기의 사시도, 도 1의 (b), (c)는 교환 패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배전반에 탑재되는 보호 계전 장치나 계측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기기 요소를 탑재한 보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전반에 탑재되는 보호 계전 장치나 계측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 계전 장치나 계측 장치로 이루어지는 기기 요소(1)는 그 본체부 앞면에 정면 패널부(FP)를 가지고, 정면 패널부(FP)에는 표시부(2) 및 조작부(3)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보호 계전 장치나 계측 장치로 이루어지는 기기 요소(1)는, 도 3에 나타내는 보드 장치 본체(7~10)에 각각 탑재된다.
이 실시 형태 1에서는, 정면 패널부(FP)를 구성하는 정면 패널(4)로서 배전반 유저가 지정하는 색으로 착색한 판 모양의 패널 혹은 씰(seal) 모양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를 준비하고, 이 보드면 부재는 보호 계전 장치나 계측 장치 등의 기기 요소(1)의 정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정면 패널부(FP)를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 패널 혹은 시트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는 기기 요소(1)의 본체부 정면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한다. 이 패널 및 시트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는 다른 색으로 착색하여 복수 종류 준비한다. 또한, 보드면 부재를 구성하는 이 패널은 수지나 금속을 가공한 것에 착색한 것이거나, 씰 모양의 시트이다. 도 1의 (a)에 나타내지는 정면 패널(4)은 제1 표시색, 도 1의 (b)에 나타내지는 정면 패널(5)은 제2 표시색, 도 1의 (c)에 나타내지는 정면 패널(6)은 제3 표시색으로 착색되어 있고, 유저가 지정하는 색 패널 또는 시트를 기기 요소(1)의 본체부 앞면에 정면 패널부(FP)로서 장착한다.
이들 정면 패널(4~6)에는, 표시부(2)의 표시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DR)과 조작부(3)의 조작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PR)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면 패널(4)을 구성하는 보드면 부재를 기기 요소(1)의 본체부에 고정하는 수법으로서는, 정면 패널(4)의 패널 본체 부분 혹은 기기 요소(1)의 본체부에 마련한 클로(claw)로 서로의 대향부를 고정하는 수법, 나사로 고정하는 수법, 또는 패널뒤에 점착 테이프를 붙여서 고정하는 수법 등이 있다. 정면 패널(4)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가 시트인 경우는, 점착 테이프로 기기 요소(1)의 본체부에 붙이는 수법, 시트 위로부터 보호 커버 등을 장착하는 수법이 있다.
도 3은 보드 장치 본체(PB)에 있어서의 배전반 유닛(7~9)에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정면 패널(4~6)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를 가지는 기기 요소(1)를 탑재한 경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수전용의 배전반 유닛(7)에 탑재한 보호 계전 장치 또는 계측 장치에는 제1 표시색(1)의 패널로 이루어지는 정면 패널(4)을, 모선용의 배전반 유닛(8)에는 제2 표시색(2)의 패널로 이루어지는 정면 패널(5)을, 피더용의 배전반 유닛(9)에는 제3 표시색(3)의 패널로 이루어지는 정면 패널(6)을 각각 장착하고 있다. 오른쪽 단의 예비용의 배전반 유닛(10)은 정면 패널 없음으로 하여, 장래 용도가 결정되었을 때에 용도에 따른 색의 패널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배전반의 용도에 따라서 배전반 보호 계전 장치 또는 계측 장치로 이루어지는 기기 요소의 정면 패널의 색을 바꿈으로써, 배전반을 도장할 필요없고, 한눈에 그 배전반의 용도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유저로부터의 색변경 요구가 발생했을 경우에도, 배전반을 다시 도장할 필요는 없고, 보호 계전 장치 또는 계측 장치의 정면 패널을 새로운 색의 패널로 교환하는 것만으로, 유저의 희망에 응할 수 있다.
이 결과, 배전반용 전용색 도료의 준비가 불필요하게 되고, 또한 유저로부터의 사양 변경 요구에 대해서도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1에서는, 표시부(2)와 조작부(3)를 가지고 배전반 등의 보드 장치 본체(PB)에 탑재되는 보호 계전 장치 또는 계측 장치 등의 전기 기기로 이루어지는 기기 요소(1)를 구비하며, 상기 기기 요소(1)는 보드 장치 본체(PB)의 보드면에 마련되는 사변형의 정면 패널부(FP) 전체에 마련되는 사변형의 정면 패널(4)을 가지고, 정면 패널부(FP)로서의 정면 패널(4)에는 표시부(2)의 표시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DR)과 조작부(3)의 조작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PR)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정면 패널(4)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를 정면 패널(4)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 전체에 상당하는 다른 색의 보드면 부재와 교환 가능하게 한 것이며, 상기 화면 영역 설정 부분(DR, PR)이 형성된 상기 정면 패널(4)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를 다른 색의 보드면 부재와 교환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보드 장치에 있어서의 보드면의 색표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보드 장치의 보드면에 대해 색표시에 관한 사양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처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2를 도 4 및 도 5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표시부 주변의 패널 또는 시트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만 교환 가능하게 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다. 보호 계전 장치 또는 계측 장치 등의 기기 요소에 있어서의 구조상 혹은 디자인의 문제에 의해, 정면 패널 전(全)면에 있어서의 보드면 부재의 교환이 곤란한 경우에, 이 방식을 채용한다. 이 방식의 경우, 교환 가능한 부분 이외에는, 그 장치의 표준색으로 착색한다. 도 5는 도 4의 장치를 배전반으로 이루어지는 보드 장치 본체에 탑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기기 요소(1)에 있어서의 사변형의 정면 패널부(FP)의 일부를 구성하여 정면 패널부(FP)의 좌우로 대향하는 두 변을 이어 그 한 변으로부터 다른 변을 향해서 연장되는 직사각형 모양 패널(11)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이 직사각형 모양 패널(11)에는 표시부(2)의 표시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DR)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직사각형 모양 패널(11)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직사각형 모양 패널(1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각각 다른 색을 가지는 도 4의 (b), (c)에 나타내는 직사각형 모양 패널(12, 13)과 교환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정면 패널부(FP)의 일부를, 표시부(2)의 표시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DR)을 포함해서 정면 패널부(FP)의 대향하는 두 변 사이를 잇는 소정폭을 가지는 다른 색의 직사각형 모양 패널(12, 13)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와 교환 가능하게 함으로써, 정면 패널부(FP)에 있어서의 좌우의 두 변을 이어 소정폭을 가지는 표시부(2) 주변의 색표시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어, 작업자가 주시하는 표시부(2) 주변의 색에 의한 식별 표시에 의해서 식별 기능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정면 패널부(FP)의 일부를, 조작부(3)의 조작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PR)을 포함해서 정면 패널부(FP)의 대향하는 두 변 사이를 잇는 소정폭을 가지는 다른 색의 직사각형 모양 패널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와 교환 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며, 작업자가 조작시에 주시하는 조작부(3) 주변의 색에 의한 식별 표시에 의해서 식별 기능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5는 보드 장치 본체(PB)에 있어서의 배전반 유닛(7~9)에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직사각형 모양 패널(11~13)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를 가지는 기기 요소(1)를 탑재한 경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수전용의 배전반 유닛(7)에 탑재한 보호 계전 장치 또는 계측 장치에는 제1 표시색(1)의 패널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모양 패널(11)을, 모선용의 배전반 유닛(8)에는 제2 표시색(2)의 패널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모양 패널(12)을, 피더용의 배전반 유닛(9)에는 제3 표시색(3)의 패널로 이루어지는 정면 패널(13)을 각각 장착하고 있다. 오른쪽 단의 예비용의 배전반 유닛(10)은 정면 패널 없음으로 하여, 장래 용도가 결정되었을 때에 용도에 따른 색의 패널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 1과 비교하여, 색표시를 행하는 패널의 면적은 작아지지만, 배전반의 용도 식별 등의 식별 기능은 충분히 가능하고, 효과적인 식별 작용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2에서는, 표시부(2)와 조작부(3)를 가지고 배전반 등의 보드 장치 본체(PB)에 탑재되는 보호 계전 장치 또는 계측 장치 등의 전기 기기로 이루어지는 기기 요소(1)를 구비하고, 이 기기 요소(1)는 보드 장치 본체(PB)의 보드면에 마련되는 사변형의 정면 패널부(FP)를 가지는 것과 함께, 정면 패널부(FP)의 일부에 상당하는 보드면 부재에 대해서, 표시부(2) 또는 조작부(3)의 표시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DR) 또는 화면 영역 설정 부분(PR)을 포함해서 정면 패널부(FP)의 대향하는 두 변 사이를 잇는 소정폭을 가지는 다른 색의 직사각형 모양 패널(12) 또는 직사각형 모양 패널(13)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와 교환 가능하게 했다.
이 구성에 의해, 보드 장치에서의 정면 패널부(FP)에 있어서의 좌우의 두 변을 이어 소정폭을 가지는 표시부(2) 주변 또는 조작부(3) 주변의 색표시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어, 작업자가 주시하는 표시부(2) 주변 또는 조작부(3) 주변의 색을 바꿈으로써 식별 표시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고, 보드 장치의 보드면에 대해 색표시에 관한 사양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처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 3.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3을 도 6 내지 도 8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도 7은 보호 계전 장치 또는 계측 장치로 이루어지는 기기 요소에 있어서의 정면 패널부의 일부분만의 패널을 교환 가능하게 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다. 장치의 구조 또는 디자인의 문제에 의해, 정면 패널부의 일부분만 패널 교환이 가능한 경우에, 이 방식을 채용한다. 도 6은 교환 패널의 형상을 가로로 길게 했을 경우, 도 7은 교환 패널의 형상을 세로로 길게 했을 경우의 예이다. 도 8은 도 6의 장치를 배전반으로 이루어지는 보드 장치 본체에 탑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 형태 3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기 요소(1)에 있어서의 사변형의 정면 패널부(FP)의 일부를 구성하여 정면 패널부(FP)의 좌우로 대향하는 두 변을 이어 그 한 변으로부터 다른 변을 향해서 연장되는 직사각형 모양 패널(14)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직사각형 모양 패널(14)은 정면 패널부(FP)에 있어서의 표시부(2)의 표시 화면 영역 및 조작부(3)의 조작 화면 영역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정면 패널부(FP)의 두 변 사이를 잇는 소정폭을 가지는 것이며, 표시부(2)의 표시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DR) 및 조작부(3)의 조작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PR)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직사각형 모양 패널(14)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직사각형 모양 패널(14)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각각 다른 색을 가지는 도 6의 (b), (c)에 나타내는 직사각형 모양 패널(15, 16)과 교환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정면 패널부(FP)의 일부를 구성하는 직사각형 모양 패널(14)을, 정면 패널부(FP)의 좌우로 대향하는 두 변 사이를 잇는 소정폭을 가지는 다른 색의 직사각형 모양 패널(15, 16)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와 교환 가능하게 함으로써, 정면 패널부(FP)에 있어서의 좌우의 두 변을 잇는 소정폭의 색표시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어, 식별 기능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기 요소(1)에 있어서의 사변형의 정면 패널부(FP)의 일부를 구성하여 정면 패널부(FP)의 상하로 대향하는 두 변을 이어 그 한 변으로부터 다른 변을 향해서 연장되는 직사각형 모양 패널(14)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 직사각형 모양 패널(14)은 정면 패널부(FP)에 있어서의 표시부(2)의 표시 화면 영역 및 조작부(3)의 조작 화면 영역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정면 패널부(FP)의 두 변 사이를 잇는 소정폭을 가지는 것이며, 표시부(2)의 표시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DR) 및 조작부(3)의 조작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PR)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직사각형 모양 패널(14)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직사각형 모양 패널(14)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각각 다른 색을 가지는 도 6의 (b), (c)에 나타내는 직사각형 모양 패널(15, 16)과 교환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정면 패널부(FP)의 일부를 구성하는 직사각형 모양 패널(14)을, 정면 패널부(FP)의 상하로 대향하는 두 변 사이를 잇는 소정폭을 가지는 다른 색의 직사각형 모양 패널(15, 16)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와 교환 가능하게 함으로써, 정면 패널부(FP)에 있어서의 상하의 두 변을 잇는 소정폭의 색표시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어, 식별 표시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8은 보드 장치 본체(PB)에 있어서의 배전반 유닛(7~9)에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직사각형 모양 패널(14~16)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를 가지는 기기 요소(1)를 탑재한 경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수전용의 배전반(7)에 탑재한 보호 계전 장치 또는 계측 장치로 이루어지는 기기 요소(1)에는 제1 표시색(1)의 패널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모양 패널(14)을, 모선용의 배전반(8)에는 제2 표시색(2)의 패널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모양 패널(15)을, 피더용의 배전반(9)에는 제3 표시색(3)의 패널로 이루어지는 정면 패널(16)을 각각 장착하고 있다. 오른쪽 단의 예비용의 배전반(10)은 정면 패널 없음으로 하여, 장래 용도가 결정되었을 때에 용도에 따른 색의 패널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 3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 2와 비교하여, 색표시를 행하는 패널의 면적은 동등 혹은 작아지지만, 배전반의 용도 식별 등의 식별 기능은 충분히 가능하여, 효과적인 식별 작용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3에서는, 표시부(2)와 조작부(3)를 가지고 배전반 등의 보드 장치 본체(PB)에 탑재되는 보호 계전 장치 또는 계측 장치 등의 전기 기기로 이루어지는 기기 요소(1)를 구비하고, 기기 요소(1)는 상기 보드 장치 본체(PB)의 보드면에 마련되는 사변형의 정면 패널부(FP)를 가지는 것과 함께, 정면 패널부(FP)의 일부에 상당하는 직사각형 모양 패널(14)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를, 표시부(2) 또는 조작부(3)의 표시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DR, PR)을 포함하지 않고 정면 패널부(FP)의 대향하는 두 변 사이를 잇는 소정폭을 가지는 다른 색의 직사각형 모양 패널(15) 또는 직사각형 모양 패널(16)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와 교환 가능하게 했다.
이 구성에 의해, 보드 장치에서의 정면 패널부(FP)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두 변을 잇는 소정폭의 색표시를 매우 용이하게 바꿀 수 있는 것으로, 보드 장치의 보드면에 있어서의 식별 표시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어, 보드 장치의 보드면에 대해 색표시에 관한 사양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처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 4.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4를 도 9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보호 계전 장치 또는 계측 장치로 이루어지는 기기 요소에 있어서의 정면 패널부에 더하여 측면 패널부를 교환 가능하게 한 구조를 나타낸다. 이 경우는, 보호 계전 장치 또는 계측 장치로 이루어지는 기기 요소의 측면 패널부가 보드 장치 본체의 보드면으로부터 일부 돌출되도록 배치되면 그 효과가 커진다.
이 실시 형태 4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표시부(2)와 조작부(3)를 가지고 배전반 등의 보드 장치 본체(PB)에 탑재되는 보호 계전 장치 또는 계측 장치 등의 전기 기기로 이루어지는 기기 요소(1)를 구비하고, 상기 기기 요소(1)는 보드 장치 본체(PB)의 보드면에 마련되는 사변형의 정면 패널부(FP)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사변형의 정면 패널부(FP)의 둘레 가장자리에 연접하여 상기 보드 장치 본체의 보드면에 마련되는 측면 패널부(SP)가 마련되어 있고, 정면 패널부(FP) 및 측면 패널부(SP)를 일체로 하여 구성하는 보드면 부재로서 네모난 쟁반(角盆) 모양 패널(17)이 마련되어 있다. 네모난 쟁반 모양 패널(17)의 측면 패널부(SP)에 상당하는 각기둥(角筒)부는 상기 보드 장치 본체(PB)(도 3 참조)의 보드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설되는 것이다.
정면 패널부(FP) 및 측면 패널부(SP)에 상당하는 보드면 부재로서의 네모난 쟁반 모양 패널(17)은, 정면 패널부(FP) 및 측면 패널부(SP)에 상당하는 다른 색의 네모난 쟁반 모양 패널(18, 19)과 교환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 1~3에서는, 배전반 정면에서의 시인성은 좋지만, 배전반 측면에서의 시인성이 낮다. 그러나, 이 실시 형태 4의 방식에서는 측면에서도 패널의 색의 식별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4에서는, 표시부(2)와 조작부(3)를 가지고 배전반 등의 보드 장치 본체(PB)에 탑재되는 보호 계전 장치 또는 계측 장치 등의 전기 기기로 이루어지는 기기 요소(1)를 구비하고, 상기 기기 요소(1)는 보드 장치 본체(PB)의 보드면에 마련되는 사변형의 정면 패널부(FP) 전체에 마련되는 사변형의 네모난 쟁반 모양 패널(17)을 가지고, 정면 패널부(FP)로서의 네모난 쟁반 모양 패널(17)에 정면 패널부(FP)의 둘레 가장자리에 연접하여 상기 보드 장치 본체의 보드면에 측면 패널부(SP)가 마련되어, 정면 패널부(FP)로서의 네모난 쟁반 모양 패널(17)의 정면 부분에는 표시부(2)의 표시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DR)과 상기 조작부(3)의 조작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PR)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정면 패널부(FP) 및 측면 패널부(SP)에 상당하는 네모난 쟁반 모양 패널(17)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를 상기 네모난 쟁반 모양 패널(17)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 전체에 상당하는 다른 색의 보드면 부재와 교환 가능하게 한 것으로, 화면 영역 설정 부분(DR, PR)이 형성된 정면 패널부(FP) 및 측면 패널부(SP)에 상당하는 네모난 쟁반 모양 패널(17)로 이루어지는 보드면 부재를 다른 색의 보드면 부재와 교환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보드 장치에 있어서의 보드면의 색표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보드 장치의 보드면에 대해 색표시에 관한 사양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처 가능하게 되는 것과 함께, 측면에서도 색의 식별이 용이하고, 식별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5.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5를 도 10 및 도 1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보호 계전 장치 또는 계측 장치로 이루어지는 기기 요소의 표시부에 있어서 사용하는 LCD 백라이트 또는 LED 등의 발광소자에 있어서의 점등색을 용도에 따라서 변경 가능하게 한 방식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0의 (a)는, 표시부(20)의 점등색을 색 식별을 위한 특정 색으로 바꾼 예를 나타낸다. 또한, 전류나 전압 등의 표시 내용을 확인하는 경우는,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준의 표시색을 나타내는 표시부(21)의 상태로 전환을 행하고 나서 실시한다. 도 11은 도 10의 기기 요소(1)를 배전반 등의 보드 장치 본체(PB)에 탑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 형태 5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 1~4의 것과 마찬가지로, 표시부(20)와 조작부(3)를 가지고 배전반 등의 보드 장치 본체(PB)에 탑재되는 보호 계전 장치 또는 계측 장치 등의 전기 기기로 이루어지는 기기 요소(1)를 구비하고, 기기 요소(1)는 상기 보드 장치 본체(PB)의 보드면에 마련되는 정면 패널부(FP)를 가지고, 상기 보드 장치 본체의 보드면에 있어서의 정면 패널부(FP)에는 표시부(20)의 표시 화면 영역과 조작부(3)의 조작 화면 영역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부(20)의 표시 화면은 LCD로 불리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광원으로서 백라이트를 가지는 표시 장치 또는 LED 등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기 백라이트를 가지는 표시 장치의 광원색 또는 상기 발광소자를 가지는 표시 장치의 점등색을 변경함으로써, 보드 장치의 보드면에 있어서의 용도 식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조작부(3)의 조작 화면을 LCD로 불리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광원으로서 백라이트를 가지는 표시 장치 또는 LED 등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에 의해서 구성하고, 상기 백라이트를 가지는 표시 장치의 광원색 또는 상기 발광소자를 가지는 표시 장치의 점등색을 변경함으로써, 보드 장치 본체(PB)의 보드면에 있어서의 용도 식별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조작부(3)의 조작 화면에서 조작 작업을 행하는 경우는, 표시부(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표준의 표시색을 나타내는 조작부(3)의 상태로 전환을 행하고 나서 실시한다.
또한, 표시부(20)의 표시 화면과 조작부(3)의 조작 화면 쌍방을 LCD로 불리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광원으로서 백라이트를 가지는 표시 장치 또는 LED 등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에 의해서 구성하고, 표시부(20)의 표시 화면 및 조작부(3)의 조작 화면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를 가지는 표시 장치의 광원색 또는 상기 발광소자를 가지는 표시 장치의 점등색을 변경함으로써, 보드 장치 본체(PB)의 보드면에 있어서의 용도 식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4에서는, 용도 변경의 경우에 표시부 주변의 패널 또는 시트를 교환할 필요가 있지만, 이 실시 형태 5의 방식에서는 장치의 설정 변경만으로 대응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5에서는, 표시부(20)와 조작부(3)를 가지고 배전반 등의 보드 장치 본체(PB)에 탑재되는 보호 계전 장치 또는 계측 장치 등의 전기 기기로 이루어지는 기기 요소(1)를 구비하고, 상기 기기 요소(1)는 상기 보드 장치 본체(PB)의 보드면에 마련되는 정면 패널부(FP)를 가지고, 상기 보드 장치 본체의 보드면에 있어서의 정면 패널부(FP)에는 표시부(20)의 표시 화면 영역과 조작부(3)의 조작 화면 영역이 설정되어 있는 것과 함께, 표시부(20)의 표시 화면과 조작부(3)의 조작 화면 중 적어도 한쪽은 LCD로 불리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광원으로서 백라이트를 가지는 표시 장치 또는 LED 등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기 백라이트를 가지는 표시 장치의 광원색 또는 상기 발광소자를 가지는 표시 장치의 점등색을 변경함으로써, 보드 장치의 보드면에 있어서의 용도 식별을 가능하게 했다.
이 구성에 의해, 보드 장치에 있어서의 보드면의 색표시를 표시부(20)의 표시 화면 또는 조작부(3)의 조작 화면에 있어서의 화면 설정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보드 장치의 보드면에 대해 색표시에 관한 사양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처 가능하게 된다.
표시부(20)의 표시 화면은 작업원이 항상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표시 화면의 색의 변화에 의해 보드 장치 본체(PB)의 보드면에 있어서의 색에 의한 식별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3)의 조작 화면은 작업원이 조작시에 집중적으로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작 화면의 색의 변화에 의해 보드 장치 본체(PB)의 보드면에 있어서의 색에 의한 식별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6.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6을 도 1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보호 계전 장치 또는 계측 장치로 이루어지는 기기 요소의 정면 패널부를 LCD로 불리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백라이트를 가지는 표시 장치 또는 LED 등의 발광소자를 가지는 표시 장치로 구성한 것이다.
이 실시 형태 6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 1~4의 것과 마찬가지로, 표시부(2)와 조작부(3)를 가지고 배전반 등의 보드 장치 본체에 탑재되는 보호 계전 장치 또는 계측 장치 등의 전기 기기로 이루어지는 기기 요소(1)를 구비하고, 상기 기기 요소(1)는 상기 보드 장치 본체(PB)의 보드면에 마련되는 정면 패널부(FP)를 가지고, 상기 보드 장치 본체의 보드면에 있어서의 정면 패널부(FP)에는 표시부(2)의 표시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DR)과 조작부(3)의 조작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PR)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화면 영역 설정 부분(DR, PR)을 제외한 정면 패널부(FP)에 상당하는 패널(22)이 LCD로 불리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백라이트를 가지는 표시 장치 또는 LED 등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백라이트를 가지는 표시 장치의 광원색 또는 상기 발광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점등색을 변경함으로써, 색에 의한 식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 6에서는, 용도에 따른 패널의 색의 변경이 패널을 구성하는 보드면 부재를 바꾸는 일 없이, 설정을 바꾸는 것만으로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LCD로 불리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백라이트를 가지는 표시 장치 또는 LED 등의 발광소자를 가지는 표시 장치에 의한 발광으로 용도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인식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6에서는, 표시부(2)와 조작부(3)를 가지고 배전반 등의 보드 장치 본체(PB)에 탑재되는 보호 계전 장치 또는 계측 장치 등의 전기 기기로 이루어지는 기기 요소(1)를 구비하고, 상기 기기 요소(1)는 상기 보드 장치 본체의 보드면에 마련되는 정면 패널부(FP)를 가지고, 상기 보드 장치 본체의 보드면에 있어서의 정면 패널 영역(FP)에는 표시부(2)의 표시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DR)과 조작부(3)의 조작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PR)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화면 영역 설정 부분(DR, PR)을 제외한 정면 패널부(FP)로서의 정면 패널(22)이 LCD로 불리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백라이트를 가지는 표시 장치 또는 LED 등의 발광소자를 가지는 표시 장치로 구성되고, 정면 패널(22)을 구성하는 상기 백라이트를 가지는 표시 장치의 광원색 또는 상기 발광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점등색을 변경함으로써, 색에 의한 식별을 가능하게 했다.
이 구성에 의해, 보드 장치에 있어서의 보드면의 색표시를 정면 패널부(FP)에 정면 패널(22)로서 마련한 표시 장치의 화면 설정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보드 장치의 보드면에 대해 색표시에 관한 사양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처 가능하게 된다.
기기 요소(1)에 있어서의 정면 패널부(FP)는 작업원이 항상 대면하고 있는 것으로, 정면 패널부(FP)의 색의 변화에 의해 보드 장치 본체(PB)의 보드면에 있어서의 색에 의한 식별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각 실시 형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자유롭게 조합하거나, 각 실시 형태를 적절히 변형,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보호 계전 장치 또는 계측 장치(기기 요소)
2: 표시부
3: 조작부
4: 정면 패널(보드면 부재): 표준색 패널(색 1)
5: 정면 패널(보드면 부재): 교환용 패널(색 2)
6: 정면 패널(보드면 부재): 교환용 패널(색 3)
7: 수전용의 배전반 유닛
8: 모선용의 배전반 유닛
9: 피더용의 배전반 유닛
10: 예비의 배전반 유닛
11: 직사각형 모양 패널(보드면 부재): 표준색 패널(색 1)
12: 직사각형 모양 패널(보드면 부재): 교환용 패널(색 2)
13: 직사각형 모양 패널(보드면 부재): 교환용 패널(색 3)
14: 직사각형 모양 패널(보드면 부재): 표준색 패널(색 1)
15: 직사각형 모양 패널(보드면 부재): 교환용 패널(색 2)
16: 직사각형 모양 패널(보드면 부재): 교환용 패널(색 3)
17: 네모난 쟁반 모양 패널(보드면 부재): 표준색 패널(색 1)
18: 네모난 쟁반 모양 패널(보드면 부재): 교환용 패널(색 2)
19: 네모난 쟁반 모양 패널(보드면 부재): 교환용 패널(색 3)
20: 표시부: 지정한 색으로 점등한 상태
21: 표시부: 표준색으로 점등한 상태
22: 정면 패널(표시 장치)

Claims (8)

  1. 표시부와 조작부를 가지고 보드 장치 본체에 탑재되는 기기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기기 요소는 상기 보드 장치 본체의 보드면에 마련되는 정면 패널부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정면 패널부에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 영역과 상기 조작부의 조작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정면 패널부 전체 또는 그 일부를 다른 색의 보드면 부재와 교환 가능하게 하거나, 혹은,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 또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 화면의 화면 설정을 변경하여, 상기 정면 패널부 전체 또는 그 일부 혹은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 또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 화면의 색을 바꾸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장치.
  2. 표시부와 조작부를 가지고 보드 장치 본체에 탑재되는 기기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기기 요소는 상기 보드 장치 본체의 보드면에 마련되는 사변형의 정면 패널부를 가지고, 상기 정면 패널부에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 영역과 상기 조작부의 조작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정면 패널부 전체 혹은 그 일부를 상기 정면 패널부 전체에 상당하는 다른 색의 보드면 부재 혹은 상기 정면 패널 부분의 대향하는 두 변 사이를 잇는 소정폭을 가지는 다른 색의 보드면 부재와 교환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면 영역 설정 부분이 형성된 상기 정면 패널부를 다른 색의 보드면 부재와 교환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면 패널부의 일부를, 상기 표시부 또는 상기 조작부의 표시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을 포함해서 상기 정면 패널의 대향하는 두 변 사이를 잇는 소정폭을 가지는 다른 색의 보드면 부재와 교환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면 패널부의 일부를, 상기 화면 영역 설정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정면 패널의 대향하는 두 변 사이를 잇는 소정폭을 가지는 다른 색의 보드면 부재와 교환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면 패널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연접하여 상기 보드 장치 본체의 보드면에 마련되는 측면 패널부를 가지는 것과 함께, 상기 정면 패널부와 상기 측면 패널부를 상기 정면 패널부 및 상기 측면 패널부에 상당하는 다른 색의 보드면 부재와 교환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장치.
  7. 표시부와 조작부를 가지고 보드 장치 본체에 탑재되는 기기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기기 요소는 상기 보드 장치 본체의 보드면에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 영역과 상기 조작부의 조작 화면 영역이 설정되는 것과 함께,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과 상기 조작부의 조작 화면 중 적어도 한쪽은 광원으로서 백라이트를 가지는 표시 장치 또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기 백라이트를 가지는 표시 장치의 광원색 또는 상기 발광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점등색을 변경함으로써, 보드 장치의 보드면에 있어서의 색에 의한 식별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장치.
  8. 표시부와 조작부를 가지고 보드 장치 본체에 탑재되는 기기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기기 요소는 상기 보드 장치 본체의 보드면에 마련되는 정면 패널부를 가지고, 상기 정면 패널부에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 영역과 상기 조작부의 조작 화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영역 설정 부분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화면 영역 설정 부분을 제외한 상기 정면 패널부가 광원으로서 백라이트를 가지는 표시 장치 또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백라이트를 가지는 표시 장치의 광원색 또는 상기 발광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점등색을 변경함으로써, 보드 장치의 보드면에 있어서의 색에 의한 식별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장치.
KR1020197000706A 2016-09-06 2017-08-01 보드 장치 KR1021845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73262 2016-09-06
JP2016173262 2016-09-06
PCT/JP2017/027818 WO2018047521A1 (ja) 2016-09-06 2017-08-01 盤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563A true KR20190016563A (ko) 2019-02-18
KR102184594B1 KR102184594B1 (ko) 2020-12-01

Family

ID=61561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706A KR102184594B1 (ko) 2016-09-06 2017-08-01 보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30084B2 (ko)
KR (1) KR102184594B1 (ko)
CN (1) CN109643882B (ko)
TW (1) TWI649935B (ko)
WO (1) WO2018047521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2708A (ja) * 1995-12-15 1997-06-30 Toshiba Corp 制御盤
JPH10257618A (ja) 1997-03-12 1998-09-25 Krohne Ag 電気装置を収容する定置ハウジング
JP2004260967A (ja) * 2003-02-27 2004-09-16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操作パネルの銘板
KR101194385B1 (ko) * 2012-06-13 2012-10-24 (주)서전기전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KR20120126344A (ko) * 2011-05-11 2012-11-21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용 티 분기형 차단기
KR101499918B1 (ko) * 2014-06-13 2015-03-10 지투파워 (주) 수배전반용 광섬유 온도 열화 검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12662A1 (de) * 1986-04-15 1987-10-22 Bosch Siemens Hausgeraete Tuer fuer ein frontseitig beschickbares haushaltsgeraet, insbesondere geschirrspuelmaschine
JPH0488304U (ko) * 1990-11-30 1992-07-31
JP2000308223A (ja) * 1999-04-16 2000-11-02 Toshiba Corp 電力系統制御・保護装置整定パネル
JP4462949B2 (ja) * 2004-02-09 2010-05-12 テンパール工業株式会社 分電盤
CN201038634Y (zh) * 2007-05-24 2008-03-19 邱华光 用于墙壁开关与插座的组合配色装饰面板
KR20100064390A (ko) * 2008-02-14 2010-06-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컨트롤 센터
JP2012010548A (ja) * 2010-06-28 2012-01-1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リレー操作盤
CN202197004U (zh) * 2011-07-25 2012-04-18 浙江海瑞电气有限公司 开关柜柜体
CN202346045U (zh) * 2011-11-30 2012-07-25 广州市嘉诚国际物流股份有限公司 一种可标识区分的托盘
CN202495691U (zh) * 2012-02-14 2012-10-17 浙江丽威科技有限公司 一种配电箱
CN203250988U (zh) * 2013-04-28 2013-10-23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电气盘柜盘楣装置
JP2015153369A (ja) * 2014-02-19 2015-08-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3次元形状を有する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CN203774637U (zh) * 2014-04-02 2014-08-13 吉林龙鼎电气股份有限公司 低压电气设备专用眉头
CN105305282B (zh) * 2015-10-14 2018-03-09 株洲南车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抽屉式开关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2708A (ja) * 1995-12-15 1997-06-30 Toshiba Corp 制御盤
JPH10257618A (ja) 1997-03-12 1998-09-25 Krohne Ag 電気装置を収容する定置ハウジング
JP2004260967A (ja) * 2003-02-27 2004-09-16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操作パネルの銘板
KR20120126344A (ko) * 2011-05-11 2012-11-21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용 티 분기형 차단기
KR101194385B1 (ko) * 2012-06-13 2012-10-24 (주)서전기전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KR101499918B1 (ko) * 2014-06-13 2015-03-10 지투파워 (주) 수배전반용 광섬유 온도 열화 검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13227A (zh) 2018-04-01
JPWO2018047521A1 (ja) 2018-11-15
WO2018047521A1 (ja) 2018-03-15
CN109643882B (zh) 2021-05-11
JP6430084B2 (ja) 2018-11-28
KR102184594B1 (ko) 2020-12-01
CN109643882A (zh) 2019-04-16
TWI649935B (zh) 2019-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03156T2 (de) Aus blöcken zusammengesetzte flüssigkristallanzeige
US4973951A (en) Double-sided display apparatus
DE102006014394A1 (de) Head-up Display,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ead-up Displays
CN102866521A (zh) 窄边框液晶显示装置
US20120133290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DE102013103782A1 (de) Vorrichtung für eine Zweikanal-Flugzeuganzeige
JP2013243548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190016563A (ko) 보드 장치
KR101551569B1 (ko) 안전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8545088B2 (en) Back frame and backlight system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US8545036B2 (en) Back frame and backlight system thereof
US8789958B2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plasma display device
JP2008244681A (ja) 表示装置
CN211237282U (zh) 一种模拟机不同机型的互换模组及模拟机
CN214312491U (zh) 一种多尺寸液晶显示模组背板定位安装工装
US8721099B2 (en) Back frame and backlight system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CN208477756U (zh) 智能书写装置
US8939631B2 (en) Controlling device with an insulating portion
US8905616B2 (en) Back frame and backlight system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KR200466979Y1 (ko)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
CN206977574U (zh) 一种电视机后壳侧盖
CN204190191U (zh) 一种微机综合测控装置的改良结构
US20130128142A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Plasma Display Device
CN203942720U (zh) 工控电器产品操作面板弹性卡勾结构
RU2604664C1 (ru) Модуль светодиодной индикации мнемосхемы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шкаф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