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979Y1 -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 - Google Patents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979Y1
KR200466979Y1 KR2020110006848U KR20110006848U KR200466979Y1 KR 200466979 Y1 KR200466979 Y1 KR 200466979Y1 KR 2020110006848 U KR2020110006848 U KR 2020110006848U KR 20110006848 U KR20110006848 U KR 20110006848U KR 200466979 Y1 KR200466979 Y1 KR 200466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power
power distribution
distribution pane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859U (ko
Inventor
권용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워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워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워링크
Priority to KR2020110006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979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8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8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9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5/00Supervisory desks or panels for centralised control or displa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전원 분배반(Power Distribution Panel)으로서, 총 전류량(또는 전압)을 시각적인 정보로 구현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고안인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은,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로 입력된 전원을 복수로 분배하여 출력하는 분배기와, 분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분배된 전원마다의 출력을 단속하는 차단기와, 입력된 전원의 총 전류량을 계측하는 전류센서 및 전류센서에서 계측된 총 전류량과 전압을 시각적인 정보로 구현해주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POWER DISTRIBUTION PANEL HAVING A FUNCTION OF DISPLAYING AMOUNT OF CURRENT}
본 고안은 필요한 장비에 전원을 분배하여 공급하는 전원 분배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류량을 시각적인 정보로 구현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에 관한 것이다.
전원 분배반(Power Distribution Panel, 약칭 'PDP'라고도 함)은, 전원공급 중단사고에 대비하여, 이중화된 입력전원을 사용하고 있는 서버 및 각종 통신 장비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종래의 전원 분배반의 개략적인 구조는 도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스(1)와,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 단자(10)와,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복수로 분배하는 분배기(30)와, 분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차단기(40)와, 상기 분배기에서 분배된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입력 단자(10) 및 출력 단자(20)는 통상 케이스(10)의 후면 패널 상에 구비된다.
입력 단자(10)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전압(예: 24 V)의 직류 전원을 입력받기 위하여 케이스(10)의 후면 패널 일측에 마련된다.
분배기(30)는 케이스(10)의 전면 패널에 구비된 설치 공 내에 장착되는데, 상기 입력 단자(10)로부터 입력된 직류 전원을 복수로 분배하기 위하여, 복수의 분배 포트를 포함한다. 차단기(40)는 분배기(30)에 포함된 복수의 분배 포트에 대응하여, 각각의 분배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차단 스위치로 구성된다.
그리고 출력 단자(20)는 상기 분배기(30)에서 복수로 분배된 직류 전원을 외부의 전원장치까지 공급하기 위하여 케이스(10)의 후면 패널 타측에 마련된다.
다만, 이와 같은 종래의 전원 분배반은 앞서 간략히 살펴본 바와 같이, 대다수 직류 전원의 안정적인 분배를 통해, 전원공급이 중단되는 사고를 예방하는 주된 기능에만 주력하고 있을 뿐,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형태는 거의 없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직류 전원을 분배하여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수행하는 전원 분배반에 있어서, 총 전류량(또는 전압)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인 형태로 구현해 줄 수 있는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스위치 조작을 통해 총 전류량(또는 전압)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절전 상태로도 손쉽게 전환할 수 있는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들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르면, 전원을 분배하는 전원분배반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로 입력된 전원을 복수로 분배하여 출력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분배된 전원마다의 출력을 단속하는 차단기; 상기 입력된 전원의 총 전류량을 계측하는 전류센서; 및 상기 전류센서에서 계측된 총 전류량과 전압을 시각적인 정보로 구현해주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을 제공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전류센서로부터 계측된 총 전류량에 관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아 시각적인 정보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동하는 회로 유닛; 및 상기 회로 유닛의 구동을 조절 제어하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전면 패널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 7-세그먼트(segment)일 수 있다.
또한, 조작 스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클릭되는 순서에 따라, 총 전류량을 표시하는 모드, 전압을 표시하는 모드,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기능이 차례대로 조절되는 택 스위치(tack switch)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조작 스위치의 클릭 순서에 따라, 각각의 기능이 구현되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도록, 해당 기능에 대응하여 발광하는 복수의 LED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직류 전원을 분배하여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수행함은 물론, 사용자의 간단한 스위치 조작을 통해 총 전류량(또는 전압)에 관한 시각적인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결과 전원 분배 상황을 감독하는 작업자의 수고를 덜어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상기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절전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원 분배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의 전면 패널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이 제1실시예에 따른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의 후면 패널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의 전면 패널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의 후면 패널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전원 분배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동작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여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의 경우, 그 구조 및 형상이 조금씩 변경된 형태로서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실시예로서, LTE용 전원 분배반과, 일반용 전원 분배반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제 1 실시예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총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 구조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인 전원 분배반의 전면 패널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후면 패널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병행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구성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전원 분배반(100)은, 케이스(110)와, 입력된 전원을 분배하여 출력하는 분배기(150)와, 분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차단기(160)와, 전류센서(14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본 고안인 전원 분배반(100)의 외장을 형성하는 부재이다.
상기 케이스(110)는, 육(六) 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널들이 상호 조립되거나, 또는 이들 패널들 중 몇 개만이 연속적인 몸체를 형성하는 형태로 상호 조립되어, 사각 함체 형태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바로는,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 패널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고안의 세부 구성의 배치 및 연결 관계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를 형성하는 복수의 패널 상에는 발열 방지를 위한 통기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기공들은 케이스(110) 내부의 발열을 억제하여, 부품 수명이 단축되거나 또는 전기적인 오동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케이스(110)의 전면 패널(112) 쪽으로는 분배기(150), 차단기(160)를 비롯하여 총 전류량 및 전압에 대한 시각적인 정보를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0)가 배치된다.
그리고 케이스(110)의 후면 패널(114) 쪽으로는 입력단자(120) 및 출력단자(130)가 구비되며, 케이스(110)의 전면 패널(112) 쪽으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0) 및 분배기(150)와 차단기(160)가 구비된다.
분배기(150)는, 케이스 내부로 입력된 전원을 복수로 분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분배기(150)는 본 고안인 전원 분배반(100)의 사용 목적에 따라 그 개수 및 배치 형태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굳이 본 고안에서 한정할 필요가 없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전원 분배반은, 앞서 간략히 언급한 바와 같이, LTE(Long Term Evolution)용으로서, 입력된 전원을 4개로 분배한다. 따라서 분배기(150)의 구성 역시 이러한 형태에 적합하게 설계 적용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2의 분배기(150)는 4개의 전원 분배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기(150)는 케이스(110)의 전면 패널 내벽 쪽으로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분배기(150)의 각 분배 포트에는 차단기(160)가 하나씩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차단기(160)는, 분배기에 의해 분배된 전원마다의 출력을 단속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차단기(160)에는 차단기를 통해 전원이 출력되는 복수의 차단 출력 단자를 구비하며, 수동 조작 또는 자동으로 분배된 전원이 출력되는 것을 개폐 조절한다.
여기까지 설명된 본 고안의 구성의 전원 분배 흐름을 설명하면, 먼저 케이스(110)의 후면 패널(114)에 구비된 입력단자(120)로부터 직류 전원(예: 24V)이 입력된다.
입력된 직류 전원은 제1연결선(121a)에 의해 음(-)의 전원이 출력단자(130)의 일측으로 전달되고, 제2연결선(121b)에 의해 양(+)의 전원은 분배기 및 차단기(160) 쪽으로 입력된다. 그리고 제3연결선(121c)에 의해 각각의 분배기 및 차단기(160)에서 설정된 직류 전원(예: 12V)로 분배 조절된 후, 제4연결선(121d)에 의해 출력단자(130)까지 전달된다.
여기서, 제2연결선(121b)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은 전류센서(140)를 경유하여 총 전류량이 계측된다.
본 고안에서의 전류센서(140)는 1±0.5 ~ 30±0.5 A의 전류를 검침 가능한 형태를 사용한다.
전류센서(140)에서 계측된 총 전류량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0)까지 전달되며, 이와 동시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0)의 구동에 필요한 5V 전원까지 공급된다.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세부 구성으로서, 케이블 커넥터(142)와, 복수의 케이블(144)이 포함된다.
케이블 커넥터(142)는 전류센서(140)의 일측에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케이블(14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복수의 케이블(144) 중 일부 케이블(144a) 및 잔부 케이블(144b)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0)까지 분지되어 각각 접속되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동시에, 계측된 정보를 전달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0)는 케이스(110)의 전면 패널(112) 쪽으로 근접하여 설치되며, 전류센서(140)에서 계측된 총 전류량은 물론, 전압 및 그 외의 장비 상태 정보(예: 절전 상태)를 시각적으로 출력 구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0)의 세부 구성의 배치 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인 전원 분배반의 전면 패널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이러한 도 3을 참조하면, 전면 패널(112)의 일측(도 3에서 좌측)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0)가 구비된 모습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171)과, 디스플레이 유닛(171)을 구동하는 회로 유닛(173)과, 조작 스위치(17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유닛(171)은, 전류센서(도 2의 도면부호 140)로부터 계측된 총 전류량에 관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아 시각적인 정보로 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71)으로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 구현하는 다양한 부품이 이용될 수 있으나, 총 전류량 및 전압을 아라비아 숫자로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 비용도 저렴한 7-세그먼트(segment)를 이용할 수 있다.
7-세그먼트는, 전면 패널(112)을 통해 설치되되, 사용자가 앞쪽에서 원하는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로 더 노출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유닛(171)은 전면 패널(112)의 내벽에 장착된 회로 유닛(173)에 의해 그 구동에 제어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회로 유닛(173)은 주지된 7-세그먼트 구동 PCB 회로와 동일하므로, 해당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0)에서의 조작 스위치(175)는, 택 스위치(tack switch)를 이용한다.
택 스위치는, 누름 방식의 단일 버튼을 구비한 형태의 스위치로서, 사용자에 의한 클릭 순서에 따라 설정된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회로 유닛(173) 및 디스플레이 유닛(171)을 통해, 3가지의 기능을 구현한다. 그 기능 중 첫째는, 총 전류량을 표시하는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이며, 둘째는, 전압을 표시하는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이며, 셋째는 절전 모드(즉, sleeping mode)로 전환되는 기능이다.
이러한 기능들은 조작 스위치(175), 즉 택 스위치의 클릭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 스위치(175)의 클릭 순서에 따라 각각의 모드가 구현될 때, 이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지시키기 위하여, 해당 모드에 대응하여 발광하는 복수의 LED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LED유닛(181, 183, 185)은 디스플레이 유닛(171)의 일측에 구비된다. 특히, 도시된 세 가지 LED유닛 중 첫 번째(181)는 총 전류량 표시 상태를 알려주는 것이며, 두 번째(183)는 전압 표시 상태를 알려주는 것이며, 세 번째(185)는 절전 모드 온/오프 상태를 알려주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형태는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라 조금씩 변경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이들 복수의 LED유닛(181, 183, 185)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현될 경우, 사용자는 더욱 손쉽게 전원 분배반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전원 분배반이 절전 모드 상태일 경우에는, 절전 모드 온/오프 상태를 알려주는 LED유닛(185)을 제외한 나머지 LED유닛(181, 183) 및 디스플레이 유닛(171)은 소등되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억제한다.
한편, 도 3의 전면 패널(112)을 살펴보면, 양측 단부 쪽으로 제1조립공(113a)이 구비된 연장 부(113)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인 전원 분배반의 후면 패널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후면 패널(114) 일측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단자(120)가 구비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의 타측에는 4개로 분배된 출력단자(130)가 구비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이러한 후면 패널(114)의 양측 단부 쪽으로는 제2조립공(114a)이 구비된 연장 부(114)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총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의 전면 패널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총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의 후면 패널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5 및 도 6을 병행 참조하면, 전술된 LTE용 전원 분배반과 조금 상이한 배치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앞서 간략히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 목적에 따라 전원 분배반의 세부 형태에서 차이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 배치 형상에 관한 차이점만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면 패널(112) 상에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70)가 일측에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분배기 및 차단기(160)의 구조가 상하로 배치되는데, 이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에 비해 많은 수의 전원 분배를 하는데 적합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즉, 제 1 실시예의 경우, 4개의 전원 분배를 위한 4개의 분배 포트와 4개의 차단기(160)가 구비되었지만, 이와 달리 제 2 실시예의 경우, 10개의 전원 분배를 위한 10개의 분배 포트와 10개의 차단기(160)가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하로 각각의 차단기(160)를 배치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후면 패널(114)에 구비된 입력단자(120)의 모습과, 출력단자(130)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10개로 분배된 전원을 출력하기 위하여, 그에 적합한 구조로 출력단자(130)를 배치한다.
특히, 이때에는, 상측에 배치된 출력단자(130a)와, 하측에 배치된 출력단자(130b) 사이의 쇼트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각 단자 간에 단차(133)를 둘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1, 2실시예에 따른 총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DC 24V의 전원을 입력받는다(ST10). 이는 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가능해진다. 그리고 DC 12V의 전원으로 조정되는 동시에, 일부는 DC 5V의 전원으로 조정된다. 여기서, DC 12V의 전원은 분배된 후 출력되어 외부의 전원장비에 공급되는 전원이 되며, DC 5V의 전원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이 된다.
다만, DC 12V의 전원은 전류센서를 통해 총 전류량이 계측된다(ST120).
그리고 난 다음, 계측된 총 전류량은 회로 유닛의 CPU로 전기적 신호로 전달된 후, 디스플레이 유닛(즉, 도 8의 INDICATOR)을 통해 외부로 출력 구현된다.
이와 동시에, 전원 분배 과정 중 측정된 전압 역시, 회로 유닛의 CPU로 전기적 신호로 전달된 후, 디스플레이 유닛(즉, 도 8의 INDICATOR)을 통해 외부로 출력 구현된다.
아울러,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체 구동은 조작 스위치의 조작(즉, 도 8의 KEY INPUT) 지령이 회로 유닛의 CPU로 인가되어 제어된다(ST30).
이러한 신호 흐름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시각적인 정보의 형태로, 전원 분배 과정 중의 총 전류량, 전압을 출력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손쉽게 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직류 전원을 분배하여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수행하는 도중에, 필요에 따라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총 전류량(또는 전압)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원 분배 상황을 감독하는 작업자의 수고를 덜어줄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상기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절전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주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것이다.
100: 전원 분배반
110: 케이스
112: 전면 패널 114: 후면 패널
120: 입력단자 130: 출력단자
140: 전류센서
150: 분배기
160: 차단기
17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1: 디스플레이 유닛 173: 회로 유닛
175: 조작 스위치
181, 183, 185: LED유닛

Claims (5)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입력된 전원을 복수로 분배하여 출력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분배된 전원마다의 출력을 단속하는 차단기 그리고 상기 입력된 전원의 총 전류량을 계측하는 전류센서 및 상기 전류센서에서 계측된 총 전류량과 전압을 시각적인 정보로 구현해주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전류센서로부터 계측된 총 전류량에 관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아 시각적인 정보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동하는 회로 유닛 및 조작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조작스위치가 클릭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회로 유닛이 총 전류량을 표시하는 모드와 전압을 표시하는 모드 및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구현하고,
    상기 조작스위치에 의해 전환되는 각각의 모드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복수의 LED유닛이 구비하되,
    상기 절전 모드 상태에서는 절전 모드 온/오프 상태를 알려주는 LED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LED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이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10006848U 2011-07-27 2011-07-27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 KR200466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848U KR200466979Y1 (ko) 2011-07-27 2011-07-27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848U KR200466979Y1 (ko) 2011-07-27 2011-07-27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59U KR20130000859U (ko) 2013-02-06
KR200466979Y1 true KR200466979Y1 (ko) 2013-05-22

Family

ID=52424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848U KR200466979Y1 (ko) 2011-07-27 2011-07-27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97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748B1 (ko) * 2015-07-14 2019-06-21 이창우 엘이디 조명등 제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531B1 (ko) * 2005-06-16 2007-05-31 주식회사 이화일렉콤 직류 전원 분배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531B1 (ko) * 2005-06-16 2007-05-31 주식회사 이화일렉콤 직류 전원 분배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59U (ko)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86437A1 (en) Electric power information display receptacle module
US20110261507A1 (en) Electrical Distribution Panel
CN108351628A (zh) 电流分配器
KR200466979Y1 (ko)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
KR200457635Y1 (ko) 디지털 보호계전기
CN101859123B (zh) 监视和控制装置
CN203659676U (zh) 模块化的双电源自动转换开关
KR102116540B1 (ko) 분리형 스위치
CN104125317A (zh) 电子装置
CN103369988B (zh) 具有用于调节至少一个可移动元件的操作系统的家具产品
KR100711272B1 (ko)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송배전 선로장치
CN200990080Y (zh) 电源指示灯控制电路
CN204927838U (zh) 一种转换开关
KR200395538Y1 (ko) 직류 전원 분배반
CN212303979U (zh) 一种分体式执行器
CN201562762U (zh) 教室讲桌接线端子板
CN219164965U (zh) 一种多路led光照输出控制柜
CN104065311A (zh) 电动机驱动装置
CN108847364B (zh) 一种带usb接口的触控船型开关,设定方法,及电路控制器件
CN203631428U (zh) 一种继电器集成端子装置及具有其的控制柜
JP3073425U (ja) 箱型複数口電源コンセント
CN212412284U (zh) 一种组合式智能短路灭弧器
JP3171342U (ja) 車載用シガーライターソケット増設装置
CN208657163U (zh) 一种用于连接显示屏的电路板及显示屏
JP5980557B2 (ja) 電力計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