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635Y1 - 디지털 보호계전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보호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635Y1
KR200457635Y1 KR2020100000833U KR20100000833U KR200457635Y1 KR 200457635 Y1 KR200457635 Y1 KR 200457635Y1 KR 2020100000833 U KR2020100000833 U KR 2020100000833U KR 20100000833 U KR20100000833 U KR 20100000833U KR 200457635 Y1 KR200457635 Y1 KR 200457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unction
backplane
main function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8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607U (ko
Inventor
안홍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08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63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6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6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6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38Back panels or connecting means therefor; Terminals; Coding means to avoid wrong insertion
    • H05K7/1439Back panel mother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6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for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PLC] for automation or industrial process control
    • H05K7/1468Mechanical features of input/output (I/O) modules
    • H05K7/1472Bus coupling modules, e.g. bus distribution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기능모듈에 구비되어 있는 주기능 중앙처리장치가 자동으로 하위 기능모듈들의 기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하위 기능모듈들의 교환 및 확장이 용이하게 한 디지털 보호계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데이터 버스, 어드레스 버스 및 컨트롤 버스를 제공하는 백플레인 모듈과, 백플레인 모듈에 장착되고, 전력계통 보호의 주기능을 수행하는 주기능모듈과, 백플레인 모듈에 장착되고, 주기능모듈의 관리에 따라 하위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과, 백플레인 모듈에 장착되고, 백플레인 모듈, 주기능모듈 및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은 포함하고, 주기능모듈 및 전원모듈은 백플레인 모듈의 좌우 양측 끝단에 장착되고, 주기능모듈 및 전원모듈의 사이의 백플레인 모듈에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들이 장착된다.

Description

디지털 보호계전기{Digital protective relay}
본 고안은 전력계통의 보호, 제어 및 감시 기능을 제공하는 디지털 보호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기능모듈에 구비되어 있는 주기능 중앙처리장치가 자동으로 하위 기능모듈들의 기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하위 기능모듈들의 교환 및 확장이 용이하게 한 디지털 보호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보호계전기는 전력계통의 사고를 판단하여 차단기를 동작시킴으로써 사고의 전파 방지를 최우선의 목적으로 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디지털 보호계전기는 전력계통의 상태를 감시하고, 통신으로 원거리 감시반에, 감시한 전력계통 상태의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감시반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일 예는 하나의 백플레인 모듈에 복수 개의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커넥터에는 복수 개의 기능모듈들이 장착된다. 상기 백플레인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기능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기능모듈들은 통상적으로 상기 백플레인 모듈에 설치되는 위치가 고정적이고, 복수 개의 기능모듈들 상호간에 위치를 교환하여 장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상기 복수 개의 기능모듈들에는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기능들이 적절하게 분할되어 배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 개의 기능모듈들은 주기능모듈과, 연산모듈과, 입출력 모듈 등으로 제작되며, 상기 주기능모듈에는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동작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주기능모듈에 구비되어 있는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백플레인 모듈을 통해 상기 연산모듈 및 상기 입출력 모듈 등의 동작을 관리하고, 운영한다.
이러한 디지털 보호계전기는 주기능모듈, 연산모듈 및 입출력 모듈 등은 개발 설계를 할 경우에 그 기능이 미리 정해져 개발된다. 그러므로 복수 개의 기능모듈들의 장착 위치를 교환하거나 또는 확장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또한 복수 개의 기능모듈들 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도 직렬 또는 병렬로 상이하다.
그리고 일반적인 디지털 보호 계전기의 다른 예는 하나 또는 2개 이상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고, 하나 또는 2개 이상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에 디지털 보호계전기를 구성하는 회로 모듈들이 장착된다.
2개의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할 경우에 통상적으로 무겁거나 또는 비중이 나가는 부품들은 하부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고, 가볍고 작은 부품들은 상부의 인쇄회로기판에 장착하여 무게의 비중을 조절한다.
그리고 2개의 인쇄회로기판은 케이블 또는 커넥터 등을 사용하여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는 디지털 보호계전기도 개발 설계를 할 경우에 인쇄회로기판에 장착할 부품들이 미리 정해지게 되므로 제품을 개발한 후 기능의 확장이 어렵고, 제품의 규모도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디지털 보호계전기들의 데이터 통신을 별도의 백플레인 컨트롤러가 담당하지 않고, 주기능모듈에 구비되어 있는 중앙처리장치가 데이터 통신을 담당하며, 하위 기능모듈의 경우에도 별도의 백플레인 컨트롤러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주기능모듈에 구비되어 있는 중앙처리장치가 하위 모듈의 데이터 통신도 제어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하위 기능모듈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또는 일부 기능을 개선하고자 할 경우에 주기능을 수행하는 주기능모듈의 중앙처리장치의 프로그램을 많이 변경해야 되거나 또는 중앙처리장치의 능력상 프로그램의 변경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기존에 개발되었던 하드웨어의 많은 부분들을 개선 또는 변경해야 되므로 기존 제품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개발비용이 과다하게 소모되었다.
또한 전체 인쇄회로기판 또는 관련된 기능모듈들을 완전히 새로 개발해야 되었으며, 이는 해당 제품의 기능 추가와 관련하여 많은 관련 비용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정상 동작하던 기능부에 대한 회로의 인쇄회로기판도 변경되어 시험 및 유지 보수에 대한 비용도 발생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기능모듈에 대한 확장성 부족으로 인한 기능향상 및 유지보수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디지털 보호계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확장성을 염두에 둔 백플레인 및 하드웨어 플랫폼으로 기능모듈들 간의 설치 유연성을 부여하여 기능모듈의 사용자 설치 유연성을 확보하고, 기능의 향상하며, 유지 보수에 발생하는 비용 및 기간을 최소로 할 수 있는 디지털 보호계전기를 제공한다.
또한 최소한의 비용으로 유지보수 및 확장이 가능하게 한으로써 기업 활동이나 사용자의 기능 편의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 보호계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디지털 보호계전기는 데이터 버스, 어드레스 버스 및 컨트롤 버스를 제공하는 백플레인 모듈과, 상기 백플레인 모듈에 장착되고, 전력계통 보호의 주기능을 수행하는 주기능모듈과, 상기 백플레인 모듈에 장착되고, 상기 주기능모듈의 관리에 따라 하위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과, 상기 백플레인 모듈에 장착되고, 상기 백플레인 모듈, 상기 주기능모듈 및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은 포함하고, 상기 주기능모듈 및 상기 전원모듈은 상기 백플레인 모듈의 좌우 양측 끝단에 장착되고, 상기 주기능모듈 및 상기 전원모듈의 사이의 상기 백플레인 모듈에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들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기능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의 관리를 제어하는 주기능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주기능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백플레인 모듈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백플레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기능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전원모듈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는 초기에 상기 백플레인 컨트롤러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들의 기능을 판별하고, 판별한 기능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들 중에서 연산모듈 또는 제어용 DO(Data Only) 모듈로 사용하는 배리어(barrier) 타입의 터미널 블록을 구비한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들은 상기 주기능모듈 및 상기 전원모듈의 인접 위치에 장착하고, 변형, 기능추가 및 기능확장이 요구되는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들은 상기 배리어 타입의 터미널 블록을 구비한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들의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들은 상기 주기능 중앙처리장치의 관리에 따라 소정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모듈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모듈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백플레인 모듈을 통해 상기 주기능모듈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보조 백플레인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보호계전기에 따르면, 백플레인 모듈에 주기능모듈 및 전원모듈을 고정된 위치에 장착하여 두고, 주기능모듈에 구비되어 있는 중앙처리장치가 하위 기능모듈들의 기능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교환 및 기능확장을 할 경우에 하위 기능모듈을 추가적으로 개발 및 백플레인 모듈에 장착하면 되므로 하드웨어의 변경 및 수정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개발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보호계전기는 많은 수의 입출력 기능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일부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외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내부 구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내부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회로도, 및
도 6은 본 고안의 디지털 보호계전기에서 주기능모듈에 구비된 중앙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동작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고안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외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부호 100은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본체이다. 상기 본체(100)의 전면 상단에는 데이터 표시부(110)가 구비되고, 데이터 표시부(110)의 하부에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복수 개의 기능 키(120)들이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내부 구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부호 200은 백플레인 모듈이고, 부호 210은 상기 백플레인 모듈(200)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기능모듈이다.
상기 백플레인 모듈(200)은 상기 복수 개의 기능모듈(21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기능모듈(210)들은 통상적으로 상기 백플레인 모듈(200)에 설치되는 위치가 고정적이고, 복수 개의 기능모듈(210)들 상호간에 교환하여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상기 복수 개의 기능모듈(210)들에는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기능들이 적절하게 분할되어 배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 개의 기능모듈(210)들은 주기능모듈(210-1)과, 연산모듈(210-2)과, 입출력 모듈(210-3, 210-4) 등으로 제작되며, 상기 주기능모듈(210-1)에는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동작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주기능모듈(210-1)의 중앙처리장치는 백플레인 모듈(200)을 통해 상기 연산모듈(210-2) 및 상기 입출력 모듈(210-3, 210-4) 등의 동작을 관리하고, 운영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일 예는 주기능모듈(210-1), 연산모듈(210-2) 및 입출력 모듈(210-3, 210-4) 등은 개발 설계를 할 경우에 그 기능이 미리 정해져 개발된다.
그러므로 복수 개의 기능모듈(210)들의 장착 위치를 교환하거나 또는 확장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또한 복수 개의 기능모듈(210)들 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도 직렬 또는 병렬로 상이하다.
도 3은 일반적인 디지털 보호 계전기의 내부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부호 300은 인쇄회로기판이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0)은 하나 또는 2개 이상 복수 개를 사용하고, 디지털 보호계전기를 구성하는 회로 모듈들이 장착된다.
2개의 인쇄회로기판(300; 300-1, 300-2)을 사용할 경우에 통상적으로 무겁거나 또는 비중이 나가는 부품들은 하부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300-1)에 장착되고, 가볍고 작은 부품들은 상부의 인쇄회로기판(300-2)에 장착하여 무게의 비중을 조절한다. 그리고 2개의 인쇄회로기판(300; 300-1, 300-2)은 케이블 또는 커넥터(310) 등을 사용하여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보호계전기도 개발 설계를 할 경우에 인쇄회로기판(300)에 장착할 부품들이 미리 정해지게 되므로 제품을 개발한 후 기능의 확장이 어렵고, 제품의 규모도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디지털 보호계전기는 데이터 통신을 별도의 백플레인 컨트롤러가 담당하지 않고, 주기능모듈에 구비되어 있는 중앙처리장치가 데이터 통신을 담당하며, 하위 기능모듈의 경우에도 별도의 백플레인 컨트롤러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주기능모듈에 구비되어 있는 중앙처리장치가 하위 모듈의 데이터 통신도 제어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하위 기능모듈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또는 일부 기능을 개선하고자 할 경우에 주기능을 수행하는 주기능모듈의 중앙처리장치의 프로그램을 많이 변경해야 되거나 또는 중앙처리장치의 능력상 프로그램의 변경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기존에 개발되었던 하드웨어의 많은 부분들을 개선 또는 변경해야 되므로 기존 제품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개발비용이 과다하게 소모되었다.
또한 전체 인쇄회로기판 또는 관련된 기능모듈들을 완전히 새로 개발해야 되었으며, 이는 해당 제품의 기능 추가와 관련하여 많은 관련 비용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정상 동작하던 기능부에 대한 회로의 인쇄회로기판도 변경되어 시험 및 유지 보수에 대한 비용도 발생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보호계전기는 백플레인 모듈(400)과, 주기능모듈(410)과, 전원 모듈(420)과 확장이 가능한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430)을 포함한다.
상기 백플레인 모듈(400)에는 복수 개의 커넥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가 구비되어 상기 주기능모듈(410), 상기 전원 모듈(420) 및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430)이 장착되고, 상기 전원 모듈(420)은 상기 백플레인 모듈(400)을 통해 상기 주기능모듈(410) 및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430)에 동작전력을 공급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전원 모듈(420)은 디지털 전원, 아날로그 전원 및 통신용 전원 등을 상기 백플레인 모듈(400)을 통해 상기 주기능모듈(410) 및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430)에 공급한다.
또한 상기 백플레인 모듈(400)에는 어드레스 버스 및 데이터 버스와, 리드 신호, 라이트 신호 및 체크섬 신호 등을 비롯한 각종 컨트롤 신호를 전달하는 컨트롤 버스가 구비되어 상기 주기능모듈(410) 및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430)들이 상기 백플레인 모듈(400)을 통해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백플레인 모듈(400), 상기 주기능모듈(410) 및 상기 전원 모듈(420)은 동작 기능이 고정적인 것으로서 특정 위치에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백플레인 모듈(400)의 좌우 양측의 고정된 위치에 상기 주기능모듈(410) 및 상기 전원 모듈(420)을 장착한다.
상기 주기능모듈(410)에는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430)들을 관리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412)와,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430)들과 상기 백플레인 모듈(400)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백플레인 컨트롤러(414)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430)들은 예를 들면, 연산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 및 소정의 데이터를 외부와 입출력하는 입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주기능모듈(410) 및 상기 전원 모듈(420) 사이의 상기 백플레인 모듈(400)에 장착된다.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430)들은 상기 중앙처리장치(412)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모듈 중앙처리장치(432)와, 상기 백플레인 모듈(400)을 통해 상기 백플레인 컨트롤러(414)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보조 백플레인 컨트롤러(43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430)들 중에서 연산모듈 또는 제어용 DO(Data Only) 모듈로 사용하는 배리어(barrier) 타입의 터미널 블록을 구비한 하위 기능모듈(430-1)들은 단자대의 암수 블록의 접속력이 강하여 제품을 인출할 경우에 원활한 슬라이딩에 방해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배리어(barrier) 타입의 터미널 블록을 구비한 하위 기능모듈(430-1)들은 상기 주기능모듈(410) 및 상기 전원 모듈(420)들 사이의 내측에 균형을 맞추어 장착한다. 예를 들면, 상기 주기능모듈(410) 및 상기 전원 모듈(420)의 인접 위치에 하위 기능모듈(430-1)들은 장착한다.
상기 복수 개의 하위 모듈(430-1)들 사이에는, 변형, 기능추가 및 기능확장이 요구되는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430-2)들을 장착한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430-2)들을 압착력이 없는 핀(pin) 타입의 단자대를 구비하고 있고, 디지털 입출력 포트 및 아날로그 입출력 포트들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서 수량 확장용으로 사용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하위 모듈(430-1)들 사이에 위치하는 백플레인 모듈(40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보다 많고,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430-2)들을 장착할 수 있도록 확장공간의 여유를 둘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디지털 보호계전기는 전원모듈(420)이 백플레인 모듈(400)을 통해 주기능모듈(410) 및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430)들에 동작전원이 공급할 경우에 주기능모듈(410)에 구비되어 있는 주기능 중앙처리장치(412)는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430)들과 통신을 수행하여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430)들 각각의 기능을 인식한다.
예를 들면, 상기 주기능 중앙처리장치(41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전원이 공급되는 초기에 백플레인 모듈(400)에 장착된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430)들의 ID를 읽고, 저장한다(S600).
그리고 상기 주기능 중앙처리장치(412)는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기본 기능을 수행하게 제어하고(S602),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430)들과 통신을 수행해야 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04).
상기 판단 결과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430)들과 통신을 수행해야 될 경우에 상기 주기능 중앙처리장치(412)는 저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430)들의 ID를 읽고(S606), 상기 읽은 ID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430)들과 통신을 수행한다(S610). 예를 들면, 상기 주기능 중앙처리장치(412)는 백플레인 컨트롤러(414)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430)들이 상기 백플레인 모듈(400)에 장착되어 있는 순서대로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430)들의 보조 백플레인 컨트롤러(434)를 통해 보조 중앙처리장치(432)와 순차적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 수행결과 하위 기능모듈(430)이 완전 연산형 모듈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612), 완전 연산형 모듈일 경우에 완전 연산형 모듈에 따른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S614).
또한 상기 통신 수행결과 하위 기능모듈(430)이 보조 연산형 모듈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616), 완전 연산형 모듈일 경우에 완전 연산형 모듈에 따른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S618).
또한 상기 통신 수행결과 하위 기능모듈(430)이 입출력 모듈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620), 입출력 모듈일 경우에 입출력 모듈에 따른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S622).
또한 상기 통신 수행결과 하위 기능모듈(430)이 부가기능모듈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624), 부가기능모듈일 경우에 부가기능모듈에 따른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S626).
이와 같이 하여 하위 기능모듈(430)들의 기능에 따른 데이터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주기능 중앙처리장치(412)는 상기 단계(S608)로 복귀하여 백플레인 모듈(400)에 장착되어 있는 모든 하위 기능모듈(430)들과 통신을 수행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통신을 수행하지 않았을 경우에 순차적으로 하나의 하위 기능모듈(430)을 선택하여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하위 기능모듈(430)의 기능에 따른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백플레인 모듈(400)에 장착되어 있는 모든 하위 기능모듈(430)들과 통신을 수행하였을 경우에 상기 주기능 중앙처리장치(412)는 상기 단계(S602)로 복귀하여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기본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400 : 백플레인 모듈 410 : 주기능모듈
412 : 주기능 중앙처리장치 414 : 백플레인 컨트롤러
420 : 전원 모듈 430 : 하위 기능모듈
432 : 모듈 중앙처리장치 434 : 보조 백플레인 컨트롤러

Claims (5)

  1. 삭제
  2. 데이터 버스, 어드레스 버스 및 컨트롤 버스를 제공하는 백플레인 모듈;
    상기 백플레인 모듈에 장착되고, 전력계통 보호의 주기능을 수행하는 주기능모듈;
    상기 백플레인 모듈에 장착되고, 상기 주기능모듈의 관리에 따라 하위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 및
    상기 백플레인 모듈에 장착되고, 상기 백플레인 모듈, 상기 주기능모듈 및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은 포함하고,
    상기 주기능모듈 및 상기 전원모듈은 상기 백플레인 모듈의 좌우 양측 끝단에 장착되고, 상기 주기능모듈 및 상기 전원모듈의 사이의 상기 백플레인 모듈에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들이 장착되며,
    상기 주기능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의 관리를 제어하는 주기능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주기능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백플레인 모듈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백플레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호계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능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전원모듈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는 초기에 상기 백플레인 컨트롤러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들의 기능을 판별하고, 판별한 기능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호계전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들 중에서 연산모듈 또는 제어용 DO(Data Only) 모듈로 사용하는 배리어(barrier) 타입의 터미널 블록을 구비한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들은 상기 주기능모듈 및 상기 전원모듈의 인접 위치에 장착하고, 변형, 기능추가 및 기능확장이 요구되는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들은 상기 배리어 타입의 터미널 블록을 구비한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들의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호계전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하위 기능모듈들은;
    상기 주기능 중앙처리장치의 관리에 따라 소정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모듈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모듈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백플레인 모듈을 통해 상기 주기능모듈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보조 백플레인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호계전기.
KR2020100000833U 2010-01-25 2010-01-25 디지털 보호계전기 KR2004576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833U KR200457635Y1 (ko) 2010-01-25 2010-01-25 디지털 보호계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833U KR200457635Y1 (ko) 2010-01-25 2010-01-25 디지털 보호계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607U KR20110007607U (ko) 2011-08-02
KR200457635Y1 true KR200457635Y1 (ko) 2011-12-28

Family

ID=45569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833U KR200457635Y1 (ko) 2010-01-25 2010-01-25 디지털 보호계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63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578B1 (ko) * 2012-06-14 2017-01-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과전류 보호 계전기
CN103293412A (zh) * 2013-05-17 2013-09-11 国电南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兼容型组件扩展式电力设备测试仪
KR20150141053A (ko) * 2014-06-09 2015-12-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보호계전시스템 및 이의 데이터 수집방법
KR102572937B1 (ko) 2018-04-12 2023-08-31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 보호계전기 사고 파형 데이터 운영유닛
KR102535131B1 (ko) * 2018-05-28 2023-05-22 엘에스일렉트릭(주) 디지털 보호 계전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824B1 (ko) * 2006-09-27 2007-10-17 에이스콘트롤(주) 철도 전기설비를 제어하는 다기능 통신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824B1 (ko) * 2006-09-27 2007-10-17 에이스콘트롤(주) 철도 전기설비를 제어하는 다기능 통신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607U (ko) 201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635Y1 (ko) 디지털 보호계전기
CN101800039B (zh) 监测及控制设备
RU2502662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модернизации лифтовой установки
KR101255686B1 (ko) 랙 장착형 컴퓨터
JP2007128498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CN101322209A (zh) 监测连接在开关设备上游的保护装置的方法
JP5046692B2 (ja) 分電盤
JP5175775B2 (ja) 保護監視制御盤の制御ユニット及びその交換構造
US20090002139A1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providing power over ethernet in an upgradeable patch panel and related methods
US20180275733A1 (en) Power supply system
KR20140032168A (ko) 실시간 제어가 가능한 전원 분배반
CN105227872B (zh) 一种电视控制方法及分离式电视
KR101831799B1 (ko) 모듈화된 기능 블록 기반의 교통신호제어기
CN101009500B (zh) 一种通信系统的业务接口板主备用装置
KR200395538Y1 (ko) 직류 전원 분배반
JP2023502297A (ja) 配電盤
KR100722531B1 (ko) 직류 전원 분배반
KR200466979Y1 (ko) 전류량 표시 기능을 갖는 전원 분배반
KR20120030641A (ko) 플랜트 다중화 제어 시스템
KR101535414B1 (ko) 컴퓨터 본체
JP2014053336A (ja) 保護監視制御盤の制御ユニット
EP3248255B1 (en) Interface module for powering wireless user interface through light switch
CN114879548B (zh) 一种智能远程io站值机面板设备
KR102625270B1 (ko) 전력분배장치
JP6372796B2 (ja) 住宅情報盤、住宅情報盤用電源装置、集合用インターホン装置及び集合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