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686B1 - 랙 장착형 컴퓨터 - Google Patents

랙 장착형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686B1
KR101255686B1 KR1020090067135A KR20090067135A KR101255686B1 KR 101255686 B1 KR101255686 B1 KR 101255686B1 KR 1020090067135 A KR1020090067135 A KR 1020090067135A KR 20090067135 A KR20090067135 A KR 20090067135A KR 101255686 B1 KR101255686 B1 KR 101255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power
input
computer
pd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769A (ko
Inventor
권원옥
김성운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67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686B1/ko
Priority to US12/632,711 priority patent/US20110019352A1/en
Priority to CN2009102662161A priority patent/CN101963824A/zh
Publication of KR20110009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4Mounting of mother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5Mounting of expansion 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9Power distrib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1Computing infrastructure, e.g. computer clusters, blade chassis or hardware part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랙 장착형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분산된 컴퓨터 환경의 컴퓨터들을 랙 장착형으로 중앙 집중화하여, 개별 AC 전원공급장치를 DC 전원 방식으로 전환하고, 전면 핫플러그 방식으로 저장장치의 손쉬운 탈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랙 장착형 컴퓨터를 통해 중앙집중화 함으로써, 공간 절약 및 기존의 ATX, Micro-ATX, 그래픽카드 폼펙터와 호환되는 랙 장착형 샤시 구조의 구현과, 저장장치 및 전원공급 장치의 탈장착이 용이하므로 컴퓨터 유지보수가 편리하며, DC 전원의 입력을 지원하여 전력 절감 및 발열을 크게 감소 시킬 수 있다.
컴퓨터, 랙(RACK), ATX, Micro-ATX, 전원분배보드(PDB)

Description

랙 장착형 컴퓨터{structure of rackmount computer}
본 발명은 중앙 집중형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컴퓨터들이 각기 독립된 컴퓨터 환경으로 운영됨에 따라 발생하는 비효율적 공간 활용,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보수에 따른 비즈니스의 불연속성 문제, 전체 컴퓨팅 환경의 비효율적 전력관리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분산된 컴퓨터 환경을 중앙 집중화하는데 적합한 랙 장착형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S-016-03, 과제명: 저비용 대규모 글로벌 인터넷 서비스 솔루션 개발].
요즘 들어 다수의 유사한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는 유틸리티 컴퓨팅 환경(예를 들어, 공공 서비스 시설, 콜 센터, PC 방, 학교 및 학원 컴퓨터실, CBT 시험기관 등)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상태이며, 이러한 유틸리티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컴퓨터들은 각기 독립된 컴퓨터 환경으로 운영되고 있다.
즉, 각 컴퓨터는 대게 한 명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며, 중앙처리장 치(CPU), 메모리, 저장장치(HDD), 그래픽 카드,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본체에,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주변기기가 연결된 상태로 사용되고 있으며, 각각의 컴퓨터들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통합 관리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네트워크로 연결된 분산 컴퓨터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등이 포함된 각각의 컴퓨팅 장치(104 내지 112)는 본체 내에 장착된 개별 전원공급기(Power Supply Unit, 이하 PSU라 한다)를 통해 AC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며, 서버(102)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버(102)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거나, 연결된 다른 컴퓨팅 장치들과의 데이터 공유 및 송수신을 수행한다.
이때, 관리자 컴퓨팅 장치(100)는 서버(102)와 연결된 각각의 컴퓨팅 장치(104 내지 112)들을 모니터링 및 감시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제어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및 에러 복구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분산된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는, 각각의 컴퓨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어, 네트워킹을 통해 모니터링 및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는 있으나, 본체 자체에 대한 하드웨어 결함인 경우, 관리자가 직접 결함이 발생한 컴퓨터들이 위치한 공간으로 이동하여 유지보수를 수행하여 야 하며, 또한 각각의 컴퓨터가 개인별로 분산되어 있으므로 비효율적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각 컴퓨터마다 설치되어 있는 교류(AC) 전원공급장치로 인해 전력 손실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분산된 컴퓨터 환경의 컴퓨터들을 랙 장착형으로 중앙 집중화하고 개별 AC 전원공급장치를 사용하던 방식에서 DC 전원을 사용 가능한 형태로 접속할 수 있는 랙 장착형 컴퓨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산된 컴퓨터 환경의 컴퓨터들을 랙 장착형으로 중앙 집중화하여, 개별 AC 전원공급장치를 DC 전원 방식으로 전환하고, 전면 핫플러그(hotplug) 방식으로 저장장치의 손쉬운 탈장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랙 장착형 컴퓨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분산된 컴퓨터들을 랙 장착형으로 중앙 집중화하여, 개별 AC 전원공급장치를 DC 전원 방식으로 전환하고 전력공급기의 에러 시 전원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하며, 전면 핫플러그 방식으로 저장장치의 손쉬운 탈장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랙 장착형 컴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 장착형 컴퓨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 장착형 컴퓨터는, 복수의 터미널과 연결되는 랙(RACK) 시스템에서 높이가 2U인 랙 내에 장착되는 컴퓨터로서, 인가된 직류 전원을 그대로 또는 감압/승압하여 각 전력 부하에 ATX 전력 규격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두 개의 전원분배보드(PDB) 와, 상기 PDB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는 백플랜과, 상기 백플랜과 전면 핫플러그 방식으로 접속되는 두 개의 저장장치와, 상기 랙에 세로 방향으로 연속 배치되고, 상기 PDB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컴퓨팅을 수행하는 두 개의 메인보드와, 상기 두 개의 메인보드와 각각 접속되어 특정 입출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두 개의 입출력 카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PDB는, 상기 직류 전원을 입력 받아 제1 전원을 생성하는 제1 가변 정전압 발생기(Step down converter)와, 상기 직류 전원의 입력을 부하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 단과, 상기 스위치 단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입력 받아 제2 전원을 생성하는 제2 가변 정전압 발생기와, 상기 스위치 단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입력 받아 제3 전원을 생성하는 제3 가변 정전압 발생기와, 상기 제2 내지 제3 가변 정전압 발생기로부터 제2와, 제3전원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경우 전원신호(PW-OK)를 생성하며, 상기 스위치 단으로 입력되는 상기 직류 전원에 과전압 또는 저전압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 단의 제어를 통해 입력을 차단하는 전압 감시 회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보드는, ATX 보드 또는 Micro-ATX 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랙은, 가로 길이가 42~44cm이며, 세로 길이가 70~80c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랙 장착형 컴퓨터 구조는, 상기 메인보드로부터 입출력되는 신호를 통합한 통합 커넥터 단자가 상기 랙의 전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통합 커넥터는, KVM, 비디오,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이더넷 단자, USB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랙에 장착되는 입출력카드는, 라이저 카드에 장착된 상태로 메인보드의 슬롯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입출력 카드는, 그래픽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랙 시스템이 교류 전원을 인가 받는 경우, 상기 PDB 대신에 교류 전원공급기(PSU)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 장착형 컴퓨터는, 복수의 터미널과 연결되는 랙(RACK) 시스템 내에 장착되는 컴퓨터로서, 인가된 직류 전원을 그대로 또는 감압/승압하여 각 전력 부하에 공급하는 전원분배보드(PDB)와, 상기 PDB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는 백플랜(backplane)과 핫플러그(hot plug) 방식으로 접속되는 저장장치와, 상기 PDB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컴퓨팅을 수행하는 메인보드와, 상기 메인보드와 접속되어 특정 입출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입출력 카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PDB는, 상기 인가된 직류 전원을 ATX 전력 규격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가로 및 세로 길이가 각각 10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PDB는, 상기 직류 전원을 입력 받아 제1 전원을 생성하는 제1 가변 정전압 발생기(Step down converter)와, 상기 직류 전원의 입력을 부하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 단과, 상기 스위치 단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입력 받아 제2 전원을 생성하는 제2 가변 정전압 발생기와, 상기 스위치 단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입력 받아 제3 전원을 생성하는 제3 가변 정전압 발생기와, 상기 제2 내지 제 3 가변 정전압 발생기로부터 제2와, 제3전원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경우 전원신호(PW-OK)를 생성하며, 상기 스위치 단으로 입력되는 상기 직류 전원에 과전압 또는 저전압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 단의 제어를 통해 입력을 차단하는 전압 감시 회로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복수의 터미널은, 상기 메인보드로부터 입출력되는 신호를 통합한 통합 커넥터와 접속되어 컴퓨팅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통합 커넥터는, KVM, 비디오,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이더넷 단자, USB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랙은, 1U 높이에 19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랙에 장착되는 입출력카드는, 플렉서블 케이블 형태로 메인보드의 슬롯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입출력 카드는, 그래픽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랙 시스템이 교류 전원을 인가 받는 경우, 상기 PDB 대신에 교류 전원공급기(PSU)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랙이 3U 높이에 가로 길이가 최소 50cm이상이며, 세로 길이가 70~80cm인 경우, 2개의 메인보드를 세로로 배치한 상태에서, 1개의 메인 보드를 다른 메인보드 중 하나와 연속되도록 가로 배치하고, 각각의 메인보드 슬롯에 3개의 그래픽 카드를 직접 장착하고, 3개의 PDB와 저장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랙의 전면에 핫플러그 방식의 저장장치와, 각 메인보드의 전원 버튼, 상태 점멸등, USB 포드가 배치되고, 상기 랙의 후면에 상기 PDB의 전원 입력 포트와, 상기 각 메인보드의 입출력 신호를 각각 통합하여 입출력하는 통합 커넥터 포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랙이 3U 높이에 가로 길이가 최소 50cm이상이며, 세로 길이가 90~110cm인 경우, 4개의 메인보드를 2열씩 가로로 배치하고, 각각의 메인보드 슬롯에 4개의 그래픽 카드를 직접 장착하고, 4개의 PDB와 저장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랙의 전면에 핫플러그 방식의 상기 저장장치와, 각 메인보드의 전원 버튼, 상태 점멸등, USB 포드가 배치되고, 상기 랙의 후면에 상기 PDB의 전원 입력 포트와, 각 메인보드의 입출력 신호를 각각 통합하여 입출력하는 통합 커넥터 포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장착형 컴퓨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장착형 컴퓨터에 의하면, 기존 분산 시스템 환경의 컴퓨터들을 랙 장착형 컴퓨터 구조로 중앙집중화 함으로써, 각각의 컴퓨터가 분산 설치되어 차지하던 공간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1U 공간에 1대의 컴퓨터를 장착할 수 있는 슬림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ATX, Micro-ATX, 그래픽카드 폼펙터(form factor)와 호환되는 랙 장착형 샤시 구조를 구현하며, 저장장치 및 전원공급 장치의 탈장착이 용이하므로 컴퓨터 유지보수가 편리하며, DC 전원의 입력을 지원하여 전력 절감 및 발열을 크게 감소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장착형 컴퓨터는 각각의 분산된 컴퓨터들을 랙 장착형으로 중앙 집중화하여, 개별 AC 전원공급장치를 DC 전원 방식으로 전환하고 전력공급기의 에러 시 전원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하며, 전면 핫플러그 방식으로 저장장치의 손쉬운 탈장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랙 장착형 컴퓨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집중형 컴퓨팅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중앙 집중형 컴퓨팅 구조는 크게 랙 시스템(200), 복수의 터미널(220), 관리장치(230)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랙 시스템(200)은 DC 랙 전원공급기(DC Rack Power supply)(202), N x N KVM 스위치(204), 네트워크 스위치(206), 컴퓨터(208) 등을 포함한다. DC 랙 전원 공급기(202)는 교류 전원을 입력 받아 복수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복수의 DC 출력포트로 출력한다. DC 출력포트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은 DC 케이블을 통해 각각의 컴퓨터(208)로 제공된다.
N x N KVM 스위치(204)는 터미널 연결 스위치로서, 랙에 장착된 각각의 컴퓨터(208)로부터 KVM 신호를 공급받아 터미널(220)로 스위칭 해주는 장치이다. 즉, 터미널이 N개이고, 컴퓨터가 N개일 때, N x N KVM 스위치 (204)는 N개의 입력과 N개의 출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KVM은 Keyboard, Video, Mouse의 약자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비디오, 마우스 외에 스피커, 마이크, USB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208)는 전면 핫플러그 형태의 저장장치(210)(예컨대, 하드디스크(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를 내장하여 장애복구 및 이동을 손쉽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컴퓨터(208)는 DC 랙 전원 공급기(202)로부터 직류 전원을 제공받아 내부의 각 전력부하에 공급하는 전원분배보드(Power Distribute Board, 이하 PDB라 한다)(212)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랙 시스템(200)에 장착되는 컴퓨터(208)는 일반컴퓨터의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전원공급장치 등을 손쉽게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때, 컴퓨터(208)는 표준 19인치 랙(예컨대, 폭 19인치, 높이 2.2m, 깊이 0.9m) 혹은 개별표준 랙에 장착된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관리장치(230)는 원격에서 네트워크 스위치(206)를 통해 랙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랙 시스템(200)의 동작을 원격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고, N×N KVM 스위치 관리 소프트웨어를 통해 원격에서 N×N KVM 스위치(204)를 제어하여 복수의 터미널(220)과 컴퓨터(208)들 간의 연결상태 확인 및 변경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장치(230)는 DC Rack Power supply 관리 소프트웨어를 통해 DC 랙 전원 공급기(202)의 전력 이상 여부 모니터링 및 컴퓨터(208) 별 전원제어를 수행하며, 각 컴퓨터(208)에 ACPI(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 전원관리 에이전트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관리장치(230)에서는 ACPI 관리 소프트웨어를 통해, 컴퓨터(208)에 대한 ACPI 정책을 설정하고, 설정된 정책에 따라 복수의 터미널(220)에 대한 절전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랙 시스템(200) 및 관리 장치(230)를 통해 복수의 터미널(220)에 대한 원격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며, 이때, 복수의 터미널(220)에는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마이크, USB 포트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만을 설치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기의 구조 및 신호 타이밍도, 구현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도 1의 컴퓨터(208)에 장착되는 PDB(212)는 인가되는 DC 입력을 컴퓨터 메인보드에 사용 가능한 ATX 전력규격에 호환되는 전원으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PDB(212)로의 입력은 12V~수백V의 DC 전원이 공급되며, 출력은 +12V, +5V, +3.3V, -12V, +5Vsb 전원과, 파워서플라이 신호(PS-ON), 전원신호(PW-OK)이다. PDB(212)의 내부는 복수의 DC to DC 전환 블록(302 내지 310)과 PS-ON, PW-OK 생성부(312) 등을 포함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PW-OK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으로서, PDB(212)에 DC 전압이 입력되면 PS-ON은 0 → 1로 바뀌며, DC to DC 전환을 통해서 +3.3V, +5V의 전원이 95% 이상 정상적으로 출력 될 경우 PW-OK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의 타이밍은 ATX 전원규격에 따르도록 설계된다.
도 3c를 참조하면, 12V 입력 PDB(212)에 대한 블록도로서, DC 12V 입력을 제1 가변 정전압 발생기(Step down converter)(350)에서 입력 받아 +5Vsb 전원을 생성한다. 이는 대기전원으로 사용되며 최대 4A 전류를 허용한다. DC 스위치 단(DC switch part)(352)은 DC 12V 입력이 부하로 전달 혹은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제어는 전압감시회로(Vtg, supervisor)(354)가 감당하며 +5V와 +3.3V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PWOK 신호를 생성하며, 만약 OV(과전압) 혹은 UV(저전압)가 발생할 경우에는 DC 스위치단(352)을 통해 DC 12V 입력을 차단하게 된다.
DC 스위치단(352)의 하위에는 +12V, +5V, +3.3V, -12V 를 생성하는 블록이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12V의 인입 전원을 +12V로 그대로 사용하며, +3.3V, +5V 는 인입 전원을 제2 및 제3 가변 정전압 발생기(356, 358)를 사용하여 발생 시킨다. 또한, -12V 발생시키지 않으나 필요할 경우 -12V 발생회로를 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2V 입력일 경우이며, 12V 외에 다른 인입 전압일 경우에도 동일한 형태로 ATX 호환 전원 및 신호가 발생된다. 이러한 PDB(212)는 AC PSU와 달리 DC to DC 전환만을 담당하므로 보드 사이즈는 가로 세로 모두 10cm 이하로 상당히 작은 폼펙터로의 설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기에서는 첨부된 도 4a 내지 도 7을 통하여 각각의 랙에 장착 가능한 컴퓨터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인 상용 컴퓨터는 높이가 3U(138mm)이상의 공간을 차지하므로 1U(43mm) 형태의 랙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I/O 카드, 예컨대, 그래픽 카드, 사운드 카드 등과 같은 기타 주변기기 카드의 장착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해결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19인치 랙 마운트 형 서버의 가로 길이는 42~44cm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3cm 로 설정하도록 한다. 다만, 19인치 표준 랙이 아닐 경우는 그 값이 달라 질 수 있다. 세로 길이는 일반적으로 1m 이하로 제작해야 컴퓨팅 장치를 랙에 장착 할 수 있다. 이 역시 표준 랙이 아닐 경우는 그 값이 달라 질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컴퓨터에 장착되는 메인보드는 ATX(305 X 244 mm), Micro-ATX(244 X 244 mm), Micro-ATX Mini(171 X 171 mm), Mini ITX(170 X 170 mm)의 규격이 존재한다. ATX 규격은 PC 시장에 널리 사용되며 PCI, PCI Express 등 다수의 I/O 슬롯을 지원하고 있다. Micro-ATX 경우 ATX 가로 사이즈를 줄여서 I/O 슬롯 수가 적으나 대부분의 기능이 메인보드에 집적화 되는 경향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Micro-ATX Mini 및 Mini ITX 경우 I/O 슬롯이 PCI 만 지원하거나 PCI Express 지원하더라고 상용 그래픽카드를 지원할 수 없는 규격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랙 마운트 형태의 PC 메인보드로는 ATX도 가능하나, 호환성이 좋으며 폼펙터가 작은 Micro ATX가 적합하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장착형 1U 1 컴퓨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1U 높이의 랙(400) 장착형 컴퓨터 구조를 제작할 경우, 랙(400)의 가로 길이를 43cm, 세로 길이를 40~60cm로 정의한 상태로서, 정의된 길이는 본 실시예의 구현 방식에 따라 변동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1U랙(400)에 장착되는 전원공급 장치로는 PDB(402)가 배치되며 PDB(402)는 메인보드(404)와 HDD 백플랜(backplane)(406), 쿨러(412) 등에 ATX 전원을 공급한다. 메인보드(404)는 ATX, Micro ATX 또는 그 외 다른 형태의 메인 보 드가 위치 한다. CPU 쿨러(도시하지 않음)의 경우 1U 형태의 쿨러만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I/O 카드를 삽입할 경우 라이저(Raiser) 카드 형태를 사용해야만 한다. 그래픽카드(408)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CI Express 16x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 그래픽카드(408)와 호환되는 접속 방식의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만, 1U 높이에서 기구적인 문제로 인해 라이저 카드를 메인보드에 장착한 후, 그래픽카드(408)를 라이저 카드에 장착하는 형태의 장착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도 4a와 같이 PCI Express 16x 플렉서블 케이블(Flexible cable) 형태로 그래픽카드(408)에서 연결된 플렉서블 케이블이 메인보드(404)의 슬롯과 연결된다. 또한, 그래픽카드(408)를 장착할 수 있는 기구 지지대(410)를 설정할 수 있다. 쿨러(412)의 경우는, CPU와 그래픽카드(408)의 원활한 냉각을 위해서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나, 후면(43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DD(407)의 경우 전면 핫플러그 방식을 지원하여 장애 발생시 신속한 HDD(407)의 교체를 가능 하게한다.
그래픽카드(408)가 플렉서블 케이블 형태로 연결될 경우, 1U랙(400)의 후면(430)으로 그래픽 출력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해 연장 케이블을 사용한다. 연장 케이블은 DSUB형태의 아날로그 출력 혹은 DVI 같은 디지털 커넥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에 1U랙(400)의 전면(420)에는 전원버튼, 상태 점멸등(예컨대, LED), USB 포트 등의 통합 단자(422)가 위치할 수 있으며, HDD(407)는 전면 핫플러그를 지원한다. 후면(430)에는 DC 입력포트(432), 메인보드 커넥터류(434), 그래픽카드 연결포 트(436)가 위치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쿨러(412)가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4b와 같이 1U랙(400)에서 DC 입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PDB(402)를 AC PSU(450)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후면에는 AC 입력 단자(452)를 지원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장착형 2U 2 컴퓨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KVM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2U 높이의 랙(500)에 두 대의 컴퓨터를 장착하는 구조로 제작할 경우, 랙(500)의 가로 길이를 43cm, 세로 길이를 70~80cm로 정의한 상태로서, 정의된 길이는 본 실시예의 구현 방식에 따라 변동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2U랙(500)에는 2개의 메인보드(506, 508)를 세로 방향으로 연속 배치한다. 전원은 2개의 PDB(502, 504)가 각각 하나의 메인보드(506, 508)와 HDD(512)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2U 높이에는 상용화되고 있는 일반 CPU 쿨러가 장착 가능하며, I/O 카드와 같은 그래픽 카드(516)의 장착은 1U와 달리 2U 높이에서는 라이저 카드(514)를 통해 장착이 가능하다. 이에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I Express 라이저 카드(514)에 그래픽카드(516)를 장착 한 후, 라이저 카드(514)를 각 메인보드(506, 508)에 장착한다. 한편, 그래픽카드(516)의 지지를 위해서 지지대(518)가 설치될 수 있다. HDD(512)의 경우는 각 메인보드(506, 508)에 1개씩 연결하여 전면 핫플러그 방식을 지원한다. 냉각을 위한 쿨러(520)는 전면, 옆면, 후면 중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옆면이나 전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U랙(500)에 2개의 메인보드(506, 508)가 장착되면서 메인보드의 입출력커넥터(KVM, Keyboard, Video, Mouse, Speaker, Mic, USB, Ethernet)는 통합 커넥터 단자(546, 548)형태로 랙 후면(540)에 배치된다.
이에 랙 전면(530)은 2개의 HDD 핫플러그(532)가 지원되며, 각 컴퓨터 마다 전원 버튼 및 상태 LED 표시부(534)와, USB 포트(536)가 제공된다. 랙 후면(540)은 2개의 DC 입력 커넥터(542, 544)가 배치되며, 통합 KVM 커넥터(546), 이더넷 커넥터(548)가 2쌍이 제공된다. 특히, 이더넷 포트(546)는 도 2의 네트워크 스위치(206)와 연결되며, 통합 KVM 커넥터(550)는 N x N KVM 스위치(204) 혹은 다른 컴퓨팅 장치에 연결 될 수 있다.
여기서 통합 KVM 커넥터(550)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 비디오, 마우스, 스피커, 마이크, USB 포트, KVM 등을 통합한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더넷 네트워크는 연장 케이블(552)을 통하여 컴퓨터 내부에서 후면 커넥터(548)로 연장된다.
한편, 2U 랙(500)에서 DC 입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PDB(502, 504)를 AC PSU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엔 후면(540)에서 AC 입력 단자를 지원한다.
또한, 도 5a에서와 같이 2U 랙(500) 구조에서 그래픽카드에 라이저 카드의 장착을 원치 않을 경우에는 3U 높이에서 두 대의 컴퓨터를 설치할 수 있는 3U 랙 2PC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 3U 랙 2PC 구조는 2U 2PC와 레이아웃이 동일하며, 높이만 1U가 높아지는 것으로, 일반적인 그래픽카드의 높이가 3U 이내이기 때문에 라이저 카드(514)로 장착되던 그래픽카드(516)를 메인보드(506, 508)에 직접 꽂아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장착형 3U 3 컴퓨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3U 높이의 랙(600)에 세 대의 컴퓨터를 장착하는 구조로 제작할 경우, 3U 랙(600)의 세로 길이를 70~80cm, 가로 길이를 50cm로 정의한 상태로서, 정의된 길이는 본 발명의 구현 방식에 따라 변동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에 3U 랙(600)의 높이가 3U로 높기 때문에 그래픽 카드(618, 620, 622)를 라이저 카드 없이 메인보드(608, 610, 612)에 직접 꽂아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3개의 메인 보드(608, 610, 612)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가로 길이가 최소 ATX 최소 길이 x 2배의 길이가 요구된다. 즉 244mm x 2 = 492mm 가 요구된다. 즉, 가로의 최소 길이는 50cm 이상이 요구된다. 따라서 표준 19인치 랙에는 장착이 힘들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해 특수 제작된 랙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3U 랙(600)에는 2개의 메인보드(608, 610)를 세로로 배치한 상태에서, 남은 하나의 메인 보드(612)를 다른 2개의 메인보드(608, 610) 중 하나와 연속되도록 가로 배치한다.
전원은 3개의 PDB(602, 604, 606)가 각각 하나의 메인보드(608, 610, 612)와 HDD백플랜(614)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3U 높이에는 일반 CPU 쿨러가 장착 가능하며, I/O 카드와 같은 그래픽 카드(618, 620, 622)는 라이저 카드 없이도 각각의 메인보드(608, 610, 612)에 직접 장착이 가능하다.
HDD(616)의 경우는 각 메인보드(608, 610, 612)에 1개씩 연결되어 전면 핫플러그 방식을 지원한다. 냉각을 위한 쿨러(624)는 전면, 옆면, 후면, 내부 중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내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U 랙(600)의 전면(630)은 3개의 HDD 핫플러그(634)가 지원되며, 각 컴퓨터 마다 전원 버튼, 상태 LED, USB 포트가 제공(632)된다. 3U 랙(600)의 후면(640)은 3개의 DC 입력 포트(642)와, 3개의 통합 KVM 케이블 및 네트워크 포트로 연결을 수행하는 통합 KVM 커넥터(644)가 배치된다.
한편, 3U 랙(600)에서 DC 입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PDB(602, 604, 606)를 AC PSU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엔 후면(640)에서 AC 입력 단자를 지원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장착형 3U 4 컴퓨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3U 높이의 랙(700)에 4 대의 컴퓨터를 장착하는 구조로 제작할 경우, 3U 랙(600)의 가로 길이를 50cm, 세로 길이를 90cm~110cm로 정의한 상태로서, 본 발명의 구현 방식에 따라 정의된 길이는 변동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3U 랙(700)의 높이가 3U로 높기 때문에 그래픽 카드(722, 724, 726, 728)를 라이저 카드 없이 메인보드(710, 712, 714, 716)에 직접 꽂아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4개의 메인 보드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가로 길이가 최소 ATX 최소 길이 * 2배의 길이가 요구된다. 즉 244mm * 2 = 492mm 가 요구된다. 즉, 가로의 최소 길이는 50cm 이상이 요구되며, 세로의 최소 길이도 도 6과 달리 4개의 PC 보드가 배치 되어야 하기에 90cm 이상이 요구된다. 따라서 표준 19인치 랙에는 장착이 힘들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해 특수 제작된 랙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3U 랙(700)에는 4개의 메인보드(710, 712, 714, 716)를 2열 연속으로 가로로 배치한다. 전원은 4개의 PDB(702, 704, 706, 708)가 각각 하나의 메인보드(710, 712, 714, 716)와 HDD백플랜(718) 등에 전원을 공급하며, 각각의 메인보드(710, 712, 714, 716)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
3U 높이에는 일반 CPU 쿨러가 장착 가능하며, I/O 카드와 같은 그래픽 카드(722, 724, 726, 728)는 라이저 카드 없이도 각각의 메인보드(710, 712, 714, 716)에 직접 장착이 가능하다.
HDD(720)의 경우는 각 메인보드(710, 712, 714, 716)에 1개씩 연결되어 전면 핫플러그 방식을 지원한다. 냉각을 위한 쿨러(730)는 전면, 옆면, 후면 중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며, 각각의 메인보드(710, 712, 714, 716) 앞쪽 및 3U 랙(700)의 전면(64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U 랙(700)의 전면(740)은 4개의 HDD 핫플러그(744)가 지원되며, 각 컴퓨터 마다 전원 버튼, 상태 LED, USB 포트가 제공(742)된다. 3U 랙(700)의 후면(650)은 4개의 DC 입력 포트(752)와, 4개의 통합 KVM 케이블 및 네트워크 포트로 연결을 수행하는 통합 KVM 커넥터(754)가 배치된다.
한편, 3U 랙(700)에서 DC 입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PDB PDB(702, 704, 706, 708)를 AC PSU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엔 후면(650)에서 AC 입력 단자를 지원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장착형 컴퓨터는 각각의 분산된 컴퓨터들을 랙 장착형으로 중앙 집중화하여, 개별 AC 전원공급장치를 DC 전원 방식으로 전환하고 전력공급기의 에러 시 전원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하며, 전면 핫플러그 방식으로 저장장치의 손쉬운 탈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네트워크로 연결된 분산 컴퓨터 환경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집중형 컴퓨팅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기의 구조 및 신호 타이밍도, 구현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장착형 1U 1 컴퓨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장착형 2U 2 컴퓨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KVM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장착형 3U 3 컴퓨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장착형 3U 4 컴퓨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Claims (20)

  1. 복수의 터미널과 연결되는 랙(RACK) 시스템에서 높이가 2U인 랙 내에 장착되는 컴퓨터로서,
    인가된 직류 전원을 그대로 또는 감압/승압하여 각 전력 부하에 ATX 전력 규격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두 개의 전원분배보드(PDB)와,
    상기 PDB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는 백플랜과,
    상기 백플랜과 전면 핫플러그 방식으로 접속되는 두 개의 저장장치와,
    상기 랙에 세로 방향으로 연속 배치되고, 상기 PDB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컴퓨팅을 수행하는 두 개의 메인보드와,
    상기 두 개의 메인보드와 각각 접속되어 특정 입출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두 개의 입출력 카드
    를 포함하는 랙 장착형 컴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DB는,
    상기 직류 전원을 입력 받아 제1 전원을 생성하는 제1 가변 정전압 발생기(Step down converter)와,
    상기 직류 전원의 입력을 부하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 단과,
    상기 스위치 단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입력 받아 제2 전원을 생성하는 제2 가변 정전압 발생기와,
    상기 스위치 단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입력 받아 제3 전원을 생성하는 제3 가변 정전압 발생기와,
    상기 제2 내지 제3 가변 정전압 발생기로부터 제2와, 제3전원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경우 전원신호(PW-OK)를 생성하며, 상기 스위치 단으로 입력되는 상기 직류 전원에 과전압 또는 저전압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 단의 제어를 통해 입력을 차단하는 전압 감시 회로
    를 포함하는 랙 장착형 컴퓨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ATX 보드 또는 Micro-ATX 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장착형 컴퓨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가로 길이가 42~44cm이며, 세로 길이가 70~8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장착형 컴퓨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랙 장착형 컴퓨터는,
    상기 메인보드로부터 입출력되는 신호를 통합한 통합 커넥터 단자가 상기 랙의 전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장착형 컴퓨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커넥터는,
    KVM, 비디오,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이더넷 단자, USB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장착형 컴퓨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랙에 장착되는 입출력카드는,
    라이저 카드에 장착된 상태로 메인보드의 슬롯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장착형 컴퓨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카드는,
    그래픽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장착형 컴퓨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랙 시스템이 교류 전원을 인가 받는 경우, 상기 PDB 대신에 교류 전원공급기(PSU)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장착형 컴퓨터.
  10. 복수의 터미널과 연결되는 랙(RACK) 시스템 내에 장착되는 컴퓨터로서,
    인가된 직류 전원을 그대로 또는 감압/승압하여 각 전력 부하에 공급하는 전원분배보드(PDB)와,
    상기 PDB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는 백플랜(backplane)과 핫플러그(hot plug) 방식으로 접속되는 저장장치와,
    상기 PDB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컴퓨팅을 수행하는 메인보드와,
    상기 메인보드와 접속되어 특정 입출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입출력 카드
    를 포함하는 랙 장착형 컴퓨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PDB는,
    상기 인가된 직류 전원을 ATX 전력 규격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가로 및 세로 길이가 각각 10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장착형 컴퓨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PDB는,
    상기 직류 전원을 입력 받아 제1 전원을 생성하는 제1 가변 정전압 발생기(Step down converter)와,
    상기 직류 전원의 입력을 부하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 단과,
    상기 스위치 단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입력 받아 제2 전원을 생성하는 제2 가변 정전압 발생기와,
    상기 스위치 단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입력 받아 제3 전원을 생성하는 제3 가변 정전압 발생기와,
    상기 제2 내지 제3 가변 정전압 발생기로부터 제2와, 제3전원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경우 전원신호(PW-OK)를 생성하며, 상기 스위치 단으로 입력되는 상기 직류 전원에 과전압 또는 저전압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 단의 제어를 통해 입력을 차단하는 전압 감시 회로
    를 포함하는 랙 장착형 컴퓨터.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미널은,
    상기 메인보드로부터 입출력되는 신호를 통합한 통합 커넥터와 접속되어 컴퓨팅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장착형 컴퓨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커넥터는,
    KVM, 비디오,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이더넷 단자, USB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장착형 컴퓨터.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1U 높이에 19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장착형 컴퓨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랙에 장착되는 입출력카드는,
    플렉서블 케이블 형태로 메인보드의 슬롯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장착형 컴퓨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카드는,
    그래픽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장착형 컴퓨터.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랙 시스템이 교류 전원을 인가 받는 경우, 상기 PDB 대신에 교류 전원공급기(PSU)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장착형 컴퓨터.
  19.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랙이 3U 높이에 가로 길이가 최소 50cm이상이며, 세로 길이가 70~80cm인 경우,
    2개의 메인보드를 세로로 배치한 상태에서, 1개의 메인 보드를 다른 메인보드 중 하나와 연속되도록 가로 배치하고,
    각각의 메인보드 슬롯에 3개의 그래픽 카드를 직접 장착하고, 3개의 PDB와 저장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랙의 전면에 핫플러그 방식의 저장장치와, 각 메인보드의 전원 버튼, 상태 점멸등, USB 포드가 배치되고,
    상기 랙의 후면에 상기 PDB의 전원 입력 포트와, 상기 각 메인보드의 입출력 신호를 각각 통합하여 입출력하는 통합 커넥터 포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장착형 컴퓨터.
  20.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랙이 3U 높이에 가로 길이가 최소 50cm이상이며, 세로 길이가 90~110cm인 경우,
    4개의 메인보드를 2열씩 가로로 배치하고,
    각각의 메인보드 슬롯에 4개의 그래픽 카드를 직접 장착하고, 4개의 PDB와 저장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랙의 전면에 핫플러그 방식의 상기 저장장치와, 각 메인보드의 전원 버튼, 상태 점멸등, USB 포드가 배치되고,
    상기 랙의 후면에 상기 PDB의 전원 입력 포트와, 각 메인보드의 입출력 신호를 각각 통합하여 입출력하는 통합 커넥터 포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장착형 컴퓨터.
KR1020090067135A 2009-07-23 2009-07-23 랙 장착형 컴퓨터 KR101255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135A KR101255686B1 (ko) 2009-07-23 2009-07-23 랙 장착형 컴퓨터
US12/632,711 US20110019352A1 (en) 2009-07-23 2009-12-07 Rack-mount computer
CN2009102662161A CN101963824A (zh) 2009-07-23 2009-12-30 机架安装计算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135A KR101255686B1 (ko) 2009-07-23 2009-07-23 랙 장착형 컴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769A KR20110009769A (ko) 2011-01-31
KR101255686B1 true KR101255686B1 (ko) 2013-04-17

Family

ID=4349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135A KR101255686B1 (ko) 2009-07-23 2009-07-23 랙 장착형 컴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019352A1 (ko)
KR (1) KR101255686B1 (ko)
CN (1) CN10196382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0159B2 (en) 2012-01-18 2016-12-13 Echostreams Innovative Solutions, Llc Apparatus for storing solid state drives or hard disk drives
WO2013149208A1 (en) * 2012-03-30 2013-10-03 Echostreams Innovative Solutions, Llc Apparatus for storing solid state drives or hard disk drives
US8804313B2 (en) * 2012-06-22 2014-08-12 Microsoft Corporation Enclosure power distribution architectures
KR20140058984A (ko) * 2012-11-07 2014-05-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랙 장착형 서버의 전원 이중화 장치
US9538687B2 (en) 2013-06-12 2017-01-03 Menara Network, Inc. High-density rack unit systems and methods
CN104932652A (zh) * 2015-06-09 2015-09-23 浪潮电子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拓展的机架式服务器电源框体
KR101920283B1 (ko) * 2016-11-15 2018-11-20 주식회사 디와이티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공정을 위한 산업용 다기능 데이터 백업 장치
CN106774766B (zh) * 2016-12-16 2021-02-05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桌面处理器的供电架构系统
CN108566082B (zh) * 2018-02-08 2024-02-23 深圳市微电元科技有限公司 一种支持多种输入电压的直流atx电源
US11442514B2 (en) * 2019-08-02 2022-09-13 High Power Electronic Co., Ltd. Power supply unit with some DC-DC converters located outside the enclosure and integrated into cable harness assembly
EP4050746B1 (en) * 2021-02-26 2024-04-03 Ovh Method and power distribution circuit for providing electric power from a plurality of power supplies to a plurality of loa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8087A1 (en) 2003-05-16 2004-11-18 Giovanni Coglitore Computer rack with power distribu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7226A (en) * 1997-09-30 2000-05-23 Compaq Computer Corporation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input/output ports while maintaining the form factor of an associated computer chassis
US6260155B1 (en) * 1998-05-01 2001-07-10 Quad Research Network information server
US6667891B2 (en) * 2000-02-18 2003-12-23 Rackable Systems, Inc. Computer chassis for dual offset opposing main boards
US6483709B1 (en) * 2000-04-28 2002-11-19 Dell Products L.P. Cable management solution for rack mounted computing components
US6533587B1 (en) * 2000-07-05 2003-03-18 Network Engines, Inc. Circuit board riser
US6525926B1 (en) * 2000-07-11 2003-02-25 Racklogic Technologies, Inc. Multinode high density computing apparatus
US6985967B1 (en) * 2000-07-20 2006-01-10 Rlx Technologies, Inc. Web server network system and method
US6510050B1 (en) * 2000-11-21 2003-01-21 Sun Microsystems, Inc. High density packaging for multi-disk systems
JP2002171692A (ja) * 2000-12-06 2002-06-14 Hitachi Ltd 直流電源装置
US6583989B1 (en) * 2000-12-22 2003-06-24 Emc Corporation Computer system
US6549400B1 (en) * 2001-01-12 2003-04-15 Crystal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quickly connecting a 1U personal computer
GB0103837D0 (en) * 2001-02-16 2001-04-04 Nallatech Ltd Programmable power supply for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modules
US6950895B2 (en) * 2001-06-13 2005-09-27 Intel Corporation Modular server architecture
US6560114B2 (en) * 2001-06-29 2003-05-06 Intel Corporation Rack-mounted server and associated methods
US20030033463A1 (en) * 2001-08-10 2003-02-13 Garnett Paul J. Computer system storage
US7043647B2 (en) * 2001-09-28 2006-05-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telligent power management for a rack of servers
US6657867B2 (en) * 2001-12-14 2003-12-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nged door for access to add-in cards
US6914784B1 (en) * 2002-06-26 2005-07-05 Emc Corporation Data storage system cabinet
JP4230189B2 (ja) * 2002-10-03 2009-0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クアレイ装置、及びその電源供給方法
US6754082B1 (en) * 2002-11-07 2004-06-22 Exavio, Inc. Data storage system
US7289334B2 (en) * 2003-08-27 2007-10-30 Epicenter, Inc. Rack architecture and management system
US7406623B2 (en) * 2003-09-29 2008-07-29 Hitachi Computer Peripherals Co., Ltd. DC backup power supply system and disk array using same
JP2005115771A (ja) * 2003-10-09 2005-04-28 Hitachi Ltd ディスクアレイ装置
JP4497918B2 (ja) * 2003-12-25 2010-07-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トレージシステム
JP4105121B2 (ja) * 2004-05-14 2008-06-25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の筐体構造、及びディスクアレイ装置
US7629709B2 (en) * 2004-12-29 2009-12-0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Regulation of a DC to DC converter
US7275935B2 (en) * 2005-02-28 2007-10-02 Kuang Wei Chen Universal backplane connection or computer storage chassis
US7403379B2 (en) * 2005-08-03 2008-07-22 Mitac International Corp. Modular computer system
WO2007084403A2 (en) * 2006-01-13 2007-07-26 Sun Microsystems, Inc. Compact rackmount storage server
TWM314999U (en) * 2007-01-09 2007-07-01 Quanta Comp Inc Riser card module
US7639486B2 (en) * 2007-12-13 2009-12-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ack system providing flexible configuration of computer systems with front access
US7839624B2 (en) * 2009-04-23 2010-11-23 Super Micro Computer Inc. Industrial computer chassis structure with power source disposed central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8087A1 (en) 2003-05-16 2004-11-18 Giovanni Coglitore Computer rack with power distribu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63824A (zh) 2011-02-02
US20110019352A1 (en) 2011-01-27
KR20110009769A (ko) 2011-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686B1 (ko) 랙 장착형 컴퓨터
US9965442B2 (en) Node card management in a modular and large scalable server system
US8522064B2 (en) Server system having mainboards
US10064304B2 (en) Separated server back plane
TWI411375B (zh) 伺服器機櫃系統
US20080126597A1 (en) Alternative Local Card, Central Management Module and System Management Architecture For Multi-Mainboard System
EP3118717B1 (en) Interconnection of rack-mounted field replaceable units
KR20150049572A (ko) 랙 마운트 서버의 전원을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145983B1 (ko) 몸체 분리 결합형 랙 마운트 케이스 스토리지 시스템
CN102478800A (zh) 电力顺序信号的监控系统与其方法
EP4288869A1 (en) High density peripheral card chassis
CN115167647B (zh) 一种服务器的供电方法、系统、设备及介质
CN105075286A (zh) 设备的充分刚性互连结构
US113080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expected user intervention across multiple blades during a keyboard, video, and mouse (KVM) session
WO2017124916A1 (zh) 硬盘插箱及服务器
WO2016065741A1 (zh) 一种服务器底板
US7464257B2 (en) Mis-configuration detection methods and devices for blade systems
US20220334621A1 (en) Dynamically illuminated element o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bezel
KR20140058984A (ko) 랙 장착형 서버의 전원 이중화 장치
US20100017628A1 (en) Systems for Using Different Power Supply Configurations with a Common Motherboard
CN110908464B (zh) 模块化计算平台、更换平台部件的方法和优化平台的方法
KR20110006978A (ko) 중앙 집중형 컴퓨터 시스템
CN220438882U (zh) 电源背板及服务器供电系统
US20080270666A1 (en) Removable active communication bus
CN114490381A (zh) 用于框式设备线卡调试的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