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578B1 - 과전류 보호 계전기 - Google Patents

과전류 보호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578B1
KR101697578B1 KR1020120063881A KR20120063881A KR101697578B1 KR 101697578 B1 KR101697578 B1 KR 101697578B1 KR 1020120063881 A KR1020120063881 A KR 1020120063881A KR 20120063881 A KR20120063881 A KR 20120063881A KR 101697578 B1 KR101697578 B1 KR 101697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setting module
adjustment knob
overcurrent protection
protection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0457A (ko
Inventor
박병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3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578B1/ko
Publication of KR20130140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과전류 보호 계전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양한 환경및 사용자 조건에 따라 적합한 조정놉 설정모듈을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과전류 보호 계전기의 효율적인 생산관리가 가능하고, 과전류 보호 계전기의 버튼 설정모듈을 통해 설정값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더미 타입의 조정놉 설정모듈을 장착시킴으로써 설정값 차이로 인한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과전류 보호 계전기{OVER-CURRENT PROTECTING RELAY}
본 발명은 과전류 보호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탈 가능한 조정놉 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과전류 보호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차단기는, 차단기가 설치된 회로의 사고전류, 과전류 및 지락을 등을 감지하고 이와 같은 이상 전류시 차단기를 트립(차단)시키도록 제어하는 과전류 보호 계전기(Over Current Protecting Relay)를 구비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단기의 외관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1)는 차단기(1)의 설정, 제어, 상태 표시, 수동조작 등의 사용자와 인터페이스(interface)하기 위한 주 커버(2)를 포함한다. 주 커버(2)의 일 측 후위에는 상기 과전류 보호 계전기(4)가 설치되며, 과전류 보호 계전기(4)의 전면을 복개할 수 있도록 상기 주 커버(2)에 보조 커버(3)가 부착된다.
과전류 보호 계전기는 차단기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과전류나 사고전류가 감지되는 경우 트립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과전류나 사고전류 감지방법으로는 바이메탈을 이용하는 기계 방식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와 마이크로컴퓨터(MCU)를 이용하여 전류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이를 계산하여서 감시하는 디지털 방식이 있다.
과전류 보호 계전기에서 회로 차단 동작의 기준이 되는 설정값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크게, 키버튼을 이용하여 설정전류, 동작시간 등을 입력하는 방식과, 설정놉을 이용하여 설정값을 설정하는 방식이 있다. 키버튼을 이용한 입력 방식의 경우 현재 입력되는 지침값을 보여주기 위한 표시장치가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하나, 설정놉을 이용한 입력방식의 경우 설정되는 지침값을 바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표시장치를 수반할 필요가 없다.
한편, 이와 같은 과전류 보호 계전기의 설정놉들은 일반적으로 그 위치와 개수가 고정되어 있어서 다양한 조건에 따른 변형이 어렵고, 구비된 다수의 설정 놉들에 대한 기준값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변경이 수반되어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존의 과전류 보호 계전기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환경 및/또는 사용자 조건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조정놉 설정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 과전류 보호 계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 계전기는, 상기 과전류 보호 계전기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조정놉을 이용하여 회로 차단 동작에 대한 설정값을 설정받는 조정놉 설정모듈과; 복수의 커넥팅 핀홀을 구비하여, 상기 조정놉 설정모듈의 커넥팅 핀이 상기 커넥팅 핀홀에 접속되는 커넥터부와; 접속된 커넥팅 핀으로부터 전달되는 출력신호를 감지하여, 장착된 조정놉 설정모듈의 설정 타입을 인식하는 설정 타입 인식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과전류 보호 계전기는, 상기 인식된 설정 타입에 대응하는 설정값에 근거하여, 회로 차단 동작을 제어하는 차단 동작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신호는 장착된 조정놉 설정모듈의 설정 타입에 대응하는 고유의 비트값 신호이고, 상기 설정 타입 인식부는, 상기 비트값 신호를 수신하여 장착된 조정놉 설정모듈의 설정 타입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 타입 인식부는, 조정놉 설정모듈의 설정 타입에 대응하는 고유의 비트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 타입 인식부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비트값을 검출하여 장착된 조정놉 설정모듈의 설정 타입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과전류 보호 계전기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회로 차단 동작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는 버튼설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 동작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설정 타입이 더미(dummy)이면, 상기 버튼설정모듈에 설정된 설정값에 근거하여 회로 차단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 동작 제어부는, 검출된 전류값이 상기 조정놉 설정모듈의 설정값을 초과하면, 회로 차단 동작을 위한 트립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 동작 제어부는, 상기 조정놉 설정모듈의 설정 타입이 더미(dummy)이면, 검출된 전류값이 상기 버튼설정모듈의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회로 차단 동작을 위한 트립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과전류 보호 계전기는 상기 조정놉 설정모듈에 설정된 과전류 지침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과전류 보호 계전기는 상기 조정놉 설정모듈을 덮도록 설치되는 조정놉 설정모듈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는, 사용자로부터 온/오프 상태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과전류 보호 계전기의 하부에 마련되어, 정격전류의 설정 정보를 제공하는 정격전류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 계전기에 의하면, 다양한 환경 및 사용자 조건에 따라 적합한 조정놉 설정모듈을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과전류 보호 계전기의 효율적인 생산관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 계전기에 의하면, 버튼 설정모듈에 의하여 설정값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더미 타입의 조정놉 설정모듈을 장착시킴으로써 설정값 차이로 인한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 계전기에 의하면, 설정 타입에 관계없이 조정놉 설정모듈의 외관을 모두 동일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과전류 보호 계전기의 구조나 조정놉 설정모듈의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단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차단기에서 과전류 보호 계전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차단기에서 과전류 보호 계전기의 설정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일반적인 차단기에서 과전류 보호 계전기의 설정부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 계전기 및 상기 과전류 보호 계전기에 착탈가능하게 구현된 조정놉 설정모듈의 예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5b 내지 도 5e 에 도시된 조정놉 설정모듈과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 계전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일반적인 차단기에서 과전류 보호 계전기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상기 과전류 보호 계전기의 설정부를 도시한다.
과전류 보호 계전기(4)의 설정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과전류 설정을 위한 조정놉 설정모듈(4b)과 이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 커버(4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품에 따라서는 상기 설정부가 조정놉 설정모듈을 구비하지 않고 키를 이용하여 설정값을 입력받는 버튼 설정모듈만으로 이루어지는 모델도 있다. 이와 같은 조정놉 설정모듈(4b)을 이용하여, 과전류 동작과 관련된 기준 전류값, 동작 지연 시간, 및 사고전류 동작과 관련된 동작 지연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일반적인 차단기의 과전류 보호 계전기에서 설정부를 확대한 것이다. 조정놉 설정모듈(4b)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설정놉(4b1), 즉 다이얼을 구비한다. 다수의 설정놉은 예를 들어 장 한시 기준 설정 값, 단 한시 기준 설정 값, 및 순시 기준 설정 값 등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장 한시 기준 설정 값은 허용가능한 정격전류의 80~100%의 설정 기준전류 값과, 해당 전류가 회로에 흐를 때 트립 동작 시간으로서 10초 내지 수백 초까지 여유있게 설정하는 설정 동작 시간 값을 가리키고, 단 한시 기준 설정 값은 허용가능한 정격전류의 2배 정도의 설정 기준 전류 값과, 해당 전류가 회로에 흐를 때 트립 동작 시간으로서 통상 1초 이내의 설정 동작 시간 값을 가리킨다. 또한, 순시 기준 설정 값은 부하의 단락이나 낙뢰 등으로 순간 전류가 매우 클 때 설정 기준 전류로서 정격전류의 2배 내지 수십 배의 설정 기준 전류 값과, 해당 전류가 회로에 흐를 때 트립 동작 시간으로서 통상 50 밀리 초 이내의 설정 동작 시간 값을 의미한다.
각 설정놉(4b1)의 주변에는 눈금과 설정값이 표시되어 있고 설정놉(4b1)의 상부 면에는 화살표와 같은 기준표시가 표기되어 있다. 상기 설정놉(4b1)은 예를 들어 십자 스크류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설정놉(4b1)을 좌우로 회전시킴으로써 과전류 동작과 관련된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정놉 설정모듈(4b)은 설정놉(4b1)의 위치와 개수가 고정되어 있어서 다양한 환경과 사용자 조건에 따른 변형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구비된 다수의 설정놉(4b1)에 대한 기준값을 변경하는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적인 변경이 수반되어야하므로 절차가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한편, 이를 극복하기 위해 버튼 설정모듈을 이용하여 기준값을 조정하게 되면, 조정놉 설정모듈(4b)의 내부에 기록된 기준값과의 차이로 인한 혼란이 유발될 수 있다.
도 5a 내지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 계전기(10)와 상기 과전류 보호 계전기(10)에 착탈가능하게 구현된 조정놉 설정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과전류 보호 계전기(10)는 표시부(20), 버튼 설정모듈(30), 조정놉 설정모듈(40), 및 정격전류 설정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부(20)는 LCD 또는 LED 화면을 구비하여 차단기의 현재 전류값, 전력값, 및 과전류 설정값을 표시한다. 또, 상기 표시부(20)는 필요한 경우 회로 차단 동작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차단 동작 시간, 차단 동작 원인 등을 보조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20)는 조정놉 설정모듈(40)에 설정된 과전류 지침값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설정모듈(30)은 다수의 키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회로 차단 동작을 위한 설정값을 입력받는다. 또, 상기 버튼 설정모듈(30)은 계전기 내부의 전류, 전력값이 표시부(20)에 표시되게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수단이 될 수 있다.
한편, 정격전류 설정부(50)는 과전류 보호 계전기(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정격 전류의 설정 정보를 제공하고, 전류값의 크기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조정놉 설정모듈(40)은 과전류 보호 계전기(1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조정놉 설정모듈(40)은 구비된 다수의 조정놉을 이용하여 회로 차단 동작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가능한 조정놉 설정모듈(4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도 5b 내지 5e는 과전류 보호 계전기(1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정놉 설정모듈(40)의 예시들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놉 설정모듈(40)의 타입에 따라, 구비된 설정놉의 개수와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설정놉의 기준값 또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는 표준 타입으로서 8개의 설정놉들이 마련된 조정놉 설정모듈이고, 도 5c와 도 5d는 사용 환경 및 사용자 조건에 따라 일부 설정놉이 삭제된 조정놉 설정모듈을 도시한다. 또한, 도 5e는 설정놉이 마련되지 않는 더미(dummy) 타입의 조정놉 설정모듈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더미(dummy) 타입의 조정놉 설정모듈을 설치하면, 버튼 설정모듈(30)과 표시부(20)를 이용하여 계전기의 설정값을 설정할 경우, 설정값의 중복으로 인한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구비된 설정놉들의 위치와 개수가 동일하더라도 설정놉의 기준값이 변경된 타입의 조정놉 설정모듈도 여기에 포함된다.
이와 같이, 도시된 조정놉 설정모듈(40)의 예시들은 설정 타입에 따라 구비된 설정놉들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지만, 외관은 과전류 보호 계전기(1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기 위해 설정 타입에 관계 없이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기술한 착탈가능하게 구현된 조정놉 설정모듈과 관련된 구성을 보여준다. 과전류 보호 계전기는 조정놉 설정모듈(40)과, 커넥터부(41), 및 설정 타입 인식부(42)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 타입 인식부(42)는 과전류 보호 계전기의 마이크로컴퓨터, 즉 MCU와 연결된다.
조정놉 설정모듈(40)은 과전류 보호 계전기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구비된 조정놉을 이용하여 회로 차단 동작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는다. 상기 조정놉 설정모듈(40)은 설정 타입에 따라 구비된 조정놉의 개수, 위치, 및/또는 기준값이 서로 달라진다. 다만, 상기 조정놉 설정모듈(40)은 계전기의 동일한 위치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외관의 형성은 설정 타입에 관계 없이 동일하다. 또한, 조정놉 설정모듈(40)은 설정 후, 무권한자의 접근에 의한 설정값의 무단변경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조정놉 설정모듈의 전방에 상기 조정놉 설정모듈을 덮도록 설치되는 조정놉 설정모듈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의 개방을 불허하기 위해 예를 들어 자물쇠 걸이용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부(41)는 복수의 커넥팅 핀홀을 구비한다. 그에 따라, 상기 커넥터부(41)는 상기 조정놉 설정모듈(40)에 구비된 커넥팅 핀이 상기 커넥팅 핀홀에 접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41)는 사용자로부터 온/오프 상태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선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커넥터부(41) 온(on) 상태를 입력받으면 상기 커넥터부(41)에 접속된 조정놉 설정모듈(40)의 커넥팅 핀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택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커넥터부(41) 오프(off) 상태를 입력받으면 조정놉 설정모듈(40)의 접속 여부를 인식할 수 없다.
설정 타입 인식부(42)은 상기 커넥터부(41)와 연결되어, 접속된 조정놉 설정모듈(40)의 커넥팅 핀으로부터 전달되는 출력신호를 감지한다. 여기서, 출력신호는 장착된 조정놉 설정모듈의 설정 타입에 대응하는 고유의 비트값 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할당된 비트(bit)의 수가 4비트이면 구별가능한 조정놉 설정모듈(40)의 설정 타입은 최대 24 = 16 개이다. 또한, 할당된 비트(bit)의 수가 5비트이면, 구별가능한 조정놉 설정모듈(40)의 설정 타입은 최대 25 = 32 개가 된다.
또, 설정 타입 인식부(42)는, 상기 비트값 신호를 수신하여서 장착된 조정놉 설정모듈의 설정 타입을 인식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0000'의 비트값 신호가 수신된 경우 표준 타입(STANDARD)의 조정놉 설정모듈로 인식되며, 1111'의 비트값 신호가 수신된 경우 더미 타입(DUMMY)의 조정놉 설정모듈로 인식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설정 타입 인식부(42)는 조정놉 설정모듈(40)의 설정 타입에 대응하는 고유의 비트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미도시)는 할당된 비트수, 즉 이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고유의 비트값과 그에 대응하는 조정놉 설정모듈(40)의 명칭을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는 설정 타입 인식부(42)의 내부에 포함되거나 외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구현가능하다.
설정 타입 인식부(42)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비트값을 검출하여 장착된 조정놉 설정모듈의 설정 타입을 결정한다. 다시 말해, 접속된 조정놉 설정모듈(40)의 커넥팅 핀으로부터 전달된 출력신호가 '0000'인 경우, 상기 설정 타입 인식부(42)는 메모리로부터 출력신호와 동일한 비트값을 독출하여 그에 대응하는 설정 타입, 즉 더미(DUMMY) 타입의 조정놉 설정모듈을 인식하게 된다.
장착된 조정놉 설정모듈의 설정 타입의 최종 결정은 상기 설정 타입 인식부(42)와 연결된 마이크로컴퓨터(MCU)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과전류 보호 계전기의 내부에 마련된 마이크로컴퓨터(MCU)는 상기 설정 타입 인식부(42)로부터 전달된 정보에 근거하여 어떤 타입의 조정놉 설정모듈이 연결되었는지를 최종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 계전기는 상기 결정된 설정 타입에 대응하는 설정값에 근거하여, 회로 차단 동작을 제어하는 차단 동작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차단 동작 제어부 마이크로컴퓨터(MCU)의 내부에 포함되는 것으로 구현가능하다.
차단 동작 제어부의 구체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다.
검출된 전류값이 상기 장착된 조정놉 설정모듈의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차단 동작 제어부는 회로 차단 동작을 위한 트립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조정놉 설정모듈(40)의 설정 타입이 더미(dummy)이면, 상기 차단 동작 제어부는 버튼설정모듈에 설정된 설정값에 근거하여 회로 차단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조정놉 설정모듈의 설정 타입이 더미(dummy)인 경우에는, 검출된 전류값이 버튼설정모듈에 입력된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회로 차단 동작을 위한 트립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된 트립신호에 따라 차단기가 동작하여 전류의 흐름이 차단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 계전기에 의하면, 다양한 환경 및 사용자 조건에 따라 적합한 조정놉 설정모듈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과전류 보호 계전기의 효율적인 생산관리가 가능하고, 계전기의 버튼 설정모듈에 의하여 설정값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더미 타입의 조정놉 설정모듈을 장착시킴으로써 설정값 차이로 인한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10 - 과전류 보호 계전기 20 - 표시부
30 - 버튼 설정모듈 40 - 조정놉 설정모듈
41 - 커넥터부 42 - 설정 타입 인식부
50 - 정격전류설정부

Claims (4)

  1. 과전류 보호 계전기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장 한시 기준 설정 값, 단 한시 기준 설정 값 및 순시 기준 설정 값을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조정놉을 이용하여 회로 차단 동작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는 조정놉 설정모듈;
    복수의 커넥팅 핀홀을 구비하여, 상기 조정놉 설정모듈의 커넥팅 핀이 상기 커넥팅 핀홀에 접속되는 커넥터부; 및
    접속된 조정놉 설정모듈의 커넥팅 핀으로부터 전달되는 장착된 조정놉 설정모듈에 대한 표준타입과 더미(dummy)타입을 포함한 설정 타입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출력신호를 감지하여, 장착된 조정놉 설정모듈의 설정 타입을 인식하는 설정 타입 인식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출력신호는 장착된 조정놉 설정모듈의 설정 타입에 대응하는 고유의 비트값 신호이고,
    상기 설정 타입 인식부는, 상기 비트값 신호를 수신하여 장착된 조정놉 설정모듈의 설정 타입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보호 계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설정 타입에 대응하는 설정값에 근거하여, 회로 차단 동작을 제어하는 차단 동작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보호 계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타입 인식부는,
    상기 조정놉 설정모듈의 설정 타입에 대응하는 고유의 비트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보호 계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타입 인식부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비트값을 검출하여 장착된 조정놉 설정모듈의 설정 타입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보호 계전기.
KR1020120063881A 2012-06-14 2012-06-14 과전류 보호 계전기 KR101697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881A KR101697578B1 (ko) 2012-06-14 2012-06-14 과전류 보호 계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881A KR101697578B1 (ko) 2012-06-14 2012-06-14 과전류 보호 계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457A KR20130140457A (ko) 2013-12-24
KR101697578B1 true KR101697578B1 (ko) 2017-01-18

Family

ID=49985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881A KR101697578B1 (ko) 2012-06-14 2012-06-14 과전류 보호 계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5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7970A (ja) 1998-06-05 2002-06-18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保護継電器のモジュール形制御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635Y1 (ko) * 2010-01-25 2011-12-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디지털 보호계전기
KR20130005486U (ko) * 2012-03-09 2013-09-23 윤장선 자동차용 콘솔 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7970A (ja) 1998-06-05 2002-06-18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保護継電器のモジュール形制御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457A (ko) 201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8512B2 (en) Electronic trip unit capable of analog and digital setting of circuit breaker setpoints
US7889474B2 (en) Manually-controlled arc flash energy re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circuit breaker trip units
KR100809910B1 (ko) 디지털 분전반
US20150207301A1 (en) Circuit breaker panel
KR100859173B1 (ko) 다기능 누전 및 과전류 차단기
JPH06506101A (ja) リモートプログラマブル電子引外しシステム
CN106405440B (zh) 数字保护继电器的电源故障监视设备
JP2002517152A (ja) 遮断器用の電子式引外しユニット
KR101697578B1 (ko) 과전류 보호 계전기
JP4316073B2 (ja) 引外し制御装置
JP4874480B2 (ja) 回路遮断器の監視システム
KR100974232B1 (ko) 전력 제어 장치
CN107275947B (zh) 一种智能温控液晶电箱
KR100889045B1 (ko) 타이머 기능을 가진 디지틀 분전함
CN112952769A (zh) 一种断路器的设置方法、装置和配电系统
KR20150128123A (ko) 변압기 이상 감시가 가능한 디지털 보호 계전기
KR101362791B1 (ko)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일체형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
KR101771049B1 (ko) 화재 감지선을 구비한 대기전력 자동 차단 및 복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제공방법
KR101383514B1 (ko) 이벤트 레코딩 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내장형 수배전반
US11921909B2 (en) Method for adjusting operation parameters of an electrical device
KR102609244B1 (ko) 분전반에 설치되는 분전반용 누전경보기
RU57523U1 (ru) Реле токовой защиты
CN208173500U (zh) 一种温度传感开关
KR100876407B1 (ko) 과전류 계전기 봉인 기구를 갖는 기중 차단기
KR20230158346A (ko) 양방향 멀티 펑션 전자식 누전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