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791B1 -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일체형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일체형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791B1
KR101362791B1 KR1020120055866A KR20120055866A KR101362791B1 KR 101362791 B1 KR101362791 B1 KR 101362791B1 KR 1020120055866 A KR1020120055866 A KR 1020120055866A KR 20120055866 A KR20120055866 A KR 20120055866A KR 101362791 B1 KR101362791 B1 KR 101362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uzzer
alarm
push button
butt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1911A (ko
Inventor
박기주
허명석
Original Assignee
박기주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주,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filed Critical 박기주
Priority to KR1020120055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791B1/ko
Publication of KR20130131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13/186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wherein the pushbutton is rectilinearly actuated by a lever pivoting on the housing of the swit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의 내부에 램프부에 이외에 타이머부와 부저부를 일체로 내장하여 배선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일체형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은, 배전반 내부의 경보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경보상태 감지부;와, 상기 경보상태 감지부의 감지 값을 받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경보광을 발생시키는 램프부와,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부저와, 상기 램프부와 부저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가 일체로 내장된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를 구비하는 경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일체형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Distributing board and lamp push button switch use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일체형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의 내부에 램프부 이외에 타이머부와 부저부를 일체로 내장하여 배선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일체형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발전소, 변전소, 전기 시설이 되어 있는 대형 건물 등의 시설에 설치되는 장비로서, 전로의 개폐나 기기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데, 배전반은 베이스 패널에 메인 배선용 차단기, 배선용 차단기, 누전 차단기 등 각종 차단기 및 계전기 등이 설치되고, 각각의 차단기 및 계전기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장비이다. 이러한 배전반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하부 기기로 배분하는 동시에 전력 공급을 개폐하는 기능을 갖는다.
한편, 본체의 전면 도어의 일측에는 각 기기의 이상 상태를 알려 주는 경보 장치가 장착된다. 경보 장치는 본체에 내장되어 설치되는 각종 계전기와 전선을 통해 연결된다.
도 1은 종래의 배전반 경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전반 경보 장치(1)는, 경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출력부(2)와, 제어신호 출력부(2)가 동작되는 경우에 경보 동작이 일정시간 동안 이루어지도록 하는 타이머(3)와,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 부저(4)와,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경보광을 발생시키는 경보 램프(5)와, 경보 부저(4) 및 경보 램프(5)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중지시킬 수 있는 조광형 누름 스위치(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의 배전반 경보 장치(1)는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는 경보 부저(4)와 경보광을 발생할 수 있는 경보 램프(5)와, 경보 동작이 일정시간 동안 이루어지도록 하는 타이머(3)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설비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배전반 경보 장치(1)는 타이머(3), 경보 부저(4), 경보 램프(5)의 경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6)를 연결하고,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6)에 의해 경보 부저(4), 경보 램프(5)가 다른 위치에서 연결되게 구성된다. 결국, 종래의 배전반 경보 장치(1)는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6), 타이머(3), 경보 부저(4), 경보 램프(5)의 거리가 멀 경우 배선에 있어서 매우 곤란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해 배전반 경보장치(1)가 안정적으로 동작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의 내부에 램프부 이외에 타이머부와 부저부를 일체로 내장하여 배선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일체형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램프부에 타이머부와 부저부를 일체로 내장하여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갖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은, 배전반 내부의 경보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경보상태 감지부;와, 상기 경보상태 감지부의 감지 값을 받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경보광을 발생시키는 램프부와,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부저부와, 상기 램프부와 부저부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부가 일체로 내장된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를 구비하는 경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는, 상기 램프부, 부저부, 타이머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램프부와 부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저부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경보 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전반 내부의 이상 유무 상황을 문자 또는 무늬의 조합으로 고지하는 표시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에 이용되는 일체형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스위치 본체;와, 상기 스위치 본체에 내장되어 경보광을 발생시키는 램프부;와, 상기 스위치 본체에 내장되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부저부;와, 상기 스위치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램프부와 부저부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위치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램프부, 부저부, 타이머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투명한 재질의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램프부와 부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일체형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는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의 내부에 램프부 이외에 타이머부와 부저부를 일체로 내장하여 배선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일체형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는 램프부에 타이머부와 부저부를 일체로 내장하여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갖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전반 경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경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를 나타낸 내부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를 나타낸 내부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경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0)은 배전반(10) 내부의 경보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경보상태 감지부(100);와, 경보상태 감지부(100)의 감지 값을 받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200);와, 제어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타이머부(311), 램프부(312), 부저부(313)가 일체로 내장된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310)를 구비하는 경보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경보상태 감지부(100)는 배전반(10) 내부에 설치된 각종 전장품에서 발생되는 경보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데, 이러한 경보상태 감지부(100)는 배전반(10)의 도어(20)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상태 감지부(100)는 배전반(10) 내부가 비정상적인 온도 상승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위하여 배전반(10)의 도어(20)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도어(20)의 표면에는 설치된 고정 프레임(30)의 내부에는 설치되어 경보상태 감지부(100)의 감지 값을 받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200)는 경보 장치(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전반(10) 내부의 경보 상태를 작업자에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보 장치(300)는 제어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타이머부(311), 램프부(312), 부저부(313)가 일체로 내장된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310)와, 고정 프레임(30)의 중앙에서 제어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전반(10) 내부의 이상 유무 상황을 문자 또는 무늬의 조합으로 고지하는 표시 패널(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시 패널(320)은 배전반(10) 내부의 경보 상태를 문자 또는 무늬의 조합으로 표시하도록 도어(20)의 선택된 외부 표면에 설치되어 배전반(10)의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표시 패널(320)의 설치 위치는 배전반(10)의 도어(20)의 선택된 외부 표면 중에서 상부에 위치하게 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어(20)의 전면 또는 배전반(10)의 전면 중 어느 하나에는 배전반(10) 외부의 작업자가 시각 및 청각을 통하여 배전반 내부의 경보 상태를 인식시키기 위한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310)가 구비된다.
이러한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310)는, 제어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경보광을 발생시키는 램프부(312)와, 제어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부저부(313)와, 램프부(312)와 부저부(313)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부(311)를 일체로 내장한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3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310)는 작업자가 부저부(313)와 램프부(312)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중지시킬 수 있는 버튼(314)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200)에는 연산부(40)의 연산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표시부(50)의 일측에는 그 표시부(50)에 표시되는 전력 값을 선택하는 전력값 선택부(60)가 설치되어 있으며, 표시부(50)와 전력값 선택부(60)는 도어(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어부(200)에는 표시부(50)에 표시되는 측정값을 송신하는 송신부(7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되, 송신부(70)는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전반(10)의 내부의 경보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배전반(10)의 내부에 경보상태 감지부(100)가 설치되어 있다.
경보상태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감지 값은 제어부(200)로 전송되고, 제어부(200)에서 전송받은 감지 값은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결과에 따라서 표시 패널(320)에 문자 또는 무늬가 표현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배전반(10) 내부가 정상 상태일 경우에는 "정상"을 표시하고, 배전반의 내부가 경보 상태일 경우에는 "이상" 등을 표시하여 배전반(10) 외부의 작업자에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표시 패널(320)에 제공되는 문자는 배전반(10)에 인접한 작업자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전반(10)에 인접하지 않은 작업자에게 배전반(10) 내부의 경보 상태를 인식시키기 위하여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310)의 램프부(312)와 부저부(313)가 동시에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배전반(10) 내부에 설치된 각종 전장품의 전원을 단전시킨 후 작업을 하면 되고 그에 따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동작되는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310)의 램프부(312)와 부저부(313)는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310) 내부에 설치된 버튼(314)을 조작하면 정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은, 배전반(10)의 외부에서도 배전반(10) 내부의 상황을 표시 패널(320)과 일체형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310)를 통하여 알 수 있으므로 작업자를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를 나타낸 내부 블럭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3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스위치 본체(310A)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스위치 본체(310A)에는 경보 상태를 제1표시 형태로 표시하기 위하여 경보광을 발생시키는 램프부(312)와, 경보 상태를 제1표시 형태와는 다른 종류의 제2표시 형태로 표시하기 위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부저부(313)와, 램프부(312)와 부저부(313)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부(311)와, 스위치 본체(310A)의 전면에 구비되는 투명한 재질의 버튼(314)과, 스위치 본체(310A)의 후방에 구비되어 전선(315)을 결선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대(3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위치 본체(310A)는,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31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스위치 본체(310A)의 내부에는 다른 구성요소가 수납된다.
버튼(314)은, 스위치 본체(310A)의 전면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램프부(312)와 부저부(313)를 선택적으로 중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310)에는 스위치 본체(310A)의 일측에 타이머부(311)와 부저부(313)가 설치된다. 부저부(313)는 타이머부(311)의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된다. 즉, 타이머부(311)에 설정된 동작 시간에 대응하여 사이렌 소리와 같은 경보음을 발생시켜 배전반(10) 내부의 경보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310)의 부저부(313)는 램프부(312)와 연동하여 동작하거나,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310)에는 부저부(313)의 볼륨을 조정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음량을 제어하는 볼륨 조절기(미도시)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310)의 내부에 램프부(312)에 이외에 타이머부(311)와 부저부(313)를 일체로 내장하여 배선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310)의 램프부(312)에 타이머부(311)와 부저부(313)를 일체로 내장하여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갖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를 나타낸 내부 블럭도이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3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스위치 본체(310A)와, 스위치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투명한 재질의 버튼(314)과, 경보 상태를 제1표시하기 위하여 경보광을 발생시키는 램프부(312)와, 경보 상태를 제2표시하기 위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부저부(313)와, 램프부(312)와 부저부(313)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부(311)와, 스위치 본체(310A)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모드 선택부(3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모드 선택부(317)는 부저부(313)와 램프부(312)를 동시에 동작시키거나, 부저부(313) 또는 램프부(312) 중 어느 하나 만이 동작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310)의 램프부(312)에 타이머부(311)와 부저부(313)를 일체로 내장하여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갖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는 램프부(312)와 부저부(313)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경보 표시의 종류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일체형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는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의 내부에 램프부에 이외에 타이머부와 부저부를 일체로 내장하여 배선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배전반 100...경보상태 감지부
200...제어부 300...경보 장치
310...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 311...타이머부
312...램프부 313...부저부

Claims (8)

  1. 배전반 내부의 경보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경보상태 감지부;와,
    상기 경보상태 감지부의 감지 값을 받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경보광을 발생시키는 램프부와,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부저부와, 상기 램프부와 부저부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부가 일체로 내장된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를 구비하는 경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는,
    상기 램프부, 부저부, 타이머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와 부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저부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전반 내부의 이상 유무 상황을 문자 또는 무늬의 조합으로 고지하는 표시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6. 외관을 형성하는 스위치 본체;와,
    상기 스위치 본체에 내장되어 경보광을 발생시키는 램프부;와,
    상기 스위치 본체에 내장되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부저부;와,
    상기 스위치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램프부와 부저부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램프부, 부저부, 타이머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투명한 재질의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와 부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
KR1020120055866A 2012-05-25 2012-05-25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일체형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 KR101362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866A KR101362791B1 (ko) 2012-05-25 2012-05-25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일체형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866A KR101362791B1 (ko) 2012-05-25 2012-05-25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일체형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911A KR20130131911A (ko) 2013-12-04
KR101362791B1 true KR101362791B1 (ko) 2014-02-13

Family

ID=49980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866A KR101362791B1 (ko) 2012-05-25 2012-05-25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일체형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7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180B1 (ko) * 2015-06-07 2017-03-22 주식회사 지엔에이치 디지털 알람 제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657A (ko) * 2002-11-04 2004-05-12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부하율 표시장치
KR100733612B1 (ko) 2007-03-14 2007-06-28 박봉서 배전반용 안전 경보장치
KR20090078197A (ko) * 2008-01-14 2009-07-17 한국전력공사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개폐기 투개방 경고장치 및 방법
KR100952984B1 (ko) 2009-08-18 2010-04-15 (주) 동보파워텍 전동기 제어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657A (ko) * 2002-11-04 2004-05-12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부하율 표시장치
KR100733612B1 (ko) 2007-03-14 2007-06-28 박봉서 배전반용 안전 경보장치
KR20090078197A (ko) * 2008-01-14 2009-07-17 한국전력공사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개폐기 투개방 경고장치 및 방법
KR100952984B1 (ko) 2009-08-18 2010-04-15 (주) 동보파워텍 전동기 제어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911A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612B1 (ko) 배전반용 안전 경보장치
JP6674449B2 (ja) 緊急オフスイッチ
US7646575B2 (en) Manually-controlled arc flash energy re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circuit breaker trip units
KR101185179B1 (ko) 공동 주택의 분전 상태 제어를 위한 스위칭 장치
US20070090940A1 (en) Emergency power shutdown management system
KR200384041Y1 (ko) 배전반용 안전 경보장치
KR20120058953A (ko) 수배전반의 안전관리장치
KR101086455B1 (ko) 스마트 수배전반의 상태표시시스템
PL1776710T3 (pl) Układ wyłącznika zabezpieczającego
KR20110043567A (ko) 과열보호 음성경보장치가 내장된 분전반/저압배전반
KR20130125691A (ko) 소화기가 구비된 분전반
KR20140002846U (ko) 배전반
KR101362791B1 (ko)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일체형 조광형 누름 버튼 스위치
KR101043964B1 (ko) 안전 경보장치 및 측정수단이 구비된 배전반
KR200381066Y1 (ko) 디지털 수배전반 스위치 제어장치
CN104409974B (zh) 一种带语音警报装置的高压开关柜
KR100889045B1 (ko) 타이머 기능을 가진 디지틀 분전함
KR200386954Y1 (ko) 배전반용 안전 경보장치의 부스바 온도표시기 결합구조
KR20050080716A (ko) 감전 재해 예방용 경보장치
KR102312689B1 (ko)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
KR100826887B1 (ko) 변전소 작동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디지탈 모니터링시스템의 모듈화된 스위치모듈을 이용한 차단기 전원제어장치
CN104868383A (zh) 一种户外防盗配电箱
KR101163165B1 (ko) 간이형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KR101061676B1 (ko) 대기전력 차단 및 그 차단 해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83514B1 (ko) 이벤트 레코딩 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내장형 수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