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672B1 - 조광기 랙 - Google Patents

조광기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672B1
KR0185672B1 KR1019900003983A KR900003983A KR0185672B1 KR 0185672 B1 KR0185672 B1 KR 0185672B1 KR 1019900003983 A KR1019900003983 A KR 1019900003983A KR 900003983 A KR900003983 A KR 900003983A KR 0185672 B1 KR0185672 B1 KR 0185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mer
rack
module
terminal means
electric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810A (ko
Inventor
더블유.커닝햄 데이비드
에프.에사코프 그레고리
Original Assignee
린,래리 제이
엔에스아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래리 제이, 엔에스아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린,래리 제이
Publication of KR900014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조광기 랙
제1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광기 랙의 정면도.
제1B도는 제1A도에 나타낸 조광기 랙을 측면에서 본 입면도.
제1C도는 제1A도에 나타낸 조광기 랙의 상면도.
제2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광기 랙에 대해 도어를 개방하고 모든 조광기 모듈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2B도는 전원 버스와 신호 분배 카드 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
제2C도는 부하 커넥터 단자와 중성 단자판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재성형된 조광기 모듈을 포함하는 조광기 랙 조합체의 전개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라인 4-4를 따라 절단한 면을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라인 5-5를 따라 절단한 면을 나타낸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라 나란히 배치된 2개 이상의 조광기 랙의 교차 버스 연결을 도시한 정면도.
제7도는 전력 버스 및 신호 분배 카드와 맞물리는 조광기 모듈과 연결부에 접속된 접점을 나타낸 도면.
제8도는 선반에 맞물리는 조광기 모듈의 설명을 위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2 : 조광기 랙
14 : 조광기 모듈 16 : 도어
20 : 제어 모듈 26 : 배기용 송풍기
30 : 전력 분배 버스 32 : 신호 분배 카드
37 : 부하 커넥터 연결기
본 발명은 전자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외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백열 램프와 같은 조명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조광기(調光器) 모듈(dimmer module)을 장착하기 위한 다수의 구획 성분을 갖는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 장치는 조광기 랙(dimmer rack)으로 칭하기도 한다. 조광기 랙을 이용하는 조광 제어 시스템은 이미 건축, 극장 및 텔레비젼 세트와 같은 많은 조명 제어 응용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광기 랙은 다수의 개별 조광기 모듈이 장착되고 입력 전력 및 제어 신호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기계적 수단을 제공한다. 그리고 각 조광기 모듈은 백열 램프와 같은 특정 조명 장치 군 또는 뱅크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조광기 모듈은 조광기 랙의 전기 회로를 통해 자신에게 전달된 입력 전력 및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된 전력량을 조광기 랙의 전기 회로를 통해 조명 장치로 전달함으로써 이 장치를 동작시키게 된다.
종래 기술에 다른 조광기 랙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6 개 내지 200 개 이상의 소정수의 플러그 접속 방식(plug-in)의 조광기 모듈과 1 개 이상의 플러그 접속 방식의 제어 모듈을 허용하는 알루미늄 쉘과 섀시 구조가 제공되어 왔다. 이 알루미늄 쉘 및 섀시 구조체의 뒷면 패널에는 입력 및 출력 커넥터가 위치하며, 이 구조체에 입력 신호와 제어 신호가 접속되고 출력 전력이 전달되어 조명 장치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조광기 랙은 이들의 설계와 관련하여, 그리고 조광기 랙에 개개의 조광기 모듈을 장착시키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제거 가능 선반 및 구획 성분을 포함하는 사용에 있어서 몇 가지 무제점을 가지고 있다. 조광기 모듈에 배선을 접속('결선'과 동일 의미로 사용됨)하거나 접속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소정의 기계 소자들을 부착 및 제거하고 나서야 배선 접속을 할 수 있고 조광기 랙이 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었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조광기 랙의 배치 및 기계적 설계가 곤란하며 불편하고 시간을 많이 소모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조광기 랙의 다양한 전기 접점의 물리적 위치는 그 적절함이나 최종적인 결과 등을 고려하지 않고 정해졌다. 입력, 출력 및 제어 신호 분배 접점들이 위치 설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전기적으로 중성인 접점의 위치는 결과를 고려하지 않은 채로 설정되는 것이 빈번하였으므로, 까다롭고 접근이 어려운 위치에 배치되어 배선 접속 문제를 복잡하고 어렵게 만들게 되었다.
조광 제어 시스템에서는 상당한 양의 전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전력을 조명용 부하에 공급할 때는 3상 전력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종래의 조광 시스템은 입력 전력의 상이한 각각의 위상에 접속된 조광기 모듈 군(group)들이 나란히 위치되도록 설계된 조광기 랙을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조광 시스템에 의해 구동될 조명용 부하의 규모가 크고 나란히 위치한 다수의 조광기 랙을 사용하고자 할 때, 랙과 랙 사이의 전기적 버스 연결이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하나의 랙을 다음 랙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버스 바(bus bar)를 배치시킬 적당한 위치를 찾아야만 했다. 통상적으로, 버스 바는 조광기 랙의 뒷면 또는 바닥에 위치되어야만 했다. 그리고 이 버스 바에 케이블이 다양한 위상으로 연결되었으며, 몇몇 경우에 있어서, 랙과 랙 사이의 전기적 통신을 이루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이러한 케이블을 이용하는 공정은 까다롭고 비용이 많이 들었다.
상이한 위상 사이를 서로 방해되지 않도록 분리하는 문제도 있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조광기 랙은, 또한 그 전류 차단 능력이 제한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통상적인 종래 기술의 시스템에 있어서, 조광기 랙의 상한 정격(rating)은 10,000 amp 이다. 더 높은 정격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류 트랩 회로 형태의 퓨즈가 부가적으로 제공되어야 했다. 종래의 기술의 조광기 랙에 있어서 전류 트랩 회로는 불편하고 제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어려운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조광기 랙의 설계에 있어서, 조광기 제어 시스템에 대한 백업 동작 모드의 필요성이 안식되어 왔다. 이러한 백업 동작 모드는, 제어 콘솔 또는 제어 모듈 전자장치의 동작 오류(고장)의 경우에, 다른 임의의 조광기 모듈로 하여금 전력을 수신하고 임의의 조명 부하를 온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몇몇 형태의 회로가 필요하였다.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은 필요성은 임의의 선택된 조광기 모듈 회로에 고정배선(hard wired)된 제한된 수의 다이오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설계의 단점은 유연성이 결여되어 있어 매우 특정된 그리고 매우 제한된 수의 회로만이 바이패스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용자는 각각의 모든 모듈이 바이패스되는 지의 여부를 선택할 능력이 없다. 다이오드를 고정 배선화한다는 것은 이 다이오드들에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다이오드들을 변경하거나 재정렬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설정, 기능 수행 및 사용이 편리 하고 용이한 조광기 랙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든 전력 및 신호 분배 하드웨어는 용이하게 접근이 가능하다. 랙과 랙 사이의 버스 연결을 편리하고 안전하며 간단하게 구성하기 위해 상이한 각각의 전력 위상이 수직으로 분리된다. 비상용 스위치들은 제어 장치로부터 분리되어 있어서, 쉽게 접근이 가능하고 재프로그램할 수 있다. 각각의 조광기 모듈에 하나씩의 비상용 스위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광기 랙은 모든 조광기 모듈이 하나의 단일 수직 열로 정렬되어 있어서, 종래 기술의 나란한 다수의 모듈 열에 공간을 두고 분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구획 성분과 하드웨어를 설치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설편 및 홈(tongue and groove) 정밀도로 각각의 모듈을 수요하도록 구성된 수평 선반(shelf)을 구비한 모듈 정착용 트랙을 제공한다. 상기 선반에는 일체형으로 성형된 탭(tap)이 제공되어, 조광기 모듈의 하우징의 바깥면에 성형된 슬롯과 맞물림으로써, 각 모듈을 선반의 제위치에 정확히 배치하고, 각 모듈의 입력, 출력 및 제어 신호 분배 버스와의 전기적 접속 및 비접속을 제어한다.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조광기 모듈에 그리고 조강기 모듈로부터 분배하기 위한 하드웨어는 제공된 랙의 각 측면에 위치하며, 연장된 나란한 전기 버스 바의 형태 또는 단자판(terminal strip)접속의 형태를 갖는다. 랙의 한 측면에는 입력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조광기 모듈에 접속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랙의 다른 측면에는 조광기 모듈을 전력 출력 단자에 접속시키는 출력 전력 접속판이 중성 전기 접속판과 인접하고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조명 부하에 대한 조광기 랙의 배선과 복귀 배선은 매우 단순하게 되어, 구획 성분 및 부착된 하드웨어의 제거와 재삽입 없이 신속하게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광기 랙은 모듈을 단일의 수직 스택에 수용 및 적재하고, 전기 입력 전력의 3상 각각에 대한 3 개의 버스 바는 하나의 버스 바 아래에 다른 하나의 버스 바가 오는 식으로 수직으로 공간 이격되어 있다. 이로써, 다루기 힘든 케이블을 이용하여 랙을 기저부에 버스 바 또는 외부 버스 바 와 함께 위치시킬 필요가 없이, 랙과 랙 사이를 측벽을 통해 랙의 한 면에서 다른 면으로 버스를 직접 교차연결할 수 있게 되어, 인접한 위상들에 대하여 하드웨어에 매우 인접하게 교차시키거나 통과시켜야하는 전기적 상호 교차연결 또는 다른 배선 또는 버스 연결 정렬을 수행할 필요성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자신들이 수용되는 다수의 모듈 홀더와 수직으로 연장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다수의 조광기 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조광기 랙을 제공한다 제1 전기 단자(electrical termination) 수단은 제어 신호를 수신 및 분배하는 하우징의 제1 측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2 전기 단자 수단은 상기 제1 단자 수단에 인접한 하우징의 제1 측면에 결합되어, 조광기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입력 전력을 수신 및 분해한다.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면에는, 제3 전기 단자 수단이 있으며, 이 제3 전기 단자 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조광기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출력 전력을 수신하고 조광기 랙에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되어 있는 조명 부하에 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기 단자 수단은 조광기 모듈 각각을 수용하고, 이 각각의 조광기 모듈과 플러그 접속 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광기 랙은 종래 기술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갖는다. 조광기 모듈의 삽입 및 제거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다루기 힘든 위치 설정 및 모듈 지지용 하드웨어를 제거할 수 있게 되며, 종래 기술의 설계에 사용되었던 정밀하지 못한 허용 오차를 유지하기 위해 설계된 무겁고 비싼 커넥터를 구비할 필요도 없다. 모듈을 단일의 수직열로 정렬시킴으로써, 매우 효율적이면서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해져 조광기 랙에 필요한 공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모듈을 수직으로 정렬시킴으로써, 전력 위상의 분리가 가능해져 다수의 랙이 요구된 경우 수평으로 일련의 랙과 랙 사이의 버스 연결이 가능해진다. 선반은 일체형 랩과 함께 사출 성형된다. 일체형 랩은 조광기 모듈의 외부 하우징에 있는 짝을 이루는 슬롯에 맞물리게 되어, 조광기 모듈은 입력 및 출력 전력, 중성 접속 및 신호 분배에 사용되는 간소화되고 정교한 버스를 정밀하게 정합할 수 있으며, 이 버스를 선택하여 원활하게 접속될 수 있다. 모든 접점은 편리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완전한 바이패스 모드 동작은 용이하게 접근 가능한 사용자가 각각의 모든 조광기 모듈에 사용되는 전력 스위치를 차단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광기 랙은 제1A, 1B 및 1C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광기 랙(10)은 하우징(12)과 다수의 조광기 모듈(14)을 구비하며, 이 다수의 조광기 모듈(14)은 하우징(12) 내에서 하나의 모듈 위에 다른 모듈이 수직으로 적재된 구성을 갖는다. 도어(16)는 조광기 랙(10)의 정면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폐쇄하고, 조광기 랙 내의 다수의 조광기 모듈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 도어(16)의 폭은 조광기 랙의 정면 개구부 폭의 60% 이하의 치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광기 랙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모든 모듈이 포함된 단일의 수직 적재부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하나의 조광기 랙에 포함될 수 있는 수보다 많은 조광기 모듈이 필요할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조광기 랙은 각 랙의 다양한 전기적 위상과 다른 전기적 기준점을 랙의 측면이 서로 인접하도록 수평으로 교차 연결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광기 랙의 최상단에는 도어 잠금부(18)가 제공되며, 랙의 바닥에는 도어 잠금부가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기저부 영역(24)의 위, 그리고 조광기 랙의 바닥에는 하나 이상의 제어 모듈(20)이 제공되어, 조광기 랙과 이 조광기 랙에 장착된 조광기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장치를 포함하게 된다. 통상적인 구성에 있어서, 조광기 랙의 최상단에는 배기용 송풍기(exhaust fan)(26)가 배치되며, 송풍기에 의해 발생된 공기를 조광기 랙을 통해 수직 상향으로 흐르도록 방향이 설정 되어 있다. 배기용 송풍기(26)의 외부에는 원형 그릴(28)이 위치한다. 각 랙의 측면 패널에는 돌출 패널(17)이 제공되어, 랙간의 버스 연결이 요구될 때 랙과 랙 사이의 버스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광기 랙이 제2A도, 제2B도 및 제2C도에 더욱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2A도는 조광기 모듈을 제거하고 도어(16)를 완전히 개방한 조광기 랙(10)의 정면을 나타낸 입면도이다. 조광기 랙을 정면에서 살펴보면, 조광기 랙의 좌측에는 전원 버스(30)와 신호 분배 카드(32)가 배치되어 있다. 조광기 랙의 우측에는 중성 버스(35)와 부하 커넥터 연결부(load connector fittings) 또는 단자(37)가 배치되어 있다. 조광기 랙의 바닥에는 접지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러그(lug;돌기부)(56)가 고착되어 있다.
제2B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광기 랙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조광기 랙의 좌측에는 전력 분배 버스(30)와 신호 분배 카드(32)가 나란하게 위치되어 있다. 도시된 신호 분배 카드(32)는 다수의 도전 영역(34)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이 도전 영역(34)은 3 개가 한조를 이루어 신호 분배 카드(32)의 전체 길이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다수의 도전 영역(34)은 랙에 장착된 조광기 모듈의 플러그 접속 방식의 리셉터클(receptacle)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미끄럼 끼워맞춤(slip fit) 지점을 제공한다. 이 리셉터클은 플러그 접속 방식에 따라 버스(30) 및 카드(32)에 맞물리게 되어 있어서, 각각의 모듈은 각 조광기 랙에 장착될 때 각 모듈이 도전 영역(34) 및 버스(30)에 미끄러져 들어가서 접촉하게 된다. 신호 분배 카드(32)에는 비상용 스위치 뱅크(33)가 장착되어, 각각의 조광기 모듈로 하여금 제어 콘솔 또는 제어 모듈의 동작 오류시에 바이패스 동작 모드에서 온(on) 상태나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전력 본배 버스(30) 및 신호 분배 카드(32)는 서로 인접하고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력 분배 버스(30)는 조광기 모듈의 뒷면에서 슬롯 형태의 리셉터클과 맞물리는 연속적인 도전 소자 형태를 갖는다. 전력 분배 버스(3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신장부(36)는 신호 분배 카드(32)의 뒤쪽에서 전력 분배 버스(30)로부터 직각으로 신장되어 있다. 이 신장부(36)에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 러그(38)가 장착되어 있다. 이 커넥터 러그에 전원 케이블의 입력이 접속되어 조광기 랙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2C도는 전력 분배 버스(30)와 신호 분배카드(32)가 대향하는 조광기 랙의 측면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 커넥터 연결부(37)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날개 모양의 접촉부(40)를 포함한다. 이 커넥터 연결부(37)는 모듈 홀더 위에 장착되어 모듈 홀더에 스냅(snap)식으로 끼워맞춰진다. 접촉부(40)는 모듈 홀더의 측벽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어서, 신호 분배가드 및 전력 분배 카드 및 전력 분배 버스와의 접점과 대향하는 모듈 홀더의 측면에 위치한 조광기 모듈의 뒷면에 있는 슬롯 모양의 리셉터클과 맞물릴 수 있게 된다. 부하 커넥터 연결부(37)는, 또한 다수의 리셉터클(44)과 조임 나사(46)를 구비한다. 조광기 랙으로부터 백열 램프 또는 다른 부하 소자까지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배선은 리셉터클(44)에 삽입되어 조임 나사(46)에 의해 고정된다. 각각의 배선은 각각의 개별 조광기 모듈에 의해 구동되는 램프 또는 램프 세트까지 연장되어 있다. 구동될 램프부하로부터 다시 연장하는 복귀 배선(49)은 부하 커넥터 연결부(37)에 인접하여 장착된 중성 케넥터판(50)에 연결되며, 이 중성 커넥터판(50)도 리셉터클과 조임 나사가 제공되는 구성을 갖는다. 제2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성 커넥터판(50)은 연속하는 직사각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여기에 다수의 리셉터클(51)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구멍 내의 조임 나사(52)는 리셉터클(51)에 삽입된 배선을 조이게 된다. 커넥터판(50)은 러그(54)에 의해 입력 전력의 중성 측에 접속된다. 각각의 리셉터클(51)은 케이블 또는 배선(49)에 의해 조명 부하의 측면에 연결되며, 이 조명 부하는 조광기 모듈로부터 접점에 대향함으로써 조명 부하에 대한 복귀 회로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2C도에 도시된 하나의 조명 부하(150)는 복귀 배선(49a)과 개별 배선에 연결된다. 즉, 부하 커넥터 배선(49a)은 연결부(37) 각각에 삽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모듈로부터 접촉부(40)와 부하(150)로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동시 계속 출원인 1989년 2월 9일에 출원된 제308,809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조광기 모듈은 하나의 모듈 위에 다른 모듈이 적재되며, 신호 분배 카드(32), 전력 분배 버스(30) 및 접촉부(4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조광기 모듈의 뒷면에 형성된 슬롯 모양의 리셉터클에 의해 신호 분배 카드, 전력 분배 버스 및 부하 커넥터 연결부에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제7도는 하나의 모듈(14)을 위에서 내려다본 도면으로서, 모듈(14)은 버스(30), 카드(32) 및 접촉부(40)와 맞물리게될 것이며, 모듈이 랙의 각각의 선반 안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모듈(14)의 뒷면에 형성된 슬롯 모양의 리셉터클(230,232 및 240)은 버스(30), 카드(32) 및 접촉부(40)와 각각 기계적으로 맞물리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조광기 랙의 각각의 측면에는 다수의 성형된 트랙(58)이 장착된다. 각각의 트랙은 선반 부분(78)과, 안내 부분으로서 기능을 하는 한쌍의 일체형으로 형성된 탭(60)을포함한다. 이 탭(60)은 각 트랙의 평면으로부터 위쫄 및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각각의 단부에 인접한 조광기 모듈 하우징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슬롯과 맞물리게 된다. 이런 방식으로, 조광기 랙의 트랙(58)은 조광기 모듈을 그들 각각의 리셉터클으로의 입출(入出)을 안내하고, 각 트랙의 뒷면에 제공된 전기 접속용 하드웨어와의 맞물림과 맞물림 해제를 안내하게 된다.
제3도를 참조하여 보면, 이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조광기 랙의 전개(展開)사시도이다. 조광기 랙은 뒷면 프레임 부재(66), 조광기 랙의 한 측면에서 뒷면 프래임 부재에 부착된 제1 압출형 측벽(72) 및 조광기 랙의 다른 측면에서 뒷면 프레임 부재(66)에 부착된 제2 압출형 측벽(74)을 구비한다. 조광기 모듈의 안내 트랙(58)은 측벽(72, 74)의 내부로 미끄러져 끼워맞춰지게 된다. 예를 들어,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14)은 하우징의 제1 및 제2 측벽(72, 74)에서 선반(58)과 맞물린다. 탭(60)은 각각의 단부에 인접하는 모듈(14)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각각의 슬롯(160) 안으로 연장된다.
신호 분배 카드(32) 및 전력 분배 버스(30)의 더욱 상세한 도면이 제3도의 라인 4-4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로서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분배 카드(32)는 전력 분배 버스(30)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절연 스페이서(90)에 의해 전력 분배 버스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신장부(36)에는 돌출부(38)가 고정되어 있어서, 조임 나사(46)가 수용될 때 리셉터클(44)을 한정한다.
제5도에 있어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대향 측면에는 전원의 중성 단자에 대한 조명 부하의 전기 회로를 완성하기 위한 부하 커넥터 연결부(37)와 중성 단자판(50)이 정착되어 있다. 이들은 제5도에 제3도의 라인 5-5를 따라 취해진 단면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부하 커넥터 연결부(37) 중 하나의 접촉부(40)들 중의 하나가 트랙(58)의 제위치에 스냅식으로 끼워맞춰진 경우를 제5도에 도시하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44)과 조임 나사(46)를 구비하는 러그(37)가 도시되어 있으며, 접촉부(40)는 조광기 모듈로부터 이 조광기 모듈에 의해 구동되는 백열 램프 또는 다른 조명 장치로 연결된 배선에 접속된다. 러그(37)의 뒤에 있는 중성 단자판(50)은 리셉터클(51)과 조임 나사(5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하나의 조광기 랙과 인접한 다른 조광기 랙을 교차 버스 연결시키는 것이 편리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제6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2 개의 조광기 랙(114,116)이 도시돠어 있다. 위상 A 에 대한 전원 버스(94)는 조광기 랙(114)의 좌측에 도시되어 있으며 , 위상 B 에 대한 전원 버스(96)와 위상 C 에 대한 전원 버스(98)도 마찬가지로 랙의 좌측에 위치한다. 수평 버스바(112)는 버스(94)상의 러그 연결부로부터 전류 트랩 회로(선택사항)와 같은 퓨즈 소자를 거쳐 조광기 랙(116)상의 A의 전원 버스(124)상에 장착된 커넥터로 연장되어 있다.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3 개 이상의 조광기 랙이 요구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수평 버스 바가 인접한 랙들과 접속된다. 중성 버스 바(126)는 각 랙상의 중성 접점과 상호 접속된다. 위상 B의 버스 바(128)는 전원 버스(96)으로부터 랙(116)의 위상 C 의 버스 바(118)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위상 C 의 버스 바(130)는 2 개의 랙(114, 116) 사이에서 연장되며, 전원 버스(98)를 랙(116)상의 버스(120)에 상호 접속시킨다.
조광기 랙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제1 조광기 랙에 인접하여 배치된 조광기 랙상의 러그까지 제거된 돌출부 또는 패널에 의해 랙과 랙 사이의 위상간의 상호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런 설계 방식으로 인해, 랙간의 상호 접속을 매우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랙간의 상호 접속을 구성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많은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다양한 수평의 랙 접속 버스에 대한 입력은 위상 A에 대한 케이블(132), 위상 B에 대한 케이블(134), 위상 C에 대한 배선(136) 및 입력 전원의 중성 접속에 사용되는 배선(138)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해, 조광기 랙은 이 랙의 양측면을 따라 조광기 모듈을 수용하고 조광기 모듈과 연동(interlock)하기 위한 연동 안내 소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종래 기술의 특징인 구획 성분, 지지 레일 및 트레이(tray)를 제거할 수 있다. 중성 단자판은 조광기 모듈으로부터 출력 전력을 수신하는 접촉부와 결합하는 단자판과 인접하여 위치하여, 출력 전력 단자와 중성 단자가 평행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영역에 있는 랙의 후면에서 나란하게 위치함으로써, 조광기 랙으로부터 조명 부하까지의 배선과 조명 부하로부터의 복귀 배선이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광기 랙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3상 전력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위상 A는 랙의 상단에 위치하고, 위상 B는 랙의 중간에 위치하며, 위상 C는 랙의 바닥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위상들을 분리함으로써, 랙간의 버스 연결은 간단한 수평 버스 바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 수평 버스 바는 각각의 위상으로부터 다른 측면에 있는 랙에 인접하여 위치한 랙에서의 동일 위상의 상호 접속점까지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조광기에 사용되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비상용 스위치를 제공한다. 이 비상용 스위치는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신호 분배 카드상에 위치하며.. 정상적인 온(on)상태 또는 정상적인 (off)상태로 프로그램 되어 있다. 조광기 랙이 사용되는 제어 장치나 제어 콘솔이 오류 동작을 할 경우에, 비상용 스위치는 프리셋(preset) 상태로 되고, 조광기 랙의 전자 장치는 전원으로부터 구동될 조명 부하의 선택된 부분으로 전력이 직접 전송되도록 바이패스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광기 랙은 현재 이용 가능한 어떤 것보다 동일하거나 더 나은 전류 차단 능력을 갖는다. 이러한 회로 구성과 하드웨어 설계에 의해 매우 높은 전류 레벨인 경우에도 전류를 차단할 수 있고, 이것은 조광기 랙의 심각한 손상 또는 파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광기 랙은 이 조광기 랙에 장착된 각각의 조광기 모듈에 용이하게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과, 조광기 모듈을 조광기 랙의 제위치에 유지 및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도어를 포함하여 조광기 랙의 크기를 소형화한 구성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이 도이는 조광기 랙 또는 조광기 모듈의 1/3 만을 덮기 때문에, 본 발명의 조광기 랙은 종래 기술에서 조광기 랙의 전체 폭을 차지하는 도어를 개방하고 패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없었던 공간에 위치시킬 수 있다.

Claims (18)

  1. 다수의 조광기 모듈을 지지하는 조광기 랙에 있어서,
    수직으로 신장된 하우징과;
    수직으로 적재된 다수의 조광기 모듈을 수용하는 다수의 모듈 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에 결합되어 제어 신호를 수신 및 분배하는 제1 전기 단자 수단과 :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전기 단자 수단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조광기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입력 전력을 수신 및 분배하는 제2 전기 단자 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는 면에 결합되며, 상기 조광기 모듈로부터 출력 전력을 수신하여 이 전력을 조광기 랙에서 비교적 멀리 위치한 조명 부하에 전달하는 제3 전기 단자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기 단자 수단은 조광기 모듈 각각을 수용하고, 이 각각의 조광기 모듈과 플러그 접속 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기 랙.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뒷면에서 이 하우징의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는 면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중성인 단자를 제공하며, 상기 조명 부하와 조광기 모듈 사이에서 전력 회로를 구성하는 전기적인 상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제4 전기 단자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기 랙.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기 단자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수직 방향으로 신장된 전기적 버스 바와, 이 전기적 버스 바와 입력 전원을 상호 접속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조광기 랙.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기 단자 수단은 수직으로 정렬된 3 개의 신장된 전기적 버스 바와, 상기 각각의 버스 바를 입력 전원의 3 위상 각각에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기 랙.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모듈 홀더는 선반과, 이 선반에 직각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방향 탭을 구비하며, 상기 조광기 랙의 측벽에 고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기 랙.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단자 수단은 수직 방향의 신호 분배 카드를 구비하며, 상기 신호 분배 카드는 다수의 접촉 군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접촉 군 각각은 조광기 모듈 각각에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히는 조광기 랙.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기 단자 수단은 다수의 단자를 구비며, 상기 다수의 단자 각각은 상기 조광기 랙의 출력 전력 접촉부에 상호 접속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날개 모양의 접촉부와, 상기 다수의 단자를 전원이 공급되는 조명 부하에 접속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기 랙.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자는 단일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다수의 모듈 홀더 중 하나에 각각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기 랙.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전기 단자 수단은 상기 수직 방향의 단자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수직 방향의 신장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기 랙.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된 부재는 다수의 리셉터클과, 상기 신장된 부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과 관련된 다수의 조임 나사를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쌍을 이룬 리셉터클은 각각의 모듈 홀더와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기 랙.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모듈 홀더는 선반 및 적어도 하나의 수직 방향의 탭을 구비하며,상기 선반은 상기 조광기 랙의 각각의 측벽에 고착되며, 상기 탭은 상기 조광기 랙의 하우징 내에 형성되어 상기 탭과 관련된 슬롯과 정합하여 맞물리도록 방향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기 랙.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선반은 일정 간격 이격되고 수직 방향이며 일체형으로 형성된 한쌍의 탭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탭 각각은 상기 각 선반의 평면 위로 연장하는 부분과 상기 평면 아래로 연장하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기 랙.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탭 중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부분은 상기 선반에 있는 조광기 모듈의 밑면에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탭 중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부분은 상기 선반의 아래에 놓이는 조광기 모듈의 상면에 형성된 슬롯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기 랙.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군에 장착되며 상기 조광기 랙의 내부에 고착되는 다수의 온/오프 스위치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온/오프 스위치 각각은 상기 다수의 조광기 모듈 각각과 관련되어, 상기 조광기 랙이 오류 동작을 할 경우 상기 조광기 모듈을 전기적으로 바이패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기 랙.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기 랙의 정면에서 상기 제1 측면 상에 경첩식으로 장착된 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조광기 랙의 정면 개구부의 폭에 대해 50% 이하의 폭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기 랙.
  16. 다수의 조광기 모듈을 각각 지지하는 다수의 조광기 랙으로 이루어진 조광기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조광기 랙은, 수직으로 신장된 하우징과 : 수직으로 적재된 다수의 조광기 모듈을 수용하는 다수의 모듈 홀더와 :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에 결합되어 제어 신호를 수신 및 분배하는 제1 전기 단자 수단과 :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전기 단자 수단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조광기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입력 전력을 수신 및 분배하는 제2 전기 단자 수단과 :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는 면에 결합되며, 상기 조광기 모듈로부터 출력 전력을 수신하여 이 전력을 조광기 랙에 대해 비교적 멀리 위치한 조명 부하에 전달하는 제3 전기 단자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기 단자 수단은 조광기 모듈 각각을 수용하고, 이 각각의 조광기 모듈과 플러그 접속 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조광기 랙으로 이루어진 조광기 조합체.
  17.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기 단자 수단은 수직 방향으로 신장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버스 바와, 이 버스 바와 입력 전원을 상호 접속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조광기 랙으로 이루어진 조광기 조합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기 단자 수단은 수직으로 정렬된 3 개의 신장된 전기적 버스 바와, 상기 각각의 버스 바를 입력 전원의 3 위상 각각에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조광기 랙으로 이루어진 조광기 조합체.
KR1019900003983A 1989-03-28 1990-03-24 조광기 랙 KR0185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29632 1989-03-28
US07/329,632 US4977484A (en) 1989-03-28 1989-03-28 Dimmer r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810A KR900014810A (ko) 1990-10-25
KR0185672B1 true KR0185672B1 (ko) 1999-05-15

Family

ID=2328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983A KR0185672B1 (ko) 1989-03-28 1990-03-24 조광기 랙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977484A (ko)
EP (1) EP0390328B1 (ko)
JP (1) JPH02288093A (ko)
KR (1) KR0185672B1 (ko)
CA (1) CA2012102C (ko)
DE (1) DE69009821T2 (ko)
ES (1) ES2019849A4 (ko)
MX (1) MX1667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5765A (en) * 1984-08-15 1993-07-06 Michael Callahan Inductorless controlled transition and other light dimmers
US5629607A (en) * 1984-08-15 1997-05-13 Callahan; Michael Initializing controlled transition light dimmers
US5319301A (en) * 1984-08-15 1994-06-07 Michael Callahan Inductorless controlled transition and other light dimmers
US5352958A (en) * 1992-11-19 1994-10-04 Cunningham David W Lighting control system dimmer module with plug-in electrical contacts
US5640061A (en) * 1993-11-05 1997-06-17 Vari-Lite, Inc. Modular lamp power supply system
US20020105290A1 (en) * 1996-03-06 2002-08-08 Chansky Leonard M. Theatrical lighting control network
WO1995013498A1 (en) * 1993-11-12 1995-05-18 Colortran, Inc. Theatrical lighting control network
US5550440A (en) * 1994-11-16 1996-08-27 Electronics Diversified, Inc. Sinusoidal inductorless dimmer applying variable frequency power signal in response to user command
EP0727920B1 (en) * 1995-02-15 2001-05-23 Vari-Lite, Inc. Techniques for controlling remote lamp loads
US5770928A (en) 1995-11-02 1998-06-23 Nsi Corporation Dimming control system with distributed command processing
US5751119A (en) * 1996-01-16 1998-05-12 Nsi Corporation High density plug-in dimmer module for lighting control systems
US5789908A (en) * 1996-03-08 1998-08-04 Nsi Corporation Lighting dimmer rack with removable connector modules
US6653802B1 (en) 1998-11-10 2003-11-25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Standard electronics rack-mounted dimming control system with plug-in power modules and common plug-in control module
US6707256B2 (en) * 2002-06-25 2004-03-16 Electronic Theatre Controls, Inc. Dimmer pack
US20060146581A1 (en) * 2004-12-27 2006-07-06 Rack Distribution Products, Llc Power distribution device
US8472167B2 (en) * 2010-10-05 2013-06-25 Ixia High current clamping connector
US9601907B2 (en) * 2013-04-18 2017-03-21 Abl Ip Hold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 protection for a universal load control cabine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3975A (en) * 1950-04-07 1952-04-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Switchboard construction
US3758828A (en) * 1972-02-29 1973-09-11 Gen Electric Relay center for remote control wiring system
DE2628489B2 (de) * 1976-06-25 1978-07-2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Aufnahmevorrichtung für Geräteeinheiten der elektrischen Nachrichtenübertragungstechnik
GB2154805A (en) * 1984-02-27 1985-09-11 Logitronics Pty Ltd Dimmer switch with removable component sub- assembly
FR2562344B1 (fr) * 1984-03-29 1988-04-01 Alsthom Atlantique Installation de distribution basse tension
FR2612727A1 (fr) * 1987-03-17 1988-09-23 R V Electronique Profile destine a la realisation de boitiers etanches pour circuits electroniques
US4789344A (en) * 1987-06-26 1988-12-06 Eaton Corporation Plug-in connector module for a removable control unit of a motor control ce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810A (ko) 1990-10-25
CA2012102A1 (en) 1990-09-28
MX166772B (es) 1993-02-03
US4977484A (en) 1990-12-11
EP0390328A1 (en) 1990-10-03
JPH02288093A (ja) 1990-11-28
ES2019849A4 (es) 1991-07-16
DE69009821D1 (de) 1994-07-21
EP0390328B1 (en) 1994-06-15
DE69009821T2 (de) 1995-08-31
CA2012102C (en) 1996-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5672B1 (ko) 조광기 랙
EP0413241B1 (en) Plug-in outlet unit for modular furniture power distribution system
US7417848B2 (en) Multiple height, high density horizontal low voltage motor control center
US6062914A (en) Circuit breaker plug in bracket and auxiliary/alarm switch connector for use therewith
CA1219307A (en) Modular interconnecting wiring system with molded mating components
EP2697876B1 (en) Circuit breaker panel
US5071356A (en) Modular terminal arrangement
WO2006025660A1 (en) Power distribution panel
EP1952496A1 (en) Busbar supporting structure for motor control center
US6707256B2 (en) Dimmer pack
KR100500864B1 (ko) 전원 분배기 및 컨트롤 센터
JP2933176B2 (ja) 照明制御及びエネルギ管理装置
EP0673081B1 (en) Terminal box
US5748430A (en) Integrated hybrid surge protector architecture configured to accomodate multiple replaceable communication signal surge protection modules in common housing with AC voltage receptacle terminal strip
US4602313A (en) Control center with vertical control bus device
US5789908A (en) Lighting dimmer rack with removable connector modules
MXPA01011738A (es) Soporte de interruptor de circuito y ensamble de interruptor de circuito.
GB2356295A (en) Distributor for plug-in rack, and plug-in rack without wires
KR20030090758A (ko) 저전압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모듈 랙을 위한 연결장치
AU644563B2 (en) Lighting control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WO2019178080A1 (en) Compact modular bus system for power and data management and distrib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