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8119A - 무선 통신방법 및 무선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방법 및 무선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8119A
KR20040018119A KR1020030038162A KR20030038162A KR20040018119A KR 20040018119 A KR20040018119 A KR 20040018119A KR 1020030038162 A KR1020030038162 A KR 1020030038162A KR 20030038162 A KR20030038162 A KR 20030038162A KR 20040018119 A KR20040018119 A KR 20040018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cket
codeword
codewords
encoding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5187B1 (ko
Inventor
야마모또유끼히로
이누즈까히로유끼
나가야히로시
미야따하찌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40018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1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 H04L1/003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ther detection of signalling, e.g. detection of TFCI explicit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7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6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the same, encoded,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8Unequal error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z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수신장치의 복호회로를 복잡하게 하지 않고 통신품질의 향상을 도모한다.
무선 패킷은 복수 부호어를 저장한다. 각 부호어는 각각 유저데이터 및 에러정정부호를 포함한다. 헤더에는 무선 패킷에 저장되어 있는 부호어의 수를 표시하는 부호어수 정보 및, 부호어를 생성할 때의 부호화 방법을 표시하는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가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방법 및 무선 통신장치{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패킷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시스템, 무선 통신방법 및, 그것을 위한 무선 통신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종래부터, 패킷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시스템이 실용화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무선 통신시스템은 무선 LAN 시스템 등의 사설망이나 공중망의 액서스회선 등에 적용되고 있다.
무선 통신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에러가 발생하기 쉽다. 이로 인해, 무선 통신시스템은 데이터의 정상성을 검사하기 위한 기능이나, 에러난 데이터를 정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여기에서, 데이터의 정상성을 체크하기 위한 기능은, 예컨대 순회 부호검사 (CRC: Cyclic Redundancy Check) 부호에 의해 실현되고 있다. 또, 에러난 데이터를 정정하는 기능은, 예컨대 에러정정부호 (ECC: Error Correction Code) 에 의해 실현되고 있다.
그런데, 무선 통신시스템은 자주 송신패킷이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된 것을 패킷마다 체크하는 프로토콜을 채택하고 있다. 예컨대, 도 12 에서 A 국은 유저데이터를 복수 데이터유닛으로 분해하여 복수 패킷을 생성하고, 그것들의 패킷을 순차적으로 B 국으로 송신하고 있다. 한편, B 국은 패킷을 수신할 때마다 대응하는 ACK 메시지를 A 국으로 반송한다. 이 때, A 국은 송신패킷에 대응하는 ACK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을 때, 다음 패킷을 송신한다. 따라서, 대량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데이터송신」과「ACK 메시지의 수신」이 반복 전송되게 되어 데이터 전송효율이 저하된다.
상기 시스템에서 각 패킷의 데이터 길이를 길게 하면, 데이터 전송효율이 향상된다. 그러나, 각 패킷의 데이터 길이를 길게 하면, 수신장치에 형성되는 에러정정 복호회로의 회로규모가 커지게 된다. 또, 각 패킷의 데이터 길이를 길게 하면, 수신신호를 복호하여 데이터를 재생 처리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통신에서는 데이터 지연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복호회로의 소형화/저비용화나, 지연특성 등의 통신품질을 고려하면, 각 패킷의 데이터 길이를 길게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패킷 중에 복수 부호어를 저장하여 송신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여기에서, 부호어는 서로 독립적으로 블록부호에 의한 에러정정을 실시할 수 있는 데이터의 단위이다. 따라서, 각 부호어에는 각각 에러정정부호 (ECC) 가 부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패킷을 이용하면, 각 부호어 길이가 짧아도 도 12 에 나타내는 ACK 메시지가 반송되는 회수가 적어져 데이터 전송효율이 높아진다. 또, 부호어 길이가 짧으면, 수신장치에 형성되는 에러정정 복호회로의 회로규모를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데이터 지연은 작아진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의 패킷을 이용하는 기술은,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144335호에 시사되어 있다. 또, IEEE802.11 (특히, IEEE802.lle) 에 제안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효율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서는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통신품질의 향상과 함께 거듭된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장치의 복호회로를 복잡하게 하지 않고 통신품질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무선 통신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무선 통신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 은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패킷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는 통신패스마다 설정되어 있는 부호화 파라미터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b 및 도 4c 는 무선 패킷이 송신되는 모양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복호처리를 실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구비한 디코더의 구성도이다.
도 6 은 패킷헤더에 대한 에러정정기능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은 도 6 에 나타낸 다수결기의 구성도이다.
도 8 은 다수결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9a 는 일반적인 패킷 작성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b 는 실시형태에서의 패킷 작성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실시형태의 패킷 작성 순서의 플로 차트이다.
도 11 은 송신방향에 따라 부호어 길이가 다른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무선 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시퀀스의 예이다.
도 13 은 복수 부호어를 포함하는 패킷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친국(親局)
2-1∼2-N: 자국(子局)
11: 인코더
23: 디코더
31: 헤더 추출부
32: 부호화 파라미터 추출부
33: 비교부
34: 복호부
40: 다수결기
43-1∼43-8: 패턴 저장 레지스터
44: 비교부
45-1∼45-8: 카운터
46: 판단부
본 발명의 무선 통신방법은, 데이터를 복수 데이터유닛으로 분해하고, 상기 복수 데이터유닛의 각각에 대해 에러정정부호를 부여함으로써 복수 부호어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 부호어를 저장하는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패킷에 저장되어 있는 부호어의 수를 나타내는 부호어수 정보를 그 패킷에 부여하고, 상기 부호어수 정보가 부여된 패킷을 송신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수신장치는 패킷에 저정되어 있는 부호어의 수를 나타내는 부호어수 정보에 의해 그 패킷의 데이터 길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송신장치는 패킷의 데이터 길이를 직접적으로 표시하는 것보다 적은 비트수로 그 데이터 길이를 수신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결과, 데이터 전송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무선 통신방법은, 송신해야 할 데이터유닛으로부터 부호어를 생성하고, 상기 부호어를 저장하는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유닛으로부터 상기 부호어를 생성할 때의 부호화 방법에 관련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를 상기 패킷에 부여하고, 상기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가 부여된 패킷을 송신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수신장치는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패킷에저장되어 있는 부호어를 복호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복호처리의 낭비를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의 무선 통신방법은,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데이터를 복사함으로써 복수 제 1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복수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복수 제 1 데이터를 각각 재생함으로써 얻어지는 복수 재생데이터에 대해 다수결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다수결처리에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 재생데이터를 제 1 데이터로 출력하고, 수신된 상기 제 2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수신장치는 에러가 발생하고 있지 않는 제 1 데이터 및 에러가 발생하고 있는 제 1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데, 그것들 중에서 실수가 발생하고 있지 않는 제 1 데이터를 바르게 검출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 또, 제 1 데이터에 대해 전용 에러정정 복호회로를 형성하지 않고, 제 2 데이터와 독립적으로 에러정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결처리에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 재생데이터가 얻어진 확률이 미리 결정된 소정 임계값 확률보다 높은 경우에만, 그 재성데이터를 제 1 데이터로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이 순서를 도입하면, 재성된 제 1 데이터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의 무선 통신방법은, 데이터를 복수 데이터유닛으로 분해하고, 상기 데이터의 통신제어 정보를 상기 복수 데이터유닛의 각각에 대해 부여하고, 상기 통신제어 정보가 부여된 복수 데이터유닛의 각각에 대해 에러정정부호를 부여함으로써 복수 부호어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 부호어를 저장하는 패킷을 생성하여 송신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상기 복수 부호어 중 임의의 부호어를 재생할 수 없었던 경우라도, 다른 부호어에 대해서는 부호어마다 설정되어 있는 통신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부호어 (특히, 선두 부호어) 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라도 모든 부호어에 대해 재송을 요구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의 무선 통신방법은, 친국장치와 복수 자국장치 사이에서 1 또는 복수 부호어를 저장한 패킷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실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친국장치로부터 상기 자국장치로 송신되는 패킷에 저장되어 있는 부호어 길이보다, 상기 자국장치로부터 상기 친국장치로 송신되는 패킷에 저장되어 있는 부호어 길이를 길게 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각 자국에 형성하는 디코더의 회로규모를 작게 할 수 있어 무선 통신시스템 전체의 저비용화가 도모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무선 통신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여기에서는, 이 시스템은 친국 (마스터) (1) 및, 복수 자국 (슬레이브) (2-1∼2-N) 을 구비한다. 그리고, 친국 (1) 은 각 자국 (2-1∼2-N) 과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자국 (2-1∼2-N) 은 각각 친국(1) 과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시스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무선 LAN 시스템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무선 통신장치의 구성도이다. 여기에서, 이 무선 통신장치는 도 1 에 나타낸 친국 (1) 또는 자국 (2-1∼2-N) 에 상당한다. 또한, 도 2 에는 생성된 유저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 및, 수신신호로부터 유저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능만 묘사되어 있다.
인코더 (11) 는 유저데이터를 부호화한다. 또한, 부호화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여기에서는 블록부호를 채택하는 것으로 한다. 즉, 인코더 (11) 는 유저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유저데이터를 소정 길이의 데이터유닛 (또는 데이터블록) 으로 분해하고, 각 데이터유닛에 에러정정부호 (ECC) 를 부여한다. 이로써 1 또는 복수 부호어가 생성된다. 확산 변조부 (12) 는 인코더 (11) 로부터 출력되는 부호어 데이터를 확산시킨다. 그리고, RF 프런트엔드부 (13) 는 확산 변조부 (12) 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 송신한다.
RF 프런트엔드부 (21) 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확산 복조부 (22) 는 수신신호를 역확산시킴으로써 부호어를 재생한다. 디코더 (23) 는 확산 복조부 (22) 에 의해 재생된 부호어로부터 유저데이터를 꺼내어 출력한다. 이 때, 유저데이터에 에러가 있으면, 에러정정부호를 이용하여 에러가 정정된다. 또, 디코더 (23) 는 유저데이터에 에러가 있는지의 여부, 또는 유저데이터의 에러를 정정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판정신호를 생성한다.
또 3 은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패킷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송신장치는 유저데이터를 1 또는 복수 무선 패킷에 저장하여 송신한다. 또, 수신장치는 수신된 무선 패킷으로부터 유저데이터를 취출한다.
유저데이터는 미리 결정된 소정의 매 데이터 길이로 분할된다. 이로 인해, 복수 데이터유닛이 생성된다. 또한, 유저데이터의 데이터 길이가 상기 서술한 소정 데이터 길이보다 짧은 경우에는 1 개의 데이터유닛이 생성되게 된다.
각 데이터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부호화된다. 즉, 각 데이터유닛에는 각각 체크비트로서의 에러정정부호 (ECC) 가 부여된다. 여기에서, 이 에러정정부호는 데이터유닛의 비트에러를 체크하기 위한 부호인 동시에, 에러가 있는 경우에 그 에러를 정정하기 위한 부호로 공지된 기술에 의해 작성된다. 그리고, 이로 인해, 1 또는 복수 부호어가 생성된다. 또한, 부호어는 FEC (Forward Error Correction) 블록으로 불리우는 경우가 있다. 또, 블록부호의 에러정정부호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리드솔로몬부호, 허밍부호, BCH 부호, 골레이부호, 파이어부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 패킷에는 1 또는 복수 부호어가 저장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K 개의 부호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서,「K」의 최대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20 정도이다.
또, 무선 패킷의 선두에는 패킷헤더가 부여된다. 그리고, 이 패킷헤더에는 적어도 하기 정보 중 한쪽 또는 양쪽이 설정된다.
(1) 부호어수 정보
(2)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제 1 데이터」는, 예컨대 상기 부호어수 정보 또는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이다. 단,「제 1 데이터」는 이들 정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킷헤더 전체에 상당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한편,「제 2 데이터」는 예컨대 도 3 에 나타내는 1 또는 복수 부호어이다.
부호어수 정보는 무선 패킷내에 저정되어 있는 부호어의 수를 표시하는 정보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부호어수=K」가 얻어진다. 여기에서, 각 부호어 길이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이 부호어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패킷의 데이터 길이를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각 부호어 길이가 228 바이트이며, 무선 패킷내에 20 개의 부호어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무선 패킷의 데이터 길이로서「4560(=228×20)바이트」가 얻어지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시스템에서는 수신장치는 수신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무선 패킷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필요로 한다. 예컨대 IEEE802.11 에 규정되어 있는 포맷에서는 PLCP 헤더 안에 형성되어 있는「프레임 길이」에 의해 데이터 길이가 표시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많은 비트 (즉, 영역) 를 필요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IEEE802.11 에 규정되어 있는 PLCP 헤더에서는「프레임 길이」를 표시하기 위해 2 바이트의 영역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시스템에서는 무선 패킷의 데이터 길이는 부호어수 정보에 의해 표시된다. 여기에서, 각 무선 패킷에 저장되는 부호어의 수는20 정도이며, 수비트의 정보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실시형태의 시스템에서는 무선 패킷의 데이터 길이를 표시하기 위해 1 바이트의 영역이 확보되면 충분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의 시스템에서는 무선 패킷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영역이 작아지므로, 기존의 무선 통신시스템 (예컨대, IEEE802.11 등) 과 비교하여 데이터 전송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부호어수 정보는 블록부호가 실시되지 않는 영역인 패킷헤더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수신장치에서 블록부호의 복호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장치에서 무선 패킷의 데이터 길이를 산출할 때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도 없다.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는 부호어를 생성할 때의 부호화 방법을 표시하는 정보이다.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리드솔로몬부호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부호화율 (예컨대, 데이터: 208 바이트, 에러정정부호: 20 바이트 등) 이 설정된다. 단,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로 설정되는 정보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사용하기 위한 블록부호의 종류를 표시하는 정보 (리드솔로몬부호, 허밍부호, BCH 부호 등), 인터리브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 블록부호/컨벌루션부호의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 등이 설정되어도 된다.
이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는 무선 패킷을 수신한 수신장치가 그 패킷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복호할 때 사용되지만, 그 패킷을 복호해야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처리를 실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 는 통신패스마다 설정되어 있는 부호화 파라미터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각 자국 (2-1∼2-3) 으로부터 친국 (1) 으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각각 부호화 파라미터A 에 의해 지정되는 부호화 방법으로 부호화되고, 친국 (1) 으로부터 각 자국 (2-1∼2-3) 으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각각 부호화 파라미터B 에 의해 지정되는 부호화 방법으로 부호화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친국 (1) 은 부호화 파라미터A 에 의해 지정되는 부호화 방법으로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는 디코더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 각 자국 (2-1∼2-3) 은 각각 부호화 파라미터B 에 의해 지정되는 부호화 방법으로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는 디코더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자국 (2-1) 이 친국 (1) 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국 (2-1) 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패킷에는 부호화 파라미터A 를 표시하는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친국 (1) 은 이 패킷을 수신하면,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를 참조한다. 이 때, 이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는「A」이다. 따라서, 친국 (1) 은 수신패킷에 저장되어 있는 부호어를 복호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복호처리를 개시한다. 이로써, 친국 (1) 은 자국 (2-1) 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자국 (2-1) 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패킷은 자국 (2-2,2-3) 에 의해서도 수신된다. 그러나, 자국 (2-2,2-3) 은 부호화 파라미터A 에 의해 지정되는 부호화 방법으로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는 디코더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해, 자국 (2-2,2-3) 은 수신된 무선 패킷의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가「A」였을때는, 그 패킷에 저장되어 있는 부호어를 복호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자국 (2-2,2-3) 은 자국 (2-1) 으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수신해도 복호처리를 기동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복호할 수 없는 데이터에 대해 복호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회피되므로, 소비전력의 저감에 기여한다.
한편, 친국 (1) 으로부터 자국 (2-1) 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도 4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패킷에는 부호화 파라미터B 를 표시하는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가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 데이터의 착신처 주소는「자국 2-1」이다. 단, 이 착신처 주소는 유저데이터의 일부로 부호어 안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친국 (1) 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패킷은 자국 (2-1∼2-3) 에 의해 각각 수신된다. 이 때, 이 패킷에 설정되어 있는 이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는「B」이다. 따라서, 자국 (2-1∼2-3) 은 각각 수신패킷에 저장되어 있는 부호어를 복호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복호처리를 개시한다. 그리고, 부호어를 복호함으로써 얻어지는 착신처 주소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자국만이 수신데이터를 수용한다. 이로써, 자국 (2-1) 만이 친국 (1) 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도 5 는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복호처리를 실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구비한 디코더의 구성도이다. 또한, 이 디코더는 친국 (1) 또는 자국 (2-1∼2-N) 에 형성된다.
헤더 추출부 (31) 는 수신패킷으로부터 헤더를 추출하고, 그것을 부호화 파라미터 추출부 (32) 로 보낸다. 이 때, 수신패킷에 저장되어 있는 1 또는 복수 부호어는 복호부 (34) 로 보내진다. 부호화 파라미터 추출부 (32) 는 헤더 추출부 (31) 에 의해 추출된 헤더로부터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를 추출한다.
비교부 (33) 는 복호부 (34) 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부호화 파라미터 추출부 (32) 에 의해 추출된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복호부 (34) 에 내려야 할 지시를 작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1 조의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가 서로 일치하고 있으면, 복호부 (34) 에 대해 복호처리의 실행을 지시하고, 상기 1 조의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가 서로 상이하면, 복호부 (34) 에 대해 복호처리의 정지를 지시한다. 여기에서,「미리 설정되어 있는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는, 예컨대 본 장치내의 복호부 (34) 가 실행하는 복호처리에 대응하는 부호화 방법을 특정한다. 따라서, 비교부 (33) 는 복호부 (34) 에서 복호 가능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패킷을 수신했을 때는, 복호부 (34) 에 대해 복호처리의 실행을 지시하고, 복호부 (34) 에서 복호할 수 없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패킷을 수신했을 때는, 복호부 (34) 에 대해 복호처리의 정지를 지시하게 된다.
복호부 (34) 는 비교부 (33) 로부터 부여되는 지시에 따라 복호처리를 실행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복호부 (34) 는 상기 1 조의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가 서로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만, 즉 수신패킷에 복호 가능한 부호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만 기동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의 시스템에서는 블록부호가 실시되지 않는 영역인 패킷헤더에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수신장치는 블록부호의 복호처리를 실시하기 전에, 수신패킷에 복호 가능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복호처리의 불필요한 실행이 회피되어 소비전력의 저감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한 필터링처리의 감소에 기여한다.
그런데, 도 3 에 나타내는 무선 패킷이 송신되었을 때, 비트에러가 발생할 확률은 패킷헤더 및 부호어에서 동일한다. 이로 인해, 패킷헤더에서 발생한 비트에러를 정정하기 위해서는 그 패킷헤더에 대해서도 에러정정부호를 부여해야 한다.
그러나, 만약 그 패킷헤더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수신장치에서 후속 부호어를 복호할 수 없게 된다. 즉, 패킷헤더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는 다른 정보보다 중요도 또는 우선도가 높다. 이로 인해, 패킷헤더에 부여해야 할 에러정정부호는 다른 정보에 대해 부여되어 있는 에러정정부호보다 높은 정정능력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각 무선 패킷에 복수 종류의 에러정정부호가 사용되면, 각 수신장치는 각각 복수개의 에러정정 복호회로를 구비해야 한다. 즉, 수신장치의 디코더의 회로규모가 커지게 된다. 이로써,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시스템에서는 패킷헤더에 대해 에러정정부호를 사용하지 않고 바른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도 바른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한 기능을 에러정정기능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도 6 은 패킷헤더에 대해 에러정정기능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패킷헤더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의 값이「Ho」인 것으로 한다.
송신장치는 무선 패킷를 송신하기 전에 그 헤더를 용장화 (冗長化) 시킨다. 즉, 송신장치는 패킷헤더를 복사함으로써 복수개의 동일한 패킷헤더를 생성하고, 그것들을 무선 패킷의 선두 영역에 설정한다. 이로써, 패킷헤더는 복수회 반복 송신되게 된다. 도 6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헤더 Ho」가 8 회 반복 송신되도록 복사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헤더가 용장된 무선 패킷은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된다. 이 때, 무선 패킷를 구성하는 비트열은 일반적으로 통신환경 등에 따른 소정 확률로 에러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 비트에러는 패킷헤더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6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비트에러에 의해 4 번째 헤더가「H0」로부터「H1」로 변하고, 7 번째 헤더가「H0」로부터「H2」로 변해 있다.
수신장치는 다수결기 (40) 를 구비하고 있다. 다수결기 (40) 는 수신된 8 개의 헤더가 지시하는 값을 조사하여 가장 발생빈도가 높은 헤더값을 검출한다. 도 6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H0」「H1」「H2」는 각각 6 회, 1 회, 1 회 씩 검출되고 있다. 따라서, 이 경우,「H0」가 가장 적합한 (즉, 가장 확실한) 헤더값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수신패킷에 저장되어 전송된 부호어는 이「헤더 H0」를 이용하여 복호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시스템에서는 에러정정부호를 사용하지 않고 패킷헤더에 대한 에러정정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 에러정정기능의 정정능력은, 예컨대 패킷헤더를 반복 송신하는 회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패킷헤더의 에러를 정정하기 위한 블록 복호회로를 형성하지 않고 부호어에 대한 에러정정기능보다 높은 정정능력을 가진 패킷헤더의 에러를 정정하기 위한 에러정정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6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패킷헤더 전체에 대해 다수결처리를 실시하고 있지만, 패킷헤더의 일부에만 다수결처리를 실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컨대 상기 서술한 부호어수 정보만을 용장화시켜 다수결처리를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만을 용장화시켜 다수결처리를 실시하도록 하거나, 또는 부호어수 정보 및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를 용장화시켜 다수결처리를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도 7 은 도 6 에 나타낸 다수결기 (40) 의 구성도이다. 또한, 이 다수결기 (40) 에는 수신패킷의 선두 영역에 설정되어 있는 복수 패킷헤더가 입력된다.
분해부 (41) 는 복수 패킷헤더를 분해하여 1 개씩 출력한다. 입력 레지스터 (42) 는 분해부 (41) 로부터 출력되는 패킷헤더를 일시적으로 유지한다. 패턴 저장 레지스터 (43-1∼43-8) 는 입력 패킷헤더를 그 헤더값마다 유지한다. 비교부 (44) 는 입력 레지스터 (42) 에 유지되어 있는 패킷헤더와, 패턴 저장 레지스터 (43-1∼43-8) 에 유지되어 있는 패킷헤더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카운터 (45-1∼45-8) 를 카운트업한다. 카운터 (45-1∼45-8) 는 헤더값마다 입력 패킷헤더의 수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판단부 (46) 는 카운터 (45-1∼45-8) 의 카운트값에 기초하여 가장 적합한 패킷헤더를 결정한다.
도 8 은 다수결기 (40) 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또한, 이 플로 차트에 의한 처리는 수신장치가 무선 패킷을 수신했을 때에 실행된다. 또, 이 플로 차트에 의한 처리의 개시시에 패턴 저장 레지스터 (43-1∼43-8) 는 비어 있고, 카운터 (45-1∼45-8) 는 리셋되는 것으로 한다.
단계 S1 에서는 변수 (i) 를 초기화한다. 여기에서 변수 (i) 는 무선 패킷에 설정되어 있는 복수 헤더를 식별한다. 단계 S2 에서는 변수 (i) 에 의해 지정되는 헤더 (제 i 번째 헤더) 를 추출하여 입력 레지스터 (42) 에 기록한다.
단계 S3 에서는 입력 레지스터 (42) 에 유지되어 있는 헤더와, 패턴 저장 레지스터 (43-1∼43-8) 에 유지되어 있는 헤더를 비교한다. 그리고, 만약 입력 레지스터 (42) 에 유지되어 있는 헤더와 동일한 헤더가 패턴 저장 레지스터 (43-1∼43-8) 에 유지되어 있을 때는, 단계 S4 에서 그 헤더를 유지하고 있는 모니터 레지스터에 대응하는 카운터 (45-1∼45-8) 를 인크리먼트한다. 예컨대, 입력 레지스터 (42) 에 유지되어 있는 헤더와 동일한 헤더가 패턴 저장 레지스터 (43-1) 에 유지되어 있을 경우에는 카운터 (45-1) 가 인크리먼트된다.
한편, 입력 레지스터 (42) 에 유지되어 있는 헤더와 동일한 헤더가 어느 패턴 저장 레지스터 (43-1∼43-8) 에도 유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단계 S5 에서 입력 레지스터 (42) 에 유지되어 있는 헤더를 패턴 저장 레지스터 (43-1∼43-8) 중 임의의 하나에 기록한다. 계속해서, 단계 S6 에서 그 헤더가 새롭게 기록된 패턴 저장 레지스터에 대응하는 카운터 (45-1∼45-8) 를 인크리먼트한다. 예컨대, 패턴 저장 레지스터 (43-2) 에 새로운 헤더가 기록된 경우에는 카운터 (45-2)가 인크리먼트된다.
단계 S7 및 S8 에서는 단계 S2∼S6 의 처리가 실행되고 있지 않는 헤더가 남아 있는지의 여부가 조사된다. 그리고, 미처리 헤더가 남아 있으면, 변수 (i) 를 인크리먼트하여 단계 S2 로 복귀시킨다. 이로 인해, 다음 헤더에 대해 단계 S2∼S6 의 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모든 헤더에 대해 단계 S2∼S6 의 처리가 실행되면, 단계 S11 이후의 처리가 개시된다.
단계 S11 에서는 카운터 (45-1∼45-8) 중에서 최대 카운트값을 취득한다. 계속해서, 단계 S12 에서는 단계 S11 에서 취득한 카운트값과, 미리 결정되어 있는 임계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카운트값이 임계값보다 크면, 단계 S13 에서 대응하는 헤더를 출력한다. 예컨대, 카운터 (45-1) 의 카운트값이 최대이며, 그 카운트값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패턴 저장 레지스터 (43-1) 에 유지되어 있는 헤더를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 헤더로서 출력한다. 또한, 단계 S11 에서 취득한 카운트값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는, 다수결처리의 신뢰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14 에서 소정 에러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시스템에서는 다수결처리에서 임계값을 도입하고 있어 패킷헤더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그런데, 무선 패킷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중에는 실데이터뿐만 아니라, 실데이터를 제어/관리하기 위한 통신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도 9a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페이로드 데이터뿐만 아니라, 그 페이로드 데이터를 제어/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MAC (Media Access Control) 헤더도 함께 부호화되어 송신된다. 그리고, 이 경우, MAC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는 복수 데이터유닛으로 분할되어 송신된다. 이 때, 각 데이터유닛에는 각각 에러정정부호가 부여된다. 즉, MAC 헤더 및 페이로드 데이터는 복수 부호어 (1) ∼ 부호어 (5) 에 의해 송신된다.
도 9a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MAC 헤더는 부호어 (1) 에 저장되어 있고, 다른 부호어에는 페이로드 데이터만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MAC 헤더에는 송신처정보나 착신처 정보 등의 주소정보 및, 페이로드 데이터의 분해/조립을 실시하기 위한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만약 부호어 (1) 에서 데이터 에러가 발생하고, 에러정정부호에 의해서도 그 에러를 완전히 정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부호어 (1) 뿐만 아니라, 부호어 (2) ∼ 부호어 (5) 도 바른 착신처에 의해 취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MAC 헤더가 저장되어 있는 부호어는 다른 부호어보다 중요도 또는 우선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MAC 헤더를 저장하고 있는 부호어는 다른 부호어보다 높은 정정능력을 가진 에러정정부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각 무선 패킷에 복수 종류의 에러정정부호가 사용되면, 각 수신장치는 각각 복수개의 에러정정 복호회로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디코더의 회로규모가 커지게 된다.
그래서,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시스템에서는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로드 데이터를 매 소정 길이로 분할하여 복수 데이터유닛을 생성하는 동시에, MAC 헤더를 각 데이터유닛에 각각 부여한다. 계속해서, MAC 헤더가 부여된 각 데이터유닛에 대해 각각 에러정정부호를 부여함으로써 복수 부호어 (1) ∼ 부호어(6) 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들 복수 부호어 (1) ∼ 부호어 (6) 를 저장하는 무선 패킷을 작성하고, 그 무선 패킷을 송신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시스템에서는 각 부호어 중에 MAC 헤더가 저장되어 있다. 이로 인해, 예컨대 부호어 (1) 에서 데이터 에러가 발생하고, 에러정정부호에 의해서도 그 에러를 완전히 정정할 수 없는 경우라도 부호어 (2) ∼ 부호어 (6) 에 저장되어 있는 페이로드 데이터는 각 부호어 중에 저장되어 있는 MAC 헤더의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된다. 그리고, 이 경우, 부호어 (1) 에 대해서만 재송을 요구하면 된다. 따라서, 에러정정부호에 의해서도 완전히 정정할 수 없는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을 고려하면, 도 9a 에 나타내는 방법과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데이터 전송효율이 향상된다.
단, 도 9b 에 나타내는 방법에서는 MAC 헤더가 용장적으로 송신되기 때문에, MAC 헤더의 정보량이 많은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도 9b 에서 각 데이터유닛에 대해 MAC 헤더 중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정보를 부여하는 것은 아니며, MAC 헤더 중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중 일부만을 부여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각 데이터유닛에 부여되는 정보는, 예컨대 송신처 정보, 착신처 정보, 페이로드 데이터의 분해/조립을 실시하기 위한 정보 등이다. 여기에서, 페이로드 데이터의 분해/조립을 실시하기 위한 정보로는, 예컨대 원래의 페이로드 데이터를 분해함으로써 얻어지는 복수 데이터유닛을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시퀀스번호 및/또는 블록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0 은 도 9b 에 나타내는 패킷 작성 순서의 플로 차트이다. 여기에서는 MAC 헤더가 부여되어 있는 페이로드 데이터를 무선 패킷에 저장하는 케이스를 상정한다.
단계 S21 에서는 MAC 헤더를 추출한다. 단계 S22 에서는 추출한 MAC 헤더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에서 추출해야 할 정보는, 예컨대 페이로드 데이터의 송신처 주소 및 착신처 주소 등이다. 또한, 이 단계 S22 는 임의로 실행 가능한 처리이며,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처리는 아니다.
단계 S23 에서는 페이로드의 선두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데이터 (데이터유닛) 를 절취한다. 단계 S24 에서는 단계 S23 에서 절취한 데이터유닛에 부여하기 위한 시퀀스번호를 생성한다. 단계 S25 에서는 단계 S23 에서 절취한 데이터유닛에 MAC 정보를 부여한다. 여기에서, MAC 정보는, 예컨대 단계 S22 에서 추출한 정보 및 단계 S24 에서 생성한 시퀀스번호이다. 단계 S26 에서는 MAC 정보가 부여된 데이터유닛에 대해 에러정정부호를 부여함으로써 부호어를 작성한다.
단계 S27 에서는 페이로드데이터가 남아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페이로드데이터가 남아 있으면 단계 S23 으로 되돌아가, 다음 데이터유닛을 잘라낸다. 한편, 페이로드데이터가 남아 있지 않으면 단계 S28 로 진행하고, 단계 S23∼S26 을 반복 실행함으로써 얻어진 복수 부호어를 연결한다. 그리고, 단계 S29 에서 도 3 에 나타낸 무선 패킷의 헤더를 작성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시스템에서는 무선 패킷 중에 복수 부호어가 저장되어 있고, 중요도가 높은 정보가 각 부호어 중에 각각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들 복수 부호어 중 임의의 부호어를 재생할 수 없어도 다른 부호어를 재생할 때그 중요도가 높은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에러정정부호에 의해 완전히 정정할 수 없는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재송해야 할 데이터량이 적어지므로 전체적으로 데이터 전송효율의 향상이 기대된다.
또한, 도 1 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친국 (1) 으로부터 각 자국 (2-1∼2-N) 으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정보량이 적고, 각 자국 (2-1∼2-N) 으로부터 친국 (1) 으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정보량이 많은 경우는, 이하와 같은 설계를 도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와 같은 통신상태가 얻어지는 이용형태로는, 예컨대 자국 (2-1∼2-N) 이 각각 모니터카메라를 구비하고 있고, 친국 (1) 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각 자국 (2-1∼2-N) 으로부터 친국 (1) 으로 화상데이터를 송신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상정된다.
친국 (1) 으로부터 각 자국 (2-1∼2-N) 으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정보량이 적고, 각 자국 (2-1∼2-N) 으로부터 친국 (1) 으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정보량이 많은 경우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친국 (1) 으로부터 각 자국 (2-1∼2-N) 으로 송신되는 패킷에 저장되는 부호어 길이보다, 각 자국 (2-1∼2-N) 으로부터 친국 (1) 으로 송신되는 패킷에 저장되는 부호어 길이를 길게 한다. 여기에서, 부호어가 짧으면,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그 부호어를 복호하는 디코더 (에러정정 복호기) 의 회로규모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각 자국 (2-1∼2-N) 에 형성하는 디코더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복수 자국이 형성되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자국에 대해 저비용화, 저소비 전력화 및,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설계는 무선 통신시스템 전체의 저비용화 및 저소비 전력화에기여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친국 및 자국으로 구성되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기지국장치 및 단말장치로 구성되는 시스템이나, 서로 대등한 관계에 있는 복수 단말장치로 구성되는 시스템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효율이 향상된다. 또, 수신장치의 복호회로를 복잡하게 하지 않고 통신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3)

  1. 데이터를 복수 데이터유닛으로 분해하고,
    상기 복수 데이터유닛의 각각에 대해 에러정정부호를 부여함으로써 복수 부호어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 부호어를 저장하는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패킷에 저장되어 있는 부호어의 수를 나타내는 부호어수 정보를 그 패킷에 부여하고,
    상기 부호어수 정보가 부여된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방법.
  2. 송신해야 할 데이터유닛으로부터 부호어를 생성하고,
    상기 부호어를 저장하는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유닛으로부터 상기 부호어를 생성할 때의 부호화 방법에 관련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를 상기 패킷에 부여하고,
    상기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가 부여된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가 부여된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패킷에 저장되어 있는 부호어를 복호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부호어를 복호할 수 있는 경우에만 그 부호어를 복호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방법.
  4.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데이터를 복사함으로써 복수 제 1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복수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복수 제 1 데이터를 각각 재생함으로써 얻어지는 복수 재생데이터에 대해 다수결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다수결처리에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 재생데이터를 제 1 데이터로 출력하고,
    수신된 상기 제 2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방법.
  5.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데이터를 복수회 반복 송신하고,
    상기 제 2 데이터를 송신하고,
    복수회 반복 수신된 상기 제 1 데이터를 각각 재생함으로써 얻어지는 복수재생데이터에 대해 다수결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다수결처리에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 재생데이터를 제 1 데이터로 출력하고,
    수신된 상기 제 2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 부호어를 저장하는 패킷에 그 부호어의 수를 나타내는 부호어수 정보가 부여되어 송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부호어수 정보가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응하고, 상기 복수 부호어가 상기 제 2 데이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방법.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부호어를 저장하는 패킷에 그 부호어를 생성할 때의 부호화 방법을 표시하는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가 부여되는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가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응하고, 상기 부호어가 상기 제 2 데이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방법.
  8.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결처리에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 재생데이터가 얻어진 확률이미리 결정된 소정 임계값 확률보다 높은 경우에만, 그 재성데이터를 제 1 데이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방법.
  9. 데이터를 복수 데이터유닛으로 분해하고,
    상기 데이터의 통신제어 정보를 상기 복수 데이터유닛의 각각에 대해 부여하고,
    상기 통신제어 정보가 부여된 복수 데이터유닛의 각각에 대해 에러정정부호를 부여함으로써 복수 부호어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 부호어를 저장하는 패킷을 생성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방법.
  10. 친국장치와 복수 자국장치 사이에서 1 또는 복수 부호어를 저장한 패킷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실시하는 무선 통신방법으로서,
    상기 친국장치로부터 상기 자국장치로 송신되는 패킷에 저장되어 있는 부호어 길이보다, 상기 자국장치로부터 상기 친국장치로 송신되는 패킷에 저장되어 있는 부호어 길이를 길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방법.
  11. 친국장치와 복수 자국장치 사이에서 1 또는 복수 부호어를 저장한 패킷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실시하는 무선 통신방법으로서,
    상기 패킷에 저장되어 있는 부호어의 수를 나타내는 부호어수 정보를 그 패킷에 부여하고,
    상기 부호어를 생성할 때의 부호화 방법에 관련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를 상기 패킷에 부여하고,
    상기 패킷을 이용하여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데이터를 복사함으로써 복수 제 1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복수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복수 제 1 데이터를 각각 재생함으로써 얻어지는 복수 재생데이터에 대해 다수결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다수결처리에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 재생데이터를 제 1 데이터로 출력하고,
    수신된 상기 제 2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하고,
    상기 각 부호어 중에 각각 송신해야 할 데이터의 통신제어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친국장치로부터 상기 자국장치로 송신되는 패킷에 저장되어 있는 부호어 길이보다, 상기 자국장치로부터 상기 친국장치로 송신되는 패킷에 저장되어 있는 부호어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방법.
  12. 부호어 및 그 부호어를 생성할 때의 부호화 방법에 관련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고, 그 패킷에 저장되어 있는 부호어를 복호하는 복호수단과,
    상기 패킷으로부터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를 추출하는 부호화 파라미터 추출수단과,
    상기 부호화 파라미터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가 상기 복호수단이 복호 가능한 부호화 방법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복호수단을 기동시키고, 그 부호화 파라미터 정보가 상기 복호수단을 복호할 수 없는 부호화 방법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복호수단을 정지하는 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장치.
  13. 제 1 데이터를 복수회 수신하는 동시에, 제 2 데이터를 수신하고, 복수회 수신된 상기 제 1 데이터를 각각 재생함으로써 얻어지는 복수 재생데이터에 대해 다수결처리를 실시하는 다수결수단과,
    상기 다수결처리에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 재생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코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장치.
KR20030038162A 2002-08-23 2003-06-13 무선 통신방법 및 무선 통신장치 KR100555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43863A JP2004088246A (ja) 2002-08-23 2002-08-23 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JP-P-2002-00243863 2002-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119A true KR20040018119A (ko) 2004-03-02
KR100555187B1 KR100555187B1 (ko) 2006-03-03

Family

ID=31185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38162A KR100555187B1 (ko) 2002-08-23 2003-06-13 무선 통신방법 및 무선 통신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179517A1 (ko)
EP (1) EP1392025A3 (ko)
JP (1) JP2004088246A (ko)
KR (1) KR100555187B1 (ko)
CN (1) CN1489347A (ko)
TW (1) TWI2299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6304B2 (ja) 2004-04-23 2008-05-14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7474676B2 (en) * 2004-09-10 2009-01-06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Frame aggreg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US7752532B2 (en) 2005-03-10 2010-07-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inear erasure codes
CN1917426B (zh) * 2005-08-17 2010-12-08 国际商业机器公司 端口扫描方法与设备及其检测方法与设备、端口扫描系统
JP4577574B2 (ja) * 2006-02-07 2010-11-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送信装置及びデータ受信装置並びにデータ送信方法及びデータ受信方法
JP4669807B2 (ja) * 2006-03-30 2011-04-13 京セ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GB2441164A (en) * 2006-08-22 2008-02-27 Iti Scotland Ltd Segmenting packets and providing error check portions for each segment
US8266488B2 (en) * 2007-03-26 2012-09-11 Marvell Israel (MIL) Ltd. Encoding and decoding systems with header and data transmission success indication
CN101689959A (zh) 2007-07-10 2010-03-31 三菱电机株式会社 发送装置及通信系统
JP5194303B2 (ja) * 2008-10-10 2013-05-08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無線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無線ネットワーク
CN101729950B (zh) * 2008-10-16 2012-10-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综合业务数字网线路质量的实现方法
EP2467962A1 (en) * 2009-08-21 2012-06-27 Aware, Inc. Header repetition in packet-based ofdm systems
US8677224B2 (en) * 2010-04-21 2014-03-18 Decawave Ltd. Convolutional code for use in a communication system
JP5761551B2 (ja) * 2010-11-19 2015-08-12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受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伝送システム
JP2015049769A (ja) * 2013-09-03 2015-03-16 株式会社ニコン 通信装置、エンコーダ装置、及びシリアル通信方法
IN2013MU02890A (ko) * 2013-09-05 2015-07-03 Tata Consultancy Services Ltd
JP2019041182A (ja) * 2017-08-23 2019-03-14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2174B1 (en) * 1996-07-01 2001-08-28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H10257502A (ja) * 1997-03-17 199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階層画像符号化方法、階層画像多重化方法、階層画像復号方法及び装置
US5944843A (en) * 1997-08-21 1999-08-31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the unused bits of a data packet to transmit additional information
JP3555832B2 (ja) * 1998-02-10 2004-08-18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信号時分割送信システム
KR100608042B1 (ko) * 1999-06-12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미디어 데이터의 무선 송수신을 위한 인코딩 방법 및그 장치
US6421803B1 (en) * 1999-06-25 2002-07-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using parity check combining
FI108383B (fi) * 1999-10-05 2002-01-15 Nokia Oyj Tiedonsiirtomenetelmõ
US6754894B1 (en) * 1999-12-03 2004-06-22 Command Audio Corporation Wireless software and configuration parameter modification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US6947446B2 (en) * 2001-01-16 2005-09-20 Motorola, Inc. Slot format and acknowledgement method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591890B1 (ko) * 2003-04-01 2006-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응 송수신 방법 및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5187B1 (ko) 2006-03-03
EP1392025A3 (en) 2007-06-27
JP2004088246A (ja) 2004-03-18
EP1392025A2 (en) 2004-02-25
TWI229991B (en) 2005-03-21
CN1489347A (zh) 2004-04-14
US20040179517A1 (en) 2004-09-16
TW200412760A (en) 200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5187B1 (ko) 무선 통신방법 및 무선 통신장치
US93504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burst noise in a communications system
CN103201976B (zh) 用于聚合分组传输中的分组级擦除保护编码的方法和装置
EP2103026B1 (en) A method to support forward error correction for real-time audio and video data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s
US7089478B2 (en) FEC block reconstruc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itigating burst noise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5745502A (en) Error detection scheme for ARQ systems
US7162682B2 (en) Method of error control coding and decoding of messages in a packet-based data transmission system
EP2166687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ing and receiving data packets
US20030023915A1 (en) Forward error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for packet based communication systems
JP2002508640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識別子情報送信方法及び装置
JP2007043550A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20220209893A1 (en) Adaptive Payload Extraction and Retransmission in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with Error Aggregations
EP128761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y of particular bits of received frame
JP4015465B2 (ja) 通信システムの制御チャネルを介してシグナリング情報を送信する方法
US6985726B2 (en) Method of blind transport format detection
US6678854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second data signal on a frame of bits including a first data signal and an error-correcting code
JP7228797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2006314120A (ja) 無線通信方法
JP2006304351A (ja) 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CN112821984B (zh) 无线局域网数据处理方法、装置及设备
JPH09130368A (ja) データ通信装置
JPH07336368A (ja) 通信装置
Lyman et al. Transmission parameter estimation for an autoconfigurable receiver
JP2002158641A (ja) データ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