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6195A - 이중 관찰창이 형성된 방사선 투과사진 관찰기 - Google Patents

이중 관찰창이 형성된 방사선 투과사진 관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6195A
KR20040016195A KR1020020048454A KR20020048454A KR20040016195A KR 20040016195 A KR20040016195 A KR 20040016195A KR 1020020048454 A KR1020020048454 A KR 1020020048454A KR 20020048454 A KR20020048454 A KR 20020048454A KR 20040016195 A KR20040016195 A KR 20040016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ervation window
light source
viewing
window
obser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운
Original Assignee
케이엔디티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엔디티앤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엔디티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8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6195A/ko
Publication of KR20040016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19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03B42/02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 G03B42/04Holders for X-ray films
    • G03B42/047Holders for X-ray films provided with mar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사선 투과사진 관찰기는 관찰하고자 하는 방사선 투과사진을 올려놓는 관찰창이 피검사체의 결함수정 전의 원래사진을 올려놓는 제 1관찰창과, 결함수정 후의 사진을 올려놓는 제 2관찰창의 2중 관찰창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찰창을 2중으로 구성하여 결함수정전의 원래 사진과 결함 수정 이후의 사진을 동시에 비교판독할 수 있고, 또한, 파노라믹촬영시 혹은 이중필름촬영시에 비교판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촬영방법에 상관없이 판독의 정확도가 높아지며 판독이 좀더 손쉽게 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관찰창이 형성된 방사선 투과사진 관찰기{Radiograph viewer having a double viewing window}
본 발명은 방사선 투과사진을 관찰하기 위한 방사선 투과사진 관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방사선 투과사진 관찰기는 형광램프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의 한쪽 면이 방사선 투과사진을 관찰하기 위한 관찰창으로 되어 있어서, 그 위에 방사선 투과사진을 올려놓고 형광램프로부터 발생된 빛이 관찰창과 투과사진을 통과하여 관찰자에 도달하는 것에 의해, 투과사진의 관찰이 이루어지게 된다.
기존의 관찰기는 관찰하고자 하는 사진을 올려놓는 관찰창이 하나로 되어 있어서, 피검사체로서의 부품의 결함 수정전의 원래 사진과, 결함 수정후의 사진을 비교판독하는 경우에, 또는 파노라믹촬영시 혹은 이중필름촬영시에 일일이 사진을 바꾸어가며 비교판독해야 했으므로, 불편하고 비교판독이 정확치 못했다.
또한, 이와 같이 비교판독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사진촬영자가 검사해야할 피검사체가 아닌 다른 것을 찍는 등의 잘못이 있을 때에 그 잘못을 판별하기가 쉽지 않고, 지문 등의 얼룩이 있을 때 사진판독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결함수정전의 원래 사진과 결함 수정 이후의 사진을 동시에 비교판독할 수 있는 방사선 투과사진 관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방사선투과사진 관찰기를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사진 관찰기를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제 2실시예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 제 1관찰창102. 제 2관찰창
112. 보호판131. 광원
133. 반사판132. 프리즘쉬트
133. 확산판105. 받침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사선 투과사진 관찰기는 관찰하고자 하는 방사선 투과사진을 올려놓는 관찰창이 피검사체의 결함수정 전의 원래사진을 올려놓는 제 1관찰창과, 결함수정 후의 사진을 올려놓는 제 2관찰창의 2중 관찰창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관찰창을 2중으로 구성하여 결함수정전의 원래 사진과 결함 수정 이후의 1차, 2차, 3차,.. 결함수정 사진을 동시에 비교판독할 수 있고, 파노라믹촬영시 혹은 이중필름촬영시에 비교판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촬영방법에 상관없이 판독의 정확도가 높아지며 판독이 좀더 손쉽게 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방사선 투과사진 관찰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다.
관찰대(120)에는 이중 관찰창, 즉 제 1관찰창(101) 및 제 2관찰창(102)이 형성되어 있다. 관찰대(120)는 받침대(11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받침대(105)에 의해 비스듬한 상태(관찰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관찰대(120)의 관찰창 각각에는 유리(glass) 등으로 이루어진 보호판(112)이 형성되어 있고, 관찰대(120) 내부에는 균일한 밝기의 면광원제공장치가 설치되어 있는데, 그 광원(131)은 여러 개의 CCFL형광램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광원(131)의 하부에는 광원(131)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관찰창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133)이 설치되어 있고, 광원(131)의 위쪽에는 빛을 특정방향(중앙부위)으로 모으기 위한 프리즘쉬트(prism sheet)(13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위에는 빛의 밝기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하는 확산판(134)이 설치되어 있다.
받침대(110)에는 충전용 배터리(106) 및 광원(131)의 전원공급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107)가 설치되어 있다. 광원(134)을 점등하는 회로는 관찰대(120) 혹은 받침대(110) 내부에 설치된다.
도면에는 편의상 제 1관찰창(101)에 대응하는 부분만 그 내부가 보이게 나타내었고, 커버(103)와 휘도조절기(104)가 형성되는 외관은 제 2관찰창(102) 부분에만 나타내었지만, 각각 내부와 외부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제 1관찰창(101) 및 제 2관찰창(102) 각각에 대응하는 면광원제공장치를 관찰대(120) 내부에 설치하고 각각의 휘도를 각각 설치된 휘도조절기(104)에 의해 별도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겠지만, 관찰대(120) 내부에 제 1 및 제 2관찰창(101,102) 모두를 비추도록 하나의 면광원 제공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면광원제공장치로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도 가능하지만, 액정표시장치(LCD) 등에서 이용되고 있는 백라이트(후면광원)를 이용할 수 있다. 백라이트를 이용하면,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도광판 등에 진입하여 전반사에 의해 진행하면서 도광판 하면에 형성된 산란구조 등에 의해 산란되어 전반사 조건에서 벗어난 빛이 서서히 도광판 상면을 통해 출사되므로 균일한 밝기의 면광원이 제공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면광원제공장치와 관찰창 사이의 소정위치에 편광판과 소정방향으로 배향된 액정층 등으로 구성된 액정광스위칭장치를 형성하여 그 밝기를 액정광스위칭 동작에 의해 조절할 수도 있고, 소정의 마스크패턴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방사선 투과사진 관찰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그 사시도이다.
이 도면의 관찰기는 관찰대(130)가 제 1관찰창(141) 및 제 2관찰창(142)에 각각 대응하는 서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제 1관찰부(130a)와 제 2관찰부(130b)로 이루어지며, 도 7 및 도 8과 같이 접어서 제 2관찰창(142)만을 이용할 수 있고, 도 5와 같이 두 관창부(130a,130b)를 서로에 대해서 일직선으로 펴서 두 관찰창(141,142) 모두를 이용할 수도 있다.
받침대(150)에는 관찰부(130a,130b) 내부에 있는 각각의 광원(131)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157)와, 그 휘도를 조절하기 위한 (158)이 설치되어 있고, 충전용 배터리(156)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마스크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사물함(151)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투과사진 관찰기는 이중 관찰창을 이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즉, 피검사체(예를 들어 특정한 기계용접부)를 검사하기 위해 최초로 사진(원래(original) 사진)을 찍은 후, 결함이 발견되어 재용접(1차 결함수정)을 한 후 찍은 사진(1차 결함수정(repair) 사진)을 서로 동시에 비교해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기존에는 일일이 사진을 바꾸어가며 비교판독해야 했으므로, 불편하고 서로 비교판독이 정확치 못했다.
또한, 사진촬영자가 검사해야할 부위가 아닌 다른 부분을 찍는 등의 잘못을 범했거나, 지문 등이 사진에 묻었을 때에도, 문제가 되는 부분(예를 들어 특정한 기계용접부)만을 제외하고는 원래사진과 1차 결함수정 사진이 모두 일치하는 지를쉽게 검사하여 그러한 잘못의 존재여부를 쉽게 판독할 수 있고, 지문 등에 의한 판독오류를 없앨 수 있다.
또한, 1차 결함수정 사진뿐만 아니라 2차, 3차,.. 결함수정 사진을 교체하면서 원래 사진과 동시에 비교판독을 손쉽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연결성을 확인하기 위한 파노라믹 촬영시에 오버랩되는 부분의 비교판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촬영되는 부위마다 농도(노출스피드)를 다르게 하기 위한 이중필름촬영시에도, 농도변화에 따른 비교판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사선 투과사진 관찰기는 공업용으로 적용될 뿐만 아니라, 의료용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치료전 방사선 투과사진과, 치료후 방사선 투과사진을 손쉽게 비교판독할 수 있는 휴대용 관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그 이외의 모든 형태의 방사선 투과사진 판독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한 것에 해당한다.
관찰하고자 하는 방사선 투과사진을 올려놓는 관찰창을 2중으로 구성하므로, 결함수정전의 원래 사진과 결함 수정 이후의 1차, 2차, 3차,.. 결함수정 사진을 동시에 비교판독할 수 있고, 또한, 파노라믹촬영시 혹은 이중필름촬영시에 비교판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촬영방법에 상관없이 판독의 정확도가 높아지며비교판독이 좀더 손쉽게 될 수 있다.

Claims (1)

  1. 관찰하고자 하는 방사선 투과사진을 올려놓는 관찰창이 피검사체의 결함수정 전의 원래사진을 올려놓는 제 1관찰창과, 결함수정 후의 사진을 올려놓는 제 2관찰창의 2중 관찰창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투과사진 관찰기.
KR1020020048454A 2002-08-16 2002-08-16 이중 관찰창이 형성된 방사선 투과사진 관찰기 KR20040016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454A KR20040016195A (ko) 2002-08-16 2002-08-16 이중 관찰창이 형성된 방사선 투과사진 관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454A KR20040016195A (ko) 2002-08-16 2002-08-16 이중 관찰창이 형성된 방사선 투과사진 관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195A true KR20040016195A (ko) 2004-02-21

Family

ID=37322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454A KR20040016195A (ko) 2002-08-16 2002-08-16 이중 관찰창이 형성된 방사선 투과사진 관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619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6175A (ja) * 1989-10-12 1991-05-29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
JPH0876741A (ja) * 1994-09-02 1996-03-22 Konica Corp 画像表示装置
US5890305A (en) * 1989-12-31 1999-04-06 Smartlight Ltd. Self-masking transparency viewing apparatus
US6256374B1 (en) * 1998-10-19 2001-07-03 Fluoroscan Imaging Systems, Inc. Miniature C-arm apparatus with dual video display monitor and single driver interface theref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6175A (ja) * 1989-10-12 1991-05-29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
US5890305A (en) * 1989-12-31 1999-04-06 Smartlight Ltd. Self-masking transparency viewing apparatus
JPH0876741A (ja) * 1994-09-02 1996-03-22 Konica Corp 画像表示装置
US6256374B1 (en) * 1998-10-19 2001-07-03 Fluoroscan Imaging Systems, Inc. Miniature C-arm apparatus with dual video display monitor and single driver interface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0798B2 (en) Projector with extendible screen member
TWI321650B (ko)
JP2005191818A (ja) モニタ付き撮像機器
KR20040016195A (ko) 이중 관찰창이 형성된 방사선 투과사진 관찰기
JP2002191558A (ja) 省スペース型視機能検査装置
JP2002311435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3170092B2 (ja) 写真プリンタの液晶パネルモニタ
CN218830410U (zh) 一种可调节光源的拍照设备
JP4389678B2 (ja) ファインダ内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カメラ
US5606386A (en) Camera viewfinder with framing plate illumination
JP2004184639A (ja) 光学コード撮影装置
JP2008096505A (ja) 接写ユニットおよび接写装置
JP2005024904A (ja) 携帯機器の液晶表示装置
JP3413659B2 (ja) ビューファインダ
JP2725373B2 (ja) 画像読取装置
JP3787245B2 (ja) デジタルカメラの画像表示装置
JP2601586Y2 (ja) アルバダ式ファインダ装置
JPH11305319A (ja) 写真機のファインダの液晶表示装置
JPS62254133A (ja) 投影装置
GB21582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a photograph
JPH08227053A (ja) 書画カメラ装置
JP4380964B2 (ja) 背面照明及び透過型表示のための装置
KR200279741Y1 (ko) 면광원 제공용 백라이트를 이용한 공업용 방사선투과사진 관찰기
JP2515908Y2 (ja) 立体像表示装置
JP2003087634A (ja) フィルム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