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5499A - 가변핸들 - Google Patents

가변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5499A
KR20040015499A KR1020020047765A KR20020047765A KR20040015499A KR 20040015499 A KR20040015499 A KR 20040015499A KR 1020020047765 A KR1020020047765 A KR 1020020047765A KR 20020047765 A KR20020047765 A KR 20020047765A KR 20040015499 A KR20040015499 A KR 20040015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ke
rim
spring
steering whee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7566B1 (ko
Inventor
김승화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7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7566B1/ko
Publication of KR20040015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5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8Spokes, e.g.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단이 조향축과 연결되어 중심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네 방향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상측스포크, 하측스포크, 좌측스포크 우측스포크와, 상기 스포크의 내부 양측으로 형성된 스프링수용부와,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결합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외측 끝단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스포크의 상단부에 일체로 성형되는 상단림과, 상기 상단림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하단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양측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좌측스포크 및 우측스포크와, 상기 좌측스포크 및 우측스포크의 끝단에 성형되는 좌측림과 우측림으로 이루어지므로 써, 몸체에 네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부에 각각의 림이 이송되어, 운전자의 편의에 따라 핸들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변핸들{Variable Steering Wheel}
본 발명은 차량의 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의 네 방향에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에 일측이 삽입되어 이송되는 스포크와, 상기 스포크의 타측은 림과 연결되어 핸들 외주둘레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가변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핸들은 운전석의 정면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가고자 하는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조향장치로써, 차량운전에 있어 운전조종중 가장 중요한 부품이다.
이러한 차량의 종래 핸들은 천편일륜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어 있다.
헌데, 체형이 큰 운전자의 경우 핸들의 크기가 작게 느껴질 수 있고, 반대로 체형이 작은 운전자의 경우 핸들의 크기가 크게 느껴질 수 있다.
체형에 맞지 않는 핸들로 인해 운전을 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갑작스런 핸들 조작이 이루어질 때는 미끄러지거나, 의도한 방향으로 쉽게 조작이 안되는 상황도 연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몸체의 네 방향 내부에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일측이 상기 가이드부에 이송되고 타측은 림과 연결되는 네 개의 스포크와, 각각의 스포크에 연결되는 전ㆍ후ㆍ좌ㆍ우측스포크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핸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핸들에 대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가변핸들의 일부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최소 크기를 갖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2의 가이드부에 대한 확대단면도.
도 5는 B-B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변핸들20 - 몸체
21 - 개구부22 - 가이드부
23 - 관통홀30 - 스포크
30a - 상측스포크30b - 하측스포크
30c - 좌측스포크30d - 우측스포크
31 - 스프링수용부32 - 스프링
33 - 볼40 - 림
40a - 상단림40b - 하단림
40c - 좌측림40d - 우측림
41 - 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단이 조향축과 연결되어 중심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네 방향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상측스포크, 하측스포크, 좌측스포크 우측스포크와, 상기 스포크의 내부 양측으로 형성된 스프링수용부와,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결합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외측 끝단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스포크의 상단부에 일체로 성형되는 상단림과, 상기 상단림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하단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양측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좌측스포크 및 우측스포크와, 상기 좌측스포크 및 우측스포크의 끝단에 성형되는 좌측림과 우측림으로 이루어진 가변핸들로 인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핸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인 가변핸들의 일부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최소 크기를 갖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가이드부에 대한 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B-B 단면도이다.
하단이 조향축과 연결되는 중심부에 몸체(20)를 형성한다.
상기 몸체(20)는, 원형 및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여도 무관하나, 사각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의 상측, 하측, 좌측, 우측의 네 방향에 개구부(21)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21)와 연결되어 원형 및 사각의 형상을 갖도록 가이드부(22)를 내설한다.
상기 가이드부(22)는 몸체(20)의 중심부까지 내설하고, 네 방향의 가이드부(22)가 중심부에서 연결되어도 무관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22)의 양측 및 상ㆍ하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관통홀(23)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22)에 삽입되는 상측스포크(30a), 하측스포크(30b), 좌측스포크(30c), 우측스포크(30d)를 갖는다.
상기 가이드부(22)에 삽입되는 상기 스포크(30)의 내부 양측으로 스프링수용부(31)를 형성한다.
상기 스프링수용부(31)에 스프링(32)이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스프링(32)의 외측 끝단에 볼(33)이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상측스포크(30a)의 상단부에 일체로 성형되는 상단림(40a)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단림(40a)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대응되는 위치에 하단림(40b)을 형성한다.
상기 하단림(40b)은, 상단림(40a)과 연결된 상측스포크(30a)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하측스포크(30b)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측스포크(30a) 및 하측스포크(40b)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좌측스포크(30c)와 우측스포크(30d)를 형성한다.
상기 좌측스포크(30c)의 끝단에 좌측림(40c)을 일체로 성형한다.
상기 좌측림(40c)은, 양측 끝단은 홀(4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좌측림(40c)과 우측림(40d)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가변핸들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최소 크기를 갖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운전자는 상측림(40a)과 하측림(40b)을 잡고, 몸체(20)측으로 밀어 넣는다.
이때, 스포크(30a, 30b)에 내설한 볼(33)이 가이드부(22)에 형성된 관통홀(23)에 닿게 되어 스프링(32)이 상기 볼(33)을 밀어내어 상기 상측림(40a)과 하측림(40b)이 멈추게 된다.
헌데, 크기를 더 작게 조절하고자 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다시 몸체(20)측으로 림(40a, 40b)을 밀면 된다.
최소한의 크기를 설정하게 되면 상기 상측림(40a)과 상기 하측림(40b)의 양측 끝단부는 좌측림(40c)과 우측림(40d)의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 홀(41)의 내측까지 닿게 된다.
한편, 상측림(40a)과 하측림(40b)의 크기를 갖도록 조절한 후, 좌측림(40c)과 우측림(40d)을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시키면, 상기 홀(41)의 외측부는 상기 상측림(40a)과 하측림(40b)의 외주둘레에 닿게 된다.
반대로, 핸들의 크기를 크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좌측림(40c)과 우측림(40d)의 크기를 외측으로 잡아 당기면서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조절한다.
이후, 상기 상측림(40a)과 하측림(40b)을 외측으로 잡아 당기면 원형의 핸들을 갖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측림, 하측림, 좌측림, 우측림 양측 끝단의 내측 및 외측에 볼을 형성하여 좌측림과 우측림만을 작동하므로 써, 상측림과 하측림이 동시에 작동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발명으로 인해, 운전자의 체형에 맞도록 핸들의 크기를 조절하여 보다 편리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 가변핸들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가변핸들로 인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 번째, 상ㆍ하ㆍ좌ㆍ우스포크가 몸체에서 가이드 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두 번째, 몸체의 네 방향 내부에 가이드부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이격공간 없이 스포크가 이송될 수 있다.
세 번째, 가이드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스포크에 스프링과 결합되는 볼을 형성하여, 부드럽고 쉽게 작동 되어진다.
네 번째, 좌측림과 우측림의 양측 끝단에 상측림과 하측림의 끝단부가 수용되도록 그 넓이를 크게 하여, 이송이 수월하게 작동될 수 있다.
즉, 몸체에는 가이드부가 설치되고, 네 방향으로 각각의 림이 이송되므로 써, 운전자의 편의에 따라 핸들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하단이 조향축과 연결되어 중심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네 방향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상측스포크, 하측스포크, 좌측스포크 우측스포크와;
    상기 스포크의 내부 양측으로 형성된 스프링수용부와;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결합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외측 끝단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스포크의 상단부에 일체로 성형되는 상단림과;
    상기 상단림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하단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양측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좌측스포크 및 우측스포크와;
    상기 좌측스포크 및 우측스포크의 끝단에 성형되는 좌측림과 우측림으로 이루어진 가변핸들.
KR10-2002-0047765A 2002-08-13 2002-08-13 가변핸들 KR100447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765A KR100447566B1 (ko) 2002-08-13 2002-08-13 가변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765A KR100447566B1 (ko) 2002-08-13 2002-08-13 가변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499A true KR20040015499A (ko) 2004-02-19
KR100447566B1 KR100447566B1 (ko) 2004-09-04

Family

ID=37321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765A KR100447566B1 (ko) 2002-08-13 2002-08-13 가변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75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24055A (zh) * 2008-11-28 2011-10-19 高田-彼得里公开股份有限公司 用于机动车辆的方向盘
KR101271829B1 (ko) * 2011-08-30 2013-06-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KR101271806B1 (ko) * 2011-09-29 2013-06-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CN113562059A (zh) * 2021-06-30 2021-10-29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方向盘和车辆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3493Y2 (ja) * 1979-02-16 1983-10-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ル
JPH06305426A (ja) * 1993-04-27 1994-11-01 Kanto Auto Works Ltd 握り径可変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07140840A (ja) * 1993-06-15 1995-06-02 Gentec Kk 感光ドラムの取付け接地方式
KR0167971B1 (ko) * 1996-05-14 1999-01-15 양재신 자동차의 가변식 조향핸들
KR0182985B1 (ko) * 1996-10-24 1999-04-01 삼성자동차주식회사 접안 스티어링 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24055A (zh) * 2008-11-28 2011-10-19 高田-彼得里公开股份有限公司 用于机动车辆的方向盘
KR101271829B1 (ko) * 2011-08-30 2013-06-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KR101271806B1 (ko) * 2011-09-29 2013-06-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CN113562059A (zh) * 2021-06-30 2021-10-29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方向盘和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7566B1 (ko) 200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23321A1 (en) Vehicle Steering Wheel
USD966983S1 (en) Wheel for a motor vehicle
KR100447566B1 (ko) 가변핸들
USD976173S1 (en) Vehicle steering wheel
USD982497S1 (en) Vehicle wheel
US6644676B2 (en) Safety device for a front wheel of a vehicle for children
USD347612S (en) Steering wheel assembly with communication keyboard
KR200142739Y1 (ko) 크기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US20190144072A1 (en) Bicycle rear derailleur
US20170349202A1 (en) Steering wheel
KR200229069Y1 (ko) 안장위치가 가변되는 자전거
USD344483S (en) Steering wheel assembly with communication keyboard
KR20160097739A (ko)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
USD1013593S1 (en) Steering wheel for an automobile
USD344484S (en) Steering wheel assembly with communication keyboard
USD452835S1 (en) Off-road four wheel vehicle
USD1015967S1 (en) Steering wheel for a motor vehicle
KR970074462A (ko) 자동차의 가변식 조향핸들
USD984959S1 (en) Vehicle tyre
USD1016725S1 (en) All-terrain vehicle tire
CN110654499B (zh) 变速驱动装置与包括该变速驱动装置的自行车头
USD974976S1 (en) 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D1016712S1 (en) Vehicle wheel rim
USD1015968S1 (en) Steering wheel tray
JP2005219698A (ja) 駆動方式切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