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806B1 -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806B1
KR101271806B1 KR1020110098912A KR20110098912A KR101271806B1 KR 101271806 B1 KR101271806 B1 KR 101271806B1 KR 1020110098912 A KR1020110098912 A KR 1020110098912A KR 20110098912 A KR20110098912 A KR 20110098912A KR 101271806 B1 KR101271806 B1 KR 101271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spring
vehicle
coupling part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4823A (ko
Inventor
김성윤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8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806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4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improved accessi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6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add-on parts, e.g. retrof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차량에 구비되는 스티어링 휠의 형상이 단일 형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이나 기호에 스티어링 휠의 형태를 맞출 수 없는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운전석에 구비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중앙에 차량의 스티어링 휠 축부(110)가 구비되며 스티어링 휠 축부(110)를 중심으로 양단에는 각각 힌지홀(150)이 형성되는 상부 스티어링 휠(100);과 상단은 상부 스티어링 휠(100)의 힌지홀(150)에 유동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고, 하단은 스티어링 휠 축부(110) 하단에 구비되며 양단에 각각 한쌍의 제1고정홀(170)과 제2고정홀(180)이 대응되게 형성되는 결합부(190)의 제1결합홀(175)이나 제2결합홀(185)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유동 결합부(250)에 결합되되, 유동 결합부(250)의 일측에는 스프링(270)에 의해 상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돌기(260)가 형성되는 하부 스티어링 휠(200); 로 형성되며, 하부 스티어링 휠(200)의 유동 결합부(250)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270) 하단에 스프링(270)의 하부 끝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플랜지(280)를 구비하여, 스프링(270)이 하부 스티어링 휠(200)의 유동 결합부(250)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차량의 방향을 조절하는 스티어링 휠을 스티어링 휠 축부가 중앙에 구비되는 상부 스티어링 휠과, 상부 스티어링 휠의 하부로부터 결합되는 하부 스티어링 휠로 나누어 형성하되, 상부 스티어링 휠의 양단에는 한쌍의 힌지홀을 형성하고, 하부 스티어링 휠의 상부 양단은 상부 스티어링 휠의 힌지홀에 유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며, 하단은 스티어링 축부 하단의 결합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홀과 제2결합홀에 간격을 조절하여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하여, 운전자가 결합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홀과 제2결합홀 중 어느 한 홀에 하부 스티어링 휠을 고정시켜 하부 스티어링 휠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자신의 신체와 운전습관에 맞도록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방향을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장치를 흔히 운전대, 핸들(handle) 또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드라이빙휠(driving wheel)이라 한다.
이러한 스티어링 휠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서 운전자가 손으로 잡는 림(rim)과 중앙부에는 경음기(horn)이나 에어백이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스티어링 휠은 브레이크 페달, 액셀러레이터 페달과 함께 운전자의 의도가 가장 직접적으로 반영되는 부분인 것이다.
스티어링 휠은 대부분이 원형이나 초기에는 레버 또는 막대기 모양도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운전자가 직접 운전자와의 거리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손쉬운 조작을 위하여 유압장치나 전동 모터가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운전자가 운전중 스티어링 휠을 놓지 않고도 다양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최근에는 스티어링 휠에 에어백, 오디오컨트롤러 따위가 내장된 것도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의 형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즉, 중앙에 스티어링 휠(1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스티어링 휠 축부(11)가 구비되어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10)을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의 방향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의 형상 변환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차량의 스티어링 휠이 원형인 단일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신체 조건이나 운전 습관에 따라서 스티어링 휠의 형태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운전자의 운전 피로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티어링 휠의 형태가 단순히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빠른 방향전환을 위하여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거나, 장거리 직진주행을 할 경우 효과적으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신의 신체와 운전습관에 맞도록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차량의 방향을 조절하는 스티어링 휠을 스티어링 휠 축부가 중앙에 구비되는 상부 스티어링 휠과, 상부 스티어링 휠의 하부로부터 결합되는 하부 스티어링 휠로 나누어 형성하되, 상부 스티어링 휠의 양단에는 한쌍의 힌지홀을 형성하고, 하부 스티어링 휠의 상부 양단은 상부 스티어링 휠의 힌지홀에 유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며, 하단은 스티어링 축부 하단의 결합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홀과 제2결합홀에 간격을 조절하여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하여, 운전자가 결합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홀과 제2결합홀 중 어느 한 홀에 하부 스티어링 휠을 고정시켜 하부 스티어링 휠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스티어링 휠이 원형인 단일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신체 조건이나 운전 습관에 따라서 스티어링 휠의 형태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운전자의 운전 피로도가 증가되는 문제점과 스티어링 휠의 형태가 단순히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빠른 방향전환을 위하여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거나, 장거리 직진주행을 할 경우 효과적으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의 형상 변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운전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운전석에 구비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중앙에 차량의 스티어링 휠 축부가 구비되며 스티어링 휠 축부를 중심으로 양단에는 각각 힌지홀이 형성되는 상부 스티어링 휠;과 상단은 상부 스티어링 휠의 힌지홀에 유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고, 하단은 스티어링 휠 축부 하단에 구비되며 양단에 각각 한쌍의 제1고정홀과 제2고정홀이 대응되게 형성되는 결합부의 제1결합홀이나 제2결합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유동 결합부에 결합되되, 유동 결합부의 일측에는 스프링에 의해 상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하부 스티어링 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하부 스티어링 휠의 유동 결합부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 하단에 스프링의 하부 끝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플랜지를 구비하여, 스프링이 하부 스티어링 휠의 유동 결합부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하며, 특히 결합부의 제1고정홀과 제2고정홀 사이 내부에 하부 스티어링 휠 유동 결합부의 고정돌기가 이동되는 고정돌기 레일을 형성하여, 하부 스티어링 휠의 간격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조향장치인 스티어링 휠을 상부 스티어링 휠과 하부 스티어링 휠로 나누고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직접 하부 스티어링 휠의 간격을 조절하여 하부 스티어링 휠의 폭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체형과 운전습관을 가지는 각각의 운전자가 자신에게 맞는 형태의 스티어링 휠로 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스티어링 휠의 길이와 형태를 조절함으로써, 장시간 직진 운전이나 급하게 방향전환을 할 경우 운전자가 더욱 편안하게 차량을 운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의 형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의 상부 스티어링 휠과 하부 스티어링 휠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의 상부 스티어링 휠과 하부 스티어링 휠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결합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의 하부 스티어링 휠의 간격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결합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의 상부 스티어링 휠과 하부 스티어링 휠이 일반적인 형태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확대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의 상부 스티어링 휠과 하부 스티어링 휠이 일반적인 형태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의 하부 스티어링 휠의 간격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확대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의 하부 스티어링 휠의 간격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의 상부 스티어링 휠과 하부 스티어링 휠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의 상부 스티어링 휠과 하부 스티어링 휠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결합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하부 스티어링 휠의 간격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결합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상부 스티어링 휠과 하부 스티어링 휠이 일반적인 형태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확대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상부 스티어링 휠과 하부 스티어링 휠이 일반적인 형태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단면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하부 스티어링 휠의 간격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확대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하부 스티어링 휠의 간격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운전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운전석에 구비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중앙에 차량의 스티어링 휠 축부(110)가 구비되며 스티어링 휠 축부(110)를 중심으로 양단에는 각각 힌지홀(150)이 형성되는 상부 스티어링 휠(1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단은 상부 스티어링 휠(100)의 힌지홀(150)에 유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고, 하단은 스티어링 휠 축부(110) 하단에 구비되며 양단에 각각 한쌍의 제1고정홀(170)과 제2고정홀(180)이 대응되게 형성되는 결합부(190)의 제1결합홀(175)이나 제2결합홀(185)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유동 결합부(250)에 결합되되, 유동 결합부(250)의 일측에는 스프링(270)에 의해 상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돌기(260)가 형성되는 하부 스티어링 휠(2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하부 스티어링 휠(200)의 유동 결합부(250)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270) 하단에 스프링(270)의 하부 끝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플랜지(280)를 구비하여, 스프링(270)이 하부 스티어링 휠(200)의 유동 결합부(250)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하며, 결합부(190)의 제1고정홀(170)과 제2고정홀(180) 사이 내부에 하부 스티어링 휠(200) 유동 결합부(250)의 고정돌기(260)가 이동되는 고정돌기 레일(140)을 형성하여, 하부 스티어링 휠(200)의 간격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석에 설치되는 조향장치인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즉, 차량의 스티어링 휠 축부(110) 상부에는 스티어링 휠 축부(110)를 중심으로 양단에 힌지홀(150)이 형성되는 상부 스티어링 휠(100)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스티어링 휠 축부(110) 하부에는 한쌍의 하부 스티어링 휠(200)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하부 스티어링 휠(200)의 상단은 상부 스티어링 휠(100)의 힌지홀(150)에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며, 하부 스티어링 휠(200)의 하단에는 유동 결합부(250)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하부 스티어링 휠(200)의 유동 결합부(250)는 스티어링 휠 축부(110)의 하단에 구비되는 결합부(190) 양단에 끼워져 결합되는데, 스티어링 휠 축부(110) 하단에 구비되는 결합부(190)는 하부 스티어링 휠(200)의 유동 결합부(250)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1결합홀(175)과 제2결합홀(185)이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결합부(190)의 제1결합홀(175)와 제2결합홀(185) 측면에는 한쌍의 제1고정홀(170)과 제2고정홀(180)이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하부 스티어링 휠(200)의 유동 결합부(250)에 구비되며 스프링(270)에 의해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돌기(260)를 제1고정홀(170)에 고정시킬 경우, 상부 스티어링 휠(100)과 하부 스티어링 휠(200)이 종래의 스티어링 휠 형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의 형태를 변형시키기 위해서 하부 스티어링 휠(200)의 유동 결합부(250)에 구비되는 고정돌기(260)를 누른 후 하부 스티어링 휠(200)을 스티어링 휠 축부(110) 바깥쪽으로 당기게 되면, 하부 스티어링 휠(200)의 고정돌기(260)가 제2고정홀(180)에 끼워져 고정되면서 하부 스티어링 휠(200) 간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부 스티어링 휠(200) 간의 간격이 넓어지면 스티어링 휠의 형태가 변형됨으로써, 운전자가 장시간 직진을 하게 되어 스티어링 휠의 조작이 없거나, 또는 급격한 방향 전환을 할 경우에도 자신의 운전 습관이나 기호에 맞게 스티어링 휠을 조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하부 스티어링 휠(200)의 유동 결합부(250)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270) 하단에는 스프링(270)의 하부 끝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플랜지(280)를 구비함으로써, 하부 스티어링 휠(200)의 유동 결합부(250) 내부에서 스프링(27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티어링 휠 축부(110)의 하단에 구비되는 결합부(190)의 제1고정홀(170)과 제2고정홀(180) 사이 내부에는 하부 스티어링 휠(200) 유동 결합부(250)의 고정돌기(260)가 이동되는 고정돌기 레일(140)을 형성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 중 하부 스티어링 휠(20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하부 스티어링 휠(200)의 유동 결합부(250)에 구비되는 고정돌기(260)를 눌러 제1고정홀(170)과 제2고정홀(180) 사이를 이동시킬 경우, 고정돌기(260)가 제1고정홀(170)과 제2고정홀(180) 사이의 고정돌기 레일(140)을 따라 이동하여 하부 스티어링 휠(200)의 간격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00 : 상부 스티어링 휠 110 : 스티어링 휠 축부
140 : 고정돌기 레일 150 : 힌지홀
170 : 제1고정홀 175 : 제1결합홀
180 : 제2고정홀 185 : 제2결합홀
190 : 결합부 200 : 하부 스티어링 휠
250 : 유동 결합부 260 : 고정돌기
270 : 스프링 280 : 스프링 고정 플랜지

Claims (3)

  1. 운전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운전석에 구비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중앙에 차량의 스티어링 휠 축부(110)가 구비되며 스티어링 휠 축부(110)를 중심으로 양단에는 각각 힌지홀(150)이 형성되는 상부 스티어링 휠(100);과
    상단은 상부 스티어링 휠(100)의 힌지홀(150)에 유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고, 하단은 스티어링 휠 축부(110) 하단에 구비되며 양단에 각각 한쌍의 제1고정홀(170)과 제2고정홀(180)이 대응되게 형성되는 결합부(190)의 제1결합홀(175)이나 제2결합홀(185)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유동 결합부(250)에 결합되되, 유동 결합부(250)의 일측에는 스프링(270)에 의해 상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돌기(260)가 형성되는 하부 스티어링 휠(20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 스티어링 휠(200)의 유동 결합부(250)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270) 하단에 스프링(270)의 하부 끝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플랜지(280)를 구비하여,
    스프링(270)이 하부 스티어링 휠(200)의 유동 결합부(250)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결합부(190)의 제1결합홀(170)과 제2결합홀(180) 사이 내부에 하부 스티어링 휠(200) 유동 결합부(250)의 고정돌기(260)가 이동되는 고정돌기 레일(140)을 형성하여,
    하부 스티어링 휠(200)의 간격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KR1020110098912A 2011-09-29 2011-09-29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KR101271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912A KR101271806B1 (ko) 2011-09-29 2011-09-29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912A KR101271806B1 (ko) 2011-09-29 2011-09-29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823A KR20130034823A (ko) 2013-04-08
KR101271806B1 true KR101271806B1 (ko) 2013-06-07

Family

ID=4843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912A KR101271806B1 (ko) 2011-09-29 2011-09-29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8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2760B1 (en) 2019-07-01 2020-01-14 Honda Motor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n adjustable steering whe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6169A (en) * 1936-11-17 1938-01-25 James B Bradshaw Automobile steering wheel
JPS57142673U (ko) * 1981-03-04 1982-09-07
KR19980033787U (ko) * 1996-12-09 1998-09-05 양재신 접이식 스티어링 휠
KR20040015499A (ko) * 2002-08-13 2004-02-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가변핸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6169A (en) * 1936-11-17 1938-01-25 James B Bradshaw Automobile steering wheel
JPS57142673U (ko) * 1981-03-04 1982-09-07
KR19980033787U (ko) * 1996-12-09 1998-09-05 양재신 접이식 스티어링 휠
KR20040015499A (ko) * 2002-08-13 2004-02-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가변핸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2760B1 (en) 2019-07-01 2020-01-14 Honda Motor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n adjustable steering wh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823A (ko) 201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3286B1 (en) Removable manual controls for an autonomous vehicle
JP6333708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およびアクセルペダルの統合構造を有するコントロールボード
TWD167494S (zh) 汽車用擾流板
KR101390522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1271806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US8544886B2 (en) Electrical power-assisted steering
JP2015189371A (ja) 車両
CN103029598B (zh) 多用途车
KR101271829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FR2978388B1 (fr) Siege auto pour enfant, destine a etre solidarise au siege d'un vehicule automobile.
JP5724698B2 (ja) サイドサポート装置
US8540281B2 (en) Steering system
USD593916S1 (en) Dashboard for an automobile
JP2009083579A (ja) 鞍乗り型車両の風防装置
US9033366B1 (en) System for cooling a steering wheel and a method of making
JP2013256203A (ja) 車両用電装品の操作装置
JP6436652B2 (ja) 自動車用ドアインナハンドルのアンロック保持構造
KR20050042397A (ko) 지름이 가변되는 스티어링 휠
CN102198840A (zh) 具有可调节和/或可移除的轮辐的方向盘
US10099593B2 (en) Arcuately adjustable footrest
CN106741505B (zh) 跨乘式交通工具
US20130314933A1 (en) Driving safety assembly
BR112019021698A2 (pt) Aparelho de frenagem de intertravamento frontal/traseiro para veículo do tipo para montar com selim
JP6523708B2 (ja) カバー体構造
JP5956827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