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739Y1 - 크기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 Google Patents

크기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739Y1
KR200142739Y1 KR2019960018756U KR19960018756U KR200142739Y1 KR 200142739 Y1 KR200142739 Y1 KR 200142739Y1 KR 2019960018756 U KR2019960018756 U KR 2019960018756U KR 19960018756 U KR19960018756 U KR 19960018756U KR 200142739 Y1 KR200142739 Y1 KR 200142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spokes
hub
uneven surface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8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2415U (ko
Inventor
한훈석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18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739Y1/ko
Publication of KR9800024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24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7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크기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에 관한것임.
2.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운전자의 어깨 폭에 맞추어 스티어링 휠의 좌, 우 폭을 조절가능하고자 함.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중앙부의 허브(1)와, 이 허브(1)로 부터 연결되어 방사상으로 뻗으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포크(2)와, 상기 스포크(2)에 연결되는 원형의 테두리중 상,하부 일부가 절단되어 좌,우 양측에 원호형의 손잡이를 이루는 림(3)으로 이루어지는 크기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운전자의 어깨에 맞추어 스티어링 휠의 좌,우 폭을 조절 가능하게됨.

Description

크기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본 고안은 자동차 핸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원형의 스티어링 휠이 아닌 원호형의 휠로서 좌,우측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운전자의 어깨 폭에 맞추어 좌,우로 폭이 조절되는 크기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에 관한것이다.
종래에는 첨부도면 제 1 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스티어링 칼럼의 상단 허브(100)에서 스포크(102)를 연결하고 이 스포크(102)에는 원형의 림(101)을 연결하여서 되는 것으로 최근에는 에어백이라든가 각종 운전 보조 장치들이 부설되어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일반적인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는 운전자의 어깨 간격에 맞게 스티어링 휠의 폭을 조절할 수 없어 정상인 보다 작은 체구의 여성이나 보다 큰 체구의 운전자는 불안정한 상태로 핸들링을 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운전자의 어깨 간격에 맞추어 스티어링 휠의 좌, 우 폭을 조절하는 스티어링 구조가 필요로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원호형의 림이 좌, 우에서 대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이와같은 대응하는 원호형의 림이 허브로 부터 좌, 우의 폭이 조절되는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잇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중앙부의 허브와, 이 허브로부터 연결되어 방사상으로 뻗으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포크와, 상기스포크에 연결되는 원형의 테두리중 상, 하부 일부가 절단되어 좌, 우 양측에 원호형의 손잡이를 이루는 림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림에 일단부를 연결하고 내부에는 관공을 형성한 외관부재의 내부로 상기 허브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그 주면에는 요철면을 형성한 내관부재를 관착하여서 되는 좌,우 폭이 조절되는 스티어링 휠에 의해서 좌, 우 폭 조절 스티어링 휠이 달성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관부재에 형성된 관공에 상기 내관부재의 요철면에 접촉하는 탄발회동구와 누름버튼을 설치하여 외관부재의 정지 상태가 일시 해제되도록 하는 해제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에 외관 부재의 내면에 요홈을 형성하고 이요홈에 내관부재의 요철면에 접촉하는 볼과 스프링을 삽입하여 내, 외관부재의 길이 조절시에 클릭음을 발생하는 구조를 부가하여 보다 이상적인 스티어링 휠을 달성하게 되는 것이다.
제 1도는 종래 일반화된 스티어링 휠이 적용된 자동차의 일부 사시도
제 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한 스티어링 휠의 확대 정면도
제 3도는 본 고안 스티어링 휠의 길이조절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도
제 4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자동차의 내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허브 2 : 스포크
3 : 림 10 : 내관부재
11 : 요철면 20 : 외관부재
21 : 관공 22 : 통공
23 : 탄발회동구 24 : 누름버튼
31 : 볼 32 : 스프링
33 : 요홈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제 2 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한 스티어링 휠의 확대 정면도로서 이에 다르면 중앙부의 허브(1)와, 이 허브(1)로 부터 연결되어 방사상으로 뻗으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포크(2)와, 상기 스포크(2)에 연결되는 원형의 테두리중 상,하부 일부가 절단되어 좌,우 양측에 원호형의 손잡이를 이루는 림(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 림(3)의 폭 조절 스포크(2)중 양측의 상부 스포크(2)는 상기 림(3)에 일단부를 연결하고 내부에는 관공(21)을 형성한 외관부재(20)의 내부로 상기 허브(1)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그 주면에는 요철면(11)을 형성한 내관부재(10)를 관착하고, 상기 외관부재(21)에 형성된 관공(22)에, 저부가 상기 내관부재(10)의 요철면(11)에 접촉하는 탄발회동구(23)와 누름버튼(24)을 설치하여서 된다.
양측 하부의 스포크는 상기 스포크(2) 각각의 아랫쪽 스포크(2)에는 외관부재(20)의 내면에 요홈(33)을 형성하고 이 요홈(33)에 내관부재(10)의 요철면(11)에 접촉하는 볼(31)과 스프링(32)을 삽입하여 내,외관부재의 길이 조절시에 클릭음을 발생하도록 하여서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첨부 도면 제 3 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좌, 우 림(3)의 폭 조절 스포크(24)중 양측의 상부 스포크(2)에 설치된 누름버튼(24)을 눌러 탄발 회동구(23)을 해제 시킨 뒤 림(3)을 좌,우측으로 밀어 내면 외관부재(20)가 내관부재(10)를 따라 이동된다.
이때 좌,우 스포크중 아래쪽의 스포크(2)에서는 요철면(11)을 따라 볼(31)이 접촉하여 클릭음을 내면서 이동되며 운전자의 양팔 간격에 맞추어 적당히 조절한 뒤 누름버튼(24)을 놓으면 외관부재(20)가 멈추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운전자들의 어깨 폭에 맞추어 스티어링 휠의 좌,우 폭을 조절 가능하므로서 그동안 비교적 어깨가 작은 여성운전자나 체구가 큰 운전자들이 불안정하게 핸들링을 수행함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실안 등록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자동차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중앙의 허브(1)로부터 연결되어 방사상으로 뻗으면서 형성된 스포크(2)와,
    상기 스포크(2)의 양측에 원호형의 손잡이를 이루는 림(3)과,
    상기 림(3)에 일단부를 연결하고 내부에는 관공(21)을 형성한 외관부재(20)의 내부로 상기 허부(1)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그 주면에 요철면을 형성한 내관부재(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부재(10)는 그 상측에 요철면(11)을 형성하고, 이 요철면(11)에 접촉하는 탄발회동구(23)과 누름버튼(24)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부재(10)는 그 상측에 형성된 요철면(11)에 접촉하는 볼(31)과 스프링(32)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KR2019960018756U 1996-06-29 1996-06-29 크기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KR200142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8756U KR200142739Y1 (ko) 1996-06-29 1996-06-29 크기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8756U KR200142739Y1 (ko) 1996-06-29 1996-06-29 크기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415U KR980002415U (ko) 1998-03-30
KR200142739Y1 true KR200142739Y1 (ko) 1999-06-01

Family

ID=1946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8756U KR200142739Y1 (ko) 1996-06-29 1996-06-29 크기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73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829B1 (ko) 2011-08-30 2013-06-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DE102016002204A1 (de) 2016-02-25 2017-08-31 Audi Ag Betätigungsvorrichtung zur manuellen Betätigung einer Fahrzeugfunktion mit einem Handgriffelement
KR102075346B1 (ko) * 2019-02-13 2020-02-10 주식회사 코모스 가변식 스티어링 휠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118012B1 (ko) * 2019-03-08 2020-06-02 주식회사 코모스 가변식 스티어링 휠 및 이의 작동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829B1 (ko) 2011-08-30 2013-06-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DE102016002204A1 (de) 2016-02-25 2017-08-31 Audi Ag Betätigungsvorrichtung zur manuellen Betätigung einer Fahrzeugfunktion mit einem Handgriffelement
KR102075346B1 (ko) * 2019-02-13 2020-02-10 주식회사 코모스 가변식 스티어링 휠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118012B1 (ko) * 2019-03-08 2020-06-02 주식회사 코모스 가변식 스티어링 휠 및 이의 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415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40036S1 (en) Vehicle wheel rim
USD964247S1 (en) Vehicle wheel rim
USD993875S1 (en) Vehicle wheel rim
JP3146326B2 (ja) 径方向内側にのびるディスク面をもつ組立て車輪
US7614707B2 (en) Wheel rim and wheel hub mount assembly
US6186598B1 (en) Bicycle wheel rim with a rim body having an H-shaped cross-section
USD922297S1 (en) Vehicle wheel
CN105946470B (zh) 一种汽车爆胎应急安全装置
US20030003842A1 (en) Toy vehicle removable wheel connection
KR200142739Y1 (ko) 크기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US5372407A (en) Laced wheel hub
CN100480069C (zh) 一种橡胶圈内胎
JPS60259501A (ja) スポ−ク車輪
KR100447566B1 (ko) 가변핸들
JPH03120201U (ko)
EP0845372A1 (en) Center hub converter
KR200221359Y1 (ko) 스티어링 휠
KR200245991Y1 (ko) 자동차의 핸들
KR19980040289U (ko) 자동차용 휠
KR200301885Y1 (ko) 자동차의 웅덩이 탈출장치
KR200221030Y1 (ko) 자동차의 웅덩이 탈출장치
JPS6332901U (ko)
JP3426798B2 (ja) 乗用田植機の前輪構造
KR200150734Y1 (ko) 조립이 용이한 차량용 휠
JP2004142585A (ja) 移植機用の車輪取付け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