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991Y1 - 자동차의 핸들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991Y1
KR200245991Y1 KR2020010016659U KR20010016659U KR200245991Y1 KR 200245991 Y1 KR200245991 Y1 KR 200245991Y1 KR 2020010016659 U KR2020010016659 U KR 2020010016659U KR 20010016659 U KR20010016659 U KR 20010016659U KR 200245991 Y1 KR200245991 Y1 KR 2002459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rim
spoke
hub
magne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6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봉
Original Assignee
조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봉 filed Critical 조재봉
Priority to KR2020010016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9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9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991Y1/ko

Links

Landscapes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돌시 핸들의 스포크가 하방으로 작동되게 하여 림의 일측에 운전자의 머리나 가슴이 강타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운전자의 치명적인 부상이나 사망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조향축과 연결된 허브와, 상기 허브와 소정길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 대향된 스포크와, 상기 스포크의 각 단부와 결합된 링형상의 림 등으로 구성된 핸들에 있어서, 각 스포크의 적소를 이등분하는 한편, 상기 허브와 연결된 스포크의 단부 내측에는 자동차의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마그네트가내설되며, 림과 연결된 스포크의 단부 내측에는 상기 마그네트와 대응되는 자성부재가 내설되어 상기 마그네트에 전원이 인가되면 이와 자성부재가 상호 결합되게 하고, 충돌시 마그네트로 공급되던 전원이 오프되면서 마그네트와 자성부재가 분리되어 림이 하방으로 탈거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핸들{a steering wheel of a car}
본 고안은 자동차의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돌시 운전자의 머리가 핸들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핸들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란 크게 나누어 바디(Body), 섀시(Chassis)로 대별되는데, 상기 바디는 사람이나 화물을 싣는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자동차의 외피에 해당되고 그 모양은 승용차, 버스, 화물차 등 용도에 따라 다르다.
그리고, 섀시는 바디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주행의 원동력이 되는 기관, 동력전달장치, 제동장치, 현가장치 및 조향장치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고안과 관련된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한 장치를 말하며, 보통 핸들을 돌려서 자동차의 앞바퀴를 조향하게 되는데, 상기 조향장치는 크게 조향기어기구와 조향링크기구, 그리고 조향조작기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향조작기구 중의 하나인 핸들은 조향축과 연결된 허브와, 상기 허브와 소정길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 대향된 스포크와, 상기 스포크의 각 단부와 결합된 링형상의 림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핸들은 주행중 충돌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림의 일측에 운전자의 머리나 가슴이 강타되므로서 치명적인 부상이나 사망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충돌시 핸들의 림이 하방으로 탈거되게 하여 림의 일측에 운전자의 머리나 가슴이 강타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운전자의 치명적인 부상이나 사망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핸들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들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들의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들의 작동상태를 보인 일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허브 11:조향축
20:스포크 21:마그네트
22:자성부재 30:림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조향축과 연결된 허브와, 상기 허브와 소정길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 대향된 스포크와, 상기 스포크의 각 단부와 결합된 링형상의 림 등으로 구성된 핸들에 있어서, 각 스포크의 적소를 이등분하는 한편, 상기 허브와 연결된 스포크의 단부 내측에는 자동차의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마그네트가 내설되며, 림과 연결된 스포크의 단부 내측에는 상기 마그네트와 대응되는 자성부재가 내설되어 상기 마그네트에 전원이 인가되면 이와 자성부재가 상호 결합되게 하고, 충돌시 마그네트로 공급되던 전원이 오프되면서 마그네트와 자성부재가 분리되어 림이 하방으로 탈거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들의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들의 일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들의 작동상태를 보인 일부 단면도이다.
조향축(11)과 연결된 허브(10)와, 상기 허브(10)와 소정길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 대향된 스포크(20)와, 상기 스포크(20)의 각 단부와 결합된 링형상의 림(30)등으로 구성된 핸들에 있어서,
먼저, 각 스포크(20)의 일정지점을 이등분하여 상기 허브(10)와 연결된 스포크(20)의 단부 내측에는 자동차의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마그네트(21)가 내설되며, 림(30)과 연결된 스포크(20)의 단부 내측에는 상기 마그네트(21)와 대응되는 자성부재(22)가 내설된다. 즉, 상기 마그네트(21)에 항시 전원이 공급되어 이와 자성부재(22)가 강력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충돌시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전원을 오프시키게 되면 마그네트(21)가 자력을 상실하면서 자성부재(22)와 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21)와 연결된 전선은 허브(10)와 조향축(11)의 중공을 통해 밧데리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허브(10)와 연결된 스포크(20)의 단부 하측과, 림(30)과 연결된 스포크(20)의 단부 하측을 힌지로서 상호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의 핸들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이, 허브(10)와 연결된 스포크(20)의 마그네트(21)에 전원이 공급되어 있으면 상기 마그네트(21)가 림(30)과 연결된 스포크(20)의 자성부재(22)와 강력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주행중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이 충돌신호를 센서가 감지하여 마그네트(21)로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하게 되는데, 이때 도 3과 같이 마그네트(21)가 자력을 상실하면서 자성부재(22)와 분리됨과 동시에 림(30)이 하방으로 탈거되므로서 운전자와 림(30)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충돌시 핸들의 스포크(20)가 하방으로 작동되게 하여 림(30)의 일측에 운전자의 머리나 가슴이 강타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운전자의 치명적인 부상이나 사망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조향축과 연결된 허브와, 상기 허브와 소정길이 연결된 적어도 두개 이상 대향된 스포크와, 상기 스포크의 각 단부와 결합된 링형상의 림 등으로 구성된 핸들에 있어서,
    각 스포크의 적소를 이등분하는 한편, 상기 허브와 연결된 스포크의 단부 내측에는 자동차의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마그네트가 내설되며, 림과 연결된 스포크의 단부 내측에는 상기 마그네트와 대응되는 자성부재가 내설되어 상기 마그네트에 전원이 인가되면 이와 자성부재가 상호 결합되게 하고, 충돌시 마그네트로 공급되던 전원이 오프되면서 마그네트와 자성부재가 분리되어 림이 하방으로 절곡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의 핸들.
KR2020010016659U 2001-05-30 2001-05-30 자동차의 핸들 KR2002459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659U KR200245991Y1 (ko) 2001-05-30 2001-05-30 자동차의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659U KR200245991Y1 (ko) 2001-05-30 2001-05-30 자동차의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991Y1 true KR200245991Y1 (ko) 2001-10-22

Family

ID=7306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659U KR200245991Y1 (ko) 2001-05-30 2001-05-30 자동차의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9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586A (ko) * 2021-10-27 2023-05-08 한국자동차연구원 스티어링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586A (ko) * 2021-10-27 2023-05-08 한국자동차연구원 스티어링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628643B1 (ko) 2021-10-27 2024-01-24 한국자동차연구원 스티어링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2094618A8 (de) Verfahren zur schadensbegrenzung bei teilüberdeckter frontalkollision und kraftfahrzeug mit einer dazu dienenden vorrichtung
KR200245991Y1 (ko) 자동차의 핸들
US6153996A (en) Steering device with an actuating ring
JP3667151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0152613B1 (ko) 미끄럼 방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스티어링 휠
KR200167749Y1 (ko) 절첩식 조향핸들의 충격완화장치
KR20020074726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휠
KR200152202Y1 (ko) 차량용 에어백 어셈블리의 장착구조
KR200143798Y1 (ko) 자동차 스티어링 기어 마운팅 브래킷
JP3070447B2 (ja) ステアリングホィール
KR200140893Y1 (ko) 자동차의 장애인용 스티어링 휠 보조 핸들
KR19980056488A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 구조
KR20010048737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휠
KR200155423Y1 (ko) 조향 핸들용 삽입식 어시스트 레버구조
KR19990018021A (ko) 접이식 스티어링 핸들
KR0154629B1 (ko) 안전도를 고려한 조향기어 하우징
KR200167750Y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텔레스코픽구조
KR100491907B1 (ko) 조향핸들의 코어
KR19990006651U (ko) 이중 타이어 휠(wheel)
KR19990041181A (ko) 스티어링 클럭 스프링 가이드핀
KR19990021251A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KR19980045193U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KR19980044956U (ko) 조향휠의 충격흡수구조
KR19980062760U (ko) 차량용 보조핸들
US20070295152A1 (en) Vehicle steer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