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030Y1 - 자동차의 웅덩이 탈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웅덩이 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030Y1
KR200221030Y1 KR2020000029279U KR20000029279U KR200221030Y1 KR 200221030 Y1 KR200221030 Y1 KR 200221030Y1 KR 2020000029279 U KR2020000029279 U KR 2020000029279U KR 20000029279 U KR20000029279 U KR 20000029279U KR 200221030 Y1 KR200221030 Y1 KR 2002210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ire
hole
fastener
tr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연근
Original Assignee
손연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연근 filed Critical 손연근
Priority to KR2020000029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0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0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03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웅덩이 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내외측숄더부를 갖고 트레이드부를 갖는 자동차의 타이어에 있어서, 하부에 지지공이 형성되고 타이어의 내측숄더부와 트레이드부에 밀착되는 지지구와, 지지구 지지공의 연장선상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타이어의 외측숄더부와 트레이드부에 밀착되는 체결구와, 선단은 타이어와 접하는 지지편이 위치되고 중심측은 체결구의 체결공에 나사결합되어 지지편을 타이어방향으로 완강히 밀착시키는 밀착나사와, 지지구의 지지공과 체결구의 관통공에 끼워져 고정너트로 지지구와 체결구의 하부를 타이어에 밀착 고정시키는 지지볼트 및 판체로 형성되어 일측에 지지볼트의 선단부에 나사체결되는 너트부가 형성된 회동부재를 갖고 지지볼트 연장선상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버팀대를 구비하여서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웅덩이 탈출장치{device escaping puddle for car}
본 고안은 자동차의 웅덩이 탈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가 비포장길 등의 험로 주행중에 웅덩이나 진흙길 속에 차량의 타이어가 빠진 상태에서 웅덩이나 진흙길에 빠진 타이어에 손쉽게 장착시킴으로써 차량이 웅덩이나 진흙길에서 손쉽게 빠져 나올 수 있는 자동차의 웅덩이 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가 험한 비포장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진흙길이나 웅덩이에 타이어가 빠져 차량이 전후진을 하지 못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경우에 네개의 타이어에 모두 구동력이 전달되는 4륜구동형 차량은 웅덩이에 빠지지 않은 다른 타이어의 도움으로 웅덩이 등에서 손쉽게 빠져 나올 수 있으나, 보통 전방 타이어나 후방 타이어에 선택적으로만 구동력이 전달되는 2륜구동형 차량은 그 구동타이어가 웅덩이에 빠지게 되면 타이어만 계속해서 헛돌게 되고 점점 더 깊은 곳으로 타이어가 빠져들게 되어 차량의 왕래가 드문 외딴곳에서 이런 상황에 처하게 되면 운전자는 매우 곤혹스럽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자동차가 비포장길 등의 험로 주행중에 웅덩이나 진흙길 속에 차량의 타이어가 빠진 상태에서 웅덩이나 진흙길에 빠진 타이어에 손쉽게 장착시킴으로써 차량이 웅덩이나 진흙길에서 손쉽게 빠져 나올 수 있는 자동차의 웅덩이 탈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외측숄더부를 갖고 트레이드부를 갖는 자동차의 타이어에 있어서;
하부에 지지공이 형성되고 타이어의 내측숄더부와 트레이드부에 밀착되는 지지구와;
지지구 지지공의 연장선상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타이어의 외측숄더부와 트레이드부에 밀착되는 체결구와;
선단은 타이어와 접하는 지지편이 위치되고 중심측은 체결구의 체결공에 나사결합되어 지지편을 타이어방향으로 완강히 밀착시키는 밀착나사와;
지지구의 지지공과 체결구의 관통공에 끼워져 고정너트로 지지구와 체결구의 하부를 타이어에 밀착 고정시키는 지지볼트 및
판체로 형성되어 일측에 지지볼트의 선단부에 나사체결되는 너트부가 형성된 회동부재를 갖고 지지볼트 연장선상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버팀대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분리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장착모습을 보인 요부발췌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요부발췌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팀대 10': 보조버팀대
12 : 회동부재 14 : 너트부
20 : 지지볼트 22 : 고정너트
30 : 체결구 32 : 관통공
34 : 체결공 40 : 밀착나사
42 : 지지편 50 : 지지구
52 : 지지공 A : 웅덩이 탈출장치
T : 타이어 T1 : 트레이드부
T2 : 내측숄더부 T3 : 외측숄더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분리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장착모습을 보인 요부발췌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요부발췌 평단면도로, 자동차의 웅덩이 탈출장치(A)는 차량의 타이어(T) 내측숄더부(T2)와 외측숄더부(T3)에 위치되는 지지구(50)와 체결구(30), 체결구(30)와 지지구(50)를 타이어(T) 트레이드부(T1) 상에서 체결하는 지지볼트(20), 체결구(30) 상부에서 체결구(30)와 지지구(50)를 타이어(T) 내외측숄더부(T2)(T3)에 완강히 밀착시키는 밀착나사(40), 지지볼트(20)의 선단부에 회동부재(12)의 너트부(14)에 의해 체결되어 자유롭게 회동되는 버팀대(10)로 구성된다.
지지구(50)는 타이어(T)의 내측에 위치되어 타이어(T) 내측숄더부(T2)와 트레이드부(T1)에 밀착되는 것으로, 트레이드부(T1)와 접하는 하부에는 지지공(52)이 형성된다.
타이어(T)의 외측에는 체결구(30)가 위치되는데 지지구(50) 지지공(52)의 연장선상의 하부에는 관통공(32)이 형성되고 체결구(30) 상측인 타이어(T) 외측숄더부(T3)의 상부에는 체결공(34)이 형성된다.
체결구(30)의 체결공(34)에는 밀착나사(40)가 나사체결되어 선단부의 지지편(42)을 타이어(T) 외측숄더부(T3)로 완강히 밀착시킨다.
지지볼트(20)는 지지구(50)의 지지공(52)을 통해 체결구(30)의 관통공(32)을 통과한 후 관통공(32)의 외부측에서 고정너트(22)가 체결되는데 고정너트(22)를 완강히 체결함으로써 지지구(50)와 체결구(30)는 타이어(T)의 내외측숄더부(T2)(T3)와 트레이드(T1)부에서 완강히 밀착되어 고정된다.
지지볼트(20)의 선단부에는 판체인 버팀대(10)가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데, 이를 위해 버팀대(10)의 몸체 선단부에는 내측에 지지볼트(20)가 나사체결되는 너트부(14)가 형성되고, 너트부(14) 외측에는 버팀대(10)와 한몸으로 결합된 볼베어링 등과 같은 회동부재(12)를 형성시킴으로써 버팀대(10)는 지지볼트(20)상에서 너트부(14)로 완강히 체결되어 이탈되지 않고 지지볼트(20)상에서 자유롭게 회동된다.
이렇게 버팀대(10)가 형성된 타이어(T)의 외측숄더부(T3)의 반대측인 내측숄더부(T2)의 지지구(50)일측에는 보조버팀대(10')가 탈착가능하게 구성시킬수도 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이 비포장도로를 주행하다가 진흙길이나 웅덩이에 구동타이어(T)가 빠지게 되면 운전자는 트렁크룸(도시않음)에서 웅덩이 탈출장치(A)를 꺼내 구동타이어(T)의 내측숄더부(T2)와 트레이드부(T1)에 웅덩이 탈출장치(A)의 지지구(50)를 밀착시키고 다시 구동타이어(T)의 외측숄더부(T3)와 트레이드부(T1)에 체결구(30)를 밀착시킨 다음, 체결구(30) 상부의 체결공(34)에 나사결합된 밀착나사(40)를 돌려서 지지편(42)을 타이어(T)의 내외측숄더부(T2)(T3)에 완강히 밀착되게 고정시킨다.
밀착나사(40)의 지지편(42)에 의해 타이어(T)의 내외측숄더부(T2)(T3)에 지지구(50)와 체결공(34)을 고정시킨 다음에는 지지구(50)의 지지공(52)을 통해 지지볼트(20)를 삽입하여 체결구(30)의 관통공(32)에 삽입하고 고정너트(22)로 체결하여 지지구(50)와 체결구(30)를 타이어(T)에 완강히 고정시킨다.
그리고, 지지볼트(20)의 선단에 버팀대(10)의 너트부(14)를 위치시켜 체결시키면 된다. 지지볼트(20)에 너트부(14)를 체결시키기 위해서 너트부(14)의 일측은 버팀대(1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야 회동부재(12)에 의해 회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버팀대(10)를 지지볼트(20)에 손쉽게 체결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타이어(T)의 내측숄더부(T2)에 위치한 지지구(50)에 보조버팀대(10')를 체결시킬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웅덩이에 빠진 타이어(T)에 웅덩이 탈출장치(A)를 고정시키고 차량을 천천히 출발시키면 구동타이어(T)는 회동하면서 웅덩이 탈출장치(A)도 동반 회동되는데, 이때 웅덩이의 외부측에 위치되는 웅덩이 탈출장치(A)의 버팀대(10)는 웅덩이보다는 단단한 웅덩이 측면부를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차체는 앞으로 서서히 전진된다. 이에 따라 차량은 웅덩이에서 탈출하게 된다.
이러한 웅덩이 탈출장치(A)는 도 3과 같이 구동타이어(T)에 복수개 결합시킴으로써 보다 원활하게 진흙길이나 웅덩이에서 차량을 탈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자동차가 비포장길 등의 험로 주행중에 웅덩이나 진흙길 속에 차량의 타이어가 빠진 상태에서 웅덩이나 진흙길에 빠진 타이어에 손쉽게 장착시킬 수 있어 차량이 웅덩이나 진흙길에서 손쉽게 빠져 나오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내외측숄더부(T2)(T3)를 갖고 트레이드부(T1)를 갖는 자동차의 타이어(T)에 있어서;
    하부에 지지공(52)이 형성되고 타이어(T)의 내측숄더부(T2)와 트레이드부(T1)에 밀착되는 지지구(50)와;
    지지구(50) 지지공(52)의 연장선상에 관통공(32)이 형성되고 상부에 체결공(34)이 형성되어 타이어(T)의 외측숄더부(T3)와 트레이드부(T1)에 밀착되는 체결구(30)와;
    선단은 타이어(T)와 접하는 지지편(42)이 위치되고 중심측은 체결구(30)의 체결공(34)에 나사결합되어 지지편(42)을 타이어(T)방향으로 완강히 밀착시키는 밀착나사(40)와;
    지지구(50)의 지지공(52)과 체결구(30)의 관통공(32)에 끼워져 고정너트(22)로 지지구(50)와 체결구(30)의 하부를 타이어(T)에 밀착 고정시키는 지지볼트(20) 및
    판체로 형성되어 일측에 지지볼트(20)의 선단부에 나사체결되는 너트부(14)가 형성된 회동부재(12)를 갖고 지지볼트(20) 연장선상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버팀대(1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웅덩이 탈출장치.
KR2020000029279U 2000-10-20 2000-10-20 자동차의 웅덩이 탈출장치 KR2002210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279U KR200221030Y1 (ko) 2000-10-20 2000-10-20 자동차의 웅덩이 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279U KR200221030Y1 (ko) 2000-10-20 2000-10-20 자동차의 웅덩이 탈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030Y1 true KR200221030Y1 (ko) 2001-04-16

Family

ID=7309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279U KR200221030Y1 (ko) 2000-10-20 2000-10-20 자동차의 웅덩이 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0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94456C (en) Wheel clamp attachment
US4687124A (en) Cover for a motor vehicle spare wheel
CA2042043A1 (en) Motor Vehicle Anti-Theft Device
US5755124A (en) Steering wheel and air bag lock equipped with warning lights
KR200221030Y1 (ko) 자동차의 웅덩이 탈출장치
JPH08144604A (ja) 前輪を固定する自転車用錠
US6877819B1 (en) Tire clamp substituting for spare tire
KR200301885Y1 (ko) 자동차의 웅덩이 탈출장치
KR200142739Y1 (ko) 크기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JP3217724B2 (ja) 脱輪防止装置
US2723585A (en) Anti-theft device for automobile hub caps
KR950006291Y1 (ko) 연약지반 통과를 위한 자동차의 바퀴보조구
ATE299245T1 (de) Räderdiebstahlsicherung mit einem befestigungsteil und mit einem schlüssel
US6564848B1 (en) Bead vice tire tool
JP2001097262A (ja) コンビネイションロック装置
KR200347765Y1 (ko) 자동차용 구난장치
KR19980019895A (ko) 구덩이 탈출기구
KR0128155B1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탈착 장치
KR19980029176A (ko) 차량용 타이어 체결공구
KR0149290B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JP2528075Y2 (ja) アルミロードホイール
JP2515143Y2 (ja) 車輪停止具
JP2004058974A (ja) 自動車のハンドルの盗難防止装置
JPS6319268Y2 (ko)
KR200214987Y1 (ko) 차량용 머드 가아드 체결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