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4165A -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4165A
KR20040014165A KR1020030029775A KR20030029775A KR20040014165A KR 20040014165 A KR20040014165 A KR 20040014165A KR 1020030029775 A KR1020030029775 A KR 1020030029775A KR 20030029775 A KR20030029775 A KR 20030029775A KR 20040014165 A KR20040014165 A KR 20040014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
wear
yarn
fabric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 오노
마사유키 스기야마
타케아키 타카모리
Original Assignee
닛신보세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보세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보세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4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16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1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20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D02G3/286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with alternatively "S" and "Z" direction of twist, e.g. Self-twist proces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2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stiff, shape ret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을 얻는 것을 과제로 한다.
꼬임 계수가 5 이상인 강연사를 날실과 씨실로 사용하여 직성(織成)하고, 형태 안정 가공을 실시한,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 및 그 제조방법{Textile having high wash and wear abilit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 of}
지금까지, 형태 안정 가공품은 셔츠나 블라우스 등으로 상품화되어, 그 후, 순면의 셔츠, 흡수방오(吸水防汚) 타입 등 여러 가지 변화된 상품으로 그 영역을 넓혀 갔다.
본 발명은,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 제조 후의 포르말린 발생량이 적은,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꼬임 계수를 높인 실로 제직(製織)하고, 형태 안정 가공을 함으로써, 워시앤드웨어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제품 제조 후의 포르말린 발생량도 동시에 저감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꼬임 계수가 5 이상인 강연사를 날실과 씨실로 사용하여 제직하고, 형태 안정 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에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에 있어서, 평직으로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에 있어서,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실 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혼방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에 있어서, S꼬임 단사와 Z꼬임 단사를 번갈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꼬임 계수가 5 이상인 강연사를 날실과 씨실로 사용하여 제직하고, 형태 안정 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1)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은, 제품으로서 세탁이나 건조 후에도, 주름의 발생을 적게 할 수 있는 직물이다. 형태 안정 가공은, 워시앤드웨어성을 높이는 가공 방법으로서, 다양한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수지 가공, SSP 가공(닛신보(주)), 또는, VP 가공(동양방적(주)) 등이 있다.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사용하는 실의 꼬임 계수를 높임으로써, 워시앤드웨어성을 높인 직물을 얻을 수 있었다. 실의 꼬임 계수를K = 5 이상인 강연으로 하면, 종래의 감연(甘撚)(K = 2.8)이나 병연(竝撚)(K = 3.6)과 비교하여,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을 얻을 수 있었다.
(2) 실
실의 종류는, 꼬아서 만들어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관하며, 예를 들면, 목면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에 적합한 실의 꼬임 강도(꼬임 계수 K)는, K = 5 이상이 바람직하다. K = 5.0 내지 7.0이 더욱 바람직하다.
(3) 조직
직물의 조직은, 다양한 것들을 이용할 수 있지만, 특히 시장의 요구도가 높으며, 동시에 높은 워시앤드웨어성을 얻기 힘들다는 평직에 대하여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1) 직물의 시료
실시예에서는, 4 종류의 직물, 시료 A, 시료 B, 시료 C, 시료 D를 이용하였다. 모든 시료는, 씨실 70본/인치, 날실 120본/인치인 평직으로 하였다. 사용한 실은, 날실·씨실 모두 면 100%의 40번수 단사로 하였다.
시료 A는, 날실·씨실 모두 감연사(꼬임 계수 K = 2.8)를 사용하고, 시료 B는, 날실·씨실 모두 병연사(꼬임 계수 K = 3.2)를 사용하였으며, 시료 C는, 날실·씨실 모두 강연사(꼬임 계수 K = 6.0)를 사용하였다. 시료 D는, 강연사, 꼬임 계수 K = 6.0인 S꼬임과 Z꼬임 실을 사용하여, 날실·씨실 모두 S꼬임과 Z꼬임 실을 하나씩 번갈아 배치하였다.
(2) 형태 안정 가공
실시예의 형태 안정 가공은, 액체 암모니아를 사용한 수지 가공으로 수행하였다. 수지 가공 후의 포르말린은, 40ppm 내지 50ppm이었다.
(3) 워시앤드웨어성 시험
시료 A, B, C, D에 대하여, 워시앤드웨어성 시험(W&W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는 모두, 동일 로트로 동시 가공을 수행하였으며, 가공 공정, 조건, 약제 등은 완전히 동일하게 하였다. 또한, W&W성 시험은, JIS L-1096 A법에 기초한 것이며, 그 개략은, 3장의 시료 조각(40×40cm)에 대하여, 세탁 및 건조의 공정을 5회 반복하여, 얻어진 시료 조각과 판정용 표준과를 대비하여 9단계의 판정을 수행한 것이다.
시료 W&W성(수지가공 후)(급) W&W성(수지가공 전)(급)
번호 꼬임 계수 조직
A 감연 K=2.8 평직 3.2 1.5
B 병연 K=3.6 평직 3.3 1.5
C 강연 K=6.0 평직 3.6 1.8
D SZ강연 K=6.0 평직 3.7 1.9
(4) 시험 결과
시료 A, B, C는, 실의 꼬임 계수가 다르다는 것 이외에는, 같은 조건으로 처리되어 있는 것으로서, 형태 안정 가공이 수행되면, 표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감연과 병연의 경우, 워시앤드웨어성이 각각 3.2급과 3.3급인 것에 비해, 강연의 경우, 워시앤드웨어성이 3.6급으로 되어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강연의 시료 D에서는, 강연의 시료 C에 비하여, S꼬임과 Z꼬임을 번갈아 사용한 것이다. 이에 의해, 워시앤드웨어성이 3.7급이 되어, 워시앤드웨어성이 더욱 높아짐을 알 수 있다.
형태 안정 가공을 수행하기 전의 시료에서도, 시료 A와 B는, 워시앤드웨어성이 모두 1.5급인 것에 비해, 시료 C와 D는, 워시앤드웨어성이 각각 1.8급과 1.9급이다. 이들은, 워시앤드웨어 가공을 수행하지 않은 만큼, 워시앤드웨어성이 낮지만, 강연으로 하면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들 데이터로부터, 형태 안정 가공은 액체 암모니아를 사용한 수지 가공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 안정 가공에서도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아짐을 추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본 발명은,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을 얻을 수 있다.
(2) 본 발명은, 강연에 의해 워시앤드웨어성을 높일 수 있다.
(3) 또한, 본 발명은 제품 후의 포르말린의 발생량이 적은,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꼬임 계수가 5 이상인 강연사를 날실과 씨실로 사용하여 제직(製織)하고, 형태 안정 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
  2. 제 1항에 있어서,
    평직으로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
  3. 제 1항에 있어서,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실 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혼방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
  4. 제 1항에 있어서,
    S꼬임 단사와 Z꼬임 단사를 번갈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
  5. 꼬임 계수가 5 이상인 강연사를 날실과 씨실로 사용하여 제직하고, 형태 안정 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의 제조방법.
KR1020030029775A 2002-08-09 2003-05-12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141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33929A JP4254997B2 (ja) 2002-08-09 2002-08-09 ウォッシュアンドウエア性の高い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2-00233929 2002-08-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165A true KR20040014165A (ko) 2004-02-14

Family

ID=32018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775A KR20040014165A (ko) 2002-08-09 2003-05-12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54997B2 (ko)
KR (1) KR20040014165A (ko)
CN (1) CN1492089A (ko)
TW (1) TW2004024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00270B2 (ja) * 2010-06-14 2014-10-01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洗濯耐久性に優れるセルロース系織物
CN102454024A (zh) * 2010-10-28 2012-05-16 吴江市鸿慧服饰有限公司 强捻人造棉布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76166A (ja) 2004-03-11
CN1492089A (zh) 2004-04-28
JP4254997B2 (ja) 2009-04-15
TW200402487A (en) 200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13769A (zh) 一种泡绉织物及其织造工艺
Topalbekiroğlu et al. The effect of weave type on dimensional stability of woven fabrics
EP3692190B1 (en) Lyocell filament lining fabric
US20020160679A1 (en) Warp knit having an excellent touch, and a process of preparing the same
KR20040014165A (ko) 워시앤드웨어성이 높은 직물, 및 그 제조방법
CN208414723U (zh) 一种超细旦尼龙dty单丝防卷边面料
US3507609A (en) Stretch fabrics of polyestercotton blends
JP7259088B2 (ja) フィブリル化している再生セルロース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布帛
US11326278B2 (en) Fabric constructions with hollow structures
JPH1018145A (ja) セルロースマルチフィラメント交織裏地、及びその製造方法
JP4846086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ラメント織編物及びその織編物からなる衣料並びにカーテン
JPS63264965A (ja) ソフト布帛の製造方法
JPH09310249A (ja) 交織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10040656A1 (en) High thread/ yarn count woven textile fabric and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CN106868688A (zh) 一种新型蜂窝状微孔结构聚酯改性织物的制备方法
KR100958520B1 (ko) 폴리에스테르 농염 이수축 혼섬 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0332560B1 (ko) 소모조 이수축 혼섬사 직물의 제조 방법
JP2002294534A (ja) 嵩高性を有する織編物の製造方法
US2409894A (en) Stabilized fabric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H01104872A (ja) 防縮性絹織物の製造法
SU1740513A1 (ru) Ткань
NZ769569A (en) High thread/ yarn count woven textile fabric and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JPH01124652A (ja) レーヨン織物の製造方法
KR19990017167A (ko) 촉감과 방오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나일론 마이크로 직물의 제조방법
JP2008184706A (ja) 生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