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3691A - 고접착성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접착성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3691A
KR20040013691A KR1020020046729A KR20020046729A KR20040013691A KR 20040013691 A KR20040013691 A KR 20040013691A KR 1020020046729 A KR1020020046729 A KR 1020020046729A KR 20020046729 A KR20020046729 A KR 20020046729A KR 20040013691 A KR20040013691 A KR 20040013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imide
varnish
aromatic
trimellitic anhydride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남
송상민
강충석
김영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20046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3691A/ko
Publication of KR20040013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69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61/00 - C09D177/00
    • C09D1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9D1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선을 절연 피복하기 위한 절연 피복 물질인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와 방향족 디이소시아나이트, 그리고 방향족 알코올을 일정 당량비로 중합시켜 폴리아미드카바메이트를 중간체로 얻은 다음, 이를 이미드화시키고 8-아자아데닌이나 벤조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5-카르복실산과 같은 접착증진제를 첨가하고 점도조절용으로 방향족 하이드로카본을 투입하여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이같은 방법으로는 점도가 높고 접착강도가 우수한 코팅용 폴리아미드이미드를 얻을 수 있고, 이를 전선의 절연코팅재료로 사용할 경우 내구성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접착성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poly(amideimide) varnish with the improved adhesion strength}
본 발명은 고접착성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용 절연코팅재료로 사용되며 금속표면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드이미드는 열변형온도가 278℃이며 장기사용온도가 200℃ 이상으로서 뛰어난 내열특성과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그밖에도 내마모성, 난연성, 내방사선성, 내크리프성 등의 특성이 요구되는 부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우수한 물성으로 인해 폴리아미드이미드 단독 중합체, 폴리아미드이미드 공중합체 및 그의 전구체 고분자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폴리아미드이미드의 제조방법의 일예가 미합중국 특허 제4,016,140호 및 제4,136,085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는 못하다.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는 금속에 대한 접착력이 상당히 약해서 주 용도인동선 및 금속의 표면에 단독 코팅이 불가능한 바, 폴리아미드이미드의 접착성을 개선시키면 전선 코팅용으로 사용할 경우 1차 코팅이 가능하여 생산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단가를 하락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접착성이 향상된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를 제조하는 방법을 모색하던 중,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와 방향족 디이소시아나이트 및 방향족 알콜로부터 중합하여 폴리아미드카바메이트를 제조하고 이를 이미드화시킨 다음 여기에 트리아졸 구조를 가진 접착증진제 및 방향족 하이드로카본을 투입하여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를 제조한 결과, 점도가 높고 접착강도가 우수하여 이를 전선의 절연코팅재료로 사용할 경우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이미드의 제조방법은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와 방향족 디이소시아나이트를 당량비 1:0.9∼1:1.1로, 그리고 방향족 알코올을 상기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에 대해 1:0.01∼1:0.1의 당량비로 첨가하여 유기용제의 존재 하에서 -10∼180℃에서 0.5∼12시간 동안 중합시켜 폴리아미드 카바메이트를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폴리아미드 카바메이트를 이미드화시켜 폴리아미드이미드를 제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폴리아미드이미드에 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접착증진제를 첨가하고, 점도조절용으로 방향족 하이드로카본을 투입하여 용해시키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이미드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살핀다.
(1) 제 1 단계: 폴리아미드 카바메이트의 제조
1단계에서는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와 방향족 디이소시아나이트를 당량비 1:0.9∼1:1.1로 첨가하고, 분자량 조절을 목적으로 방향족 알코올을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에 대하여 1:0.01∼1:0.1당량비로 첨가하여 중합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방향족 디이오시아나이트로는 메틸렌디이소시아나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방향족 알코올로는 벤질 알코올이 유용하고, 중합 조절용으로 사용되는 방향족 하이드로카본은 탄소수가 7 내지 9인 방향족하드로카본을 사용할 수 있다.
이같은 화합물을 사용하여 유기용제 존재 하에서 중합하는 바, 유기 용제로는 질소를 함유하는 비반응성 극성 용제인 N-메틸 피롤리돈,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한 용매 외에도 중합할 때 비용제를 일부 첨가하여 중합점도를 낮출 수도 있다.
제 1 단계에는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와 방향족 디이소시아나이트의 반응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생성되는 생성물은 폴리아미드이미드의 중간체인 폴리아미드 카바메이트이다.
중합방법은 먼저,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를 용제에 녹인 후 방향족 디이소시아나이트를 적가한다. 분자량 조절제인 방향족 알코올의 투입시기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나이트가 적가 완료된 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단계의 폴리아미드 카바메이트 제조조건은 중합시간 0.5∼12시간이고 중합 온도 -10∼120℃인 것이다. 좋게는 중합시간 2∼4시간이고 중합온도 20∼60℃인 것이다. 1단계 반응에서는 용제에 잔존하는 수분함량이 100ppm 이하인 것이 물성저하를 막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더욱 좋게는 40ppm 이하인 것이다.
(2)제 2 단계: 폴리아미드 카바메이트의 이미드화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단계에서 생성된 폴리아미드 카바메이트를 이미드화시켜 폴리아미드이미드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미드화는 1단계가 끝난 반응상태에서 승온시켜 이미드화하는 방법인데, 용액상태에서 이미드화하는 방법으로서 1단계 반응조건의 연장이다. 이 방법의 이미드화 중합온도는 20∼180℃가 적당하다.
(3)제 3 단계
상기 제 2단계 반응 종료 후 접착성 증가를 위하여 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접착증진제를 고분자 중량 대비 0.1∼5중량부로 투입하고, 점도조절용으로 방향족 하이드로카본을 유기용제에 대해 80:20∼60:40중량비로 투입하여 용해시킨다.
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접착증진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8-아자아데닌, 벤조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5-카르복실산 또는 폴리벤지이미다졸을 들 수 있다.
접착증진제의 첨가량이 고분자 중량에 비하여 0.1중량부 미만이면 접착력 증진 효과를 얻기 어렵고, 5중량부 초과면 필름이 취성을 띄어 코팅이 벗겨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점도조절용으로 첨가되는 방향족 하이드로카본의 구체적인 예로는 탄소수 7 내지 9인 방향족 하이드로카본, 좀더 구체적으로는 톨루엔, 자일렌, 메시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이와같이 얻어진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의 고유점도는 0.2∼1.0dl/g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의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1)고유점도: 폴리아미드이미드 분말 0.1g을 N-메틸피롤리돈 20㎖에 녹여 30℃로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우베로드 점도계로 측정하였다.
2)용액점도; 25℃에서 브루크너 점도계로 측정하였다.
3)접착강도: 5×10cm 구리판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탈지한 후 건조하였다. 폴리아미드이미드를 n-메틸피롤리돈에 20중량비로 용해한 후 구리판에 코팅하였다. 200℃에서 2시간 건조를 시행한 후 폴리아미드이미드 필름을 5mm×10cm로 잘랐다. 90° 박리시험 방식을 사용하여 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구리판과 필름을 각기 고정시킨 후 5mm/분의 속도로 폴리아미드이미드 필름을 구리판에서 박리하며 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교반기, 질소퍼징장치, 온도계, 냉각장치를 갖춘 2ℓ 반응기에 N-메틸피롤리돈 564g을 넣고 60℃로 승온한 후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 172.8g(0.899mol)을 넣고 용해시킨 후, 여기에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5g(0.899mol)을 적가하여 투입하였다.
투입이 끝나면 35℃/hr로 95℃까지 승온한 후 벤질알코올 8.5g(0.078mol)을 투입하고 1℃/min으로 155℃까지 승온한 후 4시간 유지하여 이미드화하였다.
중합이 완료된 후 120℃로 냉각한 후 벤조트리아졸-5-카르복실산 1.6g(0.0098mol)을 투입하고 방향족하드로카본(톨루엔) 276g을 투입한 후 1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25℃에서 브루크너 점도계로 측정한 값이 600cps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호모믹스를 가동하여 메탄올 1000㎖에 천천히 부어 침전물을 얻었다. 필터한 후 침전물을 다시 1000㎖ 메탄올에 투입하여 30분간 교반하였다.
얻은 침전물을 다시 메탄올로 씻은 후 60℃ 건조오븐에서 12시간 건조하였다. 건조 분말의 고유점도는 0.40dl/g 이었다.
측정한 물성은 다음 표 1과 같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를 제조하되, 다만 접착증진제로 벤조트리아졸-5-카르복실산을 대신하여 8-아자아데닌 1.6g(0.0118mol)을 투입한 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25℃에서 브루크너 점도계로측정한 값이 620cps, 에이징 후의 고유점도가 0.41dl/g이었다.
측정한 물성은 다음 표 1과 같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를 제조하되, 다만 접착증진제를 첨가하지 않았다. 25℃에서 브루크너 점도계로 측정한 값이 730cps, 에이징 후의 고유점도가 0.43dl/g이었다.
측정한 물성은 다음 표 1과 같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투입몰수 TMA:MDI:BA 0.899:0.899:0.078 0.899:0.899:0.078 0.899:0.899:0.078
접착증진제 트리아졸 0.0098 아데닌 0.0118 -
브루크너점도(cps) 600 620 730
고유점도(dl/g) 0.40 0.41 0.43
접착강도(N/m) 1350 1530 927
(주)TMA: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MDI: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BA: 벤질알코올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와 방향족 디이소시아나이트, 그리고 방향족 알코올을 일정 당량비로 중합시켜 폴리아미드카바메이트를 중간체로 얻은 다음, 이를 이미드화시키고 8-아자아데닌이나 벤조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5-카르복실산과 같은 접착증진제를 첨가하고 점도조절용으로 방향족 하이드로카본을 투입하여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를 제조하는경우 점도가 높고 접착강도가 우수한 코팅용 폴리아미드이미드를 얻을 수 있고, 이를 전선의 절연코팅재료로 사용할 경우 내구성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4)

  1.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와 방향족 디이소시아나이트를 당량비 1:0.9∼1:1.1로, 그리고 방향족 알코올을 상기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에 대해 1:0.01∼1:0.1의 당량비로 첨가하여 유기용제의 존재 하에서 -10∼180℃에서 0.5∼12시간 동안 중합시켜 폴리아미드 카바메이트를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폴리아미드 카바메이트를 이미드화시켜 폴리아미드이미드를 제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폴리아미드이미드에 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접착증진제를 첨가하고, 점도조절용으로 방향족 하이드로카본을 투입하여 용해시키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고접착성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접착증진제는 8-아자아데닌, 벤조트리아졸 및 벤조트리아졸-5-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접착성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접착증진제는 제 2 단계로부터 얻어진 고분자 중량 대비 0.1∼5중량부 되도록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고접착성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의 제조방법.
  4. 제 1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유점도 0.2∼1.0dl/g인 폴리아미드이미드.
KR1020020046729A 2002-08-08 2002-08-08 고접착성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의 제조방법 KR20040013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729A KR20040013691A (ko) 2002-08-08 2002-08-08 고접착성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729A KR20040013691A (ko) 2002-08-08 2002-08-08 고접착성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691A true KR20040013691A (ko) 2004-02-14

Family

ID=37320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729A KR20040013691A (ko) 2002-08-08 2002-08-08 고접착성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369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254A (ko) * 2002-07-23 2004-01-31 주식회사 코오롱 접착성이 향상된 폴리아미드이미드의 제조방법
KR20170037227A (ko) 2015-09-25 2017-04-04 한국전기연구원 내마모성, 부착성, 내열성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킨 절연코팅제
KR20180027003A (ko) 2016-09-05 2018-03-14 한국전기연구원 실리카 나노분말이 분산된 나노복합절연재료 및 그 제조방법
CN112694831A (zh) * 2020-12-22 2021-04-23 苏州太湖电工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半无机硅钢片漆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3646A (ja) * 1994-10-14 1996-05-07 Toyobo Co Ltd ポリアミドイミ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ワニス並びに該ワニスの製造方法
KR0156783B1 (ko) * 1995-06-30 1999-02-01 한영재 폴리아미드 이미드 수지계 바니쉬 조성물용 폴리아미드 이미드 수지의 제조방법
KR20040009235A (ko) * 2002-07-23 2004-01-31 정학기 폴리아미드를 도입하여 금속에 대한 폴리아미드이미드의접착력을 향상시킨 폴리아미드이미드아미드 공중합체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3646A (ja) * 1994-10-14 1996-05-07 Toyobo Co Ltd ポリアミドイミ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ワニス並びに該ワニスの製造方法
KR0156783B1 (ko) * 1995-06-30 1999-02-01 한영재 폴리아미드 이미드 수지계 바니쉬 조성물용 폴리아미드 이미드 수지의 제조방법
KR20040009235A (ko) * 2002-07-23 2004-01-31 정학기 폴리아미드를 도입하여 금속에 대한 폴리아미드이미드의접착력을 향상시킨 폴리아미드이미드아미드 공중합체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254A (ko) * 2002-07-23 2004-01-31 주식회사 코오롱 접착성이 향상된 폴리아미드이미드의 제조방법
KR20170037227A (ko) 2015-09-25 2017-04-04 한국전기연구원 내마모성, 부착성, 내열성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킨 절연코팅제
KR20180027003A (ko) 2016-09-05 2018-03-14 한국전기연구원 실리카 나노분말이 분산된 나노복합절연재료 및 그 제조방법
CN112694831A (zh) * 2020-12-22 2021-04-23 苏州太湖电工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半无机硅钢片漆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694831B (zh) * 2020-12-22 2022-04-01 苏州太湖电工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半无机硅钢片漆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605910A (zh) * 2020-12-22 2022-06-10 苏州太湖电工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硅钢片漆
CN114605910B (zh) * 2020-12-22 2022-12-06 苏州太湖电工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半无机硅钢片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6937A (en) Compliant maleimide based plastics
KR101472325B1 (ko) 피로멜리트산 디무수물(pmda), 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dade), 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디무수물(bpda) 및 비시클로옥텐테트라카르복실산 디무수물(bcd)을 함유하는 유기 용매에 가용인 폴리이미드
EP0223958A2 (en) Crosslinked copolyamideimides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JPS5879018A (ja) 高溶解性を示すポリイミド組成物の製造方法
US4220563A (en) Heat-curable and solvent-soluble ester group-containing polymer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TW200302853A (en) Thermosetting polymide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polymide resin
JP2582636B2 (ja) マレイミド官能基含有芳香族ポリアミドイミ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069209A (en) Imino acids and resins derived therefrom
JP2000044683A (ja) オリゴアニリンユニットを有するジアミン及びポリイミド
US4075179A (en) Polyesterimide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same
CN110325568B (zh) 聚酰胺-酰亚胺膜的制备方法
KR101896537B1 (ko) 폴리이미드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13691A (ko) 고접착성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의 제조방법
US3705874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hydantoin plastics containing imide groups
US3959233A (en) Process for preparing polyamide-imide from trimellitic acid, diamine and diisocyanate and polyamide imide shaped articles
US3440215A (en) Aromatic polyimides
KR19980085481A (ko) 신규 가용성 폴리이미드 수지
US3498948A (en) Reaction products of tetracarboxylic acid dianhydrides with triamines and mixtures of triamines and diamines
US4304898A (en) Thermosetting polyarylquinoxaline resins and their use, particularly in enameling varnishes
KR20040048572A (ko) 자기윤활성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의 제조방법
Li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fluorinated poly (amide imide) s derived from 1, 4‐bis (2′‐trifluoromethyl‐4′‐trimellitimidophenoxy) benzene and aromatic diamines
KR20050070290A (ko) 내열성 및 내굴곡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
KR101158062B1 (ko) 내수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쉬
JP5477327B2 (ja) ポリイミド樹脂の製造方法
JPH08120040A (ja) 耐熱性電気絶縁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耐熱性電気絶縁膜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