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1926A - 부적의 제조방법 및 부적천 - Google Patents

부적의 제조방법 및 부적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1926A
KR20040011926A KR1020020045246A KR20020045246A KR20040011926A KR 20040011926 A KR20040011926 A KR 20040011926A KR 1020020045246 A KR1020020045246 A KR 1020020045246A KR 20020045246 A KR20020045246 A KR 20020045246A KR 20040011926 A KR20040011926 A KR 20040011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ulet
yarn
mirror
oil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정석
Original Assignee
양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정석 filed Critical 양정석
Priority to KR1020020045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1926A/ko
Publication of KR20040011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92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면주사를 주재로 하는 부적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련되며, 크게 4단계의 과정을 거친다. 제1단계에서는 상기 경면주사를 300~500메시 정도의 미세한 분말로 성형하고, 제2단계에서는 상기 분말상의 경면주사를 소정의 기름에 적량으로 혼합하여 염료로 생성하고, 제3단계에서는 상기 액상의 염료에 실(20)을 함침하고 건조하고, 제4단계에서는 상기 함침된 실(20)을 이용하여 천(10) 상에 문양을 자수한다. 이때, 상기 제2단계에서는 살구씨 기름 또는 복숭아씨 기름 중에서 택일하며, 경면주사 1g에 대하여 기름 1~2cc의 비율로 혼합한다.
이에 따라, 경면주사(鏡面朱砂)를 주재로 사용하면서도 장기간 보관하여도 훼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적의 제조방법 및 부적천 {Method for producing a charm and charm fabric}
본 발명은 부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면주사(鏡面朱砂)를 주재로 사용하면서도 장기간 보관하여도 훼손이나 변질이 거의 없는 부적의 제조방법 및 부적천에 관한 것이다.
부적은 통상적으로 종이에 문양(글씨ㆍ그림ㆍ기호 등)을 그린 주술적 도구로서 재앙을 막아주거나 복을 가져다주는 기능이 있다고 전해져 온다. 그리고 부적은 사용목적에 따라 주력(呪力)으로써 좋은 것을 증가시켜 이(利)를 성취할 수 있게하는 용도와, 사(邪)나 액(厄)을 물리침으로써 소원을 이루는 용도로 대별된다.
부적은 현대 기계문명의 발달을 유발한 과학적 사고에 의해 배척되기도 하지만 비단 심리적인 효능이 지배적일지라도 현재에 들어서도 그 의존도가 위축되지 않으면서 오히려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사람의 몸에 지니는 것은 물론 집안, 자동차, 사무실 등에 붙이기도 하고 침대나 요, 베개 등에 넣어두기도 한다. 전통적인 부적의 형태로서 종이는 괴황지(槐黃紙)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나 황색의 창호지를 사용하기도 하며, 문양은 붉은 빛이 나는 경면주사(鏡面朱砂)나 영사(靈砂)를 곱게 갈아 기름이나 설탕물에 개어서 쓴다.
그러나 사람의 신체와 직간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에서는 고온 다습한 환경이 조성되면서 신축적인 힘도 작용하므로 아무리 양질의 종이를 사용하더라도 부적을 오래 보관하기 곤란한 결정적인 흠이 있다.
한편, 부적을 그리는데 주로 사용되는 경면주사는 수은광석이 발견되는 아주 깊은 지하에서 산출되며 인체에 유익한 기를 발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가격 또한 비싼 실정이다. 그런데 이러한 경면주사의 가격이 비싸기도 하지만 부적의 문양 및 글씨 등을 그리거나 쓰는 것이 매우 어려워 이미 그려진 부적 그대로를 단순하게 프린트해서 사용하는 빈도가 늘고 있는 실정이기도 한데, 이럴 경우 부적으로서의 효능이 반감되는 난점이 있다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경면주사(鏡面朱砂)를 주재로 사용하면서도 장기간 보관하여도 훼손이나 변질이 거의 없는 부적의 제조방법 및 부적천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부적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부적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부적을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부적)천20: 실
30: 매직테이프40: 접착테이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경면주사를 주재로 하는 부적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경면주사를 300~500메시(mesh) 정도의 미세한 분말로 성형하는 제1단계; 상기 분말상의 경면주사를 소정의 기름에 적량으로 혼합하여 염료로 생성하는 제2단계; 상기 액상의 염료에 실(20)을 함침하고 건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함침된 실(20)을 이용하여 천(10) 상에 문양을 자수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단계는 살구씨 기름 또는 복숭아씨 기름 중에서 택일하며, 경면주사 1g에 대하여 기름 1~2cc의 비율로 혼합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3단계는 상온의 염료 용액에 24~72시간 동안 실(20)을 담가서 함침하는 방법, 40~80℃로 가온된 염료 용액에 7~18시간 동안 실(20)을 담가서 함침하는 방법, 염료 용액에 실(20)을 통과시키면서 함침과 열건조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중에서 택일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4단계는 천(10)의 테두리에 매직테이프(30) 또는 접착테이프(40) 등을 부가하여 이불이나 베게 등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부적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부적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부적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경면주사를 주재로 하는 부적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련되며, 종이 대신 천(10)과 실(20)을 사용하고 실(20)에 경면주사를 함침시킨다. 일반적으로 실(絲)이란 섬유들을 평행으로 모아서 가늘고 긴 형태로 만든 것으로 직물, 편성물 등 섬유제품의 원료가 된다. 본 발명에서의 실(20)은 제사(製絲), 방사(紡絲), 방적(紡績) 등의 3종류 모두가 적용 가능하며, 천(10)은 씨실과 날실을 교차하여 제직한 직물이 적절하나 편성물이나 부직포도 가능하다. 그외에도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연사실을 주된 재료로 삼을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크게 4단계로 구분되는 공정을 거쳐 부적내용이 담긴 하나의 부적천(10)을 완성한다.
본 발명의 제1단계로서 상기 경면주사를 300~500메시 정도의 미세한 분말로 미분쇄한다. 경면주사는 일반 광물질로서 입자가 고르기 않으므로 미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를 맞춘다. 입자의 크기는 300~500메시로 조절하는데, 대략 350~450메시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너무 미세하게 하면 가공비가 추가되어 원가 상승의 요인이 있고 너무 조대하게 하면 점착력이 약화되어 함침율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제2단계로서 상기 분말상의 경면주사를 소정의 기름에 적량으로 혼합하여 염료로 생성한다. 기름은 일반적인 식용유도 가능하지만 분말상의 경면주사와 혼합하여 액상의 염료로 생성할 때 점착력 등에서 그다지 양호한 특성이 유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2단계에서의 기름은 살구씨 기름 또는 복숭아씨 기름 중에서 택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면주사 1g에 대하여 대략 기름 1~2cc의 비율로 혼합한다. 살구씨 기름을 이용하면 식용유 등에 비하여 염료로서의 특성이 1.5배 이상 지속될 뿐 아니라 사(邪)나 액(厄)을 물리치는 효험도 크다는 상징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단계로서 상기 2단계에서 조성된 액상의 염료에 실(20)을 함침시킨 뒤 건조한다. 실(20)은 120~240데니어의 굵기가 적절한데, 2가닥, 4가닥 또는 6가닥의 원사를 꼬아 합연시킨 연사(撚絲)를 사용한다. 연사는 꼬임의 방향에 따라 우연(S연)과 좌연(Z연)이 있으며 표면광택, 마찰계수(촉감) 등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제3단계는 상온(대략 20°내외)의 염료 용액에 24~72시간 동안 실(20)을 담가서 함침하는 방법, 40~80℃로 가온된 염료 용액에 7~18시간 동안 실(20)을 담가서 함침하는 방법, 염료 용액에 실(20)을 통과시키면서 함침과 열건조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중에서 택일한다. 첫 번째 방법은 염료 용액에 일정량의 실(20)을 담가두고 서서히 교반하는데, 교반 시간은 기온과 계절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30시간 내외가 적절하다. 두 번째 방법은 염료 용액과 실(20)이 담긴 용기를 가온하여 삶는 것으로서 염료의 기름 성분이 끓지 않는 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대략 10시간 내외로 함침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세 번째 방법은 로울러상으로 실(20)을 이송하면서 염료용액과 건조로를 연속적으로 거치도록 한다.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방법은 각각 완전자연공법, 반자연공법, 인공공법으로 볼 수 있다. 건조에 있어서 자연건조방법을 이용하면 대략 24~72시간이 소요되고 열건조 방법을 이용하면 약 30분~2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염료 용액을 프린트하는 방식으로 실(20)을 염색하는 날염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 경면주사를 더욱 미분쇄하고 살구씨 기름 대신 점착력이 매우 우수한 공지의 화학제품을 사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제4단계로서 상기 함침된 실(20)을 이용하여 천(10) 상에 문양을 자수한다. 자수는 수공으로 할 수도 있으나 자수기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컴퓨터자수기를 사용하면 도 1과 같은 문양을 입력한 후 천(10)의 펀칭과정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실(20)을 박음질한다. 자수의 종류는 일반자수, 아플리케자수, 보풀자수 등이 있는데, 본 발명에는 일반자수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일반자수는 바늘로 실을 재봉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식이고, 아플리케자수는 원하는 부분에 패치워크할 원단이나 부직포 등을 함께 재봉하는 방식이며, 보풀자수는 보풀한 실 같은 것을 원하는 모양에 맞게 심어주는 방식이다.
이때, 천(10)은 황색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다른 색상도 가능하다. 오행철학 상으로 볼 때 경면주사의 적색 화성과 천(10)의 황색 토성은 화토상생의 관계를 이루어 동서남북 4방 8방의 사귀를 제압하고 심장과 비위의 기능을 편하게 한다고 한다. 또한 천(10)에 침염이나 날염을 수행하면 원하는 농도의 색상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단계는 천(10)의 테두리에 매직테이프(30) 또는 접착테이프(40) 중 택일하여 더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부적의 문양이나 글씨가 새겨진 부적천(10)을 이불천이나 베게천 등의 밑면부에 재봉하거나 실로 부착하는 방법을 원칙으로 하나 이러한 봉재방법외에 매직테이프(30)나접착테이프(40)를 택일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2처럼 매직테이프(30)를 천(10)의 모서리부에 재봉하면 의복이나 침구에 탈부착이 용이하다. 또 도 3처럼 접착테이프(40)를 천(10)의 변부에 재봉하면 매직테이프(30)를 사용할 수 없는 금속, 유리 등의 표면에 탈부착이 용이하다. 이밖에도 도 1 내지 도 3의 방식 대신에 손수건, 양말, 매트리스, 소파 등지에 직접 수를 놓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탈부착이 곤란하므로 세탁하는 과정에서 경면주사의 탈색이 증가되는 난점이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은 삼재(三災) 예방부의 2가지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지만 신수불길 도액부, 질병ㆍ각과에 대한 부적, 부부합심부 등 모든 종류의 부적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경면주사는 정신질환, 아기들의 경기치료, 심장병 치료 등의 약재로 사용될 뿐 아니라 사찰이나 궁궐의 단청공사에도 사용되고 수맥차단의 기능을 지니고 있는 바, 본 발명에서 실(20)에 경면주사를 함침하는 과정에서도 그 효능이 약화되지 않음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경면주사(鏡面朱砂)를 주재로 사용하면서도 장기간 보관하여도 훼손이나 변질이 방지되는 효과외에 본 발명의 부적을 잠자는 이불이나 요, 침대, 베게, 소파 등의 집안내부나 자동차 및 사무실 등 신체 가까이에 놓아두게 되면 재운의 증진, 병의 예방, 시험운세와 같은 본래의 효능 외에 건강의 증진과 심리적 안정을 이룰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처럼 양질의 종이를 사용하더라도 오래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을 없앨 수 있거니와 부적 쓰기가 힘든 애로점을 간단하게 해소할 수도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5)

  1. 경면주사를 주재로 하는 부적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경면주사를 300~500메시 정도의 미세한 분말로 성형하는 제1단계;
    상기 분말상의 경면주사를 소정의 기름에 적량으로 혼합하여 염료로 생성하는 제2단계;
    상기 액상의 염료에 실(20)을 함침하고 건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함침된 실(20)을 이용하여 천(10) 상에 문양을 자수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의 제조방법.
  2. 경면주사를 함침시킨 실(20)을 천(10)에 자수하되, 부적형태의 문양이나 글씨 등으로 펀칭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살구씨 기름 또는 복숭아씨 기름 중에서 택일하며, 경면주사 1g에 대하여 기름 1~2cc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온의 염료 용액에 24~72시간 동안 실(20)을 담가서 함침하는 방법, 40~80℃로 가온된 염료 용액에 7~18시간 동안 실(20)을 담가서 함침하는방법, 염료 용액에 실(20)을 통과시키면서 함침과 열건조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중에서 택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천(10)의 테두리에 매직테이프(30) 또는 접착테이프(40) 중 택일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의 제조방법.
KR1020020045246A 2002-07-31 2002-07-31 부적의 제조방법 및 부적천 KR20040011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246A KR20040011926A (ko) 2002-07-31 2002-07-31 부적의 제조방법 및 부적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246A KR20040011926A (ko) 2002-07-31 2002-07-31 부적의 제조방법 및 부적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926A true KR20040011926A (ko) 2004-02-11

Family

ID=3731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246A KR20040011926A (ko) 2002-07-31 2002-07-31 부적의 제조방법 및 부적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19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335B1 (ko) * 2002-11-27 2005-08-22 한준섭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376729B1 (ko) * 2013-10-07 2014-03-26 유규상 경면 주사가 인쇄된 의류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경면 주사가 인쇄된 의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741U (ko) * 1991-11-26 1993-06-23 강덕선 휴대용 부적
KR960007345U (ko) * 1994-08-03 1996-03-13 안태홍 휴대용 부적
KR20020040199A (ko) * 2000-11-24 2002-05-30 홍용태 부적속옷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01696A (ko) * 2002-06-28 2004-01-07 박현호 자수를 이용한 부적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741U (ko) * 1991-11-26 1993-06-23 강덕선 휴대용 부적
KR960007345U (ko) * 1994-08-03 1996-03-13 안태홍 휴대용 부적
KR20020040199A (ko) * 2000-11-24 2002-05-30 홍용태 부적속옷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01696A (ko) * 2002-06-28 2004-01-07 박현호 자수를 이용한 부적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335B1 (ko) * 2002-11-27 2005-08-22 한준섭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376729B1 (ko) * 2013-10-07 2014-03-26 유규상 경면 주사가 인쇄된 의류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경면 주사가 인쇄된 의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12908A (ja) セラミツクスパウダ−を含有する繊維製品
CN102628236A (zh) 一种Parster纤维床品及其生产方法
CN1342792A (zh) 毛绒纱线和使用该种毛绒纱线的毛绒织物以及它们的制造工艺
JP6823956B2 (ja) 染色方法及び繊維製品
CN108085853A (zh) 一种细旦富硒纤维功能性保健针织织物及其织造方法
CN110029434A (zh) 一种羊绒针织面料及其生产工艺
KR20040011926A (ko) 부적의 제조방법 및 부적천
CN110117915A (zh) 一种涤纶毛毯的单层双面热转移印花工艺
JP2003082558A (ja) 綿・ポリエステル混紡織物及びこれを用いた衣料、特殊衣料、寝装品並びにインテリア繊維製品
CN107700060A (zh) 一种多功能蛋白纤维混纺经编毛毯及其制备方法
JP2018076616A (ja) 涼感織布及びそれを使用して構成される布製品
Matthews Encyclopaedic Dictionary of Textile Terms: Volume 2
JPH03241025A (ja) 遠赤外線放射用物質を具えた織物用糸及びその製造法
EP1270772A3 (en) Modified regenerated cellulose fiber and fiber product
KR20010095342A (ko) 입체 누비직물
CN207391670U (zh) 一种锦粘大豆蛋白纤维交织面料
KR980008085A (ko) 의류용 직물 원단과 접착하는 심지 직물 및 그 제조 방법
WO2016027278A1 (en) Dyed textile products
JPS62110949A (ja) 毛並みを有する絹布地
Todd Hand-loom weaving: A Manual for School and Home
CN108425181B (zh) 一种用于床垫的负锗提花面料制备方法
CN214230749U (zh) 一种抗病毒防螨蚕丝被
KR950011772B1 (ko) 단사연사 또는 단사강연된 편직물의 제조방법
KR101928477B1 (ko) 침구용 원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침구용 원단
CN219727488U (zh) 一种可循环利用的再回收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