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9335B1 -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9335B1
KR100509335B1 KR10-2002-0074203A KR20020074203A KR100509335B1 KR 100509335 B1 KR100509335 B1 KR 100509335B1 KR 20020074203 A KR20020074203 A KR 20020074203A KR 100509335 B1 KR100509335 B1 KR 100509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ulet
musk
white
boiling
raw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7128A (ko
Inventor
한준섭
Original Assignee
한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준섭 filed Critical 한준섭
Priority to KR10-2002-0074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9335B1/ko
Publication of KR20020097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3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16Writing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경명주사와 백말피, 사향, 생들기름을 일정량 배합하여 부패를 방지하고, 세탁시 훼손되지 않도록 하며,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한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경명주사(황화제2수은) 18.75g 과, 백말피 60 ml, 사향 1.875g, 생들기름 60ml 의 혼합비로 구성되는 부적안료 및 60ml의 백말피를 목화솜에 흡수시키는 과정과; 백말피가 흡수된 목화솜을 60ml의 생들기름과 함께 교반한 상태에서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끓이는 과정과; 최초 배합 부피의 1/2의 상태로 수분이 증발되면 끓임을 중지시키고, 경명주사 18.75g과 사향 1.875g을 미세 분말이 되도록 빻는 과정과; 백말피와 생들기름의 교반액과 경명주사와 사향의 분쇄물질을 배합하는 과정으로 부적안료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경명주사와 백말피, 사향, 생들기름을 일정량 배합하여 완성된 부적 안료는 부적 작성시 부패가 방지되며, 부적의 세탁시 훼손되지 않고,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 및 그 제조방법{EASY KEEPING AMULET PAINT AND PRODUCT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경명주사와 백말피, 사향, 생들기름을 일정량 배합하여 부패를 방지하고, 세탁시 훼손되지 않도록 하며,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한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부적은 사주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여 화를 피하고 복을 받도록 한 것으로, 그 내용을 종이 등의 지류에 표현하여 휴대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바, 이러한 부적의 휴대에 있어서는 가장 보편화되어 있는 방법은 지갑이나 의류상에 별도의 주머니를 만들고 여기에 부적을 넣어서 잊어버리지 않고 항시 몸에 지니고 다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부적은 대개 종이와 같은 지류로서 부적을 휴대함에 있어 쉽게 훼손또는 변질될 우려가 높고, 특히 의류상에 주머니를 만들어 여기에 부적을 보관 및 휴대하도록 한 것은 부주의로 인해 부적이 보관된 상태의 의류를 세탁하게 되어 부적이 훼손되어 못쓰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기존의 부적안료는 페인트와 영사(황화제2수은을 화학적으로 변화시킨 인위적 화합물로서 부적 제작에 사용됨)의 혼합으로 인한 안료를 사용함으로써 장기간 보존시 부패가 진행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기존의 부적안료를 사용하여 부적을 제작할 시에는 장기간 해당 부적을 사용시 지류(종이)가 손상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적을 물에 접촉하게 되면 안료가 번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경명주사와 백말피, 사향, 생들기름을 일정량 배합하여 부패를 방지하고, 세탁시 훼손되지 않도록 하며,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한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경명주사(황화제2수은) 18.75g 과, 백말피 60ml, 사향 1.875g, 생들기름 60ml의 혼합비로 교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백말피를 목화솜에 흡수시키는 과정과; 백말피가 흡수된 목화솜을 생들기름과 함께 교반한 상태에서 일정 온도이상으로 가열하여 끓이는 과정과; 최초 배합 부피의 1/2의 상태로 수분이 증발되면 끓임을 중지시키고, 경명주사 5돈과 사향 0.5돈을 미세 분말이 되도록 빻는 과정과; 백말피와 생들기름의 교반액과 경명주사와 사향의 분쇄물질을 배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는 아래의 표와 같이 경명주사(황화제2수은) 18.75g과, 백말피 60ml, 사향 1.875g, 생들기름 60ml 을 배합하여 안료를 제작한다.
[표 1]
원 료 경명주사 백말피 사향 생들기름
배합비 18.75g 60ml 1.875g 60ml
상기한 원료의 배합으로 제작된 부적안료는 각종 지류등에 일정 문자로 쓰여지거나, 일정 문양으로 도포될 경우, 그 안료자체의 부패가 방지됨은 물론이고, 세탁시 훼손되지 않으며, 장기간 보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페인트 등과 같이 경화제가 포함된 안료를 사용하지 않으며 오히려 생들기름 등이 사용되어 유화작용을 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안료가 지류 표면에 씌여진 후에 안료가 그 지류내부로 자연 침투하게 되고 자연 건조되게 되므로 부적이 씌여진 지류를 접거나 하여도 안료가 지류 표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생들기름은 다른 원료들과 배합되어 수분으로부터 다른 원료들이 용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막을 형성시킨다. 따라서 부적 지류를 세탁하여도 유막에 의해 수분 침투를 방지하게 되므로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를 제조하기 위해서 먼저 백말피를 제공받아야 한다. 백말피는 수입제품이므로 해외에서 수입시 백말피를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목화솜에 백말피를 적정량 흡수시켜 반입하여야 한다(제 1 단계: ST-1).
목화솜을 이용하여 백말피를 흡수한 후 자연 건조시켜 국내로 반입하고, 반입된 백말피가 흡수된 목화솜을 생들기름과 함께 교반한 상태에서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끓인다(제 2 단계: ST-2). 이때, 백말피가 목화솜으로부터 용출되어 생들기름과 잘 교반될 수 있도록 제작자는 지속적으로 저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초 배합 부피의 1/2 의 상태로 수분이 증발되면 끓임을 중지시키고, 경명주사 18.75g 과 사향 1.875g 을 미세 분말이 되도록 빻는다. 약 분쇄기에 경명주사와 사향을 넣고 분쇄하는 것도 가능하다(제 3 단계: ST-3).
경명주사와 사향의 분쇄가 완료되면, 상기 백말피와 생들기름이 교반된 교반액을 배합하고 교반액에 분쇄물질이 잘 혼합될 수 있도록 섞어서 부적 안료를 완성하게 된다(제 4 단계: ST-4).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경명주사와 백말피, 사향, 생들기름을 일정량 배합하여 완성된 부적 안료는 부적 작성시 부패가 방지되며, 부적의 세탁시 훼손되지 않고,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 및 그 제조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 및 그 제조방법은 경명주사와 백말피, 사향, 생들기름을 일정량 배합하여 완성된 부적 안료는 부적 작성시 부패가 방지되며, 부적의 세탁시 훼손되지 않고,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Claims (2)

  1. 경명주사(황화제2수은) 18.75g과, 백말피 60ml, 사향 1.875g, 생들기름 60ml 의 혼합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
  2. 60ml의 백말피를 50g의 목화솜에 흡수시키는 과정과;
    백말피가 흡수된 목화솜을 60ml의 생들기름과 함께 교반한 상태에서 100℃이상으로 가열하여 끓이는 과정과;
    최초 배합 부피의 1/2의 상태로 수분이 증발되면 끓임을 중지시키고, 경명주사 18.75g과 사향 1.875g을 미세 분말이 되도록 빻는 과정과;
    백말피와 생들기름의 교반액과 경명주사와 사향의 분쇄물질을 배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의 제조방법.
KR10-2002-0074203A 2002-11-27 2002-11-27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509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203A KR100509335B1 (ko) 2002-11-27 2002-11-27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203A KR100509335B1 (ko) 2002-11-27 2002-11-27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128A KR20020097128A (ko) 2002-12-31
KR100509335B1 true KR100509335B1 (ko) 2005-08-22

Family

ID=27729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203A KR100509335B1 (ko) 2002-11-27 2002-11-27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93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3788A (ko) * 2004-07-07 2006-01-11 한영민 천연향이 첨가된 부적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345U (ko) * 1994-08-03 1996-03-13 안태홍 휴대용 부적
KR200191658Y1 (ko) * 1998-02-09 2000-09-01 김재연 포켓용 부적
KR20040011926A (ko) * 2002-07-31 2004-02-11 양정석 부적의 제조방법 및 부적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345U (ko) * 1994-08-03 1996-03-13 안태홍 휴대용 부적
KR200191658Y1 (ko) * 1998-02-09 2000-09-01 김재연 포켓용 부적
KR20040011926A (ko) * 2002-07-31 2004-02-11 양정석 부적의 제조방법 및 부적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달로그, 한국경제신문, (1998.10.2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128A (ko)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452B1 (ko) 우드칩 형태의 혼합유기질비료 제조방법
CN104402574A (zh) 一种茉莉花种植缓释肥料及其制备方法
KR100509335B1 (ko) 보존이 용이한 부적안료 및 그 제조방법
US2881066A (en) Process for producing nitrogenated and phosphorylated fertilizer, mulch and soil conditioner
CN108420785A (zh) 一种含有壳聚糖的美白面膜制备工艺
CN1025817C (zh) 膨胀烟草的方法
US3955018A (en) Method for forming a decorative coated porous mass and the article produced thereby
DE4037497A1 (de) Futter-trockenmischung
KR101254490B1 (ko) 마이크로캡슐 혼화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642745B1 (ko)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컴파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출형 판재 제조방법
JP2011088978A (ja) 符籍顔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806615A (en) Pepsin preparation.
US370383A (en) Indelible ink
KR101908861B1 (ko)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혼합된 인쇄용 혼합잉크 및 그 혼합잉크가 인쇄된 인쇄물
CN106305994A (zh) 梨子保鲜剂及其制备方法
KR20230087826A (ko) 천연 재료를 포함하는 염료,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천연 염색 키트 및 직물의 천연 염색 방법
DE598531C (d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Sprengstoffen niedriger Ladedichte
US735604A (en) Paint compound.
US158234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mold powder
US1152193A (en) Artificial cork.
USRE9173E (en) Explosive compound
US825930A (en) Composition for sealing punctures in pneumatic tires.
US1356267A (en) Iiokn
KR20230172383A (ko)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사료 원료
US391327A (en) Byron 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