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0324A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0324A
KR20040010324A KR1020030050336A KR20030050336A KR20040010324A KR 20040010324 A KR20040010324 A KR 20040010324A KR 1020030050336 A KR1020030050336 A KR 1020030050336A KR 20030050336 A KR20030050336 A KR 20030050336A KR 20040010324 A KR20040010324 A KR 20040010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elastic member
disposable diaper
absorber
gro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1912B1 (ko
Inventor
이시구로겐지
이또히데까즈
고야마다까오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1375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04970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1373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04970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66475A external-priority patent/JP4025247B2/ja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0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9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0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separable parts, e.g. combination of disposable and reus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absorbent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의 레그 개구부 각각의 주위에, 사타구니 하부에서 서로 접합 혹은 교차하지 않도록 하여 복수의 레그부 탄성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사타구니 하부에서의 상기 흡수체 본체의 최소폭을 250∼350㎜ 의 범위 내로 함과 동시에, 상기 사타구니 하부에서의 흡수체 본체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부가 착용시에 기저귀의 외표면측으로 굴곡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량의 배설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량을 확보하기 쉽고, 또한 사타구니 하부로부터의 샘방지성능을 향상시키기 쉽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 {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배설물의 샘을 어떻게 방지하는가가 중요한 과제의 하나가 되어 있는 한편, 그 장착성을 높이는 것도 중요한 과제의 하나로 되어 있다. 일회용 기저귀의 장착성은, 장착시에 착용자의 사타구니부에 맞닿는 영역 (사타구니 하부) 의 폭을 좁게 함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으나, 사타구니 하부의 폭을 좁게 하면, 필연적으로 당해 사타구니 하부에서의 흡수체의 폭도 좁혀진다. 기저귀의 흡수량은 흡수체의 용적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사타구니 하부에서의 흡수체의 폭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기저귀에서는, 흡수량이 불충분해져 샘이 발생하기 쉽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보 평5-33630호에는 흡수체를, 착용자의 사타구니부에 적합한 폭의 중앙 흡수부와, 그 폭방향 외측에 형성된 외측 흡수부로 형성됨으로써, 흡수체의 흡수량을 높게 유지하면서 사타구니부 및 대퇴 내측 (내퇴) 로의 당해 흡수체의 밀착성을 높이고, 이에 의해 샘방지의 성능을 향상시킨 일회용 기저귀가 기재되어 있다. 이 일회용 기저귀의 장착시에는 상기 외측 흡수부가 착용자의 내퇴에 맞닿는다.
그러나 상기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외측 흡수부를 착용자의 내퇴에 충분히 밀착시키기 곤란하기 때문에, 외측 흡수부와 내퇴 사이에 발생한 간극을 통해 샐 우려가 있었다.
특허 제3242532호 공보에는, 착용자의 일방의 하지 (下肢) 의 대퇴 전면으로부터 사타구니 사이를 거쳐 타방의 하지의 대퇴 전면에 도달할 수 있는 제1 탄성부재와, 착용자의 일방의 하지의 대퇴 배면으로부터 사타구니 사이를 거쳐 타방의 대퇴 배면에 도달할 수 있는 제2 탄성부재를, 이들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가 사타구니 하부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하고, 또한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와 교차하는 제3 탄성부재를 흡수체의 사타구니 폭방향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대한 밀착성을 높인 일회용 기저귀가 기재되어 있다.
이 일회용 기저귀의 장착시에는, 상기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에 의해 흡수체가 2종류의 부위, 즉 착용자의 사타구니부에 맞닿는 중앙 흡수체와 사타구니 내측에 맞닿는 외측 흡수체로 실질적으로 나누어진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010007호에는, 기저귀의 외형을 결정하는 외층 시트의 폭이 적어도 사타구니 사이 부분에서 흡수체의 폭 이하이고, 좌우의 다리 둘레를 조이기 위한 탄성신축부가, 좌우의 다리 둘레 각각에서 전신 부분으로부터 몸 뒷부분에 걸쳐 형성된 일회용 기저귀 (팬츠타입 종이 기저귀) 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공보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외측 흡수부에 흡수된 배설물이 중앙 흡수부측으로 이동할 때에,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가 저해요인이 되어 그 이동이 지체되는 경우가 있어, 흡수성능 및 흡수량 각각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특허공개공보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팬크타입 종이 기저귀) 에 있어서도, 좌우 다리 둘레 각각에서 탄성신축부가 전신 부분으로부터 몸 뒷부분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므로, 당해 탄성신축부가 저해요인이 되어 배설물의 이동이 지체되는 경우가 있어, 흡수성능 및 흡수량 면 각각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다량의 배설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량을 확보하기 쉽고, 사타구니 하부로부터의 샘방지성능을 향상시키기 쉬운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상태에 있을 때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하여 긴장상태로 지지한 것을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낸 Ⅲ-Ⅲ 선을 따른 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2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상태에 있을 때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나타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하여 긴장상태로 지지한 것을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낸 Ⅵ-Ⅵ 선을 따른 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3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상태에 있을 때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에 나타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하여 긴장상태로 지지한 것을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 는 도 7 에 나타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관련되는 일 변형예를 전개하여 긴장상태로 지지하고, 이것을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4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상태에 있을 때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은 도 10 에 나타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하여 긴장상태로 지지한 것을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낸 XII-XII 선을 따른 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13 은 도 10 에 나타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할 때의 사타구니 하부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1 변형예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하여 긴장상태로 지지한 것을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 는 도 14 에 나타낸 XV-XV 선을 따른 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16 은 도 14 에 나타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관련되는 일 변형예에 대한 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2 변형예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하여 긴장상태로 지지하고, 도 2 에 나타낸 Ⅲ-Ⅲ 선에 상당하는 개소에서 절단했을때의 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3 변형예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의 흡수체 본체를 긴장상태로 지지했을 때의 각 레그 플랩 탄성부재와, 각 제1 레그부 탄성부재 및 각 제2 레그부 탄성부재와의 상대적인 관계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9(A) 및 도 19(B) 는, 각각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3 변형예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의 흡수체 본체를 긴장상태로 지지했을 때의 각 레그 플랩 탄성부재와, 각 제1 레그부 탄성부재 및 각 제2 레그부 탄성부재의 다른 상대적인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4 변형예에 의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하여 긴장상태로 지지하고, 도 2 에 나타낸 Ⅲ-Ⅲ 선에 상당하는 개소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21 은 도 20 에 나타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관련되는 일 변형예에 대한 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22(A) 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5 변형예의 일회용 기저귀를 긴장상태로 지지하여 착용시에 외표면이 되는 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2(B) 는 도 22(A) 에 나타낸 XXII-XXII 선을 따른 단면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배측부 2: 사타구니 하부
3: 등측부 5: 웨스트 개구부
7a, 7b: 레그 개구부 10: 외층 시트
86a, 86b: 탄성부재 88a, 88b: 제 2 레그 탄성부재
100: 일회용 기저귀
본 발명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 비투과성의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배치된 액 지지성의 흡수체 본체를 구비하고, 적어도 착용시에는 착용자의 하지가 통과되는 좌우 1쌍의 레그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레그 개구부 각각의 주위에 복수의 레그부 탄성부재가 신장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레그부 탄성부재는, 착용자의 배부에 맞닿는 배측부에서 상기 레그 개구부를 따라 활 모양을 그리듯이 하여 형성된 적어도 1개의 제1 레그부 탄성부재와, 상기 착용자의 등부 (背部) 에 맞닿는 등측부에서 상기 레그 개구부를 따라 활 모양을 그리듯이 하고, 또한 착용시에 착용자의 사타구니부에 맞닿는 사타구니 하부에서는 상기 제1 레그부 탄성부재로부터 격리되어 형성된 적어도 1개의 제2 레그부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타구니 하부에서의 상기 흡수체 본체의 최소폭이 250∼350㎜ 의 범위 내임과 동시에, 상기 사타구니 하부에서의 이 흡수체 본체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부가 착용시에 상기 외표면측으로 굴곡하여, 이 폭방향 측가장자리부의 각각이 상기 착용자의 내퇴에 맞닿는 레그 플랩 흡수체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사타구니 하부에서의 흡수체 본체의 최소폭이 250㎜∼350㎜ 범위 내로 폭이 넓으므로, 다량의 배설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량을 확보하기 쉽다. 흡수체 본체의 흡수성능을 높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최소폭을 270㎜∼310㎜ 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시에는, 사타구니 하부에서의 흡수체 본체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부가 기저귀의 외표면측 (이면 시트측) 으로 굴곡되어, 이들 폭방향 측가장자리부의 각각이 착용자의 내퇴에 맞닿는 레그 플랩 흡수체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사타구니 하부로부터 누출된 배설물을 레그 플랩 흡수체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사타구니 하부로부터의 샘방지성능을 향상시키기 쉽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폭」은 전부 일회용 기저귀에서의 신체 폭방향의 폭을 의미한다. 또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를 설명하는데에 있어서는, 여러 개소의 치수를 구체적으로 드는데, 이들 치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서는당해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하여 긴장상태로 지지했을 때의 치수이고, 전개형의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서는 당해 전개형 일회용 기저귀를 긴장상태로 지지했을 때의 치수이다.
여기에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하여 긴장상태로 지지한다」는 것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의 배측부와 등측부를, 당해 기저귀의 좌우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합부에서 서로 박리시킨 후, 기저귀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재의 수축에 기인하는 외층 시트의 변형이 실질적으로 소실되도록 폭방향 및 당해 폭방향과 평면에서 보아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당해 기저귀를 지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전개형 일회용 기저귀를 긴장상태로 지지한다」는 것은, 기저귀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재의 수축에 기인하는 외층 시트의 변형이 실질적으로 소실되도록 폭방향 및 당해 폭방향과 평면에서 보아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당해 기저귀를 지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서 말하는 「제1 레그부 탄성부재」및 「제2 레그부 탄성부재」는 각각 신장응력이 발현되는 상태에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는 탄성부재 또는 탄성부재 중의 영역을 말하고, 배치되어 있어도 신장응력이 소실되거나 신장상태가 해재되는 탄성부재 내지 영역은 포함되지 않는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 몇가지 실시형태 및 변형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 은 착용상태에 있는 제1 실시형태의 일회용 기저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시한 일회용 기저귀 (100) 는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 (이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라고 함) 이고, 당해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는 기저귀의 외형을 결정하는 외층 시트 (10) 와, 외층 시트 (10) 의 내표면 상에 고정된 흡수체 본체 (80) 를 갖는다.
외층 시트 (10) 는, 착용자의 배부에 맞닿는 배측부 (1), 사타구니부에 맞닿는 사타구니 하부 (2) 및 등부에 맞닿는 등측부 (3) 로 나눌 수 있고, 배측부 (1) 와 등측부 (3) 는 히트 시일, 고주파 시일, 초음파 시일 등의 방법에 의해 폭방향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서 서로 접합하여 접합부 (4a, 4b) 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외층 시트 (10) 는, 착용자의 몸통이 통과되는 웨스트 개구부 (5) 와, 착용자의 하지가 통과되는 좌우 1쌍의 레그 개구부 (7a, 7b : 도 1 에서는 일방의 레그 개구부 (7b) 만이 나타나 있음) 를 갖는 팬츠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 외층 시트 (10) 는, 예를 들어 1장의 시트에 의해, 또는 복수의 시트를 각각의 두께방향으로 접합한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외층 시트 (10) 의 외측에, 필요에 따라 다른 시트를 중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외층 시트 (10)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2장의 시트를 각각의 두께방향으로 접합한 것이다.
흡수체 본체 (80)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 비투과성의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배치된 구조를 갖고 있고, 당해 흡수체 본체 (80) 는, 배측부 (1) 로부터 사타구니 하부 (2), 또한 등측부 (3) 에 걸쳐, 외층시트 (10) 의 내측 표면 (착용시에 착용자측에 위치하는 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착용자의 웨스트에 대한 피트성을 높이기 위해, 웨스트 개구부 (5) 의 주위는 복수의 웨스트 탄성부재 (82) 가 웨스트 둘레의 전체 둘레에 걸쳐 고리형상으로 배치되어 웨스트 개더를 형성하고 있다. 또 착용자의 동체 주위부에 대한 피트성을 높이기 위해, 웨스트 탄성부재 (82) 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의 하방 (동체 주위부 ; 9) 에는, 복수의 동체 주위부 탄성부재 (84) 가 동체 둘레의 전체 둘레에 걸쳐 고리형상으로 배치되어 동체 둘레 개더를 형성하고 있다. 동체 주위부 (9)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스트 개구부 (5) 를 상방을 향한 상태에서, 웨스트 탄성부재 (82) 가 배치된 위치보다도 하방이고, 또한 레그 개구부 (7a, 7b) 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착용자의 서경부(鼠經部)로부터 내퇴에 걸친 피트성을 높이기 위해, 레그 개구부 (7a) 의 주위에는 복수의 제1 레그부 탄성부재 (86a) 와 제2 레그부 탄성부재 (88b) 가 배치되고, 또 레그 개구부 (7b) 의 주위에는 복수의 제1 레그부 탄성부재 (86b) 와 제2 레그부 탄성부재 (88b) 가 배치되어, 각각 레그 개더를 형성하고 있다.
각 제1 레그부 탄성부재 (86a, 86b) 는, 배측부 (1) 로부터 사타구니 하부 (2) 에 걸쳐 레그 개구부 (7a 또는 7b) 를 따라 활 모양을 그리듯이 하여 형성되어 있고, 제2 레그부 탄성부재 (88a, 88b) 는, 등측부 (2) 로부터 사타구니 하부 (2) 에 걸쳐 레그 개구부 (7a 또는 7b) 를 따라 활 모양을 그리듯이 하여 형성되어 있다.
레그 개구부 (7a) 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레그부 탄성부재 (86a) 와 레그 개구부 (7b) 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레그부 탄성부재 (86b) 는 서로 격리되어 있고, 레그 개구부 (7a) 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레그부 탄성부재 (88a) 와 레그 개구부 (7b) 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레그부 탄성부재 (88b) 도 서로 격리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레그 개구부 (7a) 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레그 탄성부재 (86a) 와 제2 레그부 탄성부재 (88a) 는 서로 격리되어 있고, 레그 개구부 (7b) 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레그부 탄성부재 (86b) 와 제2 레그부 탄성부재 (88b) 도 서로 격리되어 있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의 착용시에는, 사타구니 하부 (2) 에서의 흡수부 본체 (80) 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부가 기저귀의 외표면측으로 굴곡되어, 이들 폭방향 측가장자리부의 각각이 착용자의 내퇴에 맞닿는 레그 플랩 흡수체 (80a, 80b) 로서 기능한다. 이 때의 흡수체 본체 (80) 의 굴곡은, 폭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1 레그부 탄성부재 (86a, 86b) 및 대략 폭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2 레그부 탄성부재 (88a, 88b) 각각을 따라 발생된다. 도 1 에서는 레그 플랩 흡수체 (80a, 80b) 의 위치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이들 레그 플랩 흡수체 (80a, 80b) 의 주요분포 영역에 스머징(smudging) 표시하였다.
이하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상기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를 전개하여 긴장상태로 지지한 것을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또 도 3 은 도 2 에 나타낸 Ⅲ-Ⅲ 선을 따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층 시트 (10) 는, 평면에서 보아 형상이 직사각형인 시트의 좌우의 장변 각각의 중앙부에, 레그 개구부 (7a, 7b) 를 형성하기 위한 만입부 (15a, 15b) 를 형성한 형상을 갖는다. 이 외층 시트 (10) 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의 외표면이 도는 외측 시트 (11) 와, 당해 외측 시트 (11) 의 편면 상에 접합된 내측 시트 (12)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흡수체 본체 (80) 는 평면에서 보아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을 띠고, 그 길이방향이 외층 시트 (10) 의 길이방향과 대략 일치하도록 하여, 외층 시트 (10) 의 내측 표면 (착용시에 착용자측에 위치하는 면) 상에 접합되어 있다. 또 사타구니 하부 (2) 에서의 흡수체 본체 (80) 의 최소폭은, 250㎜∼350㎜ 의 범위 내에 선정되어 있다.
이 흡수체 본체 (80) 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 (30) 와, 액 비투과성의 이면 시트 (33) 와, 이들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 (40) 를 갖는다. 표면 시트 (30) 및 이면 시트 (33) 는, 폭방향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액 비투과성의 측가장자리부 시트 (35a, 35b) 와 함께 자루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그 내부에 흡수체 (40) 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의 착용시에는, 폭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1 레그부 탄성부재 (86a, 86b), 및 폭방향의 가장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2 레그부 탄성부재 (88a, 88b) 각각을 대략 따라 흡수체 본체 (80) 에서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부가 기저귀의 외표면측으로 굴곡하여, 레그 플랩 흡수체 (80a, 80b) 가 형성된다. 도 2 에서는 흡수체 본체 (80) 중에서 레그 플랩 흡수체 (80a, 80b) 가 되는 영역에 스머징 표시하였다. 흡수체 본체 (80) 중에서 레그 플랩 흡수체 (80a, 80b) 가 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을, 이하 「중앙흡수체 (80c)」라고 한다.
각 레그 플랩 흡수체 (80a, 80b) 에 의해 배설물을 흡수하기 위해,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그 플랩 흡수체 (80a, 80b) 상면의 측가장자리부 시트 (35a, 35b) 에는, 액 투과성의 사이드 흡수 영역 (36a, 36b)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사이드 흡수영역 (36a, 36b) 은, 후술하는 제1 입체 가드 (45a, 45b) 를 넘은 배설물이 사이드 플랩 흡수체 (80a, 80b) 중에 침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액 비투과성의 측가장자리부 시트 (35a, 35b) 의 소정 개소에 액 투과성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의 액 투과성 처리로서는, 액 비투과성의 영역보다도 배설물의 투과성을 높게 할 수 있는 처리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친수화처리나, 측가장자리부 시트 (35a, 35b) 의 소정 개소에 개공부(開孔部)를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도 2 에서는 편의상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시트 (30) 상에는, 당해 표면 시트 (30) 의 폭방향의 좌우로 나누어져, 1쌍의 제1 입체 가드 (45a, 45b) 가 배치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입체 가드는 배설물의 투과를 억제하는 시트가, 적어도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시에 주위에 대해 높이를 갖도록 세워져 형성되고, 그 세워진 부분에서 배설물의 이동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한 제1 입체 가드 (45a, 45b) 는, 측가장자리부 시트 (35a, 35b) 의 폭을 넓게 하여, 표면 시트 (30) 의 폭방향 측가장자리에 겹쳐지는 영역을 당해 표면 시트 (30) 의 폭방향 측가장자리에 고정시켜 제1 입체 가드의 고정단으로 하고, 측가장자리부 시트 (35a, 35b) 의 자유단측 (표면 시트 (30) 측의 측가장자리부) 에 원하는 개수의 탄성부재 (43a, 43b) 를 신장 상태에서 배치한 구조를 갖는다. 도 3 에는 탄성부재 (43a, 43b) 가 각각 2개씩 표시되어 있다.
또한 각 제1 입체 가드 (45a, 45b) 는 실제로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의 착용시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시트 (30) 상에 기립되는 것으로, 도 2 에 나타낸 상태하에서는 표면 시트 (30) 상에 쓰러져 있다.
도 1 에 나타낸 각 웨스트 탄성부재 (82), 각 동체 주위부 탄성부재 (84), 각 제1 레그부 탄성부재 (86a, 86b), 및 각 제2 레그부 탄성부재 (88a, 88b) 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시트 (11) 와 내측 시트 (12) 사이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2 에서는 편의상 각 웨스트 탄성부재 (82) 를 실선으로 표시하고, 각 동체 주위부 탄성부재 (84), 각 제1 레그부 탄성부재 (86a, 86b), 및 각 제2 레그부 탄성부재 (88a, 88b) 에 대해서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흡수체 본체 (80) 와 겹치지 않은 부분을 실선으로 표시하고, 겹치는 부분을 파선으로 표시한다.
도 2 에 나타나는 웨스트 탄성부재 (82) 의 개수는, 배측부 (1) 및 등측부(3) 각각에서 4개이고, 동체 주위부 탄성부재 (84) 의 개수는 배측부 (1) 및 등측부 (3) 각각에서 12개이다. 동체 주위부 탄성부재 (84) 중,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흡수체 본체 (80) 와 겹치지 않은 것 (배측부 (1) 및 등측부 (3) 에 각각 4개) 을, 이하 「제1 동체 주위부 탄성부재 (84a)」라고 하고, 겹치는 부분을 갖는 것 (배측부 (1) 및 등측부 (3) 각각에서의 좌우의 측부에 4개씩) 을 이하 「제2 동체 주위부 탄성부재 (84b)」라고 한다.
제1 동체 주위부 탄성부재 (84a) 의 각각은, 적어도 흡수체 본체 (80) 의 좌우의 측가장자리 (80R, 80L ; 도 2 참조) 의 위치보다도 폭방향 외측에서 탄성신축성이 발현되도록 신장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제2 동체 주위부 탄성부재 (84b) 의 각각은, 도 2 에 나타낸 상태하에서의 흡수체 본체 (80) 의 폭방향 중앙부 (80M) 에서 탄성신축성이 발현되지 않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폭방향 중앙부 (80M) 를 피하도록 하여, 혹은 히트 시일 등의 열압처리나 절단 등의 처리에 의해 폭방향 중앙부 (80M) 에서는 탄성신축성이 소실된 상태 혹은 신장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레그부 탄성부재 (86a, 86b) 및 각 제2 레그부 탄성부재 (88a, 88b) 는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층 시트 (10) 에 형성되어 있는 만입부 (15a) 또는 만입부 (15b) 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레그부 탄성부재 (86a, 86b, 88a, 88b) 를 배치함으로써,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 도 1 참조) 의 착용시에는, 이들 레그부 탄성부재 (86a, 86b, 88a, 88b) 가 착용자의 서경부 및 그 주변에 닿아, 착용자의 서경부로부터 대퇴에 걸친 피트성이 높아진다.
상기 서술한 구조를 갖는 본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에서는, 사타구니 하부 (2) 에서의 흡수체 본체 (80) 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부가 기저귀의 외표면측 (이면 시트 (33) 측) 으로 굴곡되어, 이들 폭방향 양측가장자리부의 각각이 착용자의 내퇴에 맞닿는 레그 플랩 흡수체 (80a, 80b) 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사타구니 하부 (2) 로부터 누출된 배설물을 레그 플랩 흡수체 (80a, 80b) 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또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에서는, 각 제1 레그부 탄성부재 (86a, 86b) 와 각 제2 레그부 탄성부재 (88a, 88b) 가 사타구니 하부 (2) 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체 본체 (80) 내에서는, 제1 레그부 탄성부재와 제2 레그부 탄성부재가 사타구니 하부에서 교차하는 경우에 비하여, 각 레그 플랩 흡수체 (80a, 80b) 로부터 중앙흡수체 (80c) 로의 이동이 발생하기 쉽다. 그 결과로서 각 레그 플랩 흡수체 (80a, 80b) 의 흡수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에서는, 사타구니 하부 (2) 에서의 흡수체 본체 (80) 의 최소폭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250㎜∼350㎜의 범위 내로 폭넓게 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당해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에서는, 다량의 배설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량을 확보하기 쉽다.
이들 이유로부터,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에서는, 다량의 배설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량을 확보하기 쉽고, 또 사타구니 하부 (2) 로부터의 샘방지성능을 향상시키기 쉽다.
착용자의 다리 둘레이나 사타구니부, 특히 사타구니부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의 피트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폭방향의 동일한 측에 위치하는 제1 레그부 탄성부재와 제2 레그부 탄성부재의 사타구니 하부 (2) 에서의 간격 (기저귀의 길이방향에 대한 간격을 의미함. 이하 동일), 즉 제1 레그부 탄성부재 (86a) 와 제2 레그부 탄성부재 (88a) 의 간격 (L1 ; 도 2 참조), 및 제1 레그부 탄성부재 (86b) 와 제2 레그부 탄성부재 (88b ; 도 2 참조) 를, 대응하는 레그 플랩 흡수체 (80a, 80b) 에 대한 길이방향의 길이 (L2 ; 대응하는 제1 및 제2 레그부 탄성부재 각각 중에서 폭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각 레그부 탄성부재에 의해 규정되는 길이를 의미함. 도 2 참조) 의 1%∼7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25%의 범위 내인 것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 (L1) 은, 구체적으로는 5㎜∼100㎜ 의 범위 내, 그 중에서도 10㎜∼50㎜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보다도 간격 (L1) 을 크게 하면, 착용자의 다리 둘레이나 사타구니부에 대한 피트성, 특히 사타구니부에 대한 피트성이 저하되어 공극이 생기기 쉬워져, 사타구니 하부 (2) 로부터의 샘을 방지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상기 범위보다도 간격 (L1) 을 좁게 하면, 레그 플랩 흡수체 (80a, 80b) 로부터 중앙흡수체 (80c) 로의 배설물의 이동의 효율이 저하되어, 레그 플랩 흡수체 (80a, 80b) 의 흡수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에서는, 사타구니 하부 (2) 에서의 흡수체 본체 (80) 의 최소폭을 상기 서술한 범위 내로 하기 위해, 사타구니 하부 (2) 에서의 외층 시트 (10) 의 폭이 넓게 취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층 시트 (10) 에 형성되어 있는 만입부 (15a, 15b ; 도 2 참조) 각각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사타구니 하부 (2) 에서의 외층 시트 (10) 의 폭을 넓게 하고 있다.
즉, 각 만입부 (15a, 15b) 는 당해 만입부 (15a, 15b) 에서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a (도 2 참조) 로 하고, 그 최대폭 (침입 깊이) 을 b (도 2 참조) 로 했을 때에, 상기 최대폭 (b) 에 대한 상기 길이방향의 길이 (a) 의 비 a/b 가 3.3 이상이 되도록 그 형상이 선정되어 있다. 각 만입부 (15a, 15b) 의 형상을 이와 같이 선정함으로써, 착용자에 대한 장착성을 저해하지 않고 레그 개구부 (7a, 7b) 의 형상을 폭방향으로 좁고, 길이방향으로 넓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로서 사타구니 하부 (2) 에서의 외층 시트 (10) 의 폭을 넓게 하여 폭넓은 흡수체 본체 (80) 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사타구니 하부 (2) 에서의 흡수체 본체 (80) 의 폭을 넓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비 a/b 를 3.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당해 비 a/b 의 상한은 7.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 본체 (80) 의 흡수성능을 높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최소폭을 270㎜∼310㎜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 본체 (80) 를 외층 시트 (10) 상에 배치하는 데에 있어서는, 사타구니 하부 (2) 에서의 외층 시트 (10) 의 측가장자리 (10R, 10L ; 도 2 참조) 에서 가장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개소로부터 당해 개소에 가장 근접하는 흡수체 본체 (80) 의 측가장자리 (80R) 또는 측가장자리 (80L) 까지의 최단거리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L3) 가 40㎜ 이하, 특히 0㎜∼20㎜ 의 범위 내가 되도록, 당해 흡수체 본체 (80) 의 위치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흡수체 본체 (80) 를 배치함으로써, 사타구니 하부 (2) 에서의 흡수체 본체 (80) 의 폭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각 레그 플랩 흡수체 (80a, 80b) 의 폭의 최대값은, 제1 레그 탄성부재 (6a, 6b) 및 제1 레그 탄성부재 (8a, 8b) 가 각각 이간되어 있다 (레그 탄성부재가 흡수체의 폭방향 중앙부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는, 대략 20㎜∼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60㎜ 이고, 제1 레그 탄성부재 (6a, 6b) 및 제1 레그 탄성부재 (8a, 8b) 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레그 탄성부재가 흡수체의 폭방향 중앙부에 존재하는) 경우는, 대략 120㎜∼18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160㎜ 임) 각 레그 플랩 흡수체 (80a, 80b) 의 최대폭이 상기 범위 내이면, 당해 레그 플랩 흡수체 (80a, 80b) 에서 사타구니 하부 (2) 로부터의 샘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흡수성능 및 흡수량을 확보하기 쉽다.
그리고 각 레그 플랩 흡수체 (80a, 80b) 에 대한 길이방향의 길이 (L2) 는, 기저귀에 대한 길이방향의 길이, 구체적으로는 도 2 에 나타낸 L4에 대해, 1/5∼2/3 의 범위 내, 그 중에서도, 1/4∼1/2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 (L2) 를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착용시에 착용자의 내퇴에 레그 플랩 흡수체 (80a, 80b) 가 충분한 길이로 맞닿은 형태로 흡수체 본체 (80) 가 굴곡되기 숴워진다. 그 결과로서 레그 플랩 흡수체 (80a, 80b) 와 착용자의 내퇴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어, 사타구니 하부 (2) 로부터의 샘방지성능이 더욱 높아진다.
상기 서술한 구성을 갖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는, (i) 각 제1 레그부 탄성부재 (86a, 86b) 와 각 제2 레그부 탄성부재 (88a, 88b) 를 서로 이간시키고, 또한 이들 레그부 탄성부재 (86a, 86b, 88a, 88b) 를 레그 플랩 흡수체 (80a, 80b) 가 형성되도록 배치하는 점, 및 (ii) 사타구니 하부 (2) 에서의 흡수체 본체 (80) 의 최소폭을 상기 서술한 범위 내에서 선정하는 점에 유의하기만 하면, 각종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를, 도 2 또는 도 3 에서 사용한 참조부호를 적절히 인용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외측 시트 (11) 및 내측 시트 (12)
예를 들어 에어스루 부직포, 히트롤 부직포, 스판본드 부직포, 스판리스 부직포, 멜트브론 부직포, 멜트브론과 스판본드를 병용한 부직포 (예를 들어 SMS 부직포, SMMS 부직포 등) 등, 일반적인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외측 시트 (11) 및 내측 시트 (12) 는 샘방지성을 고려하면, 발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표면 시트 (30)
예를 들어 천연섬유로 이루어지는 직포, 합성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개구 필름이 사용된다. 건조시 및 습윤시의 피부촉감, 그리고 경제성을 감안하면 합성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합성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로서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재로 사용되는 습식 또는 건식의 합성섬유 부직포,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폴리에스테르섬유,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복합섬유, 폴리에틸렌-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레이온 등의 합성섬유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습식 또는 건식 부직포를 들 수 있다. 배설물의 흡수성을 감안하면, 표면 시트 (30) 는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를 도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친수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이면 시트 (33)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필름, 폴리프로필렌필름 등, 흡수성 물품의 샘방지 시트로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제의 액 비투과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 산화티탄 등으로 이루어지는 무기 미립자를 상기 열가소성 수지에 배합하여 연신, 성형함으로써 얻어지는 증기투과성 (투습성) 필름을 사용한다.
(4) 측가장자리부 시트 (35a, 35b)
예를 들어 습식법, 건식법, 스판리스법, 또는 스판본드법에 의해 형성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멜트브론 또는 스판본드 성형법에 의해 직접 성형되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부직포의 재료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으로 형성된 단일섬유 또는 복합섬유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복합섬유로서는 시스-코어형 복합섬유나, 병렬형 복합섬유, 혹은 열 또는 외력에 의해 복수의 섬유로 분할하는 분할성 복합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스-코어형 복합섬유의 구체예로서는, 코어 성분과 시스 성분의 조합이 PET/PE, PP/PE, 또는 PET/PP (모두 전자가 코어 성분, 후자가 시스 성분을 나타냄) 인 폴리올레핀계 시스-코어형 복합섬유를 들 수 있다. 복합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중에서도, 고탄성 수지를 코어로 사용하고, 저탄성 및/또는 저융점 수지를 시스로 사용한 시스-코어형 복합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는, 촉감 및 탄력성이 우수하고, 또 생산성, 안전성이 높고, 비용이 낮은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5) 흡수체 (40)
예를 들어 펄프섬유, 레이온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집합체 및 이들 섬유집합체의 전체 또는 일부에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시킨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6) 각 탄성부재
웨스트 탄성부재 (82), 제1 동체 주위부 탄성부재 (84a), 제2 동체 주위부 탄성부재 (84b), 제1 레그부 탄성부재 (86a, 86b) 및 제2 레그부 탄성부재 (88a, 88b) 의 형성소재로서는 각각 (a) 스티렌-부타디엔고무, 부타디엔, 이소플렌, 네오플렌고무 등의 합성고무, (b) 천연고무, (c)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EVA), 신축성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발포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수지, 등의 각종 탄성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탄성부재의 형태는, 사용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나, 웨스트 탄성부재 (82) 및 각 웨스트 탄성부재 (86a, 86b, 88a, 88b) 로서는, 소정 폭의 띠형상의 것 (평고무 등) 이 바람직하고, 제1 동체 주위부 탄성부재 (84a) 및 제2 동체 주위부 탄성부재 (84b) 로서는, 실형상의 것 (실고무 등) 이 바람직하다. 또 제1 입체 가드 (45a, 45b) 용의 탄성부재 (43a, 43b) 로서는, 실형상의 것 (실고무 등), 소정 폭의 띠형상의 것 (평고무 등), 또는 박막형상의 것 (우레탄필름 등) 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탄성부재는 모두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의 제조에는 신장상태에서 원하는 개소에 배치된다. 따라서 적어도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가 자연상태에 있을 때에는 각 탄성부재가 어느 정도 수축되어, 그 주위에 개더가 형성된다.
<제2 실시형태>
도 4 는 착용상태에 있는 제2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00) 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5 는 도 4 에 나타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00) 를 전개하여 긴장상태로 지지한 것을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또 도 6 은 도 5 에 나타낸 Ⅵ-Ⅵ 선을 따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00) 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00) 에서는, 흡수체 본체 (180) 의 흡수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타구니 하부 (102) 의 일부에서, 흡수체 본체 (180) 의 폭이 외층 시트 (110) 의 폭보다도 넓게 되어 있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00) 의 다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도 4∼도 6 에 나타내는 구성부재 및 영역에는, 도 1∼도 3 에 나타낸 구성부재 또는 영역으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부재 또는 영역에 단 부호참조의 수치 부분에 100 을 더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5 에서는 편의상, 각 제1 입체 가드 (145a, 145b) 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시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00) 에서의 사타구니 하부 (102) 에서의 흡수체 본체 (180) 의 최소폭은,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에서의 흡수체 본체 (80) 와 동일하게, 250㎜∼350㎜ 의 범위 내로 선정되어 있고, 당해최소폭은 270∼310㎜ 범위 내에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 제1 레그부 탄성부재 (186a, 186b) 와 제2 레그부 탄성부재 (188a, 188b) 는 사타구니 하부 (102) 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00) 는,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와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사타구니 하부 (102) 의 일부에서 흡수체 본체 (180) 의 폭이 외층 시트 (110) 의 폭보다도 넓게 되어 있으므로, 기저귀의 장착성 및 각 레그 플랩 흡수체 (180a, 180b) 의 피트성이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보다도 높아지고, 그 결과로서 사타구니 하부 (102) 로부터의 샘방지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기저귀의 장착성 및 각 레그 플랩 흡수체 (180a, 180b) 의 피트성을 감안하면, 사타구니 하부 (102) 에서의 흡수체 본체 (180) 의 폭은, 사타구니 하부 (102) 에서의 외층 시트 (110) 의 최소폭의 1.1∼4.0배의 범위 내, 그 중에서도 1.2∼2.4배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저귀의 장착성을 감안하면 외층 시트 (110) 측에서 보았을 때에 당해 외층 시트 (110) 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흡수체 본체 (180) 의 노출길이 (폭방향의 길이) 는 최대 20㎜∼130㎜ 의 범위 내, 그 중에서도 30㎜∼95㎜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레그 플랩 흡수체 (180a, 180b) 의 흡수성능을 감안하면, 당해 레그 플랩 흡수체 (180a, 180b) 의 폭은 가장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 그 하한이 10㎜ 이상, 그 중에서도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 상한은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레그 플랩 흡수체 (180a, 180b) 에 대한 길이방향의 길이 (L2 ; 도 5 참조) 는,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에서의 레그 플랩 흡수체 (80a, 80b) 와 동일하게, 기저귀에 대한 길이방향의 길이 (L4) 의 1/5∼2/3 의 범위 내, 그 중에서도 1/4∼1/2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 제1 레그부 탄성부재 (186a, 186b) 와 각 제2 레그부 탄성부재 (188a, 188b) 의 간격 (L1 ; 도 4 참조) 도,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에서의 간격 (L1 ; 도 2 참조) 과 동일한 수치 범위 내에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형태>
도7 은 착용상태에 있는 제3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00) 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8 은 도 7 에 나타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00) 를 전개하여 긴장상태로 지지한 것을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00) 는, 각 레그부 탄성부재의 형상을 제외하고,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도 7∼도 9 에 나타내는 구성부재 및 영역에는, 도 1∼도 3 에 나타낸 구성부재 또는 영역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부재 또는 영역에 표시한 참조부호의 수치 부분에 200을 첨가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1 레그부 탄성부재에는 새로운 참조부호 286을 부여하고, 제2 레그부 탄성부재에는 새로운 참조부호 288을 부여하였다. 또 도시는 하지 않았으나,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00) 에는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와 동일하게, 폭방향의 좌우로 나누어져 1쌍의 제1 입체 가드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00) 에서는, 레그 개구부 (207a) 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1 레그부 탄성부재와 레그 개구부 (207b) 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1 레그부 탄성부재가, 사타구니 하부 (202) 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동일하게 레그 개구부 (207a) 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2 레그부 탄성부재와 레그 개구부 (207b) 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2 레그부 탄성부재가 사타구니 하부 (202) 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제1 레그부 탄성부재 (286) 및 각 제2 레그부 탄성부재 (288) 가, 각각 레그 개구부 (207a) 로부터 사타구니 하부 (202) 를 거쳐 레그 개구부 (207b) 에 도달하는 1개의 탄성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레그부 탄성부재 (286, 288) 는, 사타구니 하부 (202) 에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00) 의 폭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연재하는 영역을 갖고 있고, 당해 영역의 좌우 양단에는 원호형상의 영역이 계속되고 있다.
사타구니 하부 (202) 에서의 제1 레그부 탄성부재 (286) 와 제2 레그부 탄성부재 (288) 의 간격 (L1 ; 도 8 참조) 은,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에서의 간격 (L1) 과 동일한 수치 범위 내에서 선정되고, 각 레그 플랩 흡수체 (280a, 280b) 에 대한 길이방향의 길이 (L2 ; 도 8 참조) 도,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에서의 길이 (L2) 와 동일 수치 범위 내에서 선정된다.
또한 제1 레그부 탄성부재 또는 제2 레그부 탄성부재가 사타구니 하부에서 기저귀의 폭방향으로 직접적으로 또는 만곡되면서 연재하는 영역을 갖는 경우, 「사타구니 하부에서의 제1 레그부 탄성부재와 제2 레그부 탄성부재의 간격 (L1)」은, 각 레그부 탄성부재에서 기저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축응력이 작용하고 있는 영역 중에서 사타구니 하부에서의 최단부끼리의 간격을 의미한다.
상기 서술한 구성을 갖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00) 도,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와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또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제1 레그부 탄성부재 (286) 및 각 제2 레그부 탄성부재 (288) 를 각각이 사타구니 하부 (202) 에서 완만한 곡선을 그리듯이 배치한 경우에도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10 은 착용상태에 있는 제 4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00) 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11 은 도 10 에 나타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00) 를 전개하여 긴장상태로 지지한 것을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또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낸 XII-XII 선을 따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00) 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00) 에서는, 사타구니 하부에서의 제1 레그부 탄성부재 및 제2 레그부 탄성부재 각각의 단부에, 폭방향으로 연재하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와 동일하다. 도 10∼도 12 에 나타내는 구성부재 및 영역에는, 도 1∼도 3에 나타낸 구성부재 또는 영역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부재 또는 영역에 표시한 참조부호의 수치 부분에 300을 첨가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1 레그부 탄성부재에는 새로운 참조부호 386a, 386b 를 부여하고, 제2 레그부 탄성부재에는 새로운 참조부호 388a, 388b 를 부여하였다. 또 도 11 에서는 편의상, 제1 입체 가드 (345a, 345b) 의 도시를 생략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00) 는 상기 서술한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와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00) 에서는 (1) 각 제1 레그부 탄성부재 (386a, 386b) 및 각 제2 레그부 탄성부재 (388a, 388b) 가, 폭방향으로 연재하는 상기 영역을 갖고 있는 것, 및 (2) 제2 동체 주위부 탄성부재 (384b ; 도 11 참조) 의 각각이,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에서의 제2 동체 주위부 탄성부재 (84b ; 도 2 참조) 와 동일하게, 도 11 에 나타낸 상태하에서의 흡수체 본체 (380) 의 폭방향 중앙부 (380M) 에서 탄성신축성이 발현되지 않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 등으로부터 각 레그 플랩 흡수체 (380a, 380b) 에 작으면서도 개더 (도시생략) 가 형성된다. 따라서 각 레그 플랩 흡수체 (380a, 380b) 및 그 주변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00) 의 착용시에 폭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신축할 수 있다.
한편 흡수체 본체 (380) 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폭방향으로 연재하는 탄성부재가 없으므로, 당해 중앙부는 상대적으로 폭방향으로 신축할 수 없다.
이들 결과로서, 흡수체 본체 (380) 의 폭방향 중앙부에서는, 팬츠형 일회용기저귀 (400) 의 착용시에 주름이 생기기 어려워져, 배설물의 흡수효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사타구니부 (302) 로부터의 샘방지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보조 패드가 병용되는 경우가 있는 성인용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점도 얻어진다.
즉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 패드 (390) 는, 제1 입체 가드 (345a, 345b) 사이에 장착되어 착용자 (1000) 의 사타구니부에 맞닿는 것이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00) 에서는, 흡수체 본체 (380) 의 폭방향 중앙부 (380M) 에서 각 제2 동체 주위부 탄성부재 (384b) 의 탄성신축성이 발현되지 않도록 하여 당해 제2 동체 주위부 탄성부재 (384b) 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보조 패드 (390) 의 장착이 용이해진다. 이 점은, 상기 서술한 제1∼제3 실시형태의 각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200, 300) 에서도 동일하다.
실용적인 흡수성능을 갖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00) 를 얻기 위해서는, 흡수체 본체 (380) 에서의 상기 상대적으로 신축할 수 있는 영역의 폭을, 흡수성 본체 (380) 폭의 대략 1/4∼2/3 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1/3 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각 레그 플랩 흡수체 (380a, 380b) 의 폭을, 흡수체 본체 (380) 의 폭의 대략 1/6∼1/3 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1/4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변형예>
도 14 는 제1 변형예에 의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00) 를 전개하여 긴장상태로 지지한 것을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15 는, 도 14 에 나타낸 XV-XV 선을 따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00) 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변형예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00) 는, 흡수체 본체 (480) 의 구조가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에서의 흡수체 본체 (80) 의 구조와 다르다. 다른 구조는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와 동일하므로, 착용시의 상태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14 또는 도 15 에 나타낸 구성부재 또는 영역 중에서 도 2 또는 도 3 에 나타낸 구성부재 또는 영역과 공통되는 것에는 도 2 또는 도 3 에서 사용한 참조부호의 수치 부분에 400 을 첨가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4 에서는, 편의상, 각 제1 입체 가드 (445a, 445b) 의 도시를 생략한다. 또 도 14 에서는 각 레그 플랩 흡수체 (480a, 480b) 에 스머징 표시를 하지 않았다.
도시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00) 에서의 흡수체 본체 (480) 는, (1) 레그 플랩 흡수체 (480a, 480b) 각가의 외표면측 (외층 시트 (410) 측) 에, 당해 레그 플랩 흡수체 (480a, 480b) 에 대한 길이방향으로 연재하도록 하여, 레그 플랩 흡수체 (460a, 460b) 가 배치되어 있는 점, (2) 레그 플랩 흡수체 (480a, 480b) 각각의 폭방향 외측 가장자리에, 당해 레그 플랩 흡수체 (480a, 480b) 에 대한 길이방향으로 연재하도록 하여, 레그 플랩 사이드 탄성부재 (462a, 462b) 가 배치되어 있는 점, 및 (3)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00) 의 착용시에 흡수체 본체 (480) 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부가 굴곡되어 레그 플랩 흡수체 (480a, 480b) 가 형성되는 것을 보조하는 굴곡수단 (442a, 442b) 을 갖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에서의 흡수체 본체 (80) 와 다르다. 이하 이들 탄성부재 및 굴곡수단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레그 플랩 탄성부재 및 레그 플랩 사이드 탄성부재
도시한 레그 플랩 탄성부재 (460a, 460b) 는, 흡수체 (440) 와 이면 시트 (433) 사이에 신장상태하에 배치되어 있고, 레그 플랩 사이드 탄성부재 (462a, 462b ; 도 15 참조) 는, 측가장자리부 시트 (435a, 435b) 의 외표면에 신장상태하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레그 플랩 탄성부재 (460a, 460b) 및 레그 플랩 사이드 탄성부재 (462a, 462b) 는, 대응하는 레그 플랩 흡수체 (480a, 480b) 를 그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하여, 배측부 (401) 부터 등측부 (403) 에 걸쳐 연재되어 있고, 기저귀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대한 레그 플랩 흡수체 (480a, 480b) 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사타구니 하부 (402) 로부터의 샘을 더욱 방지한다.
레그 플랩 탄성부재와 레그 플랩 사이드 탄성부재는, 어느 하나 일방의 탄성부재만을 형성하도록 해도 되지만, 양자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시한 흡수체 본체 (480) 에서는 1개의 레그 플랩 흡수체 (480a, 480b) 당 2개의 레그 플랩 탄성부재 (460a, 460b) 를 배치하고 있으나, 레그 플랩 탄성부재 (460a, 460b) 를 배치하는 경우, 그 수는 1개의 레그 플랩 흡수체 (480a, 480b) 당 1 이상의 원하는 수로 할 수 있다. 레그 플랩 사이드 탄성부재 (462a, 462b) 의 수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단, 레그 플랩 탄성부재 (460a, 460b) 또는 레그 플랩 사이드 탄성부재 (462a, 462b) 를 배치한 경우, 이들 탄성부재의 신장응력이 너무 크면,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00) 의 착용시에 레그 플랩 흡수체 (480a, 480b) 가 불규칙하게 굴곡되어,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대한 레그 플랩 흡수체 (480a, 480b) 의 피트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대한 레그 플랩 흡수체 (480a, 480b) 의 피트성을 확실하게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1개의 레그 플랩 흡수체 (480a, 480b) 에 대응하는 모든 레그 플랩 탄성부재 (460a, 460b) 의 신장응력의 합계 (이하, 「총신장응력Ⅰ」이라고 함) 를, 당해 레그 플랩 흡수체 (480a, 480b) 에 대응하는 모든 제1 레그부 탄성부재 (486a, 486b) 의 신장응력과 모든 제2 레그부 탄성부재 (488a, 488b) 의 신장응력의 합계 (이하, 「총신장응력Ⅲ」이라고 함) 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1개의 레그 플랩 흡수체 (480a, 480b) 에 대응하는 모든 레그 플랩 사이드 탄성부재 (462a, 462b) 의 신장응력의 합계 (이하, 「총신장응력Ⅱ」라고 함) 를, 당해 레그 플랩 흡수체 (480a, 480b) 에 대응하는 총신장응력Ⅲ 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각 총신장응력Ⅰ을, 대응하는 총신장응력Ⅲ의 30%∼99%의 범위 내, 그 중에서도, 50%∼90%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 총신장응력Ⅱ을, 대응하는 총신장응력Ⅲ의 10%∼80% 범위 내, 그 중에서도, 30%∼70%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레그 플랩 탄성부재 (460a, 460b), 레그 플랩 사이드 탄성부재(462a, 462b), 제1 레그부 탄성부재 (486a, 486b) 및 제2 레그부 탄성부재 (488a, 488b) 각각의 신장응력은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한다.
즉 기저귀의 사타구니 하부에서의 레그 플랩 흡수체의 부분에 대해, 수축상태에서의 길이방향의 길이가 100㎜ 로 되도록 시험편을 잘라, 인장시험기 (오리엔탈사 제조, 척 간 80㎜, 시험속도 300㎜/min) 으로 25% 신장시의 하중을 측정하고, 시험편 폭으로 환산하여 각각의 신장응력을 얻는다.
또한 레그 플랩 탄성부재 (460a, 460b) 및 레그 플랩 사이드 탄성부재 (462a, 462b) 로서는 각각 실형상의 것 (실고무 등), 소정 폭의 띠형상의 것 (평고무 등), 또는 박막형상의 것 (우레탄필름 등) 을 사용할 수 있다.
(2) 굴곡수단
굴곡수단 (442a, 442b) 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00) 의 착용시에 흡수체 본체 (480) 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부가 굴곡되어 사이드 플랩 흡수체 (480a, 480b) 가 형성되는 것을 보조하는 것이면 되고, 당해 굴곡수단 (442a, 442b) 은, 예를 들어 흡수체 본체 (480) 의 소정 개소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혹은 흡수체 본체 (480) 의 소정 개소에 상대적으로 강성이 낮은 저강성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엠보스 가공은 흡수체 본체의 표면을 요철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으로, 이와같은 엠보스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흡수체 본체의 표면의 형상이 변화되어 굴곡되기 쉬워진다.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는 영역으로서는, 적어도 사타구니 하부 (402) 에서 흡수체 본체 (480) 의 측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이간되어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레그 플랩 흡수체 (480a, 480b) 의 폭이 상기 서술한 폭이 되도록, 흡수체 본체 (480) 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엠보스 가공은 예를 들어 엠보스 롤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사용하는 엠보스 롤로서는 일반적으로 조각 롤과 평활 롤로 이루어지는 1쌍의 롤을 사용한다. 상기 조각 롤로서는 예를 들어 각종 패턴이 그 표면에 조각된 철 롤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평활 롤로서는 예를 들어 페이퍼 롤, 코튼 롤, 고무 롤, 철 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체 본체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는 데에 있어서는, 흡수체 본체를 미리 가열 롤로 예비가열할 수 있다. 또 엠보스 롤 자체를 가열하고, 이 가열된 롤 사이에 흡수체 본체를 개재시켜 엠보스 가공할 수도 있다. 가열시에는, 엠보스 롤의 온도를 흡수체 본체의 형성재료의 융점보다도 10℃ 이상 낮은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엠보스 가공시의 선압은, 엠보스 가공하는 흡수체 본체의 두께나, 가열온도, 주행속도에 따라 다르기도 하나, 일반적인 범위로서 약 5×9.8∼50×9.8N/㎝ (5∼50kgf/㎝) 의 범위 내, 그 중에서도 약 7×9.8∼30×9.8N/㎝ (7∼30kgf/㎝) 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흡수체 본체에 저강성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당해 흡수체 본체에 굴곡수단 (442a, 442b) 을 형성하는 경우, 이 저강성영역의 형성방법은, 흡수체 본체의 일부의 강성을 다른 부위의 강성보다도 낮게 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i) 흡수체 (440) 의 일부를 도려내고, (ii) 흡수체 (440)의 일부를 다른 부위보다도 저평량(低坪量)으로 하고, (iii) 흡수체 (440) 의 일부를 다른 부위보다도 얇게 하고, (iv) 흡수체 (440) 의 일부를 다른 부위보다도 유연한 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저강성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i)∼(iv) 의 방법의 2 이상을 조합함으로써도 저강성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방법 중에서도, 상기 (i) 또는 (ii) 의 방법에 의해 저강성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 또는 (ii) 방법에 의해 저강성영역을 형성하는 경우, 저강성영역의 평량과, 당해 저강성영역보다도 폭방향 내측에 인접하는 부위에서의 흡수체 (440) 의 평량의 비, 및 저강성영역의 평량과, 당해 저강성영역보다도 폭방향 외측에 인접하는 부위에서의 흡수체 (440) 의 평량의 비는, 모두 0∼0.5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저강성영역과, 당해 저강성영역보다도 폭방향 내측 또는 폭방향 외측에 인접하는 부위에서의 흡수체 (440) 와의 평량차는, 적어도 100g/㎡ 이상, 특히 200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강성영역은,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00) 를 긴장상태로 지지하고, 또한 1개의 레그 개구부 (407a, 407b) 에 대응하는 제1 레그부 탄성부재 (488a, 488b) 각각 중에서 폭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레그부 탄성부재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굴곡수단 (저강성영역 ; 442a, 442b) 내에 있는 부분의 길이 (L6) 의 합계가, 흡수체 본체 (480) 에 대한 길이방향의 길이의 10∼50%, 그 중에서도 20∼40% 범위 내로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길이 (L6) 의 합계가, 기저귀에 대한 길이방향의 길이 (L4) 의 5∼40%, 그중에서도 15∼30% 범위 내로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4 에서는, 저강성영역 (442A, 442B) 의 범위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당해 저강성영역 (442A, 442B) 에 스머징 표시가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구성을 갖는 본 변형예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00) 는, 상기 서술한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와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또한 레그 플랩 탄성부재 (460a, 460b), 레그 플랩 사이드 탄성부재 (462a, 462b) 및 굴곡수단 (442a, 442b) 을 갖고 있으므로,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에 비해 장착성 및 사타구니 하부 (402) 로부터의 샘방지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굴곡수단 (442a, 442b) 은, 상기 서술한 레그 플랩 탄성부재 (460a, 460b) 또는 레그 플랩 사이드 탄성부재 (462a, 462b) 를 형성할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흡수체 본체에 형성할 수 있다.
또 레그 플랩 탄성부재 (460a, 460b), 레그 플랩 사이드 탄성부재 (462a, 462b) 및 굴곡수단 (442a, 442b) 은, 상기 서술한 제3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00) 에서와 같이, 일방의 레그 개구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1 레그부 탄성부재와 타방의 레그 개구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1 레그부 탄성부재를 사타구니 하부에서 서로 연결시키고, 일방의 레그 개구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2 레그부 탄성부재와 타방의 레그 개구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2 레그부 탄성부재도 사타구니 하부에서 서로 연결시킨 경우에도, 본 변형예의 흡수체 본체 (480) 와 동일하게 흡수체 본체에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술한 총신장응력Ⅲ 은상기 서술한 신장응력의 측정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6 에 나타낸 흡수체 본체 (480A) 와 같이 상기 서술한 제2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00) 에서의 흡수체 본체 (180) 와 동일하게 사타구니 하부의 일부에서 그 폭을 외층 시트 (410) 의 폭보다도 넓게 하는 경우에도, 상기 서술한 레그 플랩 탄성부재 (460a, 460b), 레그 플랩 사이드 탄성부재 (462a, 462b) 및 굴곡수단 (442a,442b) 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6 에 나타낸 구성부재 중에서 도 6 에 나타낸 구성부재와 공통되는 것에는, 도 6 에서 사용한 참조부호의 수치 부분에 300 을 첨가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변형예>
도 17 은 제2 변형예에 의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600) 를 전개하여 긴장상태로 지지하고, 도 2 에 나타낸 Ⅲ-Ⅲ선에 상당하는 개소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변형예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600) 에서는, 사이드 흡수영역 (536a, 536b) 및 제1 입체 가드 (545a, 545b) 의 형성방법이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에서의 사이드 흡수영역 (36a, 36b) 및 제1 입체 가드 (45a, 45b) 의 형성방법과 다르다. 다른 구조는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와 동일하므로, 착용시의 상태 및 전개하여 긴장상태로 지지한 상태의 도시를 생략한다. 또 도 17 에 나타낸 구성부재 또는 영역 중에서 도 2 또는 도 3 에 나타낸 구성부재 또는 영역과 기능상 공통되는 것에는, 도 2 또는 도 3 에서 사용한 참조부호의 수치 부분에 500을 첨가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600) 에서의 사이드 흡수 영역 (536a, 536b) 은, 표면 시트 (530) 를 사이드 플랩 흡수체 (580a, 580b) 상에까지 연재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흡수영역 (536a, 536b) 각각의 폭방향 외측에는, 액 비투과성의 측가장자리부 시트 (535a, 535b) 가 배치되어 있다. 이하, 사이드 흡수영역 (536a, 536b) 각각의 폭방향 외측에서 측가장자리부 시트 (535a, 535b) 에 의해 덮여 있는 영역을 「사이드 영역」 이라고 한다. 이 사이드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흡수체 본체 (580) 의 측가장자리로부터 배설물이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 제1 입체 가드 (545a, 545b) 는, 액 비투과성의 시트 (544a, 544b) 의 폭방향의 일단을 표면 시트 (530) 위에 고정시키고, 자유단측의 가장자리부에 원하는 개수의 탄성부재 (543a, 543b) 를 신장상태에서 배치한 구조를 갖고 있다. 도 17 에는 탄성부재 (543a, 543b) 가 각각 2개씩 표시되어 있다.
상기 시트 (544a, 544b) 로서는 예를 들어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에 대한 설명 중에서 측가장자리부 시트 (35a, 35b) 의 재료로서 예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변형예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600) 는 상기 서술한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와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또한 도 17 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 흡수체 본체 (580) 는, 제1∼제4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200, 300, 400) 의 어느 것에나 적용할 수 있다.
<제3 변형예>
도 18 은 제3 변형예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의 흡수체 본체 (680) 를 긴장상태로 지지했을 때의 각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a, 660b) 와, 각 제1 레그부 탄성부재 (686a, 686b) 및 각 제2 레그부 탄성부재 (688a, 688b) 와의 상대적인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변형예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구조는, 각 제1 레그부 탄성부재 (686a) 및 각 제2 레그부 탄성부재 (688a) 의 수축에 연동하여 각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a) 가 수축되고, 각 제1 레그부 탄성부재 (686b) 및 제2 레그부 탄성부재 (688b) 의 수축에 연동하여 각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b) 가 수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예를 들어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시의 상태, 및 전개하여 긴장상태로 지지했을 때의 각각의 상태에 대한 도시를 생략한다.
레그부 탄성부재 (686a, 686b, 688a, 688b) 의 수축에 연동하여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a, 660b) 가 수축되도록 하기 위해, 각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a) 는 각 제1 레그부 탄성부재 (686a) 와 각 제2 레그부 탄성부재 (688a) 에 연결되어 있고, 각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a) 는 각 제1 레그부 탄성부재 (686b) 와 각 제2 레그부 탄성부재 (688b) 에 연결되어 있다. 도 18 에서는 레그 플랩 탄성부재와 레그부 탄성부재의 연결 개소를 흑색원으로 표시하고 있다.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a) 와 제1 레그부 탄성부재 (686a) 및 제2 레그부탄성부재 (688a) 는, 서로가 직접 접합되어 있어도 되고, 측가장자리부 시트 혹은 표면 시트를 통해 서로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b) 와 제1 레그부 탄성부재 (686a) 및 제2 레그부 탄성부재 (688b) 는, 서로 직접 접합되어 있어도 되고, 측가장자리부 시트, 이면 시트, 또는 접착재를 통해 서로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a, 660b) 를 설치하는 위치는, 레그부 탄성부재 (686a, 686b, 688a, 688b) 의 접합상태에 따라 적절히 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변형예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와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또 레그부 탄성부재 (686a, 686b, 688a, 688b) 의 수축에 연동하여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a, 660b) 가 수축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움직임에 추종하도록 하여 각 레그 플랩 흡수체가 착용자의 내퇴에 밀착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활동하고 있을 때에도 각 레그 플랩 흡수체를 착용자의 내퇴에 효과적이고 자연스럽게 밀착시킬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도 갖는다. 또한 착용시의 기저귀의 보형성이 향상되어 형상이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된다는 기술적 효과도 갖는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1∼제4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200, 300, 400) 의 어느 것에서나, 일방의 레그 개구부에 대응하는 각 제1 레그부 탄성부재 및 각 제2 레그부 탄성부재의 수축에 연동되어, 당해 레그 개구부에 대응하는 각 레그 플랩 탄성부재가 수축되고, 타방의 레그 개구부에 대응하는 각 제1 레그부 탄성부재 및 각 제2 레그부 탄성부재의 수축에 연동하여, 당해 레그 개구부에 대응하는 각 레그 플랩 탄성부재가 수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착용시에 각 레그 플랩 흡수체가 착용자의 내퇴로부터 가능한 한 이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 레그부 탄성부재 (686a, 686b) 또는 제1 레그부 탄성부재 (688a, 688b) 가 수축된 후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a, 660b) 가 수축될 때까지의 시차를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 레그부 탄성부재 (686a, 686b) 또는 제2 레그부 탄성부재 (688a, 688b) 의 수축에 연동하여,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a, 660b) 가 가능한 한 다른 방향으로, 크게 수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차를 적게 하기 위해서는,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a) 와 제1 레그부 탄성부재 (686a) 및 제2 레그부 탄성부재 (688a), 그리고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b) 와 제1 레그부 탄성부재 (686a) 및 제2 레그부 탄성부재 (688b) 를 도 1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기 (1) 또는 (2) 와 같이 하여 연결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 (1) 및 (2) 의 설명은,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a) 와, 이들에 대응하는 제1 레그부 탄성부재 (686a) 를 예로 들어 실행한다.
(1) 도 19(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a) 와 제1 레그부 탄성부재 (686a) 를 1개의 탄성재료로 일체로 성형한다.
(2) 도 19(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a) 와 제1 레그플랩 탄성부재 (686a) 를, 비탄성부재 (687) 를 통해 서로 접속한다. 도 19(B) 중의 흑색원은 2개의 부재의 접합 개소를 나타낸다.
또 제1 레그부 탄성부재 (686a, 686b) 또는 제2 레그부 탄성부재 (688a, 688b) 의 수축에 연동하여,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a, 660b) 를 가능한 한 다른 방향으로, 또한 크게 수축시키기 위해서는, 도 19(B) 에 나타낸 비탄성부재 (687) 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레그부 탄성부재 (686a, 686b) 와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a) 가 이루는 각, 및 레그부 탄성부재 (686a, 688b) 와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b) 가 이루는 각을, 각각 대략 15∼75°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9(B) 에 나타낸 비탄성부재 (687) 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당해 비탄성부재 (687) 와의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a, 660b) 가 이루는 각을, 대략 15∼75°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각」은 2개의 부재를 서로 교차 또는 접속함으로써 평면에서 보아 형성되는 2종류의 각 중에서 작은 각을 의미한다. 2개의 부재 중 적어도 일방이 만곡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 부재를 평면에서 보아 교점 또는 접속 개소에서의 당해 만곡되어 있는 부재의 접선을 사용하여 상기 각을 규정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각이 대략 15°미만이 되면, 레그부 탄성부재 (686a, 686b, 688a, 688b) 와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a, 660b) 가 대략 동일 방향으로 수축하게 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내퇴로의 레그 플랩 흡수체의 밀착성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또 상기 각이 대략 75°를 초과하면, 레그부 탄성부재 (686a, 688a) 와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a) 의 연동성, 또는 레그부 탄성부재 (686a, 688b) 와 레그 플랩 탄성부재 (660b) 와의 연동성이 저하되어, 착용자의 내퇴로의 레그 플랩 흡수체의 밀착성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상기 각은 대략 15∼45°범위 내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4 변형예>
도 20 은 제4 변형예에 의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800) 를 전개하여 긴장상태로 지지하고, 도 2 에 나타낸 Ⅲ-Ⅲ 선에 상당하는 개소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변형예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800) 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흡수영역 (736a, 736b) 의 외측에, 제2 입체 가드 (755a, 755b) 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제1 변형예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00) 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도 20 에 나타낸 구성부재 중에서 도 15 에 나타낸 구성부재와 공통되는 것에는 도 15 에서 사용한 참조부호의 수치 부분에 300 을 첨가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입체 가드 (755a, 755b) 의 각각은, 측가장자리부 시트 (735a) 에 의해 탄성부재 (753a, 753b) 를 끼우듯이 하여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800) 의 착용시에는, 대응하는 사이드 흡수영역 (736a, 736b) 의 외측에서 레그 플랩 흡수체 (780a, 780b) 상에 기립한다. 또한 도 20 에는, 제1 입체 가드 (745a, 745b) 및 제2 입체 가드 (755a, 755b) 가 각각 기립한 상태에서 표시되어 있으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800) 를 전개하여 긴장상태로 지지한 상태하에서는, 각 제1 입체 가드 (745a, 745b) 는 표면 시트 (730) 상에 쓰러져 있고, 각 제2 입체 가드 (755a, 755b) 는 대응하는 레그 플랩 흡수체 (780a, 780b) 상에 쓰러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800) 는, 제1 변형예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00) 와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2 입체 가드 (755a, 755b) 를 갖고 있으므로, 사타구니 하부로부터의 샘방지가 더욱 용이해진다는 기술적 효과도 갖는다.
제2 입체 가드 (755a, 755b) 에 의한 샘방지효과를 확실하게 얻기 위해서는, 당해 제2 입체 가드 (755a, 755b) 가 기립했을 때의 높이를 대략 3∼20㎜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3∼1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2 입체 가드 (755a, 755b) 의 기립시의 높이가 20㎜를 초과하면, 착용자의 내퇴에 대한 사이드 플랩 흡수체 (780a, 780b) 의 밀착성이 저하되거나, 기저귀의 착용시에 제2 입체 가드 (755a, 755b) 가 젖혀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한편 제1 입체 가드 (745a, 745b) 가 기립되었을 때의 높이는, 대략 20∼60㎜ 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25∼45㎜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높이를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에 제1 입체 가드 (745a, 745b) 를 확실하게 밀착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것은 각 제2 입체 가드를 형성하지 않고 각 제1 입체 가드만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제1 입체 가드와 제2 입체 가드의 양방을 형성하는 경우, 및 제1 입체 가드만을 형성하는 경우의 어느 경우에서나, 각 입체 가드 각각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원하는 샘방지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그 폭방향의 전장에 걸쳐, 표면 시트 또는 측가장자리부 시트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 제1 입체 가드및 각 제2 입체 가드의 길이는, 각 레그 플랩 흡수체에 대한 길이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이 샘방지효과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도 21 에 나타낸 흡수체 본체 (780A) 와 같이, 제2 입체 가드 (757a, 757b) 를, 레그 플랩 흡수체 (780a, 780b) 의 측면에서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레그 플랩 사이드 탄성부재 (762a, 762b) 를 제2 입체 가드 (757a, 757b) 용의 탄성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제2 입체 가드는, 측가장자리부 시트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 외에, 도 17 에 나타낸 제1 입체 가드 (545a, 545b) 와 같이, 전용 시트를 이용하여 측가장자리부 시트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제5 변형예>
도 22(A) 는, 제5 변형예의 일회용 기저귀 (900) 를 긴장상태로 지지하여, 착용시에 외표면이 되는 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22(B) 는 도 22(A) 에 나타낸 XXII-XXII 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 (900) 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시한 일회용 기저귀 (900) 는 전개형의 일회용 기저귀 (이하, 「전개형 일회용 기저귀 (900)」이라고 함) 인 점에서, 제1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0) 와 크게 다르다. 다른 구성은 제1 변형예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00) 와 동일하므로, 도 22(A) 또는 도 22(B) 에 나태낸 구성부재 또는 영역 중에서 도 14 또는 도 15 에 나타낸 구성부재 또는 영역과 기능상 공통되는 것에는 도 14 또는 도 15 에서 사용한 참조부호의 수치 부분에 400을 첨가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22(A) 또는 도 22(B) 중의 참조부호 820 은, 전개형 일회용 기저귀 (900) 의 착용시에 배측부 (801) 와 등측부 (803) 를 연결하기 위한 파스닝 테이프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822 는 전개형 일회용 기저귀 (900) 의 착용시에 각 파스닝 테이프 (820) 가 고정되는 시트를 나타낸다. 또 도 22(A) 에서는, 편의상, 각 탄성부재를 실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 전개형 일회용 기저귀 (900) 에서의 흡수체 본체 (880) 의 구성은, 제1 변형예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00) 에서의 흡수체 본체 (480) 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전개형 일회용 기저귀 (900) 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00) 와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량의 배설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량을 확보하기 쉽고, 사타구니 하부로부터의 샘방지성능을 향상시키기 쉬운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또는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예시이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어떠한 것이어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하여 긴장상태로 지지했을 때의 흡수체 본체의 형성, 및 전개형 일회용 기저귀를 긴장상태로 지지했을 때의 흡수체 본체의 형상은,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 혹은 각 변형예에서의 흡수체 본체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하는 것 외에, 길이방향의 중앙부가 오목한 모래시계형상이나 사다리꼴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 흡수체 본체를 구성하고 있는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에 의해 기저귀의 외형을 결정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외층 시트를 생략할 수 있다.
그 외, 각종 변경, 개량, 조합 등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Claims (13)

  1.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 비투과성의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배치된 액 지지성의 흡수체 본체를 구비하고, 적어도 착용시에는 착용자의 하지가 통과되는 좌우 1쌍의 레그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그 개구부 각각의 주위에 복수의 레그부 탄성부재가 신장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레그부 탄성부재는, 착용자의 배부에 맞닿는 배측부에서 상기 레그 개구부를 따라 원호를 그리듯이 하여 형성된 적어도 1개의 제1 레그부 탄성부재와, 상기 착용자의 등부 (背部) 에 맞닿는 등측부에서 상기 레그 개구부를 따라 원호를 그리듯이 하고, 또한 착용시에 착용자의 사타구니부에 맞닿는 사타구니 하부에서는 상기 제1 레그부 탄성부재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적어도 1개의 제2 레그부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타구니 하부에서의 상기 흡수체 본체의 최소폭이 250∼350㎜ 의 범위 내임과 동시에, 상기 사타구니 하부에서의 상기 흡수체 본체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부가 착용시에 외표면측으로 굴곡되어, 상기 폭방향 측가장자리부의 각각이 상기 착용자의 내퇴에 맞닿는 레그 플랩 흡수체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저귀의 외형을 결정하는 외층 시트를 추가로 구비하고, 이 외층 시트의 편면 상에 상기 흡수체 본체가 배치되고, 상기 사타구니 하부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흡수체 본체의 폭이 상기 외층 시트의 폭보다도 넓은 일회용 기저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레그 개구부 중의 일방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레그부 탄성부재와, 상기 1쌍의 레그 개구부 중의 타방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레그부 탄성부재가, 상기 사타구니 하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1쌍의 레그 개구부 중의 일방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레그부 탄성부재와, 상기 1쌍의 레그 개구부 중의 타방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레그부 탄성부재가, 상기 사타구니 하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그부 탄성부재와 상기 제2 레그부 탄성부재의 상기 사타구니 하부에서의 간격이, 상기 레그 플랩 흡수체에 대한 길이방향의 길이의 1%∼100% 범위 내인 일회용 기저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플랩 흡수체에 대한 길이방향의 길이가 기저귀에 대한 길이방향의 길이의 1/5∼2/3 의 범위 내인 일회용 기저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플랩 흡수체 각각의 외표면측에, 상기 레그 플랩 흡수체에 대한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의 레그 플랩 탄성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레그 플랩 탄성부재 각각의 신장응력이, 상기 제1 레그부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레그부 탄성부재 각각의 신장응력보다도 작은 일회용 기저귀.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타구니 하부에서의 상기 흡수체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부 각각에, 상기 측가장자리부를 따라 적어도 1개의 레그 플랩 사이드 탄성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레그 플랩 사이드 탄성부재 각각의 신장응력이, 상기 제1 레그부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레그부 탄성부재 각각의 신장응력보다도 작은 일회용 기저귀.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 본체의 폭방향 양측부 각각에, 액 비투과성의 제1 입체 가드와, 상기 제1 입체 가드보다도 폭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입체 가드를 넘은 배설물이 상기 사이드 플랩 흡수체 중에 침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액 투과성의 사이드 흡수영역과, 상기 사이드 흡수영역보다도 폭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흡수체 본체에 흡수된 배설물이 상기 흡수체 본체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 투과성의 사이드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9. 제 2 항에 있어서, 긴장상태로 지지했을 때에, 상기 레그 개구부의 최대폭 b에 대한 이 레그 개구부에 대한 길이방향의 길이 a 의 비 a/b 가 3.3 이상이고, 상기 사타구니 하부에서의 상기 외층 시트의 측가장자리에서 가장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점에서 상기 흡수체 본체의 측가장자리까지의 최단거리가 40㎜ 이하인 일회용 기저귀.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표면측에 대한 상기 흡수체 본체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부의 굴곡을 보조하는 굴곡수단을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그부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레그부 탄성부재가, 상기 굴곡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일회용 기저귀.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수단이 상기 흡수체 본체의 폭방향 측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흡수체 본체에 실시된 엠보스인 일회용 기저귀.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수단이, 상기 흡수체 본체의 폭방향 측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흡수체 본체에 형성된 상대적으로 강성이 낮은 저강성 영역인 일회용 기저귀.
KR1020030050336A 2002-07-23 2003-07-22 일회용 기저귀 KR100831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13751A JP2004049709A (ja) 2002-07-23 2002-07-23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02213763 2002-07-23
JPJP-P-2002-00213751 2002-07-23
JPJP-P-2002-00213734 2002-07-23
JP2002213734A JP2004049707A (ja) 2002-07-23 2002-07-23 使い捨ておむつ
JPJP-P-2002-00213763 2002-07-23
JPJP-P-2003-00166475 2003-06-11
JP2003166475A JP4025247B2 (ja) 2002-07-23 2003-06-11 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324A true KR20040010324A (ko) 2004-01-31
KR100831912B1 KR100831912B1 (ko) 2008-05-23

Family

ID=30003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336A KR100831912B1 (ko) 2002-07-23 2003-07-22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94227B2 (ko)
EP (1) EP1384459B1 (ko)
KR (1) KR100831912B1 (ko)
CN (1) CN1480115A (ko)
DE (1) DE60312780T2 (ko)
TW (1) TWI23175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1238B2 (en) 2010-11-10 2015-02-10 Livedo Corporation Absorbent product and disposable diap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218485A1 (en) 2000-11-29 2002-06-11 Daio Paper Corporation Disposable paper napk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aper napkin
KR100863777B1 (ko) * 2001-03-15 2008-10-16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JP4227031B2 (ja) * 2004-01-16 2009-02-18 ユニ・チャームペットケア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シート
AU2004320744B2 (en) 2004-06-22 2010-09-30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n elastic laminate
AU2004320745B2 (en) 2004-06-22 2010-09-02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n elastic laminate
DE102004032377A1 (de) * 2004-06-29 2006-01-26 Paul Hartmann Ag Wegwerfbarer absorbierender Hygieneartikel in Pantform
KR100705184B1 (ko) 2004-07-30 2007-04-06 가오가부시끼가이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CN101035494A (zh) 2004-10-04 2007-09-12 Sca卫生产品股份公司 包括弹性织物材料的吸收制品
JP2006141494A (ja) * 2004-11-17 2006-06-08 Koyo:Kk パンツ型おむつ
BRPI0419206B8 (pt) 2004-11-30 2021-06-22 Essity Hygiene & Health Ab artigo absorvente
AU2004325970A1 (en) 2004-12-23 2006-06-29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JP4845383B2 (ja) * 2005-01-19 2011-12-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ES2433279T3 (es) 2005-03-02 2013-12-10 Sca Hygiene Products Ab Artículo absorbente de tipo braga
PL2581070T3 (pl) * 2005-03-02 2014-11-28 Essity Hygiene & Health Ab Wyrób chłonny typu majtek
JP5269421B2 (ja) 2005-03-02 2013-08-21 エスセーア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弾性積層体を備える下着物品
TWI290043B (en) * 2005-03-04 2007-11-21 Uni Charm Corp Disposable wearing article
US7763004B2 (en) 2005-05-18 2010-07-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layered containment pockets
US7695463B2 (en) 2005-06-22 2010-04-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dual layer barrier cuff strips
US20070142805A1 (en) * 2005-12-15 2007-06-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garment with angled fasteners and method for same
BRPI0621569A2 (pt) 2006-04-05 2011-12-13 Sca Hygiene Prod Ab artigo absorvente com barreiras de vazamento
EP2826450B1 (en) * 2006-04-07 2019-05-2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nonwoven lateral zones
US20070287983A1 (en) 2006-06-07 2007-12-13 Richard Worthington Lodge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nchored core assembly
US8235963B2 (en) 2006-06-07 2012-08-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ystems
US20080039813A1 (en) * 2006-08-08 2008-02-14 Stephenie Ford Diaper Accessory
PL2088981T3 (pl) 2006-11-13 2014-11-28 Sca Hygiene Prod Ab Wyrób chłonny zawierający sprężysty laminat
WO2008060194A1 (en) 2006-11-13 2008-05-22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n elastic laminate material
BRPI0622118B1 (pt) 2006-11-13 2017-12-12 Sca Hygiene Products Ab Elastic laminate and absorbent article understanding the laminate.
DE102007002290A1 (de) * 2007-01-16 2008-07-17 Paul Hartmann Ag Wegwerfbarer Hygieneartikel in Pantform mit verbesserter Passform
WO2008127152A1 (en) 2007-04-11 2008-10-23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with leak barriers
ES2496149T3 (es) * 2007-05-21 2014-09-18 Sca Hygiene Products Ab Artículo absorbente con ajuste mejorado
US9060900B2 (en) 2007-09-07 2015-06-23 The Procto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ubsystems
US8945079B2 (en) 2007-09-07 2015-02-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ubsystems
US8790325B2 (en) 2007-09-07 2014-07-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ubsystems
US8597268B2 (en) 2007-09-07 2013-12-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ubsystems
US8858523B2 (en) 2007-09-07 2014-10-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ubsystems
US9056031B2 (en) 2007-09-07 2015-06-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ubsystems
US8668679B2 (en) 2007-09-07 2014-03-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ubsystems
DE102007056126A1 (de) 2007-11-21 2009-05-28 Paul Hartmann Aktiengesellschaft Inkontinenzartikel in Höschenform
JP5270143B2 (ja) * 2007-12-07 2013-08-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85665B2 (ja) * 2008-03-14 2013-04-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518009B2 (en) * 2008-03-31 2013-08-27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JP5328204B2 (ja) * 2008-03-31 2013-10-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着用物品
JP5185765B2 (ja) * 2008-10-14 2013-04-17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RU2477630C1 (ru) * 2009-05-12 2013-03-20 Ска Хайджин Продактс Аб Поглощающее изделие одн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меющее барьерный элемент, соединенный с боковой частью посредством соединительного элемента
JP5480018B2 (ja) * 2010-05-31 2014-04-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JP5848502B2 (ja) * 2010-11-10 2016-01-27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およ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812651B2 (ja) * 2011-03-31 2015-11-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814063B2 (ja) * 2011-09-30 2015-11-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TWI569788B (zh) * 2011-11-22 2017-02-11 優你 嬌美股份有限公司 用後即棄式紙尿布
JP5933973B2 (ja) * 2011-12-27 2016-06-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DE102012208394A1 (de) * 2012-05-18 2013-11-21 Paul Hartmann Ag Inkontinenzartikel in Höschenform
JP5608707B2 (ja) * 2012-06-11 2014-10-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977590B2 (ja) 2012-06-18 2016-08-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CN103908374A (zh) * 2012-12-31 2014-07-09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JP6124613B2 (ja) * 2013-02-06 2017-05-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おむつ
JP1547533S (ko) * 2015-02-27 2016-04-11
WO2017004303A1 (en) * 2015-06-30 2017-0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bulk, closely-fitting disposable absorbent pant for children
JP1557383S (ko) * 2015-07-10 2016-08-29
WO2017106153A2 (en) * 2015-12-15 2017-06-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lted structure with tackifier-free adhesive
WO2017106150A2 (en) * 2015-12-15 2017-06-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eg gasketing cuff with tackifier-free adhesive
JP1592702S (ko) 2017-04-18 2020-12-07
JP6374624B1 (ja) * 2018-01-29 2018-08-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D938019S1 (en) * 2019-03-27 2021-12-07 Timothy Camerl Surgical infant diaper
JP1650758S (ko) * 2019-04-25 2020-01-20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8595A (en) * 1973-04-26 1974-11-19 Kimberly Clark Co Prefolded diaper with improved leg fit
US6309487B1 (en) 1989-11-28 2001-10-30 Robert M. Herrin Disposable garment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US5382246A (en) 1990-09-18 1995-01-17 Koyo Disposable Goods Company Disposable diaper
SE508261C2 (sv) * 1993-12-13 1998-09-21 Moelnlycke Ab Blöja
US5540672A (en) * 1994-06-13 1996-07-30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dual asymmetric leg elastics
US5766411A (en) * 1995-08-28 1998-06-16 Paragon Trade Brands. Inc. Apparatus for producing a garment with barrier device
TW418677U (en) * 1997-04-21 2001-01-11 Kao Corp Disposable garments
US5957907A (en) * 1997-08-13 1999-09-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close to the body liner
DE69838982T2 (de) * 1998-05-29 2008-12-24 Toyo Eizai K.K., Kawanoe Wegwerfunterhose und verfahren zu ihre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US6752796B2 (en) * 1999-02-10 2004-06-22 First Quality Products, Inc. Disposable pant type absorbent article
US6478786B1 (en) * 2000-02-24 2002-11-12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Protective underwear
JP4004212B2 (ja) * 2000-07-19 2007-1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3734694B2 (ja) * 2000-09-01 2006-0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2002065734A (ja) * 2000-09-04 2002-03-05 Kao Corp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3810999B2 (ja) * 2000-11-24 2006-08-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TW595464U (en) * 2000-12-28 2004-06-21 Kao Corp Disposable diaper
KR100863777B1 (ko) * 2001-03-15 2008-10-16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JP3957048B2 (ja) * 2001-10-24 2007-08-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051208B2 (ja) * 2002-01-31 2008-0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4057307B2 (ja) * 2002-02-08 2008-03-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4225755B2 (ja) * 2002-08-23 2009-02-18 白十字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
US20040068246A1 (en) * 2002-10-02 2004-04-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garments with improved elastic filament placement control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JP2004216082A (ja) * 2003-01-10 2004-08-05 Uni Charm Corp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1238B2 (en) 2010-11-10 2015-02-10 Livedo Corporation Absorbent product and disposable diaper
KR101502958B1 (ko) * 2010-11-10 2015-03-16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흡수성 제품 및 일회용 기저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12780T2 (de) 2008-01-24
KR100831912B1 (ko) 2008-05-23
EP1384459B1 (en) 2007-03-28
US20040133181A1 (en) 2004-07-08
TWI231753B (en) 2005-05-01
TW200404524A (en) 2004-04-01
EP1384459A2 (en) 2004-01-28
US7094227B2 (en) 2006-08-22
EP1384459A3 (en) 2004-10-06
CN1480115A (zh) 2004-03-10
DE60312780D1 (de)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912B1 (ko) 일회용 기저귀
US11779495B2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breathable side flaps
US7857801B2 (en) Diaper having deployable chassis ears and stretch waistband
US7737324B2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deployable chassis ears
US10022279B2 (en) Disposable urine-absorption pad with bedsore-inhibition function
US20170156942A1 (en) Diaper having abdominal stretch panels
EP2133055B1 (en) Disposable diaper
JP5371816B2 (ja) 吸収性物品
JP4594053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US8257335B2 (en) Diaper having hip stretch panels
JP5009695B2 (ja) 吸収性物品
KR100798720B1 (ko) 일회용 팬츠형 착용 물품
JP5117249B2 (ja) インナー吸収性物品
KR20050058460A (ko)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JP2008307298A5 (ko)
JPH11318978A (ja) パンツ型使いすておむつ
JP5583996B2 (ja) 吸収性物品
EP3323397B1 (en) Crotch member for disposable undergarment, and disposable undergarment
JP6099130B2 (ja) パッド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149104B2 (ja) 吸収性物品
JP2005230520A (ja) 吸収性物品及びインナー吸収性物品
JP5460396B2 (ja) 吸収性物品
JP6128514B2 (ja) 吸収性物品
JP5687003B2 (ja) ウエストバンド
JP2020156684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