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184B1 -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184B1
KR100705184B1 KR1020050069060A KR20050069060A KR100705184B1 KR 100705184 B1 KR100705184 B1 KR 100705184B1 KR 1020050069060 A KR1020050069060 A KR 1020050069060A KR 20050069060 A KR20050069060 A KR 20050069060A KR 100705184 B1 KR100705184 B1 KR 100705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er
region
pressure
area
p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8882A (ko
Inventor
준 사사키
타에코 카나이
미치코 오츠카
Original Assignee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21967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0518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8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6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98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2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having multiple elastic str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2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having multiple elastic strands
    • A61F2013/49028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having multiple elastic strands with different tensile stress

Abstract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1)의 복측부(A; 復側部) 및 배측부(B; 背側部) 각각에 있어서의 웨이스트(waist) 개구부(5)와 레그 개구부(6)와의 사이에 기저귀 착용시의 압력이 1.1~2.5kPa로 이루어지고 있는 영역(71)이 존재하고 있다. 상기 영역(71)의 폭은 15~35mm이다. 기저귀(1)의 전개상태에 있어서 길이방향 중심선에서 복측부의 상기 영역의 중심위치까지의 거리가 180~220mm이고, 또한 길이방향 중심선에서 배측부의 상기 영역의 중심위치까지의 거리가 180~220mm이다. 기저귀 착용시의 웨이스트 개구부(5)의 압력이 0.3~1.5kPa로 되어 있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유아용 팬츠, 흘러내림 방지, 샘방지

Description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PANTS TYPE DISPOSABLE DIAPER}
도 1은 제1발명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기저귀를 조립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외포재의 전개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장골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착용자의 웨이스트부에 있어서의 흘러내림력의 산출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상전장골극고전후장의 측정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기저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b)은 도 7(a)에 나타내는 기저귀의 전개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제2발명의 기저귀의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전개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기저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전개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10(a)(b)은 본 발명의 기저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전개상태에서 의 평면도이다.
도 11(a)(b)은 본 발명의 기저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전개상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특히 유아용의 팬츠형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웨이스트 개구부와 레그 개구부와의 사이에 기저귀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탄성부재를 배치한 것이 알려지고 있다. 예를 들면 기저귀의 적어도 복부측이 코어의 전단연(front end edge)을 경계로 하는 상하 각 최대 20mm의 범위로 형성되는 제1몸통 주변영역과, 상기 제1몸통 주변영역과 레그 개구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몸통 주변영역을 가지고, 제1몸통 주변영역에 있어서의 탄성부재의 각각의 배열간격 치수를, 제2몸통 주변영역에 있어서의 탄성부재의 각각의 배열간격 치수보다도 작게 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가 제안되고 있다(일본국 공개특허 평9-84826호 공보 참조). 이 기저귀는 제1몸통 주변영역 및 제2몸통 주변영역에 있어서의 일정 면적당의 면압을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하면서 피부에 대한 밀착성에 관하고, 제1몸통 주변영역을 제2몸통 주변영역보다도 양호하게 함으로써 기저귀의 착용감을 손상시키지 않고 샘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탄성부재의 배설간격을 웨이스트 개구부에 향함에 따라 점차 좁아지게 끔 함으로써 착용자의 동부요골(胴部腰骨)의 상부에 강한 수축력이 작용하게끔 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도 알려지고 있다(일본국 공개실용신안 평6-421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이들의 기저귀는 웨이스트 개구부에 강한 조임압이 가해지므로, 기저귀를 착용시키기 어렵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착용중에 기저귀가 흘러내려 외관이 저하하고, 나아가 흘러내림으로 인해서 착용자가 활동하기 어려워지고, 소변 및 대변의 샘이 발생하는 등의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웨이스트 개구부와 한쌍의 레그 개구부를 가지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이하, 제1발명이라 말할 때는 이 발명을 의미한다). 기저귀의 복측(腹側)부 및 배측(背側)부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웨이스트 개구부와 상기 레그 개구부와의 사이에는 기저귀 착용시의 압력이 1.1~2.5kPa로 이루어지고 있는 영역이 존재하고, 또한 상기 영역의 폭이 15~35mm이다. 기저귀의 전개상태에 있어서 길이방향 중심선에서 복측부의 상기 영역의 중심위치까지의 거리는 180~220mm이고, 또한 길이방향 중심선에서 배측부의 상기 영역의 중심위치까지의 거리는 180~220mm이다. 기저귀 착용시의 상기 웨이스트 개구부의 압력은 0.3~1.5kPa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웨이스트 개구부와 한쌍의 레그 개구부를 가지는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에게 장착시키는 기저귀 장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기저귀 장착 후에 있어서의 착용자의 장골능(iliac crest)에서 상 전장골극(anterior superior iliac spine)에 걸쳐서의 부위의 장착 압력이 1.1~2.5kPa로 되게끔 당해 부위에 대응하는 기저귀의 부위를 소정수단에 의해서 조인다.
나아가 본 발명은 웨이스트 개구부와 한쌍의 레그 개구부를 가지는 다른 팬층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이하, 제2발명이라 말할 때는 이 발명을 의미한다). 전개상태의 기저귀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전체 길이는 440~530mm이고, 전개상태의 기저귀의 사이드실부의 길이는 90~140mm이다. 접합 상태의 기저귀에 있어서의 상기 웨이스트 개구부에서 상기 레그 개구부까지의 영역을 길이방향으로 4등분하는 가상 분할선을 긋고, 상기 웨이스트 개구부측에서 차례로 제1영역, 제2영역, 제3영역, 제4영역을 가상적으로 생각했을 때에 제2영역의 기저귀 착용시의 압력 평균값이 0.9~1.8kPa이면서 최대값은 2.5kPa이하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제1영역 및 제3영역은 기저귀 착용시의 압력이 제2영역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이라 함은 문맥에 따라서 제1발명 혹은 제2발명 또는 양방의 발명을 가리킨다. 도 1에는 제1발명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1실시형태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나타내는 기저귀를 조립하기 전의 상태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는 도 2에 있어서의 외포재의 전개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기저귀의 전개상태라 함은 기저귀의 사이드실부가 접합되기 전의 상태를 말하고, 접합상태라 함 은 사이드실부가 접합된 후의 상태를 말한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는 액체투과성의 표면시트(2), 발수성의 이면시트(3) 및 양시트(2, 3)사이에 개재 배치된 액체 보유성의 흡수성코어(4)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세로길이의 흡수체 본체(10)와 상기 흡수체 본체(10)의 이면시트(3)측에 배치된 외포재(11)를 구비하고 있다.
외포재(11)는 그 양측연이 길이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내방(內方)으로 죄여진 모래시계모양의 형상을 하고 있고, 기저귀의 윤곽을 형성하고 있다. 외포재(11)는 그 길이방향에 있어서 착용자의 복측에 배치되는 복측부(A)과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부(B)와 그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하부(C)로 구분된다. 복측부(A) 및 배측부(B)는 외포재(11)의 길이방향 전후단부에 상당하고, 가랑이 하부(C)는 외포재(11)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상당한다. 외포재(11)는 그 복측부(A)의 양측연(A1, A2)과 배측부(B)의 양측연(B1, B2)이 서로 접합되고, 기저귀(1)에는 웨이스트 개구부(5) 및 한쌍의 레그 개구부(6)가 형성된다. 이 접합에 의해서 기저귀(1)의 좌우양측연에는 한쌍의 사이드실부(S)가 형성된다. 이 접합에는 예를 들면, 히트실, 고주파실, 초음파실 등이 사용된다.
표면시트(2), 이면(裏面)시트(3) 및 흡수성코어(4)는 각각 사각형상이고, 일체화되어 세로길이의 흡수체 본체(10)를 형성하고 있다. 표면시트(2) 및 이면시트(3)로서는 종래로부터 이 종류의 기저귀에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코어(4)는 고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및 섬유재료로부터 구성되어 있고, 티슈페이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본체(10)의 길이방향의 좌우양측에는 액체 저항성 내지 발수성이면서 통기성의 소재로부터 구성된 양쪽 커프스(cuffs; 8, 8)가 형성되어 있다. 각 양쪽 커프스(8)는 흡수체 본체(10)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고정단부 및 자유단부를 가지고 있다. 고정단부는 표면시트(2)에 고정되어 있다. 나아가 고정단부 및 자유단부는 흡수체 본체(10)의 길이방향 양단부(도 3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단부)에 있어서 표면(2)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자유단부의 근방에는 측방 커프스 탄성부재(81)가 신장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1과 같이 조립된 기저귀(1)를 착용시킬 시에는 탄성부재(81)가 수축함으로써 측방 커프스(8)가 기립하고, 흡수체 본체(10)의 폭방향으로의 액체의 유출이 저지된다.
외포재(11)는 적어도 2장의 부직포, 즉 외층 부직포(12)와 상기 외층 부직포(12)의 내면측에 배치된 내층 부직포(13)를 가지고 있다. 외층 부직포(12)는 기저귀(1)의 외면을 이루고, 내층 부직포(13)는 외층 부직포(12)의 내면측에 핫멜트 점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기저귀의 외측에서의 액체의 스며듬 및 내측에서의 액체의 배어나감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내층 부직포(13) 및 외층 부직포(12)는 양쪽의 부직포가 발수성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포재(11)에 있어서의 전후 단부에는 전후 단부에 따라서 복수의 웨이스트부 탄성부재(51, 51)가 그 폭방향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각 웨이스트부 탄성부재(51, 51)는 외층 부직포(12)와 내층 부직포(13)에 의해서 신장상태에서 협지 고정되어 있다. 각 웨이스트부 탄성부재(51, 51)는 기저귀(1)의 복측부(A)의 양측연(A1, A2)과 배측부(B)의 양측연(B1, B2)을 서로 접합시켰을 때에 양탄성부재(51, 51)의 단부끼리가 겹치게끔 배치되어 있거나, 양측연의 접합부분까지 양탄성부재(51, 51)의 단부가 연속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1)가 웨이스트 개구부(5)의 부근에는 실질적으로 연속한 링모양의 웨이스트 개더(gather)가 형성된다.
외포재(11)는 흡수체 본체(10)의 전후 단연으로부터 외방(外方)으로 연장하고 있고, 연장한 부분이 흡수체 본체(10)측으로 되접어 꺾어져 있다. 되접어 꺾어진 외포재(11)는 흡수체(10)의 전후단부상(즉 흡수체 본체(10)의 전후단부에 있어서의 표면시트(2)상)을 피복하고 있다. 또한 이 구성을 대신해 외포재(11)에 있어서의 외층 부직포(12)만을 외층 부직포(12)와 내층 부직포(13)에 의해서 각 웨이스트부 탄성부재(51, 51)를 협지 고정하는 부위보다도 더 연장시키고, 연장한 외층 부직포(12)를 흡수체 본체(10)측으로 되접어 꺾게 할 수도 있다.
외포재(11)에 있어서의 좌우양측의 만곡(灣曲)부에는 레그부 탄성부재(61a, 61b)가 배치되어 있다. 각 레그부 탄성부재(61a, 61b)는 상기 만곡부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각 레그부 탄성부재(61a, 61b)는 외층 부직포(12)와 내층 부직포(1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소정의 접합수단에 의해서 양부직포(12, 13)에 신장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각 레그부 탄성부재(61a, 61b)는 그 일단끼리가 가랑이 하부(C)에서 겹쳐 있다. 한편, 타단은 복측부(A) 및 배측부(B)의 각측연의 위치에 있어서 종단하고 있다. 각 레그부 탄성부재(61a, 61b)는 기저귀(1)의 복측부(A)의 양측연(A1, A2)과 배측부(B)의 양측연(B1, B2)을 서로 접합시킨 때에 양탄성부재(61a, 61b)의 단부끼리가 겹치게끔 배치되어 있거나, 양 접합부분까지 양 탄성부재(61a, 61b)의 단부가 연속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1)의 레그 개구부(6, 6)의 부근에는 실질적으로 연속한 링모양의 레그 개더가 형성된다.
기저귀(1)에 있어서는 기저귀(1)의 복측부(A) 및 배측부(B) 각각에 있어서의 웨이스트 개구부(5)와 레그 개구부(6)와의 사이에 기저귀(1)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탄성부재가 다수 배치되어 있다. 탄성부재가 배치됨으로써 웨이스트 개구부(5)와 레그 개구부(6)의 사이에는 기저귀(1)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영역(71)과 제2영역(72)이 형성되어 있다. 제1영역(71)에는 제1탄성부재(71a)가 배치되어 있고, 제2영역(72)에는 제2탄성부재(72a)가 배치되어 있다. 제1영역(71)은 웨이스트 개구부(5)와 레그 개구부(6)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2영역(72)은 제1영역(71)과 레그 개구부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1탄성부재(71a) 및 제2탄성부재(72a)는 모두 외층 부직포(12)와 내층 부직포(13)에 의해서 신장상태에서 협지(挾持) 고정되어 있다. 제1탄성부재(71a)는 기저귀(1)의 복측부(A)의 양측연(A1, A2)과 배측부(B)의 양측연(B1, B2)를 서로 접합시켰을 때에 복측부(A)의 제1탄성부재(71a)와 배측부(B)의 제1탄성부재(71a)와의 단부끼리가 겹치게끔 배치되어 있거나, 양접합부분까지 각 탄성부재(71a, 71a)의 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제2탄성부재(72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이것에 의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1)의 복측부(A) 및 배측부(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의 제1영역(71) 및 제2영역(72)에는 개더가 각각 형성된다.
제1탄성부재(71a) 및 제2탄성부재(72a)는 모두 기저귀(1)의 좌우양측연(즉, 외포재(11)의 좌우양측연)과 흡수성코어(4)의 좌우양측연과의 사이에 걸쳐서 연재하고 있다. 그리고, 흡수성코어(4)가 존재하고 있는 부위에는 제1탄성부재(71a) 및 제2탄성부재(72a)는 모두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 결과, 제1영역(71) 및 제2영역(72)에 형성되는 개더는 기저귀(1)의 좌우양측연와 흡수성코어(4)의 좌우양측연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흡수성코어(4)가 존재하는 위치에는 개더가 실질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장착상태에 있어서도 흡수성코어(4)가 존재하고 있는 부위는 제1탄성부재(71a) 및 제2탄성부재(71b)의 수축에 의해 외포재(11)가 줄어드는 일이 없고, 기저귀(1)는 외관적으로도 또한 흡수성능적으로도 양호한 것이 된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의 각 탄성부재로서는 각각 천연고무, 폴리우레탄계 수지, 발포우레탄계 수지, 신축성 부직포 또는 핫멜트계 신축부재 등의 신축성 소재를 실모양(실고무), 띠모양(평고무), 네트모양(망모양) 또는 필름모양으로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렇게 해서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제1영역(71)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이 1.1~2.5kPa로 이루어지고 있다. 제1영역(71)은 기저귀(1)를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의 장골능에서 상전장골극에 걸쳐서의 부위(이하, 장골영역이라 함)에 당접하는 부위에 바람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장골능 및 상전장골극는 해부학의 용어이다. 장골능이라 함은 도 4에 있어서 9a로 표시되는 부위이고, 상전장골극라 함은 동일한 도면에 있어서 9b로 표시되는 부위이다. 종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중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특히 유아용의 팬츠형 일 회용 기저귀의 착용 중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웨이스트 개구부에 배설하는 탄성부재의 조임압을 높게 하고, 상기 웨이스트 개구부에 의해서 팬츠형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시키는 것이 유효한 것이라 생각되어 왔다(예를 들면, 앞서 서술한 공개실용신안 평6-421호 공보 참조).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검토 결과, 팬츠형 기저귀의 착용중의 흘러내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웨이스트 개구부의 조임압을 높게 하는 것보다는 착용자의 장골영역에 대응하는 기저귀 부위의 조임압을 종래보다도 높일 수 있음이 유효한 것임이 발견되었다. 이 이유는 착용자, 특히 유아는 그 신체적인 특징으로서 복부주위가 튀어나와 있기 때문에, 이 튀어나와 있는 복부주위에 당접하는 웨이스트 개구부의 조임압을 높게 하면, 그 조임압이 높기 때문에 웨이스트 개구부가 점차 조여지게 되고 복부주변이 좁아지는 부위까지 상기 웨이스트 개구부가 미끄러져 내려오기 때문이다.
도 5는 아기의 몸을 원추(円錐)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중, θ는 웨이스트부(점A)에 있어서의 접선(接線)에 대한 수직과, 몸의 중심으로 향하는 수평선을 이루는 각도를 나타내고, F는 탄성체의 조임력을 나타내고, P는 F에 기인하는 마찰력을 나타내고, f1은 F에 기인하는 흘러내림력을 나타내고, f2는 수직항력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f1=Fsinθ이고, 또한 P=υN=υf2=υFcosθ(υ는 마찰계수를 나타냄)이므로, 점(A)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향하는 흘러내림력(Z)은 다음 식에서 나타낸다.
Z=f1-P=Fsinθ-υFcosθ=F(sinθ-υcosθ)
이 식에서 웨이스트부가 흘러내림이 생기는 상태에 있는 경우, 조임력(F)이 클수록 흘러내림력이 커짐을 이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영역(71)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은 1.1~2.5kPa이다. 제1영역(71)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이 1.1kPa미만이면, 기저귀(1)의 제1영역(71)을 착용자의 장골영역에 고정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그 결과 기저귀(1)가 흘러내리게 되고, 착용상태에서의 기저귀(1)의 외관이 매우 저하하게 된다. 특히 기저귀(1)의 가랑이 하부(C)에서의 헐렁거림이 현저해지고, 또한 소변 및 대변의 샘의 원인이 된다. 한편 제1영역(71)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이 2.5kPa 초과하면, 착용자의 신체를 과도하게 조이는 외에 기저귀(1)의 장착조작이 곤란하게 된다. 기저귀(1)의 흘러내림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또한 착용상태에서의 기저귀(1)의 외관이나 기저귀(1)의 장착조작을 한층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제1영역(71)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은 1.1~2.0kPa인 것이 바람직하고, 1.2~1.8kPa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영역(71)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은 예를 들면, 제1탄성부재(71a)의 소재나 굵기, 신장율 혹은 배설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컨트롤할 수 있다.
제1영역(71)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은 둘레가 500mm의 원통에 기저귀(1)를 장착하고, 장착압측정장치((주)AMI·테크노 제품의 접촉압측정기(AMI 3037-2))에 의해서 측정된다. 구체적인 측정법은 이하와 같다.
[제1영역(71)의 압력의 측정방법]
θ=15mm의 에어백을 사용하고, 웨이스트 개구부의 선단부에 에어백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세트하고, 장착압(P1)을 측정한다. 에어백을 세트하는 기저귀의 폭방향의 위치는 기저귀의 좌우측연과 흡수성코어(4)의 좌우양측연과의 거의 중심으로 한다(도 3 참조). 이어서 기저귀(1)의 길이방향으로 5mm 에어백의 중심을 이동시켜 장착압(P2)을 측정한다. 마찬가지로 5mm 간격으로 측정을 행하고 P3, P4, P5, ..., Pn을 얻는다. P1 내지 Pn의 측정은 외포재(11)에 있어서의 웨이스트 개구부에서 레그 개구부까지의 좌우양측부끼리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범위에 걸쳐서 행한다. P1 내지 Pn은 복측부에 있어서 좌우 2점씩 합계 4점 측정을 행한다. 이들의 평균값을 복측부의 장착압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배측부에 있어서도 합계 4점 측정을 행하고, 평균값을 배측부의 장착압으로 한다. P1에서 Pn의 값에 있어서 1.1~2.5kPa에 연속적으로 해당하는 부위 사이의 거리를 제1영역(71)의 폭으로 한다. 예를 들면, P3에서 P6까지가 해당할 경우, 영역의 폭=(6-3)×5=15mm로 한다. 또한 그때의 제1영역(71)의 중심은 측정점 3과 측정점 6의 중점으로 한다.
원통의 둘레를 500mm으로 한 이유는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를 착용하는 주요한 대상자인 유아의 복부 주변의 길이의 평균이 대략 500mm인 것에 의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복부주변의 길이는 유아의 자세가 변화했을 때의 복부주변의 둘레의 변화를 고려하고, 직립 위치 및 앉은 위치에서 측정한 복부주변의 평균값이다.
착용자의 장골능에서 상전장골극에 걸쳐서의 부위에는 일정 폭이 있고, 상기 폭의 범위 내에서 기저귀(1)의 제1영역(71)을 상기 부위에 고정함으로써 기저귀(1)의 흘러내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제1영역(71)의 폭(즉, 기저귀(1)의 길이방향에 따른 제1영역(71)의 길이(W1))을 15~35mm로 하고 있다. 이 폭(W)이 20~35mm, 특히 25~30mm이면, 기저귀 (1)의 흘러내림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착용상태에서의 기저귀(1)의 외관이나 기저귀(1)의 장착조작(떼어냄의 용이성 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기저귀(1)를 착용한 상태에서 제1영역(71)이 착용자의 장골능에서 상전장골극에 걸쳐서의 부위에 당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저귀(1)의 치수와 착용자의 체격의 관계가 중요하다. 예를 들면, 팬츠형 기저귀의 주요한 착용 대상자인 유아를 생각했을 경우, 기저귀(1)의 전개상태에 있어서 복측부(A)의 제1영역(71)의 중심위치(기저귀(1)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위치)와 기저귀(1)의 길이방향 중심선(CL)과의 사이의 거리(K1)를 180~220mm으로 하고, 또한 기저귀(1)의 전개상태에 있어서 배측부(B)의 제1영역(71)의 중심위치(기저귀(1)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위치)와 기저귀(1)의 길이방향 중심선(CL)과의 사이의 거리(K2)를 180~220mm로 함으로써 제1영역(71)을 착용자의 장골영역에 골고루 잘 당접시킬 수 있다. 이 값은 팬츠 기저귀의 주요한 착용 대상자인 유아 약 350명의 신체계측을 실시해 결정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전장골극의 수평위치 높이에 있는 복측부 좌우중심점을 상전장골극고전(上前腸骨棘高前) 중심으로 하고, 배측부를 상전장골극고후(高後) 중심으로 하면, 상전장골극고전 중심에서 가랑이 하부를 경유해 상전장골극고후 중심까지의 길이를 상전골극고전후 길이로 하고, 이 상전장골극고전후 길이에 기저귀의 재료에 의한 두께 등을 고려한 필요 길이를 첨가해서 얻어진 수치를 2분한 것이다(후술하는 제2발명에 있어서도 동일). 당해 거리(K1)(K2)를 185~215mm, 특히 190~215mm로 함으로써 제1영역(71)을 착용자의 장골영역에 보다 골고루 잘 당접시킬 수 있다.
제1영역(71)은 복측부(A) 및 배측부(B)에 존재하지만, 복측부(A) 및 배측부(B)에 있어서의 장착 시의 압력은 완전히 동일할 필요는 없다. 즉, 복측부(A) 및 배측부(B)에 있어서의 제1영역(71)의 장착시의 압력이 1.1~2.5kPa인 것을 만족시키면, 탄성체의 소재, 굵기, 신장율, 배설간격은 복측부(A) 및 배측부(B)에 있어서 달라 있어도 좋다. 그러나 복측부(A) 및 배측부(B)의 제1영역(71)의 구성이 지나치게 다르면, 외포재(11)에 있어서의 길이방향 전후단부의 좌우양측부끼리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부위가 장착시에 있어서 전후 모두가 어긋나게 되고, 기저귀(1)의 외관에 해를 끼치게 된다. 그러므로 복측부(A) 및 배측부(B)에 있어서의 제1영역(71)의 장착시의 압력이 큰 쪽을 A, 작은 쪽을 B로 했을 때, (A-B)/A의 비가30%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제1발명 및 후술하는 제2발명)에 있어서, 기저귀(1)의 길이방향 중심선(CL)이라 함은 기저귀(1)의 복측부(A)의 양측부(A1, A2)와 배측부(B)의 양측부(B1, B2)가 실질적으로 어긋나지 않고 서로 접합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기저귀(1)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A1, B1의 중점을 통과하는 기저귀 폭방향에 따른 직선의 것을 말한다(도 3 참조). 이것과 다르게, 예를 들면 도 7(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측부(A)의 양측연(A1, A2)이 배측부(B)의 양측연(B1', B2')과 접합되어 있지 않고, 양측연(B1', B2')보다도 길이방향 내방의 위치인(B1, B2)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B1, B2에서 B1', B2'에 걸쳐서의 영역을 없는 것으로 가정한 다음,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기저귀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정한다.
또한 기저귀(1)의 전개상태에 있어서의 외포재(11)의 전체 길이(L)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지만, 기저귀 장착시 및 사용후의 "상쾌감" 및 "흘러내림 방지성"을 고려하면, 460~520m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시의 안정감"을 고려하면, 배꼽을 완전하게 덮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관점에서 490~580m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기저귀(1)에 있어서는 주로 제1영역(71)에 배치된 제1탄성부재(71a)에 의한 조임력에 의해서 기저귀(1)를 착용자의 신체에 고정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종래의 팬츠형 기저귀와 다르며, 웨이스트 개구부(5)에 배치된 탄성부재에 의한 조임력은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기저귀(1)를 착용자의 신체에 고정하기 위한 주요한 수단은 아니다. 반대로 웨이스트 개구부(5)의 조임력을 높여 버리면, 기저귀(1)의 흘러내림이 조장되는 것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서 확인되고 있다. 이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기저귀 착용시의 웨이스트 개구부(5)의 압력은 종래의 팬츠형 기저귀의 그것보다도 낮은 값인 0.3~1.5kPa로 되어 있다. 이 압력은 기저귀 착용시의 제1영역(71)의 압력의 평균값보다도 0.5~1.0kPa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저귀(1) 장착시의 웨이스트 개구부(5)의 압력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기저귀(1)의 장착시에 웨이스트 개구부(5)를 확개(擴開)하기 쉬워지고, 장착조작을 행하기 쉬워지는 이점도 있다. 또한 웨이스트 개구부(5)의 압력이 0.3kPa 미만이면, 장착하기 전의 웨이스트 개구부(5)의 자연장력이 커지게 되고, 의복으로 봤을 때의 볼품이 나쁜 등의 해가 되는 일이 있다.
기저귀 착용시의 웨이스트 개구부(5)의 압력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0.4~1.2kPa, 보다 바람직하게는 0.4~1.0kPa로 되어 있으면, 기저귀(1)의 흘러내림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웨이스트 개구부(5)의 압력은 앞서 서술한 제1영역(71)의 압력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측정할 수가 있다. 즉 기저귀(1)의 웨이스트 개구부(5)에 둘레 500mm의 원통을 삽입(장착)하고, 웨이스트 개구부의 선단부에서 기저귀 길이방향으로 15mm의 위치에 장착압측정장치의 에어백의 중심을 위치시켜 장착압을 측정한다. 측정은 원주방향으로 50mm 간격으로 10점을 행하고, 그 평균값을 가지고 웨이스트 개구부의 압력으로 한다. 도 7(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측의 웨이스트 개구부의 단연의 위치와, 배측의 웨이스트 개구부의 단연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는 복측과 배측이 겹쳐 있는 영역 중, 가장 단부측의 위치를 가지고 웨이스트 개구부로 한다. 웨이스트 개구부(5)의 압력은 예를 들면, 웨이스트부 탄성부재(51)의 소재, 굵기나 신장율 혹은 배설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컨트롤할 수가 있다. 또한 웨이스트 개구부(5)의 압력이 제1영역(71)의 압력의 범위에 들어갈 경우는 당해 위치는 제1영역(71)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기저귀(1)에 있어서는 레그 개구부에 따라서 탄성부재(61a, 61b)가 신장상태에서 배치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저귀 착용시의 레그개구부(6)의 압력이 1.0~2.4kPa, 특히 1.2~2.2kPa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귀 착용시의 레그 개구부(6)의 압력이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서 레그 개구부(6)의 개구단이 착용자의 서혜부(鼠蹊部)에 적정하게 피트하고, 착용자의 다리 주변으로부터 액체 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시에 있어서 배소변/배변에 기인해서 기저귀(1)의 가랑이 아래에 있어서의 중량이 증가해도 가랑이 아래에 있어서 흡수체가 착용자의 신체에서 이간(離間)하는 것이 방지되며, 착용중의 기저귀(1)의 외관의 저하 및 소변 및 대변의 샘이 방지된다. 그 결과, 착용상태의 기저귀(1)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레그 개구부의 장착압은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된다. 장착/에어백은 웨이스트 개구부의 측정과 동일하다. 기저귀(1)의 레그 개구부(6)에 둘레 300mm의 원통을 삽입(장착)하고, 탄성부재(61a, 61b)가 배치된 부위에서 원주방향으로 50mm 간격으로 6점 측정을 행한다. 탄성부재(61a, 61b)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는 상기 탄성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의 폭중심점으로 측정을 행한다. 왼쪽다리 및 오른쪽다리의 합계 12점의 평균값을 레그 개구부(6)의 장착압으로 한다. 레그부 탄성부재(61a, 61b)가 완전하게 혹은 부분적으로 없는 것에 관해서는 상당 부위에 있어서의 측방 커프스 탄성부재(81)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의 장착압을 가지고 레그 개구부의 장착압으로 한다. 원통의 둘레를 300mm로 한 이유는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를 착용하는 주요한 대상자인 유아의 서혜부(다리주변)의 길이의 평균이 약 300mm 것에 따른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기저귀 착용시의 제1영역(71), 웨이스트 개구부(5) 및 레그 개구부(6)이하의 영역, 예를 들면, 제1영역(71)과 레그 개구부(6)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영역(72)의 압력이 바람직하게는 0.2~0.8kPa,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6kPa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기저귀(1)를 착용자의 신체에 적절한 압력으로 밀착시킬 수 있고, 액체 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영역(72)은 기저귀(1)를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장골영역의 하측의 영역(하복부)에 당접한다. 제2영역(72)의 폭(W2)(즉, 기저귀(1)의 길이방향에 따른 제2영역(72)의 길이)은 40~70mm, 특히 45~6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관련해서 기저귀(1)에 있어서는 기저귀 착용시의 웨이스트 개구부(5), 제1영역(71) 및 제2영역(72)의 압력을 비교했을 때에 제1영역(71)의 압력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웨이스트 개구부(5)의 압력이 높고, 제2영역(72)의 압력이 가장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각 부위의 압력에 이와 같은 서열을 설치함으로써 착용중의 기저귀(1)의 흘러내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뿐만 아니라, 기저귀(1)의 착용자의 신체에 위화감 없이 밀착하고, 액체 샘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팬츠형 기저귀의 장착후에 있어서의 착용자의 장골영역의 장착압력이 1.1~2.5kPa이 되게끔 하면, 기저귀의 흘러내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상기 장착 압력을 이러한 범위 내로 하기 위한 구체적인 하나의 수단이 제1영역(71)에 배치된 제1탄성부재이다. 그러나 상기 수단으로서는 이러한 탄성부재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수단에 의해서 착용자의 장골영역의 장착압력을 상기 범위내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기저귀 장착 후에 착용자의 장골영역이 장착압력을 상기 범위 내가 되게끔 상기 장골영역에 대응하는 기저귀의 부위를 벨트 등으로 조여도 좋다. 즉, 본 발명은 지금껏 설명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발명에 부가해서 액체 투과성의 표면시트, 발수성의 이면시트 및 양시트 사이에 개재 배치된 액체 보유성의 흡수성코어 및 상기 이면시트측에 배치된 외포재를 구비하고, 상기 외포재에 있어서의 길이방향 전후 단부의 좌우양측부끼리가 서로 접합되어 웨이 스트 개구부와 한쌍의 레그 개구부를 가지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에게 장착시키는 기저귀 장착방법에 있어서 기저귀 장착 후에 있어서의 착용자의 장골능에서 상전장골극에 걸쳐서의 부위의 장착압력이 1.1~2.5kPa이 되게끔 당해 부위에 대응하는 기저귀 부위를 소정 수단에 의해서 조이는 기저귀 장착방법의 발명도 포함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2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2발명에 관해 특히 설명하지 않은 점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제1발명에 관한 설명이 적절하게 적용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도 1~도 7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상태의 기저귀(1)의 복측부(A) 및 배측부(B) 각각에 있어서, 웨이스트 개구부(5)에서 레그 개구부(6)까지의 영역을 기저귀(1)의 길이방향으로 4등분하는 가상 분할선을 긋고, 웨이스트 개구부측에서 차례로 제1영역(7A), 제2영역(7B), 제3영역(7C), 제4영역(7D)의 4개의 영역을 가상적으로 생각한다. 각 영역(7A~7D)은 기저귀(1)의 폭방향으로 연장 존재하고 있다. 이 4개의 영역 중, 제1영역(7A)에는 웨이스트부 탄성부재(51)가 주로 존재하고 있다. 또한 제4영역(7D)에는 레그부 탄성부재(61a, 61b)가 주로 존재하고 있다. 또한 제1영역(7A)과 제4영역(7D)과의 사이의 제2영역(7B) 및제3영역(7C)에는 기저귀(1)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탄성부재가 다수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탄성부재 중, 제2영역(7B)에 존재하는 것을 제1탄성부재(71a')라 부르고, 제3영역(7C)에 존재하는 것을 제2탄성부재(72a')라 부르도록 한다.
제1탄성부재(71a') 및 제2탄성부재(72a')는 모두 기저귀(1)의 좌우양측연(즉 외포재(11)의 좌우양측연)과 흡수성코어(4)의 좌우양측연과의 사이에 걸쳐서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흡수성코어(4)가 존재하고 있는 부위에는 제1탄성부재(71a') 및 제2탄성부재(72a')는 모두 실질적으로 존재하고 있지 않다. 그 결과, 제2영역(7B) 및 제3영역(7C)에 형성되는 개더는 기저귀(1)의 좌우양측연과 흡수성코어(4)의 좌우양측연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흡수성코어(4)가 존재하는 위치에는 개더가 실질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착용상태에 있어서도 흡수성코어(4)가 존재하고 있는 부위는 제1탄성부재(71a') 및 제2탄성부재(72a')의 수축에 의해 외포재(11)가 줄어들지 않고, 기저귀(1)는 외관적으로도 또한 흡수성능적으로도 양호한 것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1탄성부재(71a') 및 제2탄성부재(72a')가 기저귀(1)의 폭방향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전체 주변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렇게 해서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에 있어서는 제2영역(7B)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의 평균값이 0.9~1.8kPa이면서 최대값이 2.5kpa이하로 되어 있다. 제2영역(7B)은 기저귀(1)를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의 장골능에서 상전장골극에 걸쳐서의 부위(장골영역)에 당접하는 부위에 바람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 결과, 팬츠형 기저귀의 착용중의 흘러내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웨이스트 개구부의 조임압,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영역(7A)의 조임압을 높게 하기보다도 착용자의 장골영역에 대응하는 기저귀의 부위인 제2영역(7B)의 조임압을 종래보다도 높이는 것이 유효한 것임을 발견하였다. 이 이유는 앞 서 서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인 유아는 그 신체적인 특징으로 복부주변이 튀어나와 있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영역(7B)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의 평균값은 0.9~1.8kPa, 최대값이 2.5kPa이하이다. 제2영역(7B)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의 평균값이 0.9kPa미만이면, 기저귀(1)의 제2영역(7B)을 착용자의 장골영역에 고정하는 것이 곤란해지며, 그 결과 기저귀(1)가 흘러내리게 되고, 착용상태에서의 기저귀(1)의 외관이 매우 저하되고 만다. 특히 기저귀(1)의 가랑이 하부(C)에서의 헐렁거림이 현저해지며, 또한 소변 및 대변이 새는 원인이 된다. 한편, 제2영역(7B)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의 평균값이 1.8kPa초과하면, 착용자의 신체를 지나치게 죄게 되는 외에 기저귀(1)의 장착조작이 곤란하게 되고 만다. 또한 착용에 의해서 탄성부재의 흔적이 피부에 남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장착압이 극소적으로 높게 되어 있는 부위가 존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 관점에서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의 최대값은 2.5kPa이하인 것이 중요하다. 기저귀(1)의 흘러내림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또한 착용상태에서의 기저귀(1)의 외관이나 기저귀(1)의 장착조작을 한층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제2영역(7B)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의 평균값은 0.8~1.6kPa인 것이 바람직하고, 0.9~1.5kPa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착용에 의해서 탄성부재의 흔적이 피부에 남는 것을 한층 방지하는 관점에서 기저귀(1) 착용시의 압력의 최대값은 2.0kPa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8kPa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영역(7B)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의 평균값 및 최대값은 예를 들면, 제1탄성부재(71a')의 소재, 굵기나 신장율 혹은 배설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컨트롤할 수 있다.
제2영역(7B)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의 평균값 및 최대값은 둘레가 500mm의 원통에 기저귀(1)를 장착하고, 장착압측정장치((주)AMI·테크노 제품의 접촉압측정기(AMI 3037-2))에 의해서 측정된다. 구체적으로 측정법은 이하와 같다.
[제2영역(7B)의 압력의 측정방법]
φ=15mm의 에어백을 사용하고, 제2영역과 제1영역의 경계선상에 에어백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세트하고, 장착압(P1)을 측정한다. 에어백을 세트하는 기저귀 폭방향의 위치는 기저귀의 좌우양측연와 흡수성코어(4)의 좌우양측연과의 거의 중심으로 한다(도 8 참조). 이어서 기저귀 길이방향으로 5mm 에어백의 중심을 이동시켜 장착압(P2)을 측정한다. 마찬가지로 5mm간격으로 측정을 행하고, P3, P4, P5,..., Pn을 얻는다. P1 내지 Pn의 측정은 제2영역의 범위 내에서 행한다. P1 내지 Pn은 복측부 및 배측부에 있어서 각각 좌우 2점씩, 합계 4점 측정하고, 이들의 평균값에서 구한다. 얻어진 P1 내지 Pn의 평균값에서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의 평균값을 얻고, P1 내지 Pn의 최대값에서 기저귀(1) 착용시의 압력의 최대값을 얻는다.
착용자의 장골능에서 상전장골극에 걸쳐서의 부위에는 일정의 폭이 있고, 당해 폭의 범위 내에서 기저귀(1)의 제2영역(7B)을 당해 부위에 고정함으로써 기저귀(1)의 흘러내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사이드실부(S)의 길이를 90~140mm이루고 있다. 이 폭이 95~135mm, 특히 95~130mm이면, 기저귀(1)의 흘러내림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착용상태에서의 기저귀(1)의 외관이나 기저귀(1)의 장착조작(떼어냄의 용이함 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기저귀(1)에 있어서는 사이드실부(S)의 길이에 부가해서 기저귀(1)의 전개상태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전체 길이(L)가 440~530mm로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영역이 착용자의 장골능에서 상전장골극에 걸쳐서의 부위에 당접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한에서는 그것보다 윗 부분(제1영역)은 기저귀의 흘러내림에 대해서 효과가 없고, 반대로 제1영역의 조임압이 강하면 상기 장골부근에까지 제1영역부가 내려와 버리는 지장이 생긴다. 제1영역의 길이가 필요이상으로 길어지면, 어긋남이 생길 우려를 가진 부분이 길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기 않다. 따라서 흘러내림 방지의 관점에서 또는 기저귀 장착 시의 "상쾌감"을 높이는 관점에서 제1영역의 기저귀 길이방향 길이는 극력으로 되도록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의복으로서 기저귀를 생각했을 경우, 제1영역에는 어느 정도의 길이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이 각종의 검토를 행한 결과, 기저귀(1)의 전개상태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전체길이(L)를 440~530mm로 함으로써 기저귀 착용시의 의복으로서의 "안심감" 및 "상쾌감"을 해치지 않고, 제2영역을 장골능에서 상전장골극에 걸쳐서의 부위에 당접시킬 수 있고, "흘러내림 방지성"도 겸비한 기저귀를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착용시에 있어서의 "안심감", "상쾌감" 및 "흘러내림 방지성"을 한층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저귀(1)의 전개상태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전체 길이(L)를 450~52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60~515mm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기저귀(1)를 착용한 상태에서 제2영역(7B)이 착용자의 장골능에서 상전장골극에 걸쳐서의 부위에 당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저귀(1)의 치수와 착용자의 체격의 관계가 중요하다. 예를 들면, 팬츠형 기저귀의 주요한 착용 대상자인 유아를 생각했을 경우, 기저귀(1)의 전개상태에 있어서 복측부(A)의 제2영역(7B)의 중심위치(기저귀(1)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위치)와 기저귀(1)의 길이방향 중심선(CL)과의 사이의 거리(K1')를 바람직하게는 180~220mm로 하고, 또한 기저귀(1)의 전개상태에 있어서 배측부(B)의 제2영역(71)의 중심위치(기저귀(1)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위치)와 기저귀(1)의 길이방향 중심선(CL)의 사이의 거리(K2')를 바람직하게는 180~220mm로 함으로써 제2영역(7B)을 착용자의 장골영역으로 골고루 잘 당접시킬 수 있다. 당해 거리(K1')(K2')를 185~215mm, 특히 190~215mm로 함으로써 제2영역(7B)을 착용자의 장골영역에 한층 양호하게 당접시킬 수 있다.
제2영역은 복측부(A) 및 배측부(B)에 존재하지만, 복측부(A) 및 배측부(B)에 있어서의 장착시의 압력은 완전히 동일할 필요는 없다. 즉 복측부(A) 및 배측부(B)에 있어서의 제2영역의 장착시의 압력의 평균값이 0.9~1.8kPa이며, 복측부(A) 및 배측부(B)에 있어서의 장착시의 압력의 최대값이 2.5kPa이하인 것을 만족시킨다면 탄성체의 소재, 굵기, 신장율, 배설간격은 복측부(A) 및 배측부(B)에 있어서 달라있어도 좋다. 그러나 복측부(A) 및 배측부(B)의 제2영역의 구성이 지나치게 다르면, 외포재(11)에 있어서의 길이방향 전후단부의 좌우양측부끼리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부위가 장착시에 있어서 전후 어느 한쪽으로 어긋나게 되고, 기저귀(1)의 외관에 지장이 생길 수 있다. 그래서 복측부(A) 및 배측부(B)에 있어서의 제2영역의 장착시의 압력의 평균값이 큰 쪽을 A, 작은 쪽을 B로 했을 때, (A-B)/A의 비가 30%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기저귀(1)에 있어서는 주로 제2영역(7B)에 배치된 제1탄성부재(71a')에 의한 조임력에 의해서 기저귀(1)를 착용자의 신체에 고정하고 있다. 주로 제1영역(7A)에 배치된 웨이스트부 탄성부재(51)에 의한 조임력은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기저귀(1)를 착용자의 신체에 고정하기 위한 주요한 수단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기저귀 착용시의 제1영역(7A)의 압력의 평균값은 종래의 팬츠형 기저귀의 그것보다도 낮은 값인 0.3~1.2kPa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 압력은 기저귀 착용시의 제2영역(7B)의 압력보다는 낮게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기저귀 착용시의 제1영역(7A)의 압력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기저귀(1)의 착용시에 웨이스트 개구부(5)를 확개하기 쉬워지고, 장착조작을 행하기 쉬워지는 이점도 있다. 0.3kPa이하이면 장착하기 전의 웨이스트 개구부(5)의 자연장력이 커지게 되고, 의복으로서 봤을 때의 불품이 나쁜 등의 지장이 생기는 일이 있다.
기저귀 착용시의 제1영역(7A)의 압력 평균값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0.4~1.2kPa,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1kPa로 이루어져 있으면, 기저귀(1)의 흘러내림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영역(7A)의 압력의 평균값은 앞서 서술한 제2영역(7B)의 압력의 평균값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 즉 기저귀(1)에 둘레 500mm의 원통을 삽입(장착)하고, 제1영역(7A)에 장착압측정장치의 에어백(φ=15mm)의 중심을 위치시켜 장착압(P1)을 측정한다. 기저귀 폭방향의 위치는 기저귀의 좌우양측연과 흡수성코어의 좌우양측연과의 거의 중심으로 한다. 이어서 기저귀 길이방향으로 5mm 에어백의 중심을 이동시켜 장착압(P2)을 측정한다. 마찬가지로 5mm간격으로 측정을 행하고, P3, P4, P5,...Pn을 얻는다. P1 내지 Pn의 측정은 제1영역(7A)의 범위 내에서 행한다. P1 내지 Pn은 복측부 및 배측부에 있어서 각각 좌우 2점씩, 합계 4점 측정하고, 이들의 평균값에서 구한다. 얻어진 P1 내지 Pn의 평균값에서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의 평균값을 얻는다. 제1영역(7A)의 압력의 평균값은 예를 들면, 웨이스트부 탄성부재(51)의 소재, 굵기나 신장율 혹은 배설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컨트롤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기저귀 착용시의 제3영역(7C)의 압력의 평균값이 바람직하게는 0.2~1.0kPa, 더욱 바람직하게는 0.3~0.8kPa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기저귀(1)를 착용자의 신체에 적당한 압력으로 밀착시킬 수 있고, 액체가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압력은 기저귀 착용시의 제2영역(7B)의 압력보다도 낮게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3영역(7C)은 기저귀(1)를 착용했을 경우에 착용자의 장골영역의 하측의 영역(하복부)에 당접한다. 이 압력은 제1영역(7A) 및 제2영역(7B)에 있어서의 기저귀 장착시의 압력의 평균값을 구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즉 둘레가 500mm의 원통에 기저귀(1)를 장착하고, φ=15mm의 에어백을 사용해 제3영역과 제2영역의 경계선상에 에어백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세트하고 장착압(Pl)을 측정한다. 에어백을 세트하는 기저귀 폭방향의 위치는 기저귀의 좌우양측연과 흡수성코어(4)의 좌우양측연의 거의 중심으로 한다. 이어서 기저귀 길이방향으로 5mm 에어백의 중심을 이동시키는 장착압(P2) 을 측정한다. 마찬가지로 5mm 간격으로 측정을 행하고, P3, P4, P5, ..., Pn을 얻는다. P1 내지 Pn의 측정은 제2영역의 범위 내에서 행한다. P1 내지 Pn은 복측부 및 배측부에 있어서 각각 좌우 2점씩 합계 4점 측정하고 이들의 평균값에서 구한다. 얻어진 P1 내지 Pn의 평균값으로부터 기저귀(1)의 착용시의 압력의 평균값을 얻는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제1영역(7A) 및 제3영역(7C)은 기저귀 착용시의 압력이 제2영역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이들 3자의 대소관계는 다음과 같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즉, 제1영역(7A) 내지 제3영역(7C)에 있어서의 기저귀 착용시의 압력을 비교했을 때에 제2영역(7B)의 압력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제1영역(7A)의 압력이 높고, 제3영역(7C)의 압력이 가장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각 부위의 압력에 이와 같은 서열을 설치함으로써 착용 중의 기저귀(1)의 흘러내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것뿐만 아니라, 기저귀(1)가 착용자의 신체에 위화감 없이 밀착하고, 액체 샘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의 기저귀 착용시의 레그 개구부(6)의 압력은 제1발명의 경우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 이유는 제1발명에 관해서 설명한 이유와 동일하다.
이상, 본 발명(제1발명 및 제2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제1탄성부재(71a(71a')) 또는 제2탄성부재(72a(72a'))가 기저귀(1)의 좌우측연과 흡수성코어(4)의 좌우양측연의 사이에만 배치되어 있지만, 이 구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흡수성코어(4)의 좌우양측연만 각 탄성부재(71a(71a')) 또는 71a(72a'))의 일부를 겹치게 할 수 있고, 기저귀의 폭방향 전체길이에 걸쳐서 배치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흡수성코어(4)와 겹치는 부분의 외포재(11)에는 제1 또는 제2탄성부재에 의해 수축시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그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흡수성코어(4)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위치하는 외포재(11)를 점착제에 의해 흡수성코어(4)에 부착시킴으로써 코어(4)의 강성을 이용해서 탄성부재의 수축을 억제하고, 코어(4)가 배치된 부분에 있어서의 외포재(11)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층 및 내층 부직포(12, 13)에 협지 고정되어 있는 제1탄성부재(71a(71a')) 또는 제2탄성부재(72a(72a'))를 흡수성코어(4)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만은 부직포(12, 13)에 거의 고정시키지 않는 것에 의해서도 코어(4)가 배치된 부분에 있어서의 외포재(11)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제1발명은 기저귀의 복측부 및 배측부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웨이스트 개구부와 상기 레그 개구부와의 사이에 기저귀 착용시의 압력이 1.1~2.5kPa로 되어 있는 영역이 존재하면서 상기 영역의 폭이 15~35mm이며, 기저귀의 전개상태에 있어서 길이방향 중심선(CL)에서 복측부의 상기 영역의 중심위치까지의 거리가 180~220mm이고, 또한 길이방향 중심선(CL)에서 배측부의 상기 영역의 중심위치까지의 거리가 180~220mm이고, 기저귀 착용시의 상기 웨이스트 개구부의 압력이 0.3~1.5kPa로 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이라면 어떠한 형태의 것이라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스트 개구부(51)와 제1영역(71) 의 사이에 제3영역(73)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탄성부재(71a')가 배치한 쪽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0(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측부(A)에 있어서 복수의 제1탄성부재(71a(71a'))를 기저귀의 폭방향 전역에 걸쳐서 배치하고, 나아가 제1탄성부재(71a(71a'))의 중앙부분을 기저귀의 가랑이 하부(C)에 향해서 볼록(凸)모양으로 만곡시켜도 좋다. 이와 같은 제1탄성부재(71a(71a'))의 만곡형상에 의해서 기저귀(1)의 착용시에 제1탄성부재(71a')의 압압력(suppress strength)이 안정해서 착용자의 복부주변에 작용하게 된다. 특히 복부주변이 튀어나와 있는 유아의 체형에 기저귀가 한층 더 쉽게 피트하게 된다. 그 결과, 기저귀의 상하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나아가 도 11(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측부(A)에 있어서 복수의 제1탄성부재(71a)를 기저귀의 폭방향 전역에 걸쳐서 배치하고 나아가 기저귀의 가랑이 하부(C)측에 위치하는 수십개의 제1탄성부재(71a)를 가랑이 하부(C)에 향해 볼록모양으로 만곡시켜도 좋다. 이 경우, 가랑이 하부(C)에 가까운 제1탄성부재(71a)일수록 그 만곡의 정도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탄성부재(71a)의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서 복부주변의 넓은 범위를 제1탄성부재(71a)로 덮을 수 있다. 그 결과, 좌우방향의 수축에 부가해서 상하방향의 수축의 힘이 발생하므로 기저귀의 상하방향의 위치 어긋남의 방지와 기저귀의 폭방향 중앙부를 윗쪽으로 끌어올리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측부(A)의 양측연(A1, A2)과 배측부(B) 의 양측연(B1, B2)을 서로 접합해 사이드실부를 형성하였지만, 이것을 대신해 훅, 버튼, 면패스너 등의 각종 계합부재로 미리 계합시키고, 팬츠형의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복측부(A)의 양측연(A1, A2)과 배측연(B)의 양측연(B1, B2)과의 접합 또는 계합 위치는 신체의 정측면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신체의 조금 앞쪽 또는 뒤쪽의 위치여도 좋다.
나아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포재(11)를 외층 및 내층 부직포(12, 13)로 구성하였지만, 외포재의 재료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부직포와 발수성시트의 적층시트로 하여도 좋다.
나아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저귀의 윤곽을 형성하는 외포재(11)와 그 위에 재치(載置)되는 흡수체 본체(10)로부터 기저귀(1)가 구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을 대신해 표면시트 및 이면시트에 의해서 기저귀의 윤곽을 형성시켜 양시트사이에 흡수성코어를 개재 배치하여도 된다. 또한 기저귀의 복측부 및 배측부에 있어서의 흡수성코어의 좌우양측부에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부위를 탄성패널재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외포재(11)에 있어서는 내층 부직포(13) 및 외층 부직포(12)의 어느 한쪽만을 발수성 부직포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측방 커프스(8)에서 충분한 샘방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는 내층 부직포(13) 및 외층 부직포(12)의 양쪽에 특수성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기저귀의 착용중에 착용자의 동작 등에 기인하는 기저귀의 흘러내림이 일어나기 어렵다. 특히 기 저귀의 가랑이 하부의 헐렁거림이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착용상태의 기저귀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기저귀의 흘러내림에 기인해서 착용자의 동작을 방해받을 일도 않는다. 또한 기저귀에 배치되어 있는 탄성부재가 착용자의 신체를 지나치게 조이는 것이 방지되고, 착용감이 양호하게 된다. 나아가 기저귀의 흘러내림이 억제됨으로써 착용 중에 있어서의 소변이나 대변의 유출 발생이 억제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및 2(제1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4]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팬츠형 기저귀를 제작하였다. 흡수체 본체(10)에 있어서의 표면시트(2)는 평량 25g/m2의 신규성 통기성 부직포로부터 구성되어 있었다. 이면시트(3)는 평량 20g/m2의 폴리에틸렌 시트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포재(11)에 있어서의 외층 부직포(11)는 평량 25g/m2의 발수성 통기성 부직포로부터 구성되어 있고, 내층 부직포는 평량 18g/m2의 발수성 스판본드 부직포로부터 구성되어 있었다. 각 탄성부재에 의해서 생기는 압력은 탄성부재의 종류 및 신장율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조정하였다. 얻어진 기저귀에 있어서의 각 값을 표 1에 나타낸다.
얻어진 기저귀를 1~2살의 유아 3명에게 장착시키고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1)장착시의 조작성(기저귀의 떼어냄의 용이성)
○: 떼어내기 쉽다.
△: 약간 떼어내기 쉽다.
×: 떼어내기 힘들다.
(2)장착 60분후의 제1영역의 위치 어긋남
○: 위치 어긋남 없음.
△: 약간 위치 어긋남 있음.
×: 위치 어긋남 있음
(3)장착 60분후의 웨이스트 개구부의 위치 어긋남
○: 위치 어긋남 없음.
△: 약간 위치 어긋남 있음.
×: 위치 어긋남 있음.
(4)장착 60분후의 제1영역에 대응하는 신체부위에 있어서의 고무 흔적
○: 고무 흔적 없음.
△: 약간 고무 흔적 있음.
×: 고무 흔적.
(5)장착시의 사이드실부의 전후로의 위치 어긋남
○: 위치 어긋남 없음.
△: 약간 위치 어긋남 있음.
×: 위치 어긋남 있음.
나아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기저귀에 대해서 본 발명의 주요한 효과인 " 장착 60분후의 제1영역에 대응하는 신체부위에 있어서의 고무 흔적의 유무" 및 "장착 60분후의 웨이스트 개구부의 위치 어긋남의 유무"를 상세하게 평가하였다. 이들의 기저귀를 11개월~37개월 된 유아에게 각 25장씩 장착시켜 "고무 흔적이 남기 어렵다", "위치 어긋남이 일어나기 어렵다"에 대해서 지지할지 어떨지를 어머니들에게 물어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5041634647-pat00001
표 1에 나타내는 결과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각 실시예의 기저귀는 떼어내기 쉬운 것이며, 게다가 기저귀의 흘러내림이 일어나기 힘든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의 기저귀는 실시예 1의 기저귀에 비교해서 복측부 및 배측부에서의 형상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사이드실부가 약간 신체의 앞쪽으로 어긋나는 것이 관찰되었지만, 문제가 없는 수준의 것이였다.
이것에 대하여 비교예 1의 기저귀는 종래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상당하는 것이며, 기저귀의 위치 어긋남이 일어나기 쉬웠다. 비교예 2의 기저귀는 제1영역의 폭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역시 기저귀의 위치 어긋남이 일어나기 쉬웠다. 비교예 3의 기저귀는 제1영역에 상당하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고, 기저귀를 떼어내기 힘들고, 또한 고무 흔적이 쉽게 남았다. 비교예 4의 기저귀는 제1영역의 폭이 지나치게 크고, 기저귀를 떼어내기 어려웠다.
"고무흔적이 남기 어렵다"를 지지한다. "위치 어긋남이 일어나기 어렵다"를 지지한다.
실시예 1 70% 84%
비교예 2 55% 45%
표 2에 나타내는 결과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기저귀는 "고무 흔적이 남기 어렵다"라는 평가항목에 관해서 어머니들에게 매우 높은 지지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비교예 1의 기저귀에서는 어머니들의 지지는 약 반정도에 그치고 있다.
[실시예 3(제2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 5 내지 9]
도 1, 도 2 및 도 8에 나타내는 팬츠형 기저귀를 제작하였다. 흡수성 본체(10)에 있어서의 표면시트(2)는 평량 25g/m2의 친수성 통기성 부직포로부터 구성되어 있고, 표면시트(3)는 평량 20g/m2의 폴리에틸렌 시트로부터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외포재(11)에 있어서의 외층 부직포(11)는 평량 25g/m2의 발수성 통기성 부직포로부터 구성되어 있고, 내층 부직포는 평량 18g/m2의 발수성 스판본드 부직포로부터 구성되어 있었다. 각 탄성부재에 의해서 생기는 압력은 탄성부재의 종류 및 신장율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조정하였다. 얻어진 기저귀에 있어서의 각 값을 표 3에 나타낸다.
얻어진 기저귀를 1~2살의 유아 3명에게 장착시키고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1)장착시의 조작성(기저귀의 떼어냄의 용이성)
○: 떼어내기 쉽다.
△: 약간 떼어내기 쉽다.
×: 떼어내기 어렵다.
(2)장착 60분후의 제2영역의 위치 어긋남
○: 위치 어긋남 없음.
△: 약간 위치 어긋남 있음.
×: 위치 어긋남 있음
(3)장착 60분후의 웨이스트 개구부의 위치 어긋남
○: 위치 어긋남 없음.
△: 약간 위치 어긋남 있음.
×: 위치 어긋남 있음.
(4)장착 60분후의 제2영역에 대응하는 신체부위에 있어서의 고무 흔적
○: 고무 흔적 없음.
△: 약간 고무 흔적 있음.
×: 고무 흔적.
(5)장착 직후의 기저귀 외관
○: 말끔함.
△: 약간 말끔함.
×: 말끔하지 않음.
(6)장착 60분후의 기저귀 외관
○: 말끔함.
△: 약간 말끔함.
×: 말끔하지 않음.
나아가 실시예 3 및 비교예 9의 기저귀에 대해서 본 발명의 주요한 효과인 "장착 60분후의 제2영역에 대응하는 신체부위에 있어서의 고무 흔적의 유무" 및 "장착 60분후의 웨이스트 개구부의 위치 어긋남의 유무"를 상세하게 평가하였다. 평가방법은 실시에 1과 동일하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05041634647-pat00002
표 3에 나타내는 결과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3의 기저귀는 떼어내기 쉬운 것이며, 게다가 기저귀 흘러내림이 일어나기 어렵고, 장착직후 및 장착후 소정시간 경과후에도 기저귀의 외관이 양호한 것임을 알았다. 이것에 대해서 비교예 5의 기저귀는 전체길이 및 사이드실부의 길이가 길고, 기저귀 외관이 떨어짐을 알았다. 또한 장골보다도 윗부분이 길기 때문에 웨이스트부가 흘러내리기 쉽다. 비교예 6의 기저귀는 제2영역의 장착압의 평균값이 높고, 떼어내기 힘든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고무 흔적도 남기 쉽다. 비교예 7의 기저귀는 제2영역의 장착압의 최대값이 높고, 떼어내기 힘든 것임이 알 수 있다. 또한 고무 흔적도 남기 쉽다. 비교예 8의 기저귀는 제1영역의 장착압의 평균값이 높고, 웨이스트부가 흘러내리기 쉬운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떼어내기 어렵다.
"고무흔적이 남기 어렵다"를 지지한다. "위치 어긋남이 일어나기 어렵다"를 지지한다.
실시예 3 70% 84%
비교예 9 55% 45%
표 4에 나타내는 결과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기저귀는 "고무 흔적이 남기 어렵다", "위치 어긋남이 일어나기 어렵다"라는 평가항목에 관해서 어머니들에게 매우 높은 지지를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비교예 9의 기저귀에서는 어머님들의 지지는 약 반정도에 그치고 있다.
본 발명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기저귀의 착용 중에 착용자의 동작 등에 기인하는 기저귀의 흘러내림이 일어나기 어렵다. 특히 기저귀의 가랑이 하부의 헐 렁거림이 일어나기 어렵다. 따라서 착용상태의 기저귀의 외관을 양호하기 유지할 수 있다. 기저귀의 흘러내림으로 인해서 착용자의 동작이 방해받는 일도 없다. 또한 기저귀에 배치되어 있는 탄성부재가 착용자의 신체를 지나치게 조이는 것이 방지되어 착용감이 양호하게 된다. 나아가 기저귀의 흘러내림이 억제됨으로써 착용 중에 있어서의 소변이나 대변의 샘의 발생이 억제된다.

Claims (9)

  1. 웨이스트 개구부와 한쌍의 레그 개구부를 가지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이며,
    기저귀의 복측부(腹側部) 및 배측부(背側部)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웨이스트 개구부와 상기 레그 개구부와의 사이에 제1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제1영역은 폭이 15~35mm이며, 외층부직포와 내층부직포에 의해 신장상태로 협지고정되어 제1탄성부재가 배치되는 것에 의하여 기저귀 착용시의 압력이 1.1~2.5kPa로 되고,
    상기 기저귀의 전개상태에 있어서 길이방향 중심선에서 복측부의 상기 영역의 중심위치까지의 거리가 180~220mm이며, 또한 길이방향 중심선에서 배측부의 상기 영역의 중심위치까지의 거리가 180~220mm이며,
    상기 웨이스트 개구부는 다수의 웨이스트부 탄성부재가 기저귀의 폭 방향에걸쳐 배치되고, 상기 웨이스트부 탄성부재는 외층부직포와 내층부직포에 의하여 신장상태로 협지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기저귀 착용시의 상기 웨이스트 개구부의 압력이 0.3~1.5kPa가 되도록 구성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이 기저귀의 좌우양측연과 흡수체의 좌우양측연과의 사이에 주로 존재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기저귀를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의 장골능(iliac crest)에서 상전장골극(anterior superior iliac spine)에 걸쳐서의 부위에 당접(堂接)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 제1항에 있어서, 기저귀 착용시의 상기 웨이스트 개구부의 압력이 기저귀 착 용시의 상기 영역의 압력보다도 낮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 삭제
  6. 웨이스트 개구부와 한쌍의 레그 개구부를 가지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이며,
    전개상태의 기저귀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전체길이가 440~530mm이고, 전개상태의 기저귀의 사이드실부의 길이가 90~140mm이며,
    접합상태의 기저귀에 있어서의 상기 웨이스트 개구부에서 상기 레그 개구부까지의 영역을 길이방향으로 4등분하는 가상 분획선을 긋고, 상기 웨이스트 개구부측에서 차례로 제1영역, 제2영역, 제3영역, 제4영역을 가상적으로 생각했을 시에
    상기 제1영역은 기저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웨이스트부 탄성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영역 및 제3영역에는 기저귀의 폭 방향으로 신장된 제1탄성부재 및 제2탄성부재가 각각 배치됨으로써 제2영역의 기저귀 착용시의 압력의 평균값이 0.9~1.8kPa이면서 최대값이 2.5kPa이하로 되어 있으며, 또한 제1영역 및 제3영역은 기저귀 착용시의 압력이 제2영역보다도 낮게 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7. 제6항에 있어서, 제1영역 내지 제3영역에 있어서, 기저귀 착용시의 압력이 제2영역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제1영역이 높고, 제3영역이 가장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이 기저귀의 좌우양측연과 흡수체의 좌우양측연과의 사이에 주로 존재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기저귀를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의 장골능에서 상전장골극에 당접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KR1020050069060A 2004-07-30 2005-07-28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KR100705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24838 2004-07-30
JP2004224894 2004-07-30
JPJP-P-2004-00224894 2004-07-30
JPJP-P-2004-00224838 2004-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882A KR20060048882A (ko) 2006-05-18
KR100705184B1 true KR100705184B1 (ko) 2007-04-06

Family

ID=35219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060A KR100705184B1 (ko) 2004-07-30 2005-07-28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16805B2 (ko)
EP (1) EP1621168B1 (ko)
KR (1) KR100705184B1 (ko)
DE (1) DE602005002413T2 (ko)
SG (1) SG119348A1 (ko)
TW (1) TWI27538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185B1 (ko) 2010-07-05 2014-05-08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일회용 기저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6394A1 (en) * 2006-11-27 2010-03-25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EP2098200A4 (en) * 2006-12-27 2011-09-14 Uni Charm Corp ABSORBENT ARTICLE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JP5227002B2 (ja) 2007-11-15 2013-07-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160863B2 (ja) * 2007-11-15 2013-03-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DE102007055524A1 (de) * 2007-11-21 2009-05-28 Paul Hartmann Ag Inkontinenzartikel in Höschenform
DE102007055628A1 (de) * 2007-11-21 2009-05-28 Paul Hartmann Aktiengesellschaft Inkontinenzartikel in Höschenform
JP5405761B2 (ja) * 2008-03-27 2014-02-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US8518009B2 (en) * 2008-03-31 2013-08-27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JP5253064B2 (ja) * 2008-09-18 2013-07-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AR074979A1 (es) 2008-12-25 2011-03-02 Uni Charm Corp Prenda tipo bombacha
MY161858A (en) 2009-10-28 2017-05-15 Dsg Technology Holdings Lt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profiled absorbent core
MX352332B (es) 2010-09-16 2017-11-21 Dsg Tech Holdings Ltd Star Articulo con distribucion elastica y sistema y metodo para hacer el mismo.
US9908739B2 (en) 2012-04-24 2018-03-06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parallel flared elastics to disposable products and disposable products containing parallel flared elastics
DE102012208394A1 (de) 2012-05-18 2013-11-21 Paul Hartmann Ag Inkontinenzartikel in Höschenform
JP5249461B1 (ja) * 2012-11-09 2013-07-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592578B1 (ja) * 2014-02-21 2014-09-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着用物品
JP6213877B2 (ja) 2014-09-29 2017-10-18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17538536A (ja) * 2014-12-25 2017-12-2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弾性ベルト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2018519079A (ja) 2015-06-30 2018-07-1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伸縮性腰部領域を備える吸収性物品
CN107809990B (zh) 2015-06-30 2021-06-04 宝洁公司 带有弹性化区域的吸收制品
EP3316838B1 (en) 2015-06-30 2019-03-2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ized region
WO2017003740A1 (en) 2015-06-30 2017-0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hassis design for absorbent article
WO2017201402A1 (en) 2016-05-20 2017-1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waist gasketing element
US10980679B2 (en) 2016-05-20 2021-04-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waist gasketing element
JP6239053B1 (ja) * 2016-06-30 2017-11-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1298273B2 (en) * 2017-02-03 2022-04-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JP6396549B1 (ja) 2017-07-19 2018-09-26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7025172B2 (ja) * 2017-10-12 2022-0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伸縮性シート及びそれを使用した吸収性物品
JP2019118585A (ja) * 2017-12-28 2019-07-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20073097A (ja) * 2020-02-06 2020-05-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01782A2 (en) * 1994-10-14 1999-03-17 Kao Corporation Shorts type disposable diaper
WO1999060968A1 (en) * 1998-05-28 1999-12-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panttype diaper having side and waist elastomeric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0003B2 (en) * 1973-11-21 1990-06-19 Contractable side portions for disposable diaper
USRE34920E (en) * 1981-10-05 1995-04-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ized flaps provided with leakage resistant portions
US4578072A (en) * 1983-12-08 1986-03-25 Weyerhaeuser Company Leak resistant diaper or incontinent garment
AU2751588A (en) 1987-12-31 1989-07-06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having abdominal support band
US5221274A (en) * 1991-06-13 1993-06-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dynamic elastic waist feature having a predisposed resilient flexural hinge
CA2072675A1 (en) * 1991-12-18 1993-12-30 Paul Theodore Van Gompel Child's disposable training pant with stretch gradient side panel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599018Y2 (ja) 1992-06-18 1999-08-30 トーヨー衛材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US5368584A (en) * 1992-09-25 1994-1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dynamic elastic leg feature comprising elasticized thigh panels
JP2002011039A (ja) 1994-03-10 2002-01-15 Zuiko Corp 使い捨ておむつまたは使い捨てパンツ
SE508260C2 (sv) 1994-04-12 1998-09-21 Moelnlycke Ab Byxblöja eller byxbinda med löstagbart förbundet framparti
WO1995029657A1 (en) 1994-04-29 1995-11-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osure system for disposable pull-on pants having a stretchable waistband
JP3055650B2 (ja) * 1994-10-14 2000-06-26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AU712652C (en) * 1995-07-14 2004-11-11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absorbent undergarment of pants type
JP3343189B2 (ja) 1995-07-14 2002-1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体液吸収性着用物品
TW367824U (en) 1996-05-07 1999-08-21 Uni Charm Corp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of pants type
JPH11155901A (ja) 1997-11-27 1999-06-15 Oji Paper Co Ltd パンツ型おむつ
US6322552B1 (en) 1998-06-19 2001-11-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belt loops and an adjustable belt
JP3144550B2 (ja) 1999-01-07 2001-03-12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01087311A (ja) 1999-09-24 2001-04-03 Kao Corp 吸収性物品
SE518746C2 (sv) 2000-03-31 2002-11-12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Y-formad elastisk i grenpartiet
JP2002065734A (ja) 2000-09-04 2002-03-05 Kao Corp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US6641568B2 (en) * 2001-01-18 2003-1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having improved appearance and sustained fit
JP3805236B2 (ja) * 2001-01-29 2006-08-02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705741B2 (ja) 2001-02-06 2005-10-12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JP3706549B2 (ja) 2001-05-15 2005-10-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EP1384459B1 (en) 2002-07-23 2007-03-28 Kao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JP4249993B2 (ja) 2003-01-30 2009-04-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4208602B2 (ja) 2003-02-25 2009-01-1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68833A (ja) 2003-12-11 2005-06-30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01782A2 (en) * 1994-10-14 1999-03-17 Kao Corporation Shorts type disposable diaper
WO1999060968A1 (en) * 1998-05-28 1999-12-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panttype diaper having side and waist elastomeric materi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185B1 (ko) 2010-07-05 2014-05-08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일회용 기저귀
US9101513B2 (en) 2010-07-05 2015-08-11 Livedo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75385B (en) 2007-03-11
KR20060048882A (ko) 2006-05-18
US8016805B2 (en) 2011-09-13
TW200614974A (en) 2006-05-16
EP1621168A1 (en) 2006-02-01
SG119348A1 (en) 2006-02-28
DE602005002413T2 (de) 2008-06-12
DE602005002413D1 (de) 2007-10-25
EP1621168B1 (en) 2007-09-12
US20060025746A1 (en)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5184B1 (ko)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KR101255592B1 (ko) 일회용 기저귀
JP3907696B2 (ja) 改良された適合及び収容を行うz型に折られた障壁カフ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4352003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3824634B2 (ja) 動的フィットする吸収性物品
KR101262140B1 (ko)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JP4530936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4519021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4627018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6694793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2007029507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4519020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10035726A (ja) テープ型使い捨ておむつ
JP5144229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4519022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4357384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4004814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5999860B2 (ja) 使い捨て下着
CN100337609C (zh) 内裤型一次性尿布
JP4528753B2 (ja) 紙おむつ
JP4471769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05287930A (ja) 使い捨ておむつ
JP4493435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4167105B2 (ja) 吸収性物品
TWI774912B (zh) 短褲型用後即棄式紙尿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