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8300A - 프런트 사이드 멤버 리어부의 박스구조 - Google Patents

프런트 사이드 멤버 리어부의 박스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8300A
KR20040008300A KR1020020041903A KR20020041903A KR20040008300A KR 20040008300 A KR20040008300 A KR 20040008300A KR 1020020041903 A KR1020020041903 A KR 1020020041903A KR 20020041903 A KR20020041903 A KR 20020041903A KR 20040008300 A KR20040008300 A KR 20040008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tructure
front side
side member
rear portion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1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8300A/ko
Publication of KR20040008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830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2019/007Means for adjusting or regulating the crash absorption capacity of the vehicle, e.g. when detecting an impending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 발생되는 충돌 에너지를 최대한 분산시켜 프런트 사이드 멤버 리어부의 변형을 최대한 억제하므로써 대쉬패널의 밀림으로 인한 승객의 상해치를 최소화하기 위한 프런트 사이드 멤버 리어부의 박스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의 정면 충돌시 충돌 에너지가 전달되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후방부에 형성되어 충돌 에너지를 분산시키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 리어부의 박스구조에 있어서, 하부부재(24)와 상부부재(22)가 전면 용접되어 하부면을 형성하고 지지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보강부재(26)가 상부면을 형성하는 하단 박스구조(40)와 상기 보강부재(26)가 하부면을 형성하고 대쉬패널(50)이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단 박스구조(40)로 이루어지는 2중 박스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런트 사이드 멤버 리어부의 박스구조{Box structure of Front side member rear par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 발생되는 충돌 에너지를 최대한 분산시켜 프런트 사이드 멤버 리어부의 변형을 최대한 억제하므로써 대쉬패널의 밀림으로 인한 승객의 상해치를 최소화하기 위한 프런트 사이드 멤버 리어부의 박스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면 충돌시 프런트 사이드 멤버를 따라 전달되는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리어부의 박스구조를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및 보강부재로 형성되는 하단 박스구조와 보강부재와 대쉬패널로 형성되는 상단 박스구조로 이루어지는 2중 박스구조로 형성한 프런트 사이드 멤버 리어부의 박스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골격구조는 차체의 측면을 구성하는 2개의 사이드 멤버와 상기 사이드 멤버를 가로지르도록 위치되어 양끝 단이 사이드 멤버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크로스 멤버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 멤버는 차체의 전방 끝단 부에서부터 후방 끝단부에 이르기까지 사이드 멤버에 등간격으로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멤버는 크로스 멤버가 결합된 위치 또는 플로어 패널의 위치에 따라 프런트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 및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로 불린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차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a는 종래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리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에서 A-A 부분의 단면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하였듯이, 자동차의 골격 구조는 전방부 양측에는 충격 흡수를 위한 프런트 사이드 멤버(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1)의수직 방향으로 다수 개의 크로스 멤버(2)가 접합된다.
차체의 정면 충돌시 발생되는 충돌 에너지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1)를 통해 리어부(3)로 전달되어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미도시)에서 흡수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1)는 'ㄷ'자 모양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일직선 형태로 성형되어 후방부에는 상부부재(5)와 하부부재(6) 및 보강부재(7)가 부착되는 리어부(3)가 형성된다.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1)의 리어부(3)는 ''자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하부부재(6)와 상부부재(5)가 차례로 적층되어 전면 용접되고, 상기 상부부재(5)의 상측면에는 충돌 에너지에 대비하여 지지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보강부재(7)가 적층되어 전면 용접된다.
상기 보강부재(7)의 상측부에는 엔진룸과 차실내를 구획하는 대쉬패널(4)이 부착되어 상기 하부부재(6)와 상부부재(5) 및 보강부재(7)와 함께 박스구조(8)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충돌 에너지 흡수구조는 차체 정면 충돌시 프런트 사이드 멤버를 통해 전달된 충돌 에너지가 리어부에 형성되어 있는 박스구조에 연결되어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로 흡수되는 구조로서,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후방부에 형성되어 있는 리어부가 충돌 에너지를 지지할 수 있는 강성에 따라 승객을 보호하는 대쉬패널의 밀림량이 좌우된다.
상기 리어부에 형성된 박스구조는 하부부재와 상부부재 및 보강부재가 차례로 적층되어 전면 용접되는 원박스구조로서 차체 충돌시 프런트 사이드 멤버를 통해 사이드 멤버 리어부로 전달되는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지 못하고 전체적으로 일시에 절곡되므로 하부부재와 상부부재의 변형이 과다하게 발생되고, 상기 박스부의 과도한 변형으로 인해 대쉬패널의 밀림량이 증대되어 승객의 상해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 정면 충돌시 발생되는 충돌 에너지를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리어부에 형성된 박스구조에서 최대한 분산시켜 상기 리어부의 변형을 최대한 억제시키므로써 대쉬패널의 밀림으로 인한 승객의 상해치를 최소화시키고자 하는 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정면 충돌시 프런트 사이드 멤버를 통해 전달된 충돌 에너지가 흡수되는 리어부에 하단 박스구조와 상단 박스구조로 이루어지는 2중 박스구조를 형성한 프런트 사이드 멤버 리어부의 박스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차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2a는 종래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리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서 A-A 부분의 단면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리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서 B-B 부분의 단면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런트 사이드 멤버20 : 리어부
22 : 상부부재24 : 하부부재
26 : 보강부재28 : 홀
30 : 상단 박스구조40 : 하단 박스구조
50 : 대쉬패널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런트 사이드 멤버 리어부의 박스구조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런트 사이드 멤버 리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서 B-B 부분의 단면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하였듯이, 차체의 정면 충돌시 충돌 에너지가 전달되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10)의 후방부에는 리어부(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어부(20)에는 충돌 에너지를 분산시키기 위해 상단 박스구조(30)와 하단 박스구조(40)로 이루어지는 2중 박스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10)는 'ㄷ'자 모양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일직선 형태로 성형되어 후방부에는 상부부재(22)와 하부부재(24) 및 보강부재(26)가 부착되는 리어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10)의 리어부(20)에는 ''자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하부부재(24)와 상부부재(22)가 차례대로 적층되어 전면 용접되어 있고, 상기 상부부재(22)의 중간부에는 ''자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중앙에 홀(28)이 형성된 보강부재(28)가 이격된 공간을 가지면서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부재(26)의 상측면에는 대쉬패널(50)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런트 사이드 멤버 리어부의 박스구조는 하부부재(24)와 상부부재(22)가 차례로 적층되어 전면 용접되어 하부면을 형성하고 지지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보강부재(26)가 상부면을 형성하는 하단 박스구조(40)와 상기 보강부재(26)가 하부면을 형성하고 대쉬패널(50)이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단 박스구조(40)로 이루어지는 2중 박스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차체 정면 충돌시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리어부에서 충돌 에너지를 최대한 분산·흡수하므로써 대쉬패널의 붕괴와 밀림량을 최소화하여 승객의 상해치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1)

  1. 차체의 정면 충돌시 충돌 에너지가 전달되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후방부에 형성되어 충돌 에너지를 분산시키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 리어부의 박스구조에 있어서, 하부부재(24)와 상부부재(22)가 전면 용접되어 하부면을 형성하고 지지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보강부재(26)가 상부면을 형성하는 하단 박스구조(40)와 상기 보강부재(26)가 하부면을 형성하고 대쉬패널(50)이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단 박스구조(40)로 이루어지는 2중 박스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 리어부의 박스구조.
KR1020020041903A 2002-07-18 2002-07-18 프런트 사이드 멤버 리어부의 박스구조 KR20040008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903A KR20040008300A (ko) 2002-07-18 2002-07-18 프런트 사이드 멤버 리어부의 박스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903A KR20040008300A (ko) 2002-07-18 2002-07-18 프런트 사이드 멤버 리어부의 박스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300A true KR20040008300A (ko) 2004-01-31

Family

ID=37317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903A KR20040008300A (ko) 2002-07-18 2002-07-18 프런트 사이드 멤버 리어부의 박스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83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1081B2 (en) 2012-06-04 2014-08-12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reducing injury to passenger' feet during offset crash
CN105984501A (zh) * 2014-09-03 2016-10-0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前侧构件的后部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2179U (ja) * 1983-03-14 1984-09-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フロント構造
KR970006088A (ko) * 1995-07-20 1997-02-19 한승준 차체 전면프레임에 설치되는 보강판
KR970013409U (ko) * 1995-09-07 1997-04-25 차량의 프론트 프레임 킥업부 보강구조
KR19990019315A (ko) * 1997-08-29 1999-03-15 정몽규 자동차의 충격 흡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2179U (ja) * 1983-03-14 1984-09-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フロント構造
KR970006088A (ko) * 1995-07-20 1997-02-19 한승준 차체 전면프레임에 설치되는 보강판
KR970013409U (ko) * 1995-09-07 1997-04-25 차량의 프론트 프레임 킥업부 보강구조
KR19990019315A (ko) * 1997-08-29 1999-03-15 정몽규 자동차의 충격 흡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1081B2 (en) 2012-06-04 2014-08-12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reducing injury to passenger' feet during offset crash
CN105984501A (zh) * 2014-09-03 2016-10-0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前侧构件的后部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3966B2 (en) Vehicle body and vehicle
EP3604089B1 (en) Vehicle body and vehicle
KR100405892B1 (ko) 측면 충돌에 대한 강성이 향상된 자동차의 플로어 패널조립체
JP2006232147A (ja) 車体前部構造
EP1389575B1 (en) Vehicle front-end body structure
US9718422B2 (en) Front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102371242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KR20040008300A (ko) 프런트 사이드 멤버 리어부의 박스구조
JPH08133131A (ja) 車両用フロアのクロスメンバ構造
JP4069748B2 (ja) 車両前部構造
KR100320822B1 (ko) 자동차의 실사이드부 보강구조
CN219406609U (zh) 车身骨架及车辆
JP7288000B2 (ja) 車体前部構造
KR100339236B1 (ko) 자동차의 충돌 충격 완화 장치
KR100308977B1 (ko) 차량용대쉬로워맴버보강구조
JPH061129U (ja) 車両のフレーム構造
JP2008137552A (ja) 車両前部の車体構造
KR20010005168A (ko) 차량의 측면 보강구조
JP2023073647A (ja) 車両下部構造
KR200147806Y1 (ko) 자동차의 차체구조
CN116039768A (zh) 车身骨架及车辆
KR200145075Y1 (ko) 자동차의 후방 충격 흡수구조
KR200192389Y1 (ko) 승용차량의 바디 센터 필러
KR100368398B1 (ko) 자동차의 플로워패널 보강구조
KR100340966B1 (ko) 자동차의 하부 후방 차체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