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8152A -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의 제조방법 및 원적외선 방사파동수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의 제조방법 및 원적외선 방사파동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8152A
KR20040008152A KR10-2003-7013100A KR20037013100A KR20040008152A KR 20040008152 A KR20040008152 A KR 20040008152A KR 20037013100 A KR20037013100 A KR 20037013100A KR 20040008152 A KR20040008152 A KR 20040008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ar
infrared radiation
radiation wave
functiona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3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오 다카쿠
Original Assignee
가즈오 다카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오 다카쿠 filed Critical 가즈오 다카쿠
Publication of KR20040008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815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5Systems or processes based on supernatural or anthroposophic principles, cosmic or terrestrial radiation, geomancy or rhabdomanc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by catalytic oxid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 등의 미약 에너지의 특성·작용을 가지고, 지구환경 보호, 인체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의 제조방법 및 원적외선 방사파동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의 제조방법은, 전사가능한 수용액을 얻기 위하여, 광촉매의 존재하에서 미네랄 함유액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의 제조방법 및 원적외선 방사파동수{FAR INFRARED RAY RADIANT WAVE WA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ADIANT WAVE WATER}
파동수(wave water)에 관한 기술로서, 목질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연소가스 중에 물을 두고, 그 목질연료가 가지는 파동 에너지를 전사, 기억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목질연료를 연소시킨 연소가스의 성분에는, 초산이 대량으로 포함되어, 목초(木酢) 상태가 되며, 파동 에너지의 다양성을 직접 받아들인 연구가 아니고, 또한 전사, 기억도 목재에 한정된 방법이다.
본 발명은 원적외선 등의 미약한 에너지의 특성·작용을 가지고, 지구환경 보호, 인체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의 제조방법 및 원적외선 방사파동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차 기능수 제조장치의 세로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탱크2: 석영글라스
3: 교반 프로펠라4: 본체류금구
5: 본체치가대6: 배수구
7: 손잡이8: 도르래
9: V벨트10: 모터
11: 저주파 코일12: 자외선 램프·적외선 램프
13: 램프 설치가대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의 제조방법은, 전사가능한 수용액을 얻기 위하여 광촉매의 존재하에서, 미네랄 함유액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료액)
먼저 미네랄 함유액을 준비한다.
미네랄 함유액으로는, 풍화 산호초 추출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풍화 산호초 대신에 전기석(電氣石), 맥반석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미네랄로서, Na, Ca, K, Fe, Si, Zn 중의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원적외선 방사율을 높인다는 의미에서 Si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물에 미네랄 원소를 함유시킨 것이 사용된다. 추출액은 풍화 산호초를 적층한 컬럼(column)안에 물을 통과시켜 여과함으로써, 미네랄 함유액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추출과정에서 액체가 떨어지는 속도를 늦추어,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액을 얻기 위해서는, 컬럼 하부에 1mm이하의 분말 형상, 컬럼 중간부에 1~2mm이하의 미세입자 형상, 컬럼 상부에는 2~4mm의 분쇄 형상의 풍화 산호초를 충전시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컬럼에 보내는 물에는 수돗물, 순수, 초순수, 전해수, 미네랄워터, 그 밖의 물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미네랄 워터가 바람직하다. 또한, 물에 초음파를 조사함으로써 클러스터(cluster)화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순수, 초순수에 초음파를 조사함으로써 클러스터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추출수에, 추출수에 대하여 산화 티탄 0.01~1.20%(중량%), 규소분말 0.01~0.7%(중량%)를 섞어 원료액으로 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산화 티탄 0.5~1.0%(중량%), 규소분말 0.1~0.5%(중량%)를 섞는다.
본 발명에서는, 저주파의 파장을 걸면서 상기 원료액을 교반한다. 주파수는100~200Hz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150~180Hz로 한다. 교반은 3000~20000rpm에서 2~10시간 행하고, 바람직하게는 5~8시간 행한다.
한편, 저주파를 걸면서 교반함으로써, 활성화된 상태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더불어, 광촉매의 존재하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광촉매 용액)
광촉매로는 산화티탄이 바람직하다. 산화티탄은 아나타제(anatase)형의 산화티탄, 즉 퍼옥소(peroxo)산과 과산화수소에 의해 퍼옥소화된 아나타제 분말을 함유하는 액(TPX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TPX졸이란, 산화티탄 0.85중량%를 함유하는, 퍼옥소 티탄산과 이산화티탄의 혼합수용액이다. 이러한 광촉매의 존재하에서 400nm이하의 자외선을 조사하면 물분자 사이를 결합하고 있는 산소·수소의 결합이 잘려, 수소 결합을 잃은 H-O-H가 발생한다.
(자외선 조사)
400nm이하의 자외선을 조사한다. 조사시간은 0.5~8시간, 바람직하게는 5~7시간으로 한다. 한편, 280nm이하의 자외선을 조사하면, 원료액을 살균할 수도 있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이어 적외선 0.77~500㎛, 바람직하게는 6~14㎛를 10~120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적외선, 특히 6~14㎛의 원적외선을 받으면, 공명 진동을 일으켜, 원료액의 분자운동이 활성화된다.
상기 공정에 의해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방사파동수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실제로 사용할 때에는 원적외선 방사파동수를 전사수로 희석한 이차 기능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차 기능수)
먼저, 전사매체가 되는 재료(세라믹스 전반(全般) 등)에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와 산화티탄을 섞어 적절히 성형한다. 이것을 700~1400℃에서 소성한다. 물에 전사부재를 침지시켜 적절 시간 방치한다. 적절 시간 방치함으로써, 물에 일차 기능수의 기능이 전사된다. 한편, 전사부재에는 예를 들어, 세라믹스 전반(도자기, 시멘트, 유리, 인공적 원료, 고순도 원료 등)이나 금속제 등이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전사 용기를 제작하여, 용기 내에 물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전사시켜도 좋다.
전사부재를 제조할 때, 이차 기능수로서 희석한 원적외선 방사파동수를 사용하여도 좋다. 희석율은 2~30000배가 바람직하고, 10~10000배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전사부재에 섞는 이차 기능수와 산화 티탄의 양은, 전사부재 체적의 0.01~30%(중량%)를 혼입하면 좋다. 배합비율은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와 산화티탄을 각 10~90%(체적%) 대비로 배합, 적절히 혼입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일차 기능수 30~70%(체적%), 산화티탄 70~30%(체적%), 보다 바람직하게는 원적외선 방사파동수 50%(체적%), 산화티탄 50%(체적%)가 바람직하다. 한편, 전사부재에서의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와 산화티탄의 배합비율, 혼입율로 에너지의 강약이 변한다. 따라서, 전사에 필요한 시간도 바뀐다.
이와 같이, 산화티탄을 전사부재의 원료에 함유시켜 둠으로써 매우 효과적으로 전사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전사부재에 규소분말을 혼입하면 원적외선 방사율을 높인다는 관점에서 한층 더 바람직하다. 혼입율은 전사부재 체적에 대하여 0.01~5%(중량%)가 바람직하다. 규소 분말은 고순도이며 입도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사부재는 수질개선, 대기정화, 기피(忌避) 등의 효과가 있으며, 적절히 섞어 성형하여, 소성 등에 의해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피전사체가 되는 전사용 물에는 예를 들어 수돗물, 순수, 초순수, 전해수,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일차 기능수, 이차 기능수, 미네랄워터, 그 밖의 물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미네랄 워터가 바람직하다.
전사기간은 전사부재에 포함되는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와 산화티탄의 배합비율, 혼입율 등으로부터 적절히 결정한다. 예를 들어, 물 10000ml에 대하여, 상기 전사부재 직경 3~4cm 정도의 것을 1개 침지하는 경우, 7~90일간 방치한다.
전사수에, 원적외선 방사파동수를 전사수에 대하여, 0.0001 이상(중량%) 혼입하여 이차 기능수를 제조한다. 혼입할 때에는 2500~3500rpm에서 30~120분간 교반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수에 원적외선 방사파동수를 혼입함으로써, 이차 기능수가 가지는 원적외선 효과 등이 보다 강해진다. 또한, 이들 효과의 지속력이 길어진다. 한편, 이차 기능수의 제조방법으로서 대용의 방법도 사용된다.
(방법 2)
수돗물 등에, 원적외선 방사파동수를 상기 물에 대하여 0.0001이상(중량%) 섞는다. 저주파의 진동을 가한다. 주파수는 100~200Hz로 하고, 바람직하게는150~180Hz로 한다. 교반은 3000~12000rpm에서 2~6시간한다.
상기 작업에 더하여 400nm이하의 자외선을 2~5시간 조사한다.
이어서 적외선 0.77~500㎛, 바람직하게는 6~14㎛를 10~60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원적외선 방사파동수 및 원적외선 방사파동수를 전사수에 대하여 0.0001 이상(중량%) 섞은 이차 기능수에, 섬유, 광물, 그 밖의 것을 2~14일간 침지시킨 후, 건조시킴으로써 고체에도 원적외선 등의 미약 에너지를 전사할 수 있다.
전사할 때, 대상물을 원료수에 침지시키는 방법에 더하여, 제조도중의 단계에서 혼련(混練) 가공을 하는 방법도 가능하며, 효과는 마찬가지로 발휘된다. 전사대상에는 광물, 섬유, 장신구 등을 비롯한 모든 것에 전사가능하다. 한편, 인체에 사용할 때는, 피부에 직접 닿는 것이 보다 많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원적외선 방사파동수를, 전사수에 대하여 0.0001~1.5%(중량%) 섞은 이차 기능수를 제조함으로써, 화장수, 아토피성 피부염, 근육피로제, 항균소취제 등으로 다목적이면서 각각에서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차 기능수를 제조할 수 있다. 1.5%(중량%)이하로 함으로써, 피부용 외용제로서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 기능수와 마찬가지로 원적외선 방사파동수를, 전사수에 대하여 0.0001~1.5%(중량%) 섞은 이차 기능수를 제조함으로써, 동식물 육성제로서, 식물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혹은, 식물이 심어진 토양에 스며들게 하여도 좋다. 또한, 동물이 마시게 하여도 좋다.
(삼차 기능수)
더욱이, 이차 기능수와 다른 매체를 혼합함으로써, 다른 매체가 가지는 특성·작용 등을 높일 수 있는 삼차 기능수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차 기능수와 광촉매 용액(바람직하게는 산화티탄 수용액)을 배합함으로써, 400nm이하의 광 에너지가 없이도 촉매작용을 가지는 삼차 기능수를 제조할 수 있다. 배합비율은 이차 기능수와 산화 티탄을 각 10%~90%(체적%) 대비로 배합하면 좋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각 30%~70%(체적%) 대비로 배합하는 것이 좋다. 적절히 교반함으로써 삼차 기능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삼차 기능수를, 예를 들어 건축용 코팅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부식, 열화방지, 냄새제거, 유기물 분해 등의 작용을 가진다.
또한, 그 밖의 사용방법으로서, 차 등의 외부기구에 도포하는 것만으로도, 배기 가스 중의 유해성분의 저감 작용, 연비, 파워, 토크(torque) 향상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도포방법은 특별히 문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삼차 기능수를 분무도포하면 좋다. 또한, 도포부는 연소 탱크, 연소실, 개(槪)연료 탱크로부터 상기 연소실로 연료를 보내는 수단, 및 연소실에서 발생한 배(排)가스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부 중 한군데 이상에 도포한다.
그 내면·외면 어느 쪽이어도 좋다. 도포의 용이성면에서는 외면이 바람직하다.
도포대상이 되는 각 기구의 부품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금속(예를 들어,엔진 등의 연소실, 배기부의 머플러(muffler) 등의 구성재료), 세라믹(예를 들어, 배기부의 라인 도중에 배치되는 필터 등의 구성재료), 유기재료(연료를 보내는 수단 혹은 배기부의 배기 파이프, 튜브 등의 구성재료)도 좋다. 또한, 구성부품의 전면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에 도포하여도 좋다.
연소기구는 자동차, 가정용 난방기, 그 밖의 연소기구가 대상이 된다. 특히, 가솔린, 등유 등의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연소기구의 경우, 보다 효과가 현저해진다.
(작용)
물은 H2O 분자가 수소결합하여 클러스터라고 불리는 연쇄체를 결성하고 있다. 물의 클러스터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방법으로서, 추출수의 교반과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여러가지 이종분자에 진동을 주어 여기상태로 만든다.
수소결합의 절단은, 수소원자의 양전하와 산소원자의 전자쌍의 상호 작용으로서 행하여진다는 점에서, 전하이동 혹은 넓은 의미의 산화환원이라고 불리는 화학반응에 포괄되는 것이기 때문에, 산화환원에 관여하는 촉매가 유효하다.
현재, 수용액의 형태로 용존하고 있는 물질의 산화환원반응의 촉매로서는 산화티탄이 알려져 있고, 때로는 아나타제형의 산화티탄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용존물질 또는 공존물질을 환원시키는 능력이 있다. 또한, 콘덴서적인 요소도 있으며, 엔트로피의 균형 안에서, 음이온의 방출·유지를 반복한다.
물의 수소결합의 강도는 8~30mol이지만, 이 산화티탄(여기에너지는 3eV)의광촉매 작용이 수소원자와 산소원자 사이에서 전자의 이동을 발생시켜 수소결합 본래의 전자상태가 해소되어 그 에너지가 여기 상태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원료액이 활성화하고 있으며 환원작용(소생작용), 이온작용도 활발해지고 있다.
모든 물질은 원자로 구성되어 있다. 원자는 원자핵을 구성하는 양자와 원자핵의 주위를 도는 음전자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는 원자의 종류나 회전수 등으로 고유의 진동(에너지 패턴)을 가지고 있다. 이 진동을 미약 에너지라고 하며, 에너지 패턴을 파동이라고 부른다.
물은 외부로부터의 미약 에너지의 영향으로 그 정보를 고정하고, 그 미약 에너지를 다른 물질에 전사하는 특질이 알려져 있다. 그 성질을 이용하여, 원적외선을 비롯한 미약 에너지가 일차 기능수를 혼련 소성한 전사부재로부터 액체로 전사된다고 생각한다. 또한, 일차 기능수 및 이차 기능수에 대상물을 침지시킴으로써 동일하게 고체에 전사된다.
지구상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성분은 규소이고, 고형무기물, 유기물의 대부분도 SiO2에 준하는 밀도를 가지고 있으며, 석영에 유사한 원적외선 방사재질에 의한 것이 많고, 더욱이 전이원소 산화물이 포함되어 있으면 방사율이 높은 특성을 나타낸다.
풍화 산호초는, 천연자원으로서는 다른 종류로 보지 않는 미량 미네랄 40여종류를 포함하고 있다. 맥반석에 가까운 조성을 가지고, 원적외선 방사, 음이온 방사 작용이 있다.
원적외선 방사파동수 및 이차 기능수로부터는, 상온에서도 원적외선이 방사된다(원적외선 효과). 또한, 이온이 방사된다(이온 방출효과). 더욱이 양자효과 그밖의 특성·작용을 가지고 있다.
원적외선의 에너지는 인체에 대하여 ATP의 생성을 포함하는 생리활성작용, 성장촉진작용을 촉진한다. 그 밖에, 수질정화 작용이나 동식물 세포의 활성화, 단백질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선도유지, 항균, 냄새제거, 열성촉진 작용 등이 있다.
또한, 재질에 포함된 원적외선의 에너지는, 활성화 에너지로 변화하여, 이온의 균형을 조정한다.
음이온에는 인체에 대하여 혈액 정화, 세포의 활성화, 면역력의 증강, 자율신경의 조정 작용이 있다. 그 밖에 항균, 냄새제거, 항산화, 육성 등의 작용을 가진다.
미량 영양소는 미량요소의 부족에 의한 영양 균형의 붕괴를 개선함으로써 건강하게 만든다. 또한, 식물에 대해서는, 토양의 영양 균형의 붕괴로부터오는 여러가지 생리장해나 병해, 연쇄 장해 등의 폐해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동시에, 유용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한다.
이차 기능수(12개월전에 제조한 상기 물을 방 안에 방치)의 170-MNR을 측정하였더니 반치폭 57Hz였다. 일반적인 수돗물은 150~155Hz이며, 분명하게 클러스터가 세분화된 상태, 즉 물분자의 전자에너지가 높고,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클러스터가 세분화된, 이른바 활성화된 물은 세포 조직으로의 침투력이 강하여, 체내에서의 영양, 산소 등의 운반 혹은 소변 등의 배설이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식물에 첨가함으로써, 세포의 활성화 및 양분과 수분의 흡수율을 증대시켜, 식물의 성장촉진을 높인다. 또한, 토양 중의 물분자가 활성화되고,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동시에, 유용미생물의 증식을 촉진함으로써 토양을 활성화시킨다.
이온의 교환이 활성화되기 때문에, 티토크롬C의 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나, 철을 함유하는 효소가 성장촉진을 가능하게 하는 대사요인이 된다.
일차 기능수 및 이차 기능수의 미약 에너지 및 그 밖의 특성·작용을 이용하여, 산화 티탄이 자외선 조사가 적은 상황에서의 촉매효과를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경유·가솔린 등의 연료는 전기나 압력 등을 가하여 화학합성된 C와 H의 결합체인 탄화수소화합물이며, 이들은 전자기장에 의해 각각이 서로 끌어당겨져 어느 정도의 덩어리(클러스터)가 되어 존재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점도 지수가 높아져 공기와 혼합하기 어려운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이온화를 촉진함으로써 자장이 흐트러져 클러스터를 세분화시킨다. 그 결과, 가솔린 등의 연료 액체는 매우 세밀한 분자 구조가 되며, 점토 지수는 저하하여 산소와 결합하기 쉬운 상태로 이어진다.
이온화된 공기는 각 실린더에 골고루 퍼짐으로써, 압축시 연료와의 믹싱(mixing) 효과를 향상시켜 연소하기 쉬운 상태를 만든다. 이것은 연소할 때에필요한 산소열량의 손실을 대폭 감소시켜, 결국 잃었던 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배기에 대해서는, 배기관 내의 전위가 낮아지기 때문에, 배기가스(배기열)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압의 엔진에 대한 영향이 현저히 감소하여, 엔진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온화된 각 산화물은 충격파의 영향을 받지 않고 배기기관내를 부드럽게 통과하여, 유속이 빨라져 배기효율이 향상한다.
성분분석표는 표 1과 같으며, 많은 전이원소를 포함하고 있다.
(표 1)
원소기호 원자번호 원소명 중량 ㎍/g 함유율 %
1 Na 11 나트륨 15.46640 0.5194
2 Mg 12 마그네슘 3.90274 0.1311
3 Al 13 알루미늄 6.12562 0.2057
4 Si 14 규소 50.06041 1.6812
5 S 16 유황 14.05133 0.4719
6 Cl 17 염소 8.00173 0.2687
7 K 19 칼륨 9.40460 0.3158
8 Ca 20 칼슘 12.94028 0.4346
9 Ti 22 티탄 2829.67086 95.0320
10 V 23 바나듐 21.28499 0.7148
11 Cr 24 크롬 0.07640 0.0026
12 Mn 25 망간 0.15958 0.0054
13 Fe 26 5.07717 0.1705
14 Co 27 코발트 0.01852 0.0006
15 Ni 28 니켈 0.01040 0.0003
16 Cu 29 구리 0.11156 0.0037
17 Zn 30 아연 0.18593 0.0062
18 Ga 31 갈륨 0.01586 0.0005
19 As 33 비소 0.02600 0.0009
20 Se 34 셀렌 0.01839 0.0006
21 Br 35 브롬 0.19776 0.0066
22 Sr 38 스트론튬 0.07998 0.0027
23 Rb 37 루비듐 0.04056 0.0014
24 Y 39 이트륨 0.00651 0.0002
25 Mo 42 몰리브덴 0.01024 0.0003
26 Rn 44 루테늄 0.03690 0.0012
27 Rh 45 로듐 0.00330 0.0001
28 Ag 47 0.05817 0.0020
29 Cd 48 카드뮴 0.12950 0.0043
30 Pb 82 0.42524 0.0143
2977.59693 100.0000
(실시예 1)
(원적외선 방사파동수)
풍화 산호초를 적층한 컬럼 내에 수돗물을 통과시켜, 추출액을 얻었다. 이 추출액에 대하여, 산화티탄 0.3%, 규소분말 0.5%를 혼입한 용액을 본체 탱크(1)에 넣는다. 저주파 코일(11)로 주파수 170Hz를 걸면서 밸런스 프로펠라(3) (11,480rpm/min)에서 상기 물을 8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작업과 함께, 석영 글라스(2)를 통하여, 자외선 램프 280nm를 7.5시간 조사하고, 이어서 적외선 램프(10㎛)를 0.5시간 조사하여 원적외선 방사파동수를 얻었다.
(실시예 2)
(이차 기능수)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으로 원적외선 방사파동수를 제조하였다
규조토(규조土) 3kg에 상기 원적외선 방사파동수 125ml와 산화 티탄 125ml를 섞었다. 직경 4cm의 공모양으로 형성하여 1200℃에서 소성함으로써 전사부재를 제작하여 저장 탱크에 배치하였다.
저장 탱크에 수돗물 50t을 넣고, 수돗물에 상기 전사부재를 30일간 침지함으로써 전사수를 얻었다.
전사수에, 원적외선 방사파동수를 전사수에 대하여 3%(중량%)를 혼입하고, 혼합함으로써 이차 기능수를 얻었다.
(실시예 3)
(이차 기능수)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으로 원적외선 방사파동수를 제조하였다.
본체 탱크(1)에, 수돗물 및 상기 물에 대하여 원적외선 방사파동수 3%를 넣는다. 저주파 코일(11)로 주파수 170Hz를 걸면서 30000rpm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더불어 자외선 램프 280nm를 2시간 조사하고, 이어서 적외선 램프(10㎛)를 0.5 시간 조사하여 이차 기능수를 얻었다.
상기 이차 기능수에 수정 목걸이를 3일간 침지한 후 건조시켰다.
액체에 전사부재를 침지시킬 때, 대상물을 일차 기능수, 이차 기능수에 침지시킴으로써, 원적외선 등의 미약 에너지를 전사할 수 있다. 또한, 전사된 효력은반영구적이며, 착용, 세탁 등에 의해서도 전사된 효력을 잃지 않는다.
100명의 모니터에게 전사한 목걸이 및 팔찌를 하게한 결과, 다음과 같은 증상의 개선이 보고되었다.
·어깨뭉침, 요통, 관절염
·류마티스
·손저림
·냉증
·편두통
·화분증
·양호한 혈압의 일정화
전사된 섬유제품을 사용했을 경우, 아토피성 피부염, 화학물질 과민증 등의 섬유에 의한 피부장해가 완화된다.
(실시예 4)
(이차 기능수)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으로 원적외선 방사파동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따른 방법으로 이차 기능수를 제조하였다. 한편, 전사수 및 수돗물에 대하여, 원적외선 방사파동수를 0.1%(중량%) 섞었다.
건장한 성년남자(50세)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이차 기능수를 양팔에 분무하고, 분무하지 않은 상태와 비교했더니, 아래의 효과가 보였다.
·혈류속도 1.144배(14.5%의 증가)
·혈류량 1.069배((6.9% 증가)
·뇌파측정 릴렉스 상태를 나타내는 α파(8Hz이상 13Hz이하)는 분명하게 미분무 상태에 비하여 우위이며, 맨처음부터 마지막 단계까지 균일하고, 다량으로 구현하고 있다. 이는 이차 기능수 분무 직후부터 20분간에 걸쳐 릴렉스 상태를 계속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00명의 모니터에게 이차 기능수를 인체의 적절한 부위에 분무하는 실험을 행하였더니, 다음과 같은 증상의 개선이 보고되었다.
·기미, 주름
·아토피성 피부염
·백선(기계충)
·입냄새, 암내
·화상의 염증
·근육피로
·치통
·발모, 육모
·지혈
·관절통
상기 이차 기능수를 식물에 첨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효과를 보였다.
·생육이 빠르고 뿌리가 왕성하게 퍼졌다.
·착과량의 증가와 착과율의 상승(증수율 30% 증가)
·전체 신장 60% 증가, 중량 25~30% 증가
·단백질, 질소, 당분의 증가
·색이 선명하게 올라온다
·기피 효과
(실시예 5)
(삼차 기능수)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으로 원적외선 방사파동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따른 방법으로 이차 기능수를 제조하였다. 한편, 전사수 및 수돗물에 대하여, 원적외선 방사파동수를 3%(중량%) 섞었다.
상기 이차 기능수 30%(체적%)와 산화 티탄 70%(체적%)를 배합하여 삼차 기능수를 얻었다.
이차 기능수와 산화 티탄을 배합함으로써, 파장이 400nm이하인 광에너지로도, 항균, 오염방지, 곰팡이방지, 방취 등의 광촉매 작용을 발휘하고, 인체 및 환경에 일절 무해하기 때문에, 농업, 수산, 식품, 공업, 의료, 환경 등 여러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삼차 기능수를 목재에 도포하여 방치하였다. 또한, 삼차 기능수를 도포하지 않은 목재도 같은 시간 방치하였다. 삼차 기능수를 도포하지 않은 목재는 변색을 일으켰지만, 삼차 기능수를 도포한 목재는 변색되지 않았다.
또한, 밀폐 용기 내에 포름알데하이드와 목재를 넣어 방치해 두었더니, 삼차 기능수를 도포하지 않은 목재를 넣은 용기에서는 포름알데하이드의 양이 방치 전후에서 변화가 없었지만, 삼차 기능수를 도포한 목재를 넣은 용기에서는 포름알데하이드의 양이 감소하였다.
삼차 기능수를 도포한 용기 내에 사용한 토너를 방치하였더니, 정전기로 인해 부착되었던 때가 떨어졌다. 한편, 상기 작업을 하지 않은 토너의 때는 거의 지워지지 않았다.
삼차 기능수를 30대의 승용차의 외부 기구(연료 탱크, 연료실,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개연소실에 연료를 보내는 수단, 및 개연소실에서 발생한 배가스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부)의 2,3 군데에 도포하였더니 아래의 결과가 얻어졌다.
·CO 저감율 51.7%
·HC 저감율 63.5%
·연비향상율 26.2%
·파워, 토크업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방사파동수는 원적외선 등의 미약 에너지의 특성·작용을 가지며, 그것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고온에서 소성하여도 그 작용은 손상되지 않고, 또한, 인체 및 환경에 일절 무해하기 때문에, 농업, 수산, 식품, 공업, 의료, 환경 등 여러가지 분야에 다양한 형태로 활용가능하다.
원적외선과 이온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인체에 대해서는, 세포를 활성화하고, 신진대사를 활발화하기 때문에, 자연치료력을 높일 수 있다. 그 밖에, 식물육성, 선도 유지, 항균, 대기정화, 수질정화, 계면활성 등의 작용을 한다.

Claims (18)

  1. 광촉매의 존재하에서, 원재료에 광촉매 용액을 첨가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등의 미약 에너지의 특성·작용을 가지는 전사가능한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는 미네랄 함유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 함유액은 풍화 산호초 추출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액에 규소분말을 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주파 파장을 조사하면서, 상기 추출액과 규소분말, 및 광촉매 용액을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의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외선 조사 후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의 제조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는 산화 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의 제조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는 아나타제형 산화 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파동수 제조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사매체가 되는 재료와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와 광촉매 용액을 섞어 소성함으로써 전사부재를 제조하고, 상기 전사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전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의 제조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에 전사부재를 침지시킴으로써, 상기 물에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의 기능을 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의 제조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의 제조방법.
  12. 원적외선 방사파동수는 클러스터가 세분화되어, 활성화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파동수.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1 항 기재의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와 산화티탄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 기능수의 제조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 기능수는 건축재 코팅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 기능수.
  15.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 기능수는 배기 가스 저감 및 연비, 파워, 토크 향상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 기능수.
  16. 연료 탱크 및 개연소실에서 발생한 배가스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부를 포함하는 연소기구의 어느 부분에 삼차 기능수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 기능수.
  17.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 기능수는 자외선 차단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 기능수.
  18.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 기능수는 정전기 방지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 기능수.
KR10-2003-7013100A 2001-04-06 2002-04-08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의 제조방법 및 원적외선 방사파동수 KR200400081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09184 2001-04-06
JPJP-P-2001-00109184 2001-04-06
PCT/JP2002/003488 WO2002081383A1 (fr) 2001-04-06 2002-04-08 Eau a rayonnement infrarouge lointain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152A true KR20040008152A (ko) 2004-01-28

Family

ID=18961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3100A KR20040008152A (ko) 2001-04-06 2002-04-08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의 제조방법 및 원적외선 방사파동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WO2002081383A1 (ko)
KR (1) KR20040008152A (ko)
WO (1) WO200208138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550B1 (ko) * 2019-06-19 2020-08-12 (주)킴스워터 물질의 파동을 기억하는 혼합용액을 디지털화하는 방법
WO2022255838A1 (ko) * 2021-06-03 2022-12-08 안정오 양자 나노성분 이온수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6845A1 (ja) * 2003-11-17 2005-05-26 Kazuo Takaku 排気ガス低減部材及び燃焼機構
US20060120211A1 (en) * 2004-11-12 2006-06-08 Mccoy Mark S Method of manufacture and bottling for encoded microclustered liquids
JP6536369B2 (ja) * 2015-11-12 2019-07-03 株式会社デンソー 潤滑性推定装置および燃料供給制御装置
SG11201807341VA (en) * 2016-03-04 2018-09-27 Tomokazu Kanda Coating liquid preparing device and coating device
CN110776053B (zh) * 2019-11-29 2021-12-03 中国有色桂林矿产地质研究院有限公司 一种浮选法选矿废水处理装置及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5685A (ja) * 1989-04-06 1990-10-30 Green Karuchiyaa:Kk 水質改良処理法とその処理物質
JPH0356698U (ko) * 1989-09-26 1991-05-30
JP2789789B2 (ja) * 1990-06-11 1998-08-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浄水装置
JP2526922Y2 (ja) * 1992-08-31 1997-02-26 株式会社日本技術開発センター 活性水生成器
JP3318398B2 (ja) * 1993-06-30 2002-08-26 国分農場有限会社 活水剤の製造方法
JP3212781B2 (ja) * 1993-12-14 2001-09-25 株式会社オースリー 電磁波動発生装置
JP3600989B2 (ja) * 1994-03-14 2004-12-15 清水建設株式会社 上質飲料水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3806998B2 (ja) * 1996-12-16 2006-08-09 旭硝子株式会社 光触媒組成物とその形成剤および光触媒組成物付き基体
JP3054755B2 (ja) * 1997-02-05 2000-06-19 株式会社富士計器 水活性化循環給水装置
JPH10249336A (ja) * 1997-03-12 1998-09-22 Sumitomo Heavy Ind Ltd 光触媒を用いた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装置
JP3334596B2 (ja) * 1998-03-17 2002-10-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圧縮着火式内燃機関
JP4177920B2 (ja) * 1998-07-16 2008-11-05 東邦チタニウム株式会社 高純度酸化チタン粉末の製造方法
JP2000070952A (ja) * 1998-09-03 2000-03-07 Aakutekku:Kk 多極式磁場を利用した水処理装置
JP2001161212A (ja) * 1999-12-10 2001-06-19 Nakajima Suisan Co Ltd 養殖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550B1 (ko) * 2019-06-19 2020-08-12 (주)킴스워터 물질의 파동을 기억하는 혼합용액을 디지털화하는 방법
WO2022255838A1 (ko) * 2021-06-03 2022-12-08 안정오 양자 나노성분 이온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81383A1 (fr) 2002-10-17
JPWO2002081383A1 (ja) 2004-10-21
JP2008161864A (ja) 200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Copper single-atom catalysts with photothermal performance and enhanced nanozyme activity for bacteria‐infected wound therapy
Chokkareddy et al. Green synthesis of metal nanoparticles and its reaction mechanisms
JP2008161864A (ja) 遠赤外線放射波動水の製造方法及び遠赤外線放射波動水
Pulit et al. Nanosilver-making difficult decisions
US20040076563A1 (en) Active structure, apparatus for activating substance, and method of activating substance
CN1844289A (zh) 纳米型多功能负离子材料及其应用
KR101508438B1 (ko) 친환경 기능성 도배풀 조성물
CN106311304A (zh) 一种紫外光及可见光催化复合纳米材料及其制备和应用
KR20170143214A (ko) 항균 기능성이 우수한 작물 생육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1390083B1 (en) Multi-functional material emitting far-infrared ray in aqueous phase and the use thereof
KR100309182B1 (ko) 활성 기능을 갖는 다용도 자화소성 세라믹 분말의 제조 방법
JP2001152129A (ja) 鉱物粉末組成物
JP7193192B1 (ja) 金属イオン配合ケイ酸塩被覆光触媒性複合組成物の製造方法
KR20050106363A (ko) 바이오 의치
CN106966460A (zh) 水质处理器
KR100761896B1 (ko) 고농도 미네랄 소금 제조방법
CN107694541B (zh) 一种硝酸盐处理剂的制备及应用
KR100333527B1 (ko) 자화 세라믹 과립체와 필터를 이용하여 활성화수를 생성하는 기구
CN108516787A (zh) 富硒锗防癌保健远红外陶瓷锅
KR100226422B1 (ko) 살균정수기능을 갖는 세라믹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75829B1 (ko) 다공성 환원 촉매제의 제조방법
KR19980065096A (ko) 폐수처리용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체의 제조방법
JP7430434B1 (ja) 炭酸カルシウム配合ケイ酸塩被覆金属イオン化合複合組成物の製造方法
Joseph et al. UV induced photocatalytic and antibacterial studies of zinc oxide nanoflowers prepared via casein assisted low-temperature method
KR101872347B1 (ko) 친환경 녹조 또는 적조 제거용 펠럿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