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6076A - 히터용 포트장치 - Google Patents

히터용 포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6076A
KR20040006076A KR1020020039592A KR20020039592A KR20040006076A KR 20040006076 A KR20040006076 A KR 20040006076A KR 1020020039592 A KR1020020039592 A KR 1020020039592A KR 20020039592 A KR20020039592 A KR 20020039592A KR 20040006076 A KR20040006076 A KR 20040006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eater
port
contents
communicat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9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호
Original Assignee
정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호 filed Critical 정승호
Priority to KR1020020039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6076A/ko
Publication of KR20040006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607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14Radiation heating stoves and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 for conve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6Devices for warming vessels containing drinks or food, especially by means of burners Warming devices with a burner, e.g. using gasoline; Travelling cookers, e.g. using petroleum or gasoline with one bu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터용 포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튜브히터의 배기구에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폐열을 이용 내부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고 발생되는 증기를 이용하여 가습효과와 함께 가열된 물은 별도로 활용이 가능하며 사용자에겐 안전성의 확보가 이루어지는 포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히터의 배기구엔 단순하게 안전성의 확보를 위한 차원에서 그릴을 설치하나, 이 경우에는 폐열의 낭비와 함께 부주의로 인한 화상의 방지가 확실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물론 종래에도 그릴의 상부에 주전자를 올는 경우도 있으나, 주전자의 하부를 거쳐 외벽면을 타고 배출되는 열기에 의하여 배기구 주변이 그을어 지저분하게 되기도 하며, 특히 주전자가 히터로부터 쉽게 넘어지거나 굴러 떨어지는 바람에 더 큰 위험한 문제를 야기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히터에서 사용하기 적합하게 포트본체를 구성하여, 포트본체가 쉽게 넘어지지 아니하고, 실내의 가습효과와 함께 때에 따라서는 포트본체의 경우에 히터와 결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도 활용이 가능하여 범용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한 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히터용 포트장치{A Port for Tube Heater}
본 발명은 히터용 포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튜브히터의 배기구에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폐열을 이용 내부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고 발생되는 증기를 이용하여 가습효과를 얻으면서 필요시 가열된 물은 별도로 활용이 가능하며 사용자에겐 안전성의 확보가 이루어지는 포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히터의 배기구엔 단순하게 안전성의 확보를 위한 차원에서 그릴을 설치하는 정도가 대부분인데, 이 경우에는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폐열이 그대로 낭비가 되고 때로는 부주의로 인하여 화상이 발생되며 따라서 이러한 화상의 방지가 근본적으로는 확보가 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도 실내의 가습이나 기타 목적으로 주전자를 그릴의 상부에 올려 놓고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주전자의 하부를 거쳐 외벽면을 타고 배출되는 열기에 의하여 히터 자체의 배기구 주변이 그을게 되기도 하고, 더우기 부주의에 의한 화상의 염려는 계속적으로 존재하게 되며, 특히 주전자가 히터로부터 쉽게 넘어지거나 굴러 떨어지는 바람에 더 큰 위험한 문제를 야기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다.
그리하여, 히터의 제조시에 배기구를 외부에서 감싸는 구조로 마련되는 안전용 그릴을 처음부터 안전을 위하여 그 상부엔 주전자나 기타 물품을 사용자가 얹어 놓지 못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고려하여 볼 수 있겠으나, 폐열의 재활용이나 아니면 가습효과를 얻고자 하는 등의 측면에서는 바람직하지 아니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히터에서 사용하기 적합하게 포트본체를 구성하되, 내부에 배기가스의 연통로를 형성하고 이 연통로를 통과하면서 물이나 기타 내용물을 가열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열효율이 보다 향상되면서 배기가스가 이러한 연통로를 통과한 이후엔 거의 화상의 염려가 없을 정도로 온도가 크게 낮춰진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며, 설사 포트본체의 내부에 물과 같은 내용물이 증발하여 존재하지 않더라도 그 자체가 연통의 역할을 수행하되, 그 외주면의 온도는 화상을 입지 않을 정도로 안전도를 갖추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트본체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배기구의 형태나 포트본체가 얹혀지게 되는 그릴의 형태를 크게 개선하여 포트본체가 쉽게 넘어지지 아니하고, 실내의 가습효과와 함께 때에 따라서는 포트본체의 경우에 히터와 결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도 활용이 가능하여 범용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일부 생략 요부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평면도,
도3은 도1의 횡단면도,
도4는 도1 내지 도3에 예시한 일례의 일부를 변형하여 도3과 대응되게 나타낸 횡단면도,
도5는 도1 내지 도3에 예시한 일례의 일부를 변형하여 도1과 대응되게 나타낸 종단면도,
도6은 도1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뚜껑의 일부 구성을 변형한 일례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7은 도1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그릴의 일부 구성을 변형한 일례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2:뚜껑,
3:손잡이, 4:배출구,
5,12:공간, 6:히터,
7:배기구, 8:그릴,
10:연통로, 14:단열재,
20:연통공, 22:뚜껑손잡이,
24:증기배출공, 80:요부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고자, 본체의 상부엔 개폐용 뚜껑을 설치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엔 손잡이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의 다른 일측엔 내용물의 배출구를 마련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엔 물과 같은 내용물을 넣고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통상의 포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서 히터의 배기구와 연결 설치되는 연통로를 마련하고, 상기 연통로의 외측엔 내용물을 넣기 위한 내부공간이 서로 인접되게 마련되어 히터의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열기가 상기 연통로를 경유하면서 내용물의 가열이 이루어지는 히터용 포트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뚜껑의 경우 내측에 연통공이 형성되고 다수의 증기 배출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히터의 배기가스가 내부공간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턱을 형성한 히터용 포트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통로는 히터의 배기구가 위치하는 부위에 연통로를 마련하되, 연통로를 복수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내부공간의 외주연에 별도의 이격된 공간을 마련하여 비워둔 상태를 유지하거나 아니면 단열 또는 보온목적의 단열재를 내장시킨 상태로 구성한 히터용 포트장치를 제공한다.
더우기, 상기 본체를 얹어 놓기 위한 부위인 히터의 그릴부위는 상기 본체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요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기구를 상기 그릴의 상부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하며 상기 배기구의 선단이 상기 본체의 연통로 내측으로 끼워 결합이 ㅇ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히터용 포트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별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1 내지 도7에 각각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통적으로, 본체(1)의 상부엔 개폐용 뚜껑(2)을 설치하고, 상기 본체(1)의 일측엔 손잡이(3)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1)의 다른 일측엔 내용물의 배출구(4)를 마련하며, 상기 본체(1)의 내부 공간(5)엔 물과 같은 내용물을 넣고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통상의 포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일측으로서 히터(6)의 배기구(7)와 연결 설치되는 연통로(10)를 마련하고, 상기 연통로(10)의 외측엔 내용물을 넣기 위한 상기 내부공간(5)이 서로 인접되게 마련되어 히터(6)의 배기구(7)를 통하여 배출되는 열기가 상기 연통로(10)를 경유하면서 내용물의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뚜껑(2)의 경우 도1 및 도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내측에 연통공(20)이 형성되고 그 외측으로 뚜껑손잡이(22)와 이격된 위치에 다수의 증기 배출공(2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통로(10)는 히터(6)의 배기구(7)가 위치하는 부위에 연통로(10)를 마련하되, 도1 내지 도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일 형태의 연통로(10)를 형성하여 구성하거나, 아니면 도5 및 도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연통로(10)를 복수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5)의 외주연에 별도의 이격된 공간(12)을 마련하여 도1 내지 도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비워둔 상태를 유지하거나 아니면 도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열 또는 보온목적의 단열재(14)를 내장시킨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더우기, 상기 본체(1)를 얹어 놓기 위한 부위인 히터(6)의 그릴(8)은 도1에 예시한 바와 같이 평평한 상태로 구성하거나 아니면 도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본체(1)를 외측에서 감싼 상태로 끼워 결합되도록 요부(80)를 별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7)의 경우에는 도1 및 도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그릴(8)의 상부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하고 상기 배기구(7)의 선단이 상기 본체(1)의 연통로(10) 내측으로 끼워 결합이 이루어져 서로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본체(1)가 쉽게 넘어지거나 다른 위치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사용시엔 우선 뚜껑(2)을 열고 본체(1)의 내부공간(5)에 물과 같은 내용물을 넣은 다음, 그릴(8)의 상부로서 연통로(10)에 배기구(7)가 끼워지도록 상부로부터 결합하여 그릴(8)의 상부에 올려 놓고 사용하게 된다. 물론, 그릴(8)에 이때 요부(8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엔 상기 요부(8)의 상부에 맞추어 얹어 놓고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체(1)를 올려 놓고 사용하게 되면 히터(6)의 가동시에 배기가스가 배기구(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나 본체(1)의 연통로(10)를 경유하면서 내측 공간(5)의 내용물에까지 열전달이 이루어지면서 내용물을 데워주고 연통로(10)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더 더욱 온도가 하강하게 된다.
더우기 별도의 공간(12)이나 단열재(14)를 내장하여 구성한 경우에는 공간(5) 내부의 내용물이 가열되더라도, 그 열기가 손잡이(3)나 본체(1)의 외측으로는 직접적으로 전달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전술한 본 발명인 포트는 반드시 히터의 배기구에만 설치하여 사용할 목적으로 개발된 것은 아니고, 때에 따라서는 일반 주방에서도 가스레인지나 기타 가열기구에 올려 놓고 사용하게 되면 연통로(10)가 가열매체의 통로로 활용이 이루어지므로 공간(5) 내부에 있던 내용물은 보다 신속하게 가열될 수 있게 된다.
공간(5) 내부에 있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고자 하는 경우엔 손잡이(3)를 잡고 본체(1) 전체를 들어 올려 손잡이(3)의 대향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4)를 하향으로 기울이면 내용물이 배출구(4)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원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연통로(10)가 위치하는 곳엔 히터(6)의 배기구(7)의 상단부가 끼워 결합되도록 하고, 때에 따라서는 본체(1)의 하부 외측은 그릴(8)의 요부(80)에 감싸여진 상태로 결합하면 본체(1)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넘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용물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수증기는 손잡이(3)와는 이격된 위치에 있게 되는 뚜껑(2)의 증기배출공(24)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데 기여랄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히터에서 사용하기 적합하게 포트본체(1)를 구성하되, 내부에 배기가스의 연통로(10)를 형성하고 이 연통로(10)를 통과하면서 물이나 기타 내용물을 가열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열효율이 보다 향상되면서 배기가스가 이러한 연통로(10)를 통과한 이후엔 거의 화상의 염려가 없을정도로 온도가 크게 낮춰진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며, 설사 포트본체(1)의 내부에 물과 같은 내용물이 증발하여 존재하지 않더라도 그 자체가 연통의 역할을 수행하되, 그 외주면의 온도는 화상을 입지 않을 정도로 안전도를 갖추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포트본체(1)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배기구(7)의 형태나 포트본체(1)가 얹혀지게 되는 그릴(8)의 형태를 크게 개선하여 포트본체(1)가 쉽게 넘어지지 아니하고, 실내의 가습효과와 함께 때에 따라서는 포트본체(1)의 경우에 히터(6)와 결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도 활용이 가능하여 범용으로 활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본체(1)의 상부엔 개폐용 뚜껑(2)을 설치하고, 상기 본체(1)의 일측엔 손잡이(3)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1)의 다른 일측엔 내용물의 배출구(4)를 마련하며, 상기 본체(1)의 내부 공간(5)엔 물과 같은 내용물을 넣고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통상의 포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일측으로서 히터(6)의 배기구(7)와 연결 설치되는 연통로(10)를 마련하고, 상기 연통로(10)의 외측엔 내용물을 넣기 위한 상기 내부공간(5)이 서로 인접되게 마련되어 히터(6)의 배기구(7)를 통하여 배출되는 열기가 상기 연통로(10)를 경유하면서 내용물의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용 포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은 내측에 연통공(20)이 형성되고 그 외측으로 뚜껑손잡이(22)와 이격된 위치에 다수의 증기 배출공(24)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용 포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10)는 히터(6)의 배기구(7)가 위치하는 부위에 연통로(10)를 마련하되, 연통로(10)를 복수개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의 포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5)의 외주연에 별도의 이격된 공간(12)을 마련하고 내부를 비워둔 상태를 유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의 포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12)의 내부에 단열재(14)를 내장시킨 상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의 포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를 얹어 놓기 위한 부위인 히터(6)의 그릴(8)에 상기 본체(1)를 외측에서 감싼 상태로 끼워 결합되도록 요부(80)를 별도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의 포트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7)가 상기 그릴(8)의 상부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하고 상기 배기구(7)의 선단이 상기 본체(1)의 연통로(10) 내측으로 끼워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의 포트장치.
KR1020020039592A 2002-07-09 2002-07-09 히터용 포트장치 KR20040006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592A KR20040006076A (ko) 2002-07-09 2002-07-09 히터용 포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592A KR20040006076A (ko) 2002-07-09 2002-07-09 히터용 포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076A true KR20040006076A (ko) 2004-01-24

Family

ID=37315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592A KR20040006076A (ko) 2002-07-09 2002-07-09 히터용 포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607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537B1 (ko) 2019-11-26 2021-02-0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
KR102213550B1 (ko) 2019-11-26 2021-02-0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습기 겸용 전열주전자
KR102213544B1 (ko) 2019-11-26 2021-02-0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습기 겸용 전열주전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7147U (ko) * 1974-04-26 1975-11-12
JPS5564024U (ko) * 1978-10-25 1980-05-01
JPS55163619U (ko) * 1979-05-12 1980-11-25
JPS5621130U (ko) * 1979-07-24 1981-02-25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7147U (ko) * 1974-04-26 1975-11-12
JPS5564024U (ko) * 1978-10-25 1980-05-01
JPS55163619U (ko) * 1979-05-12 1980-11-25
JPS5621130U (ko) * 1979-07-24 1981-02-25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537B1 (ko) 2019-11-26 2021-02-0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
KR102213550B1 (ko) 2019-11-26 2021-02-0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습기 겸용 전열주전자
KR102213544B1 (ko) 2019-11-26 2021-02-0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습기 겸용 전열주전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083735A (ja) 過熱蒸気調理装置
JP2005349188A (ja) 電気圧力炊飯器の蒸気排出装置
KR100844175B1 (ko) 탈취 구조를 갖는 이중 조리 냄비
KR20040006076A (ko) 히터용 포트장치
JP2001141216A (ja) ゴミ焼却機
CN208286842U (zh) 烹饪器具
JPS5847174B2 (ja) 家庭用炊飯器
JP4720598B2 (ja) 保温機器
JPH0515863Y2 (ko)
KR101142320B1 (ko) 조리용기
WO1989011066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cooking appliances
JP5087257B2 (ja) 加熱調理器
KR200208875Y1 (ko) 전기밥통의 단열 및 보온장치
KR20110005658U (ko) 단열 구조를 가지는 냄비
KR200218985Y1 (ko) 온수관이 구비된 가스화덕
KR950002626Y1 (ko) 조립식 취사통
JPH08247437A (ja) ガス直火型かまどの排気構造
JP3201602B2 (ja) 温水器
JPS589541Y2 (ja) 保温式ガス炊飯器
KR100439631B1 (ko) 보온코펠
JPS5916024Y2 (ja) 保温式ガス炊飯器
JPS58412Y2 (ja) 保温式ガス炊飯器の排気構造
KR200385677Y1 (ko) 배수관이 구비된 조리용 솥
KR19990026891A (ko) 전기보온밥솥의 수분공급 장치
CN108157747A (zh) 一种快速解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