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537B1 -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 - Google Patents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3537B1 KR102213537B1 KR1020190153131A KR20190153131A KR102213537B1 KR 102213537 B1 KR102213537 B1 KR 102213537B1 KR 1020190153131 A KR1020190153131 A KR 1020190153131A KR 20190153131 A KR20190153131 A KR 20190153131A KR 102213537 B1 KR102213537 B1 KR 1022135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e
- humidifier
- water
- water tank
- control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증기를 배출하는 가습기 기능을 갖거나 물을 배출하는 전기포트의 기능을 갖게되어 조작이 용이하고, 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협소한 장소의 공간활용성을 높인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포트의 기능과 가습기의 기능을 함께 갖는 전기포트 겸용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에 간단한 조작만을 가하여 전기포트와 가습기로써의 기능 변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포트 전용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주전자는 여러 가지 액체를 담아서 보관하며 용기나 그릇 등에 손쉽게 따르도록 하는 도구로써, 일반적으로 내부가 빈 형태인 본체가 있고, 본체 상면에는 뚜껑이 존재하여 먼지나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며, 본체 측면에 연통된 주둥이가 물을 배출하는 주둥이와 본체를 손으로 쥐고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한 손잡이를 주로 포함해서 제작된다.
근대에 들어서는 상기한 재래식 주전자를 대신하여 전기포트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불로 가열하는 대신 전기로 가열하는 방식의 전기포트는 가스레인지와 같은 시설을 갖추기 번거로운 장소에서도 물을 끓이기 용이하며 화재의 위험성 또한 낮다는 장점을 갖추고 있다.
한편, 가습기는 실내에서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주로, 겨울철에 보일러를 가동하면 열기가 발생하여 습도가 상당히 낮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환기를 제대로 하지 않으므로 사람들은 가습기를 통해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며 생활한다.
이처럼 사람들은 환경의 변화에 따라 건강 유지가 가능하도록 일정 온도 이상의 물을 마시기 위해 전기포트를 활용하거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가습기를 배치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렇게 전기포트 또는 가습기를 각각 구매하여 사용할 경우 최근 추세에 따른 소형 거주 공간에서는 생활 공간이 협소하여 제약이 따를 뿐만 아니라 두 가지 장치를 일괄적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따르며, 구조적으로 증기를 차단하는 것이 어려운 관계로 물을 끓임과 동시에 증기도 배출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보완책이 마련된 기술로써 등록특허공보 제 10-1935162 호(등록일 2018.12.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전자 내부를 기울여 물을 공급받을 시 가이드부재에 의해 스팀(증기)과 물이 지나가는 유로가 각각 나뉘어서 배출된다고 하였으나 상기 유로가 서로간에 완벽히 차단되지 않고, 스팀이 재순환되는 유로는 스팀포집기 안의 일정 부분만 포함이 되어 있으므로, 배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스팀 부분만 열기가 전해지며, 인위적으로 물의 토출량을 줄이기 위해 공간을 구획하는 부재가 다수 설치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본체와 그릴이 탈착식으로 개별 구성됨에 따라서 열의 전달이 온전히 본체에 전달되지 않고 방출되거나, 증기가 내용물에 고루 영향을 미치지 않고, 내부 중앙을 통해 즉시 증발하게 되므로 에너지 손실이 크다는 문제점과 증기를 담아두지 못하고 지속해서 증발하게 되므로 가습 기능을 적절한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으로 증기를 생성하여 배출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을 통해 가습기의 기능과 전기포트의 기능을 변환하여 수행할 수 있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을 끓여 온수를 제공하는 전기포트의 기능과 증기를 배출하여 습도를 증가시키는 가습기의 기능을 한 장치에 탑재하여 각각의 장치를 구매하는 데 드는 비용을 절감하고 협소한 장소의 공간활용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뚜껑에 부착된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물 또는 증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뚜껑을 3중층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전기포트의 구조에 가습기 기능을 첨가한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전기포트 모드 또는 가습기 모드로 변환이 가능하고, 각각의 모드에서 상기 손잡이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가열장치가 과열되지 않도록 안전 시스템을 내장한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체와 뚜껑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에 있어서, 본체부는 열전도성 재질로 제작되며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물탱크,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물탱크의 외부 측면 및 외부 하면을 둘러싼 형태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단에 위치하는 가열장치,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물탱크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주둥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뚜껑부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하부면에 일체형으로 부착되며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이 중앙의 구멍으로 통과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면과 동일한 형태 및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과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면 중앙에 상기 회전축이 일체형으로 부착되고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판, 상기 고정판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구멍으로써 형성되는 상부 증기 배출구, 상기 회전판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구멍으로써 형성되는 하부 증기 배출구,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 형성된 물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둥이와 상기 물 배출구가 일치할 때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전기포트 모드로 변환되고, 상기 상부 증기 배출구와 상기 하부 증기 배출구가 일치할 때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가습기 모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탱크는 상기 전기포트 모드에서 상기 주둥이를 통해 가열된 물을 배출하는 제1물탱크, 상기 가습기 모드에서 상기 상부 증기 배출구 및 상기 하부 증기 배출구를 통해 증기를 배출하는 제2물탱크, 상기 제1물탱크 및 상기 제2물탱크의 측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물탱크와 상기 제2물탱크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의 하단에 부착되며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모드 변환축, 상기 회전판의 상부면에 상기 모드 변환축이 삽입될 수 있는 알맞은 크기의 홈으로써 형성되는 모드 변환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손잡이와 연동하는 상기 모드 변환홈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모드 변환축이 상기 모드 변환홈의 내부 일측 끝단 또는 내부 타측 끝단에 접촉하면 상기 전기포트 모드 또는 상기 가습기 모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드 변환축은 상기 모드 변환홈과 맞닿는 표면에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 변환홈은 내부 일측 끝단 및 내부 타측 끝단에 돌기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전기포트 모드 또는 상기 가습기 모드일 때 상기 돌기와 상기 돌기홈이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에 상기 돌기와 연동하는 모드 고정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드 고정 버튼은 돌출된 상태를 디폴트 값으로 하고, 상기 모드 고정 버튼이 함몰되면 상기 돌기는 상기 모드 변환축의 내부로 함몰되고, 상기 모드 고정 버튼이 돌출되면 상기 돌기는 상기 모드 변환축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부는 상기 전기포트 모드와 상기 가습기 모드의 변환을 상기 제어장치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장치로 모드 신호를 송신하는 모드 인식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
또한,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제1물탱크를 가열하는 제1가열장치, 상기 제2물탱크를 가열하는 제2가열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모드 인식 센서를 통해 상기 전기포트 모드를 인식하면 상기 제1가열장치를 가동하여 상기 제1물탱크를 가열하고,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모드 인식 센서를 통해 상기 가습기 모드를 인식하면 상기 제2가열장치를 가동하여 상기 제2물탱크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외부 측면에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제어되는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현재 시각, 상기 물탱크의 내부 물의 온도, 주변 공기의 온도, 주변 공기의 습도를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와 원격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비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콘은 설치된 장소 주변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비콘 온도 센서, 설치된 장소 주변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비콘 습도 센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은 희망 습도를 40% 내지 80%로 설정하는 습도 설정 버튼, 작동시간을 1시간 내지 12시간으로 설정하는 타이머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습도 설정 버튼 및 상기 타이머 버튼은 상기 가습기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콘으로 측정된 주변 공기의 온도 및 주변 공기의 습도는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패널로 표시되고, 상기 습도 설정 버튼으로 설정한 희망 습도가 주변 공기의 습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가열장치를 작동하고, 상기 희망 습도가 주변 공기의 습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가열장치를 작동하지 않도록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물탱크의 측면 하단 또는 하부면에 설치되는 제1물 감지 센서, 상기 제2물탱크의 측면 하단 또는 하부면에 설치되는 제2물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물 감지 센서 및 상기 제2물 감지 센서는 상기 제어장치로 물 감지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기포트 모드일 때 상기 제1물 감지 센서에서 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가열장치의 작동을 중지하고, 상기 가습기 모드일 때 상기 제2물 감지 센서에서 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가열장치의 작동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제어되고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 위치하며 개방 또는 폐쇄를 통해 상기 제1물탱크와 상기 제2물탱크 사이의 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연결관 차단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관 차단기는 상기 전기포트 모드에서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연결관 차단기는 상기 가습기 모드에서 폐쇄된 상태를 디폴트 값으로 하고, 상기 제2물 감지 센서에서 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5 내지 30초간 개방된 후 다시 폐쇄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경보음을 내는 경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보장치는 상기 제1 감지 센서에서 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경보음을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증기 배출구 또는 상기 하부 증기 배출구는, 먼지 또는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이 상기 물탱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증기는 통과시키는 증기 배출구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상기 상부 증기 배출구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며 부착 또는 분리되는 증기 배출구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의 외부면을 감싸는 손잡이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커버의 재질은 PUR(Polyuretha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F(Polyvinyl fluoride), ECTFE(Ethylene-Chlorotrifluoroethylene), EPDM rubber(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AN(Styrene-acrylonitrile resin), PSU(Polysulfone), TEEE(Thermoplastic elastomer ether ester), MC(Monomer casting nylon), 6N(Nylon 6), MA(Methacrylate) 및 천연고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을 끓여 온수를 제공하는 전기포트의 기능과 증기를 배출하여 습도를 증가시키는 가습기의 기능을 한 장치에 탑재하여 각각의 장치를 구매하는 데 드는 비용을 절감하고 협소한 장소의 공간활용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뚜껑에 부착된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물 또는 증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뚜껑을 3중층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전기포트의 구조에 가습기 기능을 첨가한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전기포트 모드 또는 가습기 모드로 변환이 가능하고, 각각의 모드에서 상기 손잡이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가열장치가 과열되지 않도록 안전 시스템을 내장한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인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의 뚜껑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a는 전기포트 모드에서의 뚜껑부를 나타낸 조감 투시도이다.
도3b는 가습기 모드에서의 뚜껑부를 나타낸 조감 투시도이다.
도4a는 전기포트 모드에서의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4b는 가습기 모드에서의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5a는 전기포트 모드에서의 측면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5b는 가습기 모드에서의 측면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제어구조를 나타낸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도2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의 뚜껑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a는 전기포트 모드에서의 뚜껑부를 나타낸 조감 투시도이다.
도3b는 가습기 모드에서의 뚜껑부를 나타낸 조감 투시도이다.
도4a는 전기포트 모드에서의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4b는 가습기 모드에서의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5a는 전기포트 모드에서의 측면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5b는 가습기 모드에서의 측면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제어구조를 나타낸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는 도1 또는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체와 뚜껑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와 상기 뚜껑은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각각 본체부(1000)와 뚜껑부(2000)로 명명한다. 상기 본체부(1000)는 물탱크(1100), 하우징(1200), 가열장치(1300), 제어장치(1400) 및 주둥이(1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뚜껑부(2000)는 손잡이(2100), 회전축(2200), 고정판(2300), 회전판(2400), 상부 증기 배출구(2500), 하부 증기 배출구(2600) 및 물 배출구(2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는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100)의 회전에 의해 물이 배출되는 상기 물 배출구(2700)와 증기가 배출되는 상기 상부 증기 배출구(2500) 및 상기 하부 증기 배출구(2600)가 개폐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 배출구(2700)가 개방될 때는 상기 손잡이(21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주둥이(1500)와 방향이 일치하여 물을 배출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기 상부 증기 배출구(2500)와 상기 하부 증기 배출구(2600)는 일치하지 않아 증기의 배출은 차단된다. 또한, 상기 상부 증기 배출구(2500)와 상기 하부 증기 배출구(2600)가 일치하면 상기 물탱크(1100) 내부 끓는 물의 증기를 배출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기 물 배출구(2700)와 상기 주둥이(1500)의 방향은 일치하지 않아 물의 배출은 차단된다.
상기 물탱크(1100)는 내부에 물을 수용할 빈 공간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되어 물 또는 증기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1100)는 직육면체 또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의 물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물이 끓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제작되며, 끓은 물은 식용으로 사용되어야 하므로 장기간 고온에도 변질되지 않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탱크(1100)의 재질의 일 실시예로 스테인리스강인 STS(Steel Type Stainless) 304 또는 STS 316를 사용할 수 있다. STS 304는 식품 가공 산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재질로써 산성 물질에 내성이 강하며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STS 316은 STS 304의 단점인 염화물 용액 또는 염분 환경에서의 부식을 견딜 수 있는 강력한 내부식성과 비반응성을 가지고 있으나 STS 304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은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의 수돗물은 전세계적으로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염분이 낮으나 장기간 사용하면 용기에 부식을 일으킬 수 있어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탱크(1100)의 재질로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할 경우 안정성과 내구성, 오염방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스테인리스강은 금속 중 열전도율이 낮은 편에 속한다. 따라서 물이 끓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스테인리스강 내부에 열전도율이 높다고 알려진 금속인 알루미늄을 삽입하여 상기 물탱크(1100)의 열전도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00)은 상기 물탱크(1100)의 측면과 하부면을 둘러싼 형태이며 상단면은 상기 뚜껑부(20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200)의 내부에는 상기 물탱크(1100)와 상기 가열장치(1300) 및 상기 제어장치(1400)가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1200)의 외부면은 사용자가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상기 물탱크(1100)가 고온으로 가열됐을 때 상기 하우징(1200)의 열전도율이 높으면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200)의 재질은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장치(1300)는 본 발명의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와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전원부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물탱크(1100)를 가열한다. 상기 가열장치(1300)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한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가열장치(1300)와 상기 물탱크(1100)가 맞닿는 면에 써멀 구리스(Thermal Grease)를 발라 열전달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0)의 저면에는 전원의 입력에 의해 발열되는 히터 또는 유도코일 등의 가열 수단이 내장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가열장치(1300)에 전원이 공급될 경우 발열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화력을 이용하는 장작, 펠릿, 연탄, 숯 및 가스레인지와 같은 외부 열원으로부터 상기 본체부(1000)의 하부면에 열을 직접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400)는 상기 가열장치(1300)를 제어하고 본 발명에 설치될 수 있는 기타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0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본체부(1000)는 본 발명의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가 전기포트로 사용되거나 가습기로 사용될 때 모두 100℃를 초과한 온도까지 가열되므로, 내부에 정밀한 구조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장치(1400)는 열전도율이 낮은 물질의 케이스로 둘러싸여 보호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의 재질로써 마그네시아, 코르크, 발포스티렌수지(스티로폼) 등의 다기공성 재질을 사용하거나 유리면, 암면 등의 섬유질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장치(1400) 내부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부(2000)는 상기 본체부(1000)와 결합하는 결합면에 오링(O-ring)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링은 상기 본체부(10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물 또는 증기를 밀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상기 오링의 재질로써, 내열성과 내용제성이 우수한 물질인 니트릴 고무, 수소화 니트릴 고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방사선 가교 불소 고무 및 아크릴 고무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2100)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은 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손잡이(2100)의 형태는 바(bar) 또는 노브(knob)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 외로 손가락이 파지되는 부분이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 또는 손으로 쥐는 것이 가능한 어떤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가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상태를 전기포트 모드, 증기를 배출할 수 있는 상태를 가습기 모드로 명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기포트 모드와 상기 가습기 모드의 변환에 관하여 상기 회전축(2200), 상기 고정판(2300), 상기 회전판(2400), 상기 상부 증기 배출구(2500), 상기 하부 증기 배출구(2600) 및 상기 물 배출구(2700)의 설명을 겸하며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상기 물탱크(1100)에 더하여, 상기 전기포트 모드에서 상기 주둥이(1500)를 통해 가열된 물을 배출하는 제1물탱크(1110), 상기 가습기 모드에서 상기 상부 증기 배출구(2500) 및 상기 하부 증기 배출구(2600)를 통해 증기를 배출하는 제2물탱크(1120)를 더 포함하여 상기 물탱크(1100)를 구성할 수 있다.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물탱크(1110) 및 상기 제2물탱크(1120)의 측면 하부에는 연결관(1130)이 형성되어 상기 제1물탱크(1110)와 상기 제2물탱크(1120)를 연결한다. 본 발명인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에서 직접적으로 물을 충전하는 공간은 상기 제1물탱크(1110)이며, 상기 제1물탱크(1110)에 충전되는 물은 파스칼의 원리에 의해 상기 제2물탱크(1120)로 이동하여 상기 제1물탱크(1110)와 상기 제2물탱크(1120)의 물높이는 같게 된다. 상기 제2물탱크(1120)는 얇은 관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물탱크(1120)의 상단부는 개방된다. 상기 제2물탱크(1120)의 상단부는 상기 고정판(2300)에 형성된 상기 상부 증기 배출구(2500)의 동일 수직선상인 상기 회전판(2400)의 하부면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의 상기 뚜껑부(2000)는 상하면에 상기 고정판(2300)과 상기 회전판(2400)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판(2300)과 상기 회전판(2400)은 상기 회전축(2200)에 의해 서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판(2300)은 상기 손잡이(2100)의 회전력에 독립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2300)은 상기 뚜껑부(2000)가 상기 본체부(1000)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부(1000)의 상기 하우징(1200)과 직접 결합하는 부분이므로, 상기 하우징과의 결합을 통해 고정력을 얻는다. 상기 손잡이(2100)의 하부면에 부착 형성되는 상기 회전축(2200)은 상기 고정판(2300)의 중심부를 통과하며 상호 결합하지 않는다. 상기 손잡이(210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2200)과 상기 회전판(2400)이 일체로 연동 회전되고, 상기 고정판(2300)은 상기 손잡이(2100)의 회전에 독립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1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전기포트 모드와 상기 가습기 모드를 선택적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전기포트 모드와 상기 가습기 모드의 변환에 있어 그 일 실시예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모드 변환축(2310)과 상기 모드 변환축(2310)이 삽입될 수 있는 알맞은 크기의 홈으로써 형성되는 모드 변환홈(2410)을 포함하여 상기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2300)의 양측은 상기 모드 변환축(2310)이 하부면에 부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판(24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상기 모드 변환홈(2410)은 상기 손잡이(21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210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모드 변환축(2310)은 상기 모드 변환홈(2410)의 내부 일측 끝단 또는 내부 타측 끝단으로 이동하며 상기 물 배출구(2700)와 상기 주둥이(1500)의 방향을 일치시키거나 상기 상부 증기 배출구(2500)와 상기 하부 증기 배출구(2600)를 일치시키게 되고, 사용자가 상기 전기포트 모드 또는 상기 가습기 모드의 변환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기 포트 모드 또는 상기 가습기 모드에서의 상기 모드 변환축(2310)과 상기 모드 변환홈(2410)을 고정시켜주는 돌기(2320) 및 돌기홈(2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2320)는 상기 모드 변환축(2310) 또는 상기 모드 변환홈(24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홈(2410)은 그에 대응되는 상기 모드 변환홈(2410) 또는 상기 모드 변환축(2310)에 형성된다. 상기 모드 변환홈(2410)에 형성되는 돌기(2320) 또는 돌기홈(2410)은 상기 가습기 모드 또는 상기 전기포트 모드가 결정되는 상기 모드 변환홈(2410)의 내부 일측 끝단 또는 내부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한 모드를 고정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돌기(2320)가 상기 모드 변환축(2310)에 형성된 경우에 상기 돌기(2320)가 상기 모드 변환홈(2410) 내부를 이동하는데에 있어, 상기 회전판(2400)을 탄력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2100)에 상기 돌기(2320)와 연동하는 모드 고정 버튼(2110)을 더 포함하여 상기 모드 변환홈(2410) 내부에서의 상기 돌기(232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함이 가능하다. 상기 모드 고정 버튼(2110)은 상기 손잡이(2100)의 둘레에 형성되어 돌출된 상태를 디폴트 값으로 가지고,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100)를 쥐는 힘에 의해 상기 손잡이(2100) 내부로 함몰된다. 상기 모드 고정 버튼(2110)이 함몰되면 상기 돌기(2320) 또한 상기 모드 변환축(2310) 또는 상기 모드 변환홈(2410) 내부로 함몰되고, 상기 모드 고정 버튼(2110)이 다시 돌출되면 상기 돌기(2320) 또한 상기 모드 변환축(2310) 또는 상기 모드 변환홈(2410)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전기포트 모드와 상기 가습기 모드 간의 변환과 고정을 원활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의 상기 고정판(2300)과 상기 회전판(2400)의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증기 배출구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2100)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서로 대향(對向)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2100)의 일방향 회전으로부터 상기 회전축(2200)과 상기 회전판(2400)이 연동회전되어, 각각의 증기 배출구인 상기 상부 증기 배출구(2500)와 상기 하부 증기 배출구(2600)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될 경우, 상기 본체부(10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 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증기 배출구(2500) 및 상기 하부 증기 배출구(2600)의 수직선상의 위치가 동일하게 대향되었을 때, 상기 본체부(10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외부의 습도가 높고 낮음에 따라서, 증기 배출량이 적거나 많아지도록 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본체부(10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2100)의 회전각을 조절하여, 증기 배출구의 개방정도를 조절 하도록 구성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소비패턴에 맞춰 상기 증기 배출구가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도4a 내지 도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는 상기 회전판(2400)의 일측에 상기 물 배출구(2700)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2100)의 타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물 배출구(2700)와 상기 주둥이(1500)가 서로 대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손잡이(2100)의 일방향 회전으로부터, 상기 회전축(2200)과 상기 회전판(2400)이 연동회전 되어 상기 상부 증기 배출구(2500)와 상기 하부 증기 배출구(2600)가 동일한 수직선에 위치되고, 상기 손잡이(2100)의 타방향 회전으로부터 상기 회전축(2200)과 상기 회전판(2400)이 연동회전 되어 상기 물 배출구(2700)와 상기 주둥이(1500)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가 상기 손잡이(2100)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전기포트 기능과 가습기 기능이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다른 본 발명인 상기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전기포트 모드와 상기 가습기 모드의 변환을 상기 제어장치(1400)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뚜껑부(2000)에 모드 인식 센서(2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드 인식 센서(2330)는 상기 고정판(2300)의 하부면 또는 상기 회전판(240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증기 배출구(2500)와 상기 하부 증기 배출구(2600)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물 배출구(2700)와 상기 주둥이(1500)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여 서로 대향되는 것을 인식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모드 인식 센서(2330)를 버튼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물 배출구(2700)와 상기 주둥이(1500)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여 대향될 경우에는 상기한 버튼이 돌출 또는 함몰된 상태로 되어 상기 제어장치(1400)에 상기 전기포트 모드로 변환된 것을 전송하고, 상기 상부 증기 배출구(2500)와 상기 하부 증기 배출구(2600)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여 대향될 경우에는 상기한 버튼의 상태와 대응하여 함몰 또는 돌출된 상태로 되어 상기 제어장치(1400)에 상기 가습기 모드로 변환된 것을 전송한다.
상기 제어장치(1400)가 상기 전기포트 모드와 상기 가습기 모드를 각각 인식할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열장치(1300)를 상기 제1물탱크(1110)를 가열하는 제1가열장치(1310)와 상기 제2물탱크(1120)를 가열하는 제2가열장치(13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400)는 상기 제1가열장치(1310)와 상기 제2가열장치(1320)를 각각 가열하도록 제어함이 가능하다.
더하여,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1400)가 상기 모드 인식 센서(2330)를 통해 상기 전기포트 모드를 인식하면 상기 제1가열장치(1310)를 가동하여 상기 제1물탱크(1110)를 가열하고,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1400)가 상기 모드 인식 센서(2330)를 통해 상기 가습기 모드를 인식하면 상기 제2가열장치(1320)를 가동하여 상기 제2물탱크(1120)를 가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손잡이(2100)를 회전하는 것만으로 별도의 조작 없이도 상기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의 작동을 제어함이 가능하다.
또다른 본 발명인 상기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의 일 실시예로, 상기 본체부(1000)에 외부 측면에 상기 제어장치(1400)를 통해 제어되는 패널(16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패널(1600)은 유리, OLED, LCD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인 디스플레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1600)은 현재 시각, 상기 물탱크(1100) 내부 물의 온도, 주변 공기의 온도 및 주변 공기의 습도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패널(1600)의 현재 시각을 표시하는 기능은 상기 제어장치(1400)에 내장된다. 상기 물탱크(1100)의 외부면에 온도 센서를 더하여 상기 물탱크(1100) 내부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의 외부면에 온도 및 습도 센서를 더하여 주변 공기의 온도 및 주변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수치들을 상기 제어장치(1400)로 송신 후 상기 패널(1600)에 표시한다.
더하여, 상기 패널(1600)은 희망 습도를 40% 내지 80%로 설정하는 습도 설정 버튼(1610)과 작동시간은 1시간 내지 12시간으로 설정하는 타이머 버튼(16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습도 설정 버튼(1610) 및 상기 타이머 버튼(1620)은 터치식 또는 감압식으로 작동하며, 상기 가습기 모드에서만 활성화되고, 상기 전기포트 모드에서는 상기 습도 설정 버튼(1610) 및 상기 타이머 버튼(1620)이 작동하지 않는다.
더하여, 상기 제어장치(1400)와 원격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비콘(30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콘(3000)은 설치된 장소의 주변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비콘 온도 센서(3100)와 습도를 측정하는 비콘 습도 센서(3200)를 포함한다. 상기 비콘(3000)으로 측정된 주변 공기의 온도 및 주변 공기의 습도는 상기 제어장치(1400)로 송신되고, 상기 제어장치(1400)는 상기 패널(1600)로 상기한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패널(16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장치(1400)는 수신된 주변 공기의 습도를 상기 습도 설정 버튼(1610)에서 입력된 희망 습도와 비교하여 상기 희망 습도가 주변 공기의 습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가열장치(1300)를 작동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고, 상기 희망 습도가 주변 공기의 습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가열장치(1300)를 정지하여 증기의 발생을 멈춘다.
또다른 본 발명인 상기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의 일 실시예로, 물을 감지할 수 있는 물 감지 센서를 상기 물탱크(1100)에 더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1물탱크(1110)의 내부 측면 하단 또는 하부면에 제1물 감지 센서(1111)를 설치하고, 상기 제2물탱크(1120)의 내부 측면 하단 또는 하부면에 제2물 감지 센서(112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물 감지 센서(1111) 및 상기 제2물 감지 센서(1121)는 상기 제어장치(1400)로 물 감지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제어장치(1400)는 상기 전기포트 모드일 때 상기 제1물 감지 센서(1111)에서 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가열장치(1310)의 작동을 중지하고, 상기 가습기 모드일 때 상기 제2물 감지 센서(1121)에서 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가열장치(1320)의 작동을 중지하여 본 발명인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가 과열되어 생길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연결관(1130)의 내부에 상기 제어장치(1400)를 통해 개방과 폐쇄가 결정되는 연결관 차단기(113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관 차단기(1131)는 상기 전기포트 모드에서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어장치(1400)를 통해 제어되고, 상기 가습기 모드에서는 폐쇄된 상태를 디폴트 값으로 가지며 상기 제2물 감지 센서(1121)에서 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1400)를 통해 5 내지 30초간 개방된 후 다시 폐쇄된다. 상기 제어장치(1400)를 통해 상기 연결관 차단기(1131)가 개방되면 파스칼의 원리에 의해 상기 제1물탱크(1110)에서 상기 제2물탱크(1120)로 물이 이동하는 것은 이해 가능하다.
더하여, 상기 본체부(1000)에 상기 제어장치(1400)를 통해 경보음을 내는 경보장치(17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경보장치(1700)는 상기 제1물 감지 센서(1111)에서 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경보음을 내도록 상기 제어장치(1400)를 통해 제어된다. 또한, 상기 경보장치(1700)가 작동하면 상기 제어장치(1400)는 상기 제1가열장치(1310) 및 상기 제2가열장치(1320)를 중지하도록 신호를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일 실시예들로부터, 상기 제어장치(1400)를 통해 본 발명의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에서 사용자의 안전과 상기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피드백 시스템이 가동되고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한 일 실시예들로부터의 센서와 버튼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1400)에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장치(1400)에 의해 상기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의 구성요소가 제어된다.
상기 연결관(1130)은 금속 재질인 상기 제1물탱크(1110)와 상기 제2물탱크(1120)에 결합된 상태로 형성되는 동시에, 열전달 계수 및 열전도성이 낮은 금속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물탱크(1110) 내부의 물은 식수로 사용되어야 하므로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소재를 선택하여야 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연결관(1130)을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스테인리스강은 내식성이 뛰어난 동시에 열전도성이 낮은 물질이므로 상기 제1물탱크(1110) 및 상기 제2물탱크(1120)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관(1130)의 소재로도 사용함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관 차단기(1131)의 재질로써, 상기 연결관(1130)의 재질과 같이 열전달 계수 및 열전도성이 낮은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연결관 차단기(1131)는 상기 연결관(1130)과 결합하지 않으므로 상기 연결관(1130)과 달리 금속 재질만으로 구성할 필요성이 적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연결관 차단기(1131)의 재질로써 세라믹, 유리, PCT(Poly(cyclohexane-1,4-dimethylene terephthalate), PE(Polyethylne), PES(Polyethersulfo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P(Polypropylene) 및 스테인리스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물탱크(1110)와 상기 제2물탱크(1120)의 사이에 방열판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전기포트 모드 또는 상기 가습기 모드에서 상기 제1물탱크(1110)와 상기 제2물탱크(1120) 간의 열전달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방열판의 재질로써 전도성 고분자, 점토 입자, 레진, 탄소나노튜브, 스티로폼 및 그래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증기 배출구(2500) 또는 상기 하부 배출구에 증기 배출구 필터(2800)를 더하여 먼지 또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이 상기 물탱크(110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증기 배출구 필터(2800)는 400~800 메쉬(mesh)의 촘촘한 망 형태의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더욱 자세하게는 스테인리스강 또는 은을 사용하여 고온의 증기를 장기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메쉬의 범위에서는 1~5㎛의 크기의 이물질만이 상기 증기 배출구 필터(2800)를 통과할 수 있어 상기 물탱크(1100)의 외부 오염을 방지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부 증기 배출구(2500) 및 상기 하부 증기 배출구(2600)의 내부에 탈착식으로 결합되어 따로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판(2300)의 상부면에 증기 배출구 노즐(2340)을 더하여 상기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의 상기 가습기 모드에서 생성된 증기가 상기 상부 증기 배출구(2500)를 통해 배출될 때 증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증기 배출구 노즐(2340)은 내열성이 높은 재질로 제작되며 360°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증기 배출구 노즐(2340)을 통해 습도를 높일 위치에 증기를 분사하거나, 배출구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먼지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2100)에 손잡이커버(2120)를 더하여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100)를 쥐고 회전하여 본 발명의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에서 전기포트 모드 또는 가습기 모드로 변환할 때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손잡이커버(2120)의 재질로써 PUR(Polyuretha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F(Polyvinyl fluoride), ECTFE(Ethylene-Chlorotrifluoroethylene), EPDM rubber(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AN(Styrene-acrylonitrile resin), PSU(Polysulfone), TEEE(Thermoplastic elastomer ether ester), MC(Monomer casting nylon), 6N(Nylon 6), MA(Methacrylate) 및 천연고무를 제시하였다. 상기한 폴리머들은 PUR의 정마찰계수인 0.4를 기준으로 0.25 ~ 0.45의 범위의 정마찰계수를 나타낸다. 상기 폴리머 중 마찰계수가 최하인 폴리머는 0.25의 ECTFE이고, 최대인 폴리머는 0.45의 PVC이다. 상기 폴리머들은 80℃까지 깨짐 또는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200℃ ~ 300℃ 범위의 융점을 가지고 있어 내열성 또한 뛰어나 상기 손잡이커버(2120)를 구성하는 재질로써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100: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
1000: 본체부
1100: 물탱크
1110: 제1물탱크
1111: 제1물 감지 센서
1120: 제2물탱크
1121: 제2물 감지 센서
1130: 연결관
1131: 연결관 차단기
1200: 하우징
1300: 가열장치
1310: 제1가열장치
1320: 제2가열장치
1400: 제어장치
1410: 제1가열장치 제어부
1420: 제2가열장치 제어부
1430: 연결관 차단기 제어부
1440: 패널 제어부
1450: 타이머 제어부
1460: 습도 설정 제어부
1470: 경보장치 제어부
1500: 주둥이
1600: 패널
1610: 습도 설정 버튼
1620: 타이머 버튼
1700: 경보장치
2000: 뚜껑부
2100: 손잡이
2110: 모드 고정 버튼
2120: 손잡이커버
2200: 회전축
2300: 고정판
2310: 모드 변환축
2320: 돌기
2330: 모드 인식 센서
2340: 증기 배출구 노즐
2400: 회전판
2410: 모드 변환홈
2420: 돌기홈
2500: 상부 증기 배출구
2600: 하부 증기 배출구
2700: 물 배출구
2800: 증기 배출구 필터
3000: 비콘
3100: 비콘 온도 센서
3200: 비콘 습도 센서
1000: 본체부
1100: 물탱크
1110: 제1물탱크
1111: 제1물 감지 센서
1120: 제2물탱크
1121: 제2물 감지 센서
1130: 연결관
1131: 연결관 차단기
1200: 하우징
1300: 가열장치
1310: 제1가열장치
1320: 제2가열장치
1400: 제어장치
1410: 제1가열장치 제어부
1420: 제2가열장치 제어부
1430: 연결관 차단기 제어부
1440: 패널 제어부
1450: 타이머 제어부
1460: 습도 설정 제어부
1470: 경보장치 제어부
1500: 주둥이
1600: 패널
1610: 습도 설정 버튼
1620: 타이머 버튼
1700: 경보장치
2000: 뚜껑부
2100: 손잡이
2110: 모드 고정 버튼
2120: 손잡이커버
2200: 회전축
2300: 고정판
2310: 모드 변환축
2320: 돌기
2330: 모드 인식 센서
2340: 증기 배출구 노즐
2400: 회전판
2410: 모드 변환홈
2420: 돌기홈
2500: 상부 증기 배출구
2600: 하부 증기 배출구
2700: 물 배출구
2800: 증기 배출구 필터
3000: 비콘
3100: 비콘 온도 센서
3200: 비콘 습도 센서
Claims (19)
- 본체와 뚜껑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에 있어서,
본체부(1000)는,
열전도성 재질로 제작되며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물탱크(1100);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물탱크(1100)의 외부 측면 및 외부 하면을 둘러싼 형태의 하우징(1200);
상기 하우징(1200)의 내부 하단에 위치하는 가열장치(1300);
상기 본체부(10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열장치(13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1400);
상기 하우징(1200)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물탱크(1100)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주둥이(1500);를 포함하고,
뚜껑부(200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손잡이(2100);
상기 손잡이(2100)의 하부면에 일체형으로 부착되며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축(2200);
상기 손잡이(2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2200)이 중앙의 구멍으로 통과하고, 상기 하우징(1200)의 개방된 상부면과 동일한 형태 및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200)의 상부면과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고정판(2300);
상기 고정판(23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면 중앙에 상기 회전축(2200)이 일체형으로 부착되고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판(2400);
상기 고정판(2300)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구멍으로써 형성되는 상부 증기 배출구(2500);
상기 회전판(2400)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구멍으로써 형성되는 하부 증기 배출구(2600);
상기 회전판(2400)의 하부 일측에 홈으로 형성된 물 배출구(2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둥이(1500)와 상기 물 배출구(2700)가 일치할 때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전기포트 모드로 변환되고,
상기 상부 증기 배출구(2500)와 상기 하부 증기 배출구(2600)가 일치할 때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가습기 모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1100)는,
상기 전기포트 모드에서 상기 주둥이(1500)를 통해 가열된 물을 배출하는 제1물탱크(1110);
상기 가습기 모드에서 상기 상부 증기 배출구(2500) 및 상기 하부 증기 배출구(2600)를 통해 증기를 배출하는 제2물탱크(1120);
상기 제1물탱크(1110) 및 상기 제2물탱크(1120)의 측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물탱크(1110)와 상기 제2물탱크(1120)를 연결하는 연결관(1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2300)의 하단에 부착되며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모드 변환축(2310);
상기 회전판(2400)의 상부면에 상기 모드 변환축(2310)이 삽입될 수 있는 알맞은 크기의 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모드 변환홈(24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210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손잡이(2100)와 연동하는 상기 모드 변환홈(2410)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모드 변환축(2310)이 상기 모드 변환홈(2410)의 내부 일측 끝단 또는 내부 타측 끝단에 접촉하면 상기 전기포트 모드 또는 상기 가습기 모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환축(2310)은 상기 모드 변환홈(2410)과 맞닿는 표면에 돌기(23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 변환홈(2410)은 내부 일측 끝단 및 내부 타측 끝단에 돌기홈(2410);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전기포트 모드 또는 상기 가습기 모드일 때 상기 돌기(2320)와 상기 돌기홈(2410)이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100)는 상기 돌기(2320)와 연동하는 모드 고정 버튼(21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드 고정 버튼(2110)은 돌출된 상태를 디폴트 값으로 하고,
상기 모드 고정 버튼(2110)이 함몰되면 상기 돌기(2320)는 상기 모드 변환축(2310)의 내부로 함몰되고, 상기 모드 고정 버튼(2110)이 돌출되면 상기 돌기(2320)는 상기 모드 변환축(23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2000)는,
상기 전기포트 모드와 상기 가습기 모드의 변환을 상기 제어장치(1400)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장치(1400)로 모드 신호를 송신하는 모드 인식 센서(2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1300)는,
상기 제1물탱크(1110)를 가열하는 제1가열장치(1310);
상기 제2물탱크(1120)를 가열하는 제2가열장치(1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400)가 상기 모드 인식 센서(2330)를 통해 상기 전기포트 모드를 인식하면 상기 제1가열장치(1310)를 가동하여 상기 제1물탱크(1110)를 가열하고,
상기 제어장치(1400)가 상기 모드 인식 센서(2330)를 통해 상기 가습기 모드를 인식하면 상기 제2가열장치(1320)를 가동하여 상기 제2물탱크(1120)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0)의 외부 측면에 상기 제어장치(1400)를 통해 제어되는 패널(16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1600)은 현재 시각, 상기 물탱크(1100)의 내부 물의 온도, 주변 공기의 온도, 주변 공기의 습도를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400)와 원격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비콘(3000);을 더 포함하고,
설치된 장소 주변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비콘 온도 센서(3100);
설치된 장소 주변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비콘 습도 센서(3200);가 포함된 상기 비콘(30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1600)은,
희망 습도를 40% 내지 80%로 설정하는 습도 설정 버튼(1610);
작동시간을 1시간 내지 12시간으로 설정하는 타이머 버튼(16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습도 설정 버튼(1610) 및 상기 타이머 버튼(1620)은 상기 가습기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3000)으로 측정된 주변 공기의 온도 및 주변 공기의 습도는 상기 제어장치(1400)를 통해 패널(1600)로 표시되고,
상기 습도 설정 버튼(1610)으로 설정한 희망 습도가 주변 공기의 습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가열장치(1300)를 작동하고, 상기 희망 습도가 주변 공기의 습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가열장치(1300)를 작동하지 않도록 상기 제어장치(1400)를 통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탱크(1110)의 내부 측면 하단에 설치되는 제1물 감지 센서(1111);
상기 제2물탱크(1120)의 내부 측면 하단에 설치되는 제2물 감지 센서(112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물 감지 센서(1111) 및 상기 제2물 감지 센서(1121)는 상기 제어장치(1400)로 물 감지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1400)는 상기 전기포트 모드일 때 상기 제1물 감지 센서(1111)에서 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가열장치(1310)의 작동을 중지하고, 상기 가습기 모드일 때 상기 제2물 감지 센서(1121)에서 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가열장치(1320)의 작동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130)은 상기 제어장치(1400)를 통해 제어되고 상기 연결관(1130)의 내부에 위치하며 개방 또는 폐쇄를 통해 상기 제1물탱크(1110)와 상기 제2물탱크(1120) 사이의 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연결관 차단기(113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 차단기(1131)는 상기 전기포트 모드에서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연결관 차단기(1131)는 상기 가습기 모드에서 폐쇄된 상태를 디폴트 값으로 하고, 상기 제2물 감지 센서(1121)에서 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1400)를 통해 5 내지 30초간 개방된 후 다시 폐쇄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400)를 통해 경보음을 내는 경보장치(1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보장치(1700)는 상기 제1물 감지 센서(1111)에서 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경보음을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증기 배출구(2500) 또는 상기 하부 증기 배출구(2600)는,
먼지 또는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이 상기 물탱크(1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증기는 통과시키는 증기 배출구 필터(2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2300)은,
상기 고정판(230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상부 증기 배출구(250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2300)과 부착 또는 분리되는 증기 배출구 노즐(23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100)의 외부면을 감싸는 손잡이커버(2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커버(2120)의 재질은 PUR(Polyuretha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F(Polyvinyl fluoride), ECTFE(Ethylene-Chlorotrifluoroethylene), EPDM rubber(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AN(Styrene-acrylonitrile resin), PSU(Polysulfone), TEEE(Thermoplastic elastomer ether ester), MC(Monomer casting nylon), 6N(Nylon 6), MA(Methacrylate) 및 천연고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1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3131A KR102213537B1 (ko) | 2019-11-26 | 2019-11-26 |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3131A KR102213537B1 (ko) | 2019-11-26 | 2019-11-26 |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13537B1 true KR102213537B1 (ko) | 2021-02-05 |
Family
ID=74558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3131A KR102213537B1 (ko) | 2019-11-26 | 2019-11-26 |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3537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32609A (ko) | 1995-12-30 | 1997-07-22 | 배순훈 | 자포트의 가습장치 |
JP2000083822A (ja) * | 1998-09-08 | 2000-03-2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電気湯沸かし器 |
KR100262633B1 (ko) * | 1998-06-23 | 2000-09-01 | 구자홍 | 전기 압력밥솥을 이용한 가습방법 |
KR20040006076A (ko) | 2002-07-09 | 2004-01-24 | 정승호 | 히터용 포트장치 |
KR101843117B1 (ko) * | 2017-03-22 | 2018-03-28 | 이향진 | 가습기능이 있는 젖병 가열기 |
KR101935162B1 (ko) | 2017-07-17 | 2019-01-03 | 정규태 | 주전자 겸용 스팀 제너레이터 |
-
2019
- 2019-11-26 KR KR1020190153131A patent/KR10221353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32609A (ko) | 1995-12-30 | 1997-07-22 | 배순훈 | 자포트의 가습장치 |
KR100262633B1 (ko) * | 1998-06-23 | 2000-09-01 | 구자홍 | 전기 압력밥솥을 이용한 가습방법 |
JP2000083822A (ja) * | 1998-09-08 | 2000-03-2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電気湯沸かし器 |
KR20040006076A (ko) | 2002-07-09 | 2004-01-24 | 정승호 | 히터용 포트장치 |
KR101843117B1 (ko) * | 2017-03-22 | 2018-03-28 | 이향진 | 가습기능이 있는 젖병 가열기 |
KR101935162B1 (ko) | 2017-07-17 | 2019-01-03 | 정규태 | 주전자 겸용 스팀 제너레이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187292A (zh) | 液体加热容器和控制装置 | |
TW201135107A (en) | System and method of touch free automatic faucet | |
KR102213537B1 (ko) |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 | |
CN203234563U (zh) | 旋转式自动加水茶炉组件 | |
US10795386B2 (en) | Hot water faucet | |
CN206006934U (zh) | 一种具有Wi‑Fi提醒功能的电水壶 | |
CN210279205U (zh) | 一种可视自动恒温水浴锅 | |
CN107136940A (zh) | 一种饮水机取水用温度调节系统 | |
CN209155889U (zh) | 一种数显水浴锅 | |
US20230073047A1 (en) | Metered dispense pot filler | |
US20100031744A1 (en) | Thermal Liquid Container Having Liquid Level Indicator | |
CN201314689Y (zh) | 自动直流式开水器 | |
CN202567803U (zh) | 一种多功能挂式饮水装置 | |
KR101739781B1 (ko) | 전열조리기 | |
CN202018119U (zh) | 多功能开水器 | |
CN201591460U (zh) | 多功能电热水壶 | |
CN205205940U (zh) | 即热式灶台水盆节水系统 | |
KR101433206B1 (ko) |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포트타입 정수기 | |
CN110926034B (zh) | 一种热水器及其控制面板 | |
KR102213550B1 (ko) | 가습기 겸용 전열주전자 | |
CN205689888U (zh) | 一种智能型防冻水龙头 | |
JP3322165B2 (ja) | 加湿器 | |
CN110227569A (zh) | 一种可视自动恒温水浴锅 | |
KR19990036185U (ko) | 타이머 부착 냄비뚜껑 | |
CN210716257U (zh) | 可控温度水龙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