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4309A -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생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생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4309A
KR20040004309A KR1020030093129A KR20030093129A KR20040004309A KR 20040004309 A KR20040004309 A KR 20040004309A KR 1020030093129 A KR1020030093129 A KR 1020030093129A KR 20030093129 A KR20030093129 A KR 20030093129A KR 20040004309 A KR20040004309 A KR 20040004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activity
herbal
rad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숙
정계임
정영철
전성식
서종권
Original Assignee
김희숙
정계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숙, 정계임 filed Critical 김희숙
Priority to KR1020030093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4309A/ko
Publication of KR20040004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30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생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생약재 조성물은 황기 5∼20 중량%, 백봉령 5∼20 중량%, 맥문동 5∼20 중량%, 오가피 5∼20 중량%, 산약 5∼20 중량%, 구기자 5∼20 중량%, 당귀 5∼20 중량%, 하수오 5∼20 중량%, 백화사설초 2∼20 중량%, 토사자 4∼20 중량%, 백출 4∼20 중량%, 오미자 2∼10 중량%, 표고버섯 4∼15 중량%, 및 감초 0∼15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생약재 조성물은 면역조절 및 증강활성이 우수하여 인체의 면역기능을 강화시켜 각종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생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 COMPOSITION WITH A GOOD IMMUNOSTIMULATING ACTIVITY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생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생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암의 발생과 종양세포의 증식에 대응하는 숙주의 생체 방어기구로서 생체의 면역작용에 의한 면역감시 기능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이러한 항종양 면역작용은 T 세포와 B 세포 등의 임파구(lymphocyte), 대식세포(macrophage) 및 킬러세포(natural killer cell) 등에 의해 수행되어진다.
면역세포의 활성화로 발생되는 대식세포의 증식 및 활성화, B 및 T 임파구 세포의 증식 및 분화는 생체의 방어기능인 면역계 초기 조절에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즉 면역세포의 활성화가 계속 진행되면 세포들의 증식과 분화과정에서 각종 사이토킨(cytokine)들이 분비되어 연속적인 면역기능의 증폭과 조절이 가능해 진다.
이와 같은 신호전달의 초기 과정에 대한 분자단계의 연결과 조절 현상들이 밝혀지면서, 천연 및 합성물질을 대상으로 면역조절제(immunomodulator)를 탐색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면역활성 저하로 발생되는 대표적인 질환인 암은 외과적 수술요법, 화학요법 및 방사선요법 등이 행하여지고 있으나 치료의 한계성과 부작용으로 인해 많은 단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비하여 면역조절제를 이용한 치료는 인체에 세포독성을 주지 않고 무해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면역증강에 의해 암세포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천연물에서 면역활성 조절물질을 탐색하여 그 활성이 보고된 것으로는 담자균류인 버섯(영지, 운지, 상황버섯 등)의 단백다당체, 표고버섯의 레티난 (lentinan), 구름버섯의 크레스틴(krestin) 및 치마버섯의 시조필란(sizofilan) 등은 상품화 단계에 있다. 그 외에 당귀, 겨우살이, 자근, 마황, 진피, 웅황, 해양천연물의 렉틴(lectin) 등이 면역조절제 소재로 활용성이 높은 선도물질임이 보고된 바 있다.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암, 고혈압, 당뇨병 등 성인병 치료에 대한 의료기술의 한계 노출로 인하여 일상 생활 속에서 섭취하고 있는 식품을 통한 이들 질병의 예방 및 관리가 최선의 방법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외적으로 면역조절물질을 응용한 기능성식품(functional food), 영양의약식품 (nutraceutical food) 또는 약용식품(pharma food) 등 특정 생체조절기능을 강화시킨 건강지향형 식품의 개발에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생약재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황기 5∼20 중량%, 백봉령 5∼20 중량%, 맥문동 5∼20 중량%, 오가피 5∼20 중량%, 산약 5∼20 중량%, 구기자 5∼20 중량%, 당귀 5∼20 중량%, 하수오 5∼20 중량%, 백화사설초 2∼20 중량%, 토사자 4∼20 중량%, 백출 4∼20 중량%, 오미자 2∼10 중량%, 표고버섯 4∼15 중량%, 및 감초 0∼15 중량%를 포함하는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생약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생약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생약재 조성물은 면역조절 및 증강활성이 우수한 생약재로서 황기, 백봉령, 맥문동, 오가피, 산약, 구기자, 당귀, 하수오, 백화사설초, 토사자, 백출, 오미자, 표고버섯, 및 감초를 포함한다. 상기 생약재 성분의 이름과 함량은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생약재 성분의 최적 함량
생약재 성분 함량(중량%)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Bunge) 5∼20
백봉령(Poria cocosWolf.) 5∼20
맥문동(Liriope platyphyllaWang et Tang) 5∼20
오가피(Acanthopanax sessiliflorumSeeman) 5∼20
산약(Dioscorea japonicaThunberg) 5∼20
구기자(Lycium chinenseMiller) 5∼20
당귀(Angelica gigasNakai) 5∼20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Thunberg) 5∼20
백화사설초(Agkistrodon acutus) 2∼10
토사자(Cuscuta chinensisLamark) 4∼20
백출(Atractylodes japonicaKoidzumi) 4∼20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Baillon) 2∼10
표고버섯(Lentinus edodes) 4∼15
감초(Glycyrrhiza glabraL.) 0∼15
상기 생약재 조성물은 각 생약재 구성성분을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조성비로 함유한다. 상기 구성성분의 조성비가가 상기 범위내에 있을 때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하고 각 구성성분의 상승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의 생약재 조성물은 대식세포 활성 즉, 대식세포의 증식능력 및 위족형성능, 대식세포의 식작용 촉진, 일산화질소(nitric oxide) 생성 증가, 대식세포의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 대식세포의 사이토킨 생성능 즉, TNF-α, IL-1β및 IL-6의 분비량 증가 활성 등 면역활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생약재 조성물은 각 생약재 구성성분의 분쇄혼합물, 열수추출물 또는 농축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정 조성비로 혼합된 생약재 구성성분들을 건조 분쇄하여 분말 상태로 제조한 분쇄 혼합물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이 분쇄 혼합물에 10배의 물을 가하여 90∼100℃의 온도에서 5시간 이상 추출하여 열수추출물로 제조할 수도 있고, 이를 농축하여 40 brix 이상의 농축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생약재 조성물의 용도에 따라 엑기스, 즙, 과립, 분쇄물로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일정 조성비의 생약재 성분을 포함하는 면역조절 및 증강활성을 가지는 생약재 조성물은 식품위생법상 또는 약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형재를 이용한 공지의 방법으로 건강식품소재 또는 기능성 식품소재화 되어 다양한 기능성 식품에 첨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성 식품은 종래의 모든 식품이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면역기능이 강화된 기능성 식품으로 상품화되고 있지 않은 전통한과류에도 적용한다. 이러한 전통한과류에는 다식, 강정, 유과, 양갱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전통한과의 제조방법은 종래의 방법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생약재 조성물은 분말 또는 액상의 추출물로 기능성 식품과 용이하게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생약재 조성물은 첨가되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제형으로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엑기스, 즙, 열수추출물, 분말, 과립, 분쇄물을 들 수 있다. 기능성 식품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생약재 조성물의 제형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에 의하여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식의 제조방법은 생약재 조성물 분말을 미분말화하고, 이 분말에 꿀 또는 물엿을 첨가하여 골고루 반죽하고, 얻어진 반죽을 다식판을 이용하여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분말에 첨가되는 꿀이나 물엿의 일부를 이소말토올리고당과 같은 기능성 올리고당을 사용하면 전분 노화 억제 활성을 통하여 유통기한의 연장, 장내 유용 세균의 생육 촉진, 정장활성 및 충치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면역기능이 강화된 강정은 찹쌀을 약 7∼14일간 자연발효시키고, 수침된 찹쌀을 세척, 탈수 및 분쇄하여 미분말화하여 찹쌀가루를 제조하고, 이 찹쌀가루에 40 brix 이상의 농축물인 생약재 조성물 1∼5 중량%, 술 1∼3 중량%, 생강즙 0.5∼2 중량% 및 정제염 0.1 중량%를 첨가하여 잘 반죽한 후 증숙하고, 증숙된 것에 콩가루를 넣고 반죽하고, 반죽된 원료를 성형기에서 성형하여 건조하고, 건조된 강정 원료를 대두유로 튀기고, 튀긴 강정을 생약재 농축 조성물 및 물엿의 혼합액에 침지하고, 백미 튀밥을 입히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상기 강정 제조시 물엿의 일부를 이소말토올리고당과 같은 기능성 올리고당을 사용하면 전분 노화 억제 활성을 통하여 유통기한의 연장, 장내 유용 세균의 생육 촉진, 정장활성 및 충치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양한 생약재 분쇄혼합물 또는 추출물을 이용하여 식품소재를 제조한 다음 이들 조성물을 다식 및 강정 제조공정 중에 첨가함으로써 면역조절기능 저하로 발생되는 암, 노화, 각종 질병의 예방 및 개선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다식 및 강정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좀 더 상세하게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약재 조성물의 제조
면역 증강 활성 생약재로 황기, 백봉령, 맥문동, 오가피, 산약, 구기자, 당귀, 하수오, 백화사설초, 토사자, 백출, 오미자, 표고버섯 및 감초를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일정 조성을 가지도록 제조한 다음 시료를 건조, 분쇄하고 10배의 증류수를 가하여 90∼100℃에서 5시간 이상 추출하였다. 상기 열수추출물을 여과하여 찌꺼기를 제거한 순수한 생약 열수추출액을 얻었다. 여과된 열수추출액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100℃에서 40 Brix 이상 되게 농축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약재 조성물 1∼3을 제조하였다.
생약재 성분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
황기 6 10 10
백봉령 6 8 10
맥문동 6 8 10
오가피 6 8 10
산약 6 8 10
구기자 6 5 10
당귀 6 5 10
하수오 6 5 10
백화사설초 5 4 5
토사자 5 4 10
백출 5 4 10
오미자 3 2 5
표고버섯 6 5 10
감초 5 - 10
대식세포는 숙주의 방어기구의 일부로서 면역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즉 외부물질 침입을 가장 먼저 인지하여 체액성 면역과 세포성 면역에 관여한다. 대식세포가 활성화되면 증식과 위족 형성능력의 향상 등과 같은 세포의 형태적 변화뿐만 아니라 대식세포의 식작용 활성이 증가하고 일산화질소(NO)와 사이토킨의 생성양이 증가하여 종국적으로 암세포와 각종 유해균의 성장을 억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생약재 조성물의 면역증강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시예 2: 대식세포 활성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농축액을 일부 동결건조하여 분말을 면역증강 활성을 평가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동결건조 분말을 증류수에 첨가하여 적당한 농도로 희석시킨 다음 농도에 따른 대식세포 활성을 MTT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대식세포 활성은 증식 활성(proliferative activity)과 위족 형성능(spreading ability)으로 평가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지 않고 테트라졸륨염(tetrazolium salt) XXT 시약이 오직 살아 있는 세포에서만 오렌지색의 포르마잔(formazan)을 형성할 수 있는 원리를 이용하여 생체외(in vitro) 임파구 세포 증식능을 평가하였다. 무처치한 마우스에서 무균적으로 채취한 비장에서부터 10% 소의 태아 혈청(fetal calf serum(FCS : GIBCO)), 2mM L-글루타민, 15mM HEPES 및 5㎍/㎖ genta-마이신이 함유된 RPMI 1640용액을 사용하여 단일세포 배양액을 조제한 다음 비장세포 배양액을 2×105cells/㎖ 농도로 조절하여 96-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 100㎕씩 첨가하고, 여기에 조성물 1 내지 3을 1∼200㎍/㎖ 농도로 처리한 후 72시간 배양하였다. XTT labeling 시약에 일렉트론 커플링 시약이 첨가된 XXT 라벨링(laeling) 혼합액 50㎕(최종농도 0.3㎍/㎖)을 각 웰에 첨가한 다음 세포를 전처리 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 3에서 증식 활성은 대조구의 흡광도에 대한 측정된 흡광도의 비율로 나타내었다.
대식세포의 위족형성능은 복강 대식세포를 1×105cell/웰로 조절하여 96-웰 플레이트에서 조성물 1 내지 3과 혼합하여 배양한 후 평가하였다. 표 3의 결과는 300개의 대식세포중 위족 형성된 대식세포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양성대조군으로는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를 사용하였다.
증식활성 위족형성능
대조구 1.00±0.11 1.00±0.13
조성물 1(10㎍/㎖) 1.38±0.15 1.74±0.16
조성물 1(50㎍/㎖) 2.25±0.24 2.94±0.28
조성물 1(100㎍/㎖) 3.21±0.38 3.98±0.37
조성물 2(10㎍/㎖) 1.56±0.17 1.98±0.21
조성물 2(50㎍/㎖) 2.49±0.25 3.63±0.40
조성물 2(100㎍/㎖) 3.42±0.38 4.91±0.48
조성물 3(10㎍/㎖) 1.73±0.18 2.15±0.25
조성물 3(50㎍/㎖) 2.80±0.29 3.81±0.39
조성물 3(100㎍/㎖) 3.78±0.40 5.73±0.55
LPS(0.5㎍/㎖) 3.87±0.32 5.09±0.58
주) 상기 표 3의 결과는 4개의 시료에 대하여 3회 반복하여 얻은 평균±SD이다.
유의수준 p<0.01: 대조구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활성을 보였다.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성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대식세포의 증식활성과위족 형성능이 증가하였고 특히 조성물 3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3: 대식세포의 식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식세포의 식작용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복강 대식세포(1×106cell/well)를 46-웰 배양 플레이트에서 조성물 1 내지 3과 혼합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된 세포를 완충액으로 세척한 다음 FITC-라텍스 마이크로비드(microbead)와 함께 37℃ 에서 90분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2% FBS가 함유된 포스페이트-PBS 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식작용 활성을 형광분광광도계(flurorescence spectrophotometer(FL600, Bio-tek))를 사용하여 형광 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기재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를 사용하였다.
식작용 활성(형광강도)
대조구 264.1±23.4
조성물 1(10㎍/㎖) 257.6±26.1
조성물 1(50㎍/㎖) 341.7±35.4
조성물 1(100㎍/㎖) 548.9±55.2
조성물 2(10㎍/㎖) 298.2±30.4
조성물 2(50㎍/㎖) 394.5±41.2
조성물 2(100㎍/㎖) 602.1±62.3
조성물 3(10㎍/㎖) 320.2±33.1
조성물 3(50㎍/㎖) 450.3±46.8
조성물 3(100㎍/㎖) 638.7±63.2
LPS(0.5㎍/㎖) 641.5±67.3
주) 상기 표 4의 결과는 4개의 시료에 대하여 3회 반복하여 얻은 평균±SD이다.
유의수준 p<0.01: 대조구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활성을 보였다.
본 발명의 생약재 조성물로 처리된 대식세포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마이크로비드를 탐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생약재 조성물이 대식세포의 식작용을 촉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일산화질소(nitric oxid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2×105cell/㎖의 복강 대식세포를 조성물 1 내지 3과 함께 48-웰 플레이트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 상등액에 존재하는 일산화질소(NO) 량을 Griess 시약을 사용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기재하였다.
일산화질소(NO)
대조구 4.53±0.44
조성물 1(10㎍/㎖) 8.25±0.87
조성물 1(50㎍/㎖) 28.62±2.91
조성물 1(100㎍/㎖) 42.47±4.35
조성물 2(10㎍/㎖) 9.31±0.92
조성물 2(50㎍/㎖) 30.19±3.24
조성물 2(100㎍/㎖) 45.65±4.45
조성물 3(10㎍/㎖) 10.87±1.10
조성물 3(50㎍/㎖) 39.54±4.05
조성물 3(100㎍/㎖) 62.13±6.38
LPS(0.5㎍/㎖) 63.11±6.45
주) 상기 표 5의 결과는 4개의 시료에 대하여 3회 반복하여 얻은 평균±SD이다.
유의수준 p<0.01: 대조구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활성을 보였다.
각 조성물은 50㎍/㎖ 농도 이상에서는 유의성 있는 효과가 인정되었고, 조성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NO의 양도 증가하였다.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생산되는 NO는 비특이적 숙주방어기작 대식작용, 그리고 세균 및 암세포의 증식억제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생약재 조성물의 면역증진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대식세포의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
1×106cell/well의 복강 대식세포를 일정 농도를 가지는 조성물 1 내지 3과 96-웰 플레이트에서 48시간 배양한 다음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암세포인 sarcoma 180(104viable cell)과 18시간 동안 공동 배양한 다음 MTT 용액 50㎍을 각 웰에 첨가하여 변형된 MTT 방법에 따라 세포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식세포를 사용하였으며, 암세포 증식억제율은 [1-(실험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으로 계산하였다.
암세포 증식 억제율(%)
대조구 2.5
조성물 1(10㎍/㎖) 10.5
조성물 1(50㎍/㎖) 32.4
조성물 1(100㎍/㎖) 54.8
조성물 2(10㎍/㎖) 13.2
조성물 2(50㎍/㎖) 40.5
조성물 2(100㎍/㎖) 59.7
조성물 3(10㎍/㎖) 15.6
조성물 3(50㎍/㎖) 48.2
조성물 3(100㎍/㎖) 60.5
LPS(0.5㎍/㎖) 58.4
S-180+조성물 3(100㎍/㎖) 1.3
주) 상기 표 6의 결과는 4개의 시료에 대하여 3회 반복하여 얻은 평균±SD이다.
유의수준 p<0.01: 대조구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활성을 보였다.
조성물 1 내지 3의 농도 10, 50, 및 100 ㎍/㎖을 처리한 결과 대식세포는 Sarcoma 180 암세포를 강하게 억제하였고, 또한 100㎍/㎖ 농도에서는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것이 아니고 증식 억제(cytostatic) 활성 향상에 의한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약재 조성물은 면역 증강 활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사이토킨 생성에 미치는 영향
2×106cell/㎖의 복강 대식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서 배양한 다음 상등액을 시간별로 수획하여 샌드위치 면역분석법(sandwich immunoassay(R&D Systems))으로 대식세포의 사이토킨 생성능(TNF-α, IL-1β 및 IL-6)을 측정하였다. 세포 배양시간은 TNF-α 및 IL-6에 대해서는 6 시간이었고 IL-1β에 대해서는 12시간이었다. 측정된 사이토킨 생성량을 표 7에 기재하였다.
TNF-α(ng/㎖) IL-1β(ng/㎖) IL-6(ng/㎖)
대조구 0.62±0.06 0.35±0.03 0.21±0.02
조성물 1(50㎍/㎖) 5.38±0.55 2.42±0.25 1.28±0.12
조성물 1(100㎍/㎖) 7.21±0.74 3.29±0.37 1.95±0.19
조성물 2(50㎍/㎖) 6.21±0.63 2.69±0.27 1.42±0.44
조성물 2(100㎍/㎖) 8.15±0.85 3.58±0.62 2.08±0.23
조성물 3(50㎍/㎖) 6.59±0.68 2.87±0.29 1.53±0.55
조성물 3(100㎍/㎖) 9.43±0.95 3.92±0.40 2.41±0.20
LPS(0.5㎍/㎖) 15.21±1.48 4.31±0.45 3.87±0.40
주) 상기 표 7의 결과는 4개의 시료에 대하여 3회 반복하여 얻은 평균±SD이다.
유의수준 p<0.01: 대조구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활성을 보였다.
조성물 1 내지 3 모두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배양 상등액에서 TNF-α, IL-1β 및 IL-6의 분비량이 증가되었다. 이러한 사이토킨의 분비량 증가는 오토크린(autocrine) 또는 파라크린(paracrine) 활성 증가에 의한 대식세포의 활성화에 기인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생산되면서 암세포의 중요 숙주 방어물질로 인정된 TNF-α, IL-1β와 같은 사이토킨은 NO의 중간물질과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 본 발명의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생약재 조성물은 대식세포 면역활성의 지표가 되는 식세포 작용, NO 생산량, 암세포 증식 억제활성, 사이토킨 생성량등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기 때문에 기능성 식품 제조를 위한 면역증강 소재로의 활용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면역증강용 기능성 다식의 제조
실시예 1의 표 2에 나타낸 면역증강 생약소재의 최적 조성물을 건조, 분쇄하여 미분말화한 것을 고운체로 친 후 골고루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꿀 또는 물엿, 그리고 이들 일부 대신에 이소말토올리고당 등의 기능성 올리고당을 첨가하여 골고루 반죽하였다. 다식판에 기름을 바르고 제 3 공정에서 얻어진 반죽을 다식판에 성형시켜 다식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면역증강용 기능성 강정의 제조
선별된 찹쌀(50∼80%)을 수욕상에서 7∼14일간 자연발효시켰다. 수침된 찹쌀을 잘 세척·탈수·분쇄하여 미분말화하였다. 찹쌀가루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생약재 농축 조성물(1∼5%, Brix 40), 술(1∼3%), 생강즙(0.5∼2%), 및 정제염(0.1%)을 첨가하여 잘 반죽한 후 100℃에서 증숙시켰다. 이것을 방아에 넣어 줄이 나도록 치면서 콩가루(10∼20%)를 넣고 재차 치면서 반죽하였다. 반죽된 원료를 성형기에 넣고 성형시킨 후 수분 0.8%까지 건조시켰다. 상기 건조된 원료를 대두유(2∼4%)에 넣어 튀켰다. 튀긴 강정을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생약재 농축 조성물이 5∼16% 농도로 첨가된 물엿 또는 일부 이소말토올리고당 등 기능성 올리고당과 혼합한 물엿에 약 30초에서 1분간 침지시켰다. 생약재 농축 조성물로 코팅된 강정에 백미 튀밥으로 옷을 입힌 후 자연 건조하였다.
본 발명은 생약재 조성물은 면역조절 및 증강활성이 우수하여 질병 예방 및개선을 위한 식품소재로서 활용가치가 크므로 각종 식품 제조시에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다식, 강정과 같은 한과 제조공정 중에 첨가하여 제조함에 따라 이들 식품 또는 한과를 식이함으로써 암, 노화 등 각종 질병에 대한 면역증강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Claims (2)

  1. 황기 5∼20 중량%, 백봉령 5∼20 중량%, 맥문동 5∼20 중량%, 오가피 5∼20 중량%, 산약 5∼20 중량%, 구기자 5∼20 중량%, 당귀 5∼20 중량%, 하수오 5∼20 중량%, 백화사설초 2∼20 중량%, 토사자 4∼20 중량%, 백출 4∼20 중량%, 오미자 2∼10 중량%, 표고버섯 4∼15 중량%, 및 감초 0∼15 중량%를 포함하는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생약재 조성물.
  2. 황기 5∼20 중량%, 백봉령 5∼20 중량%, 맥문동 5∼20 중량%, 오가피 5∼20 중량%, 산약 5∼20 중량%, 구기자 5∼20 중량%, 당귀 5∼20 중량%, 하수오 5∼20 중량%, 백화사설초 2∼20 중량%, 토사자 4∼20 중량%, 백출 4∼20 중량%, 오미자 2∼10 중량%, 표고버섯 4∼15 중량%, 및 감초 0∼15 중량%를 포함하는 생약재를 분쇄 혼합하고,
    상기 생약재의 분쇄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95∼100℃에서 5시간 이상 추출하고,
    상기 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 제조되는
    생약재 농축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30093129A 2003-12-18 2003-12-18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생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04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129A KR20040004309A (ko) 2003-12-18 2003-12-18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생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129A KR20040004309A (ko) 2003-12-18 2003-12-18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생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309A true KR20040004309A (ko) 2004-01-13

Family

ID=37315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129A KR20040004309A (ko) 2003-12-18 2003-12-18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생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430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682B1 (ko) * 2010-11-04 2011-06-10 김병주 면역력이 강화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조성물
CN103675188A (zh) * 2012-09-21 2014-03-26 成都康弘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药物组合物的薄层色谱检测方法
CN104397694A (zh) * 2014-11-28 2015-03-11 哈尔滨墨医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改善睡眠刺五加五味子口服液及其生产方法
CN104587368A (zh) * 2015-01-21 2015-05-06 姜丽莎 一种治疗脾肾阳虚的中药组合物
CN104800625A (zh) * 2015-04-20 2015-07-29 河南大德广动物药业有限公司 一种提高禽畜类生产性能的中药配方及其制备方法
CN104905254A (zh) * 2015-05-20 2015-09-16 济南骄泰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暖胃安神速溶粉
KR20160109678A (ko) * 2015-03-12 2016-09-21 윤종익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수득된 자양강장음료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682B1 (ko) * 2010-11-04 2011-06-10 김병주 면역력이 강화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조성물
CN103675188A (zh) * 2012-09-21 2014-03-26 成都康弘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药物组合物的薄层色谱检测方法
CN103675188B (zh) * 2012-09-21 2015-06-17 成都康弘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药物组合物的薄层色谱检测方法
CN104397694A (zh) * 2014-11-28 2015-03-11 哈尔滨墨医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改善睡眠刺五加五味子口服液及其生产方法
CN104587368A (zh) * 2015-01-21 2015-05-06 姜丽莎 一种治疗脾肾阳虚的中药组合物
KR20160109678A (ko) * 2015-03-12 2016-09-21 윤종익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수득된 자양강장음료
CN104800625A (zh) * 2015-04-20 2015-07-29 河南大德广动物药业有限公司 一种提高禽畜类生产性能的中药配方及其制备方法
CN104905254A (zh) * 2015-05-20 2015-09-16 济南骄泰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暖胃安神速溶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943B1 (ko) 상황버섯 균사체와 산삼 배양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KR20030008080A (ko)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기능성 식품
KR100900836B1 (ko) 생약복합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길이 성장 촉진용 약학적조성물
KR20110051163A (ko) 녹용,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울금, 산약, 진피, 배초향, 천마, 계피, 오미자, 홍삼, 맥문동 및 감귤분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102045903B1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0862305B1 (ko) 약초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약초된장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04309A (ko)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생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60026B1 (ko) 귀뚜라미 가압증숙 및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면역조절용 조성물
KR102197183B1 (ko) 당귀, 천궁, 및 작약의 열수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 또는 가피타히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면역 활성용 약학조성물, 및 식품조성물
KR100851855B1 (ko) 생약복합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길이 성장 촉진용 약학적조성물
KR101039110B1 (ko) 닥나무 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조성물
KR20180090198A (ko)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160056007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018403B1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28167B1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25011A (ko) 항산화, 주름개선 또는 항염증용 한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36045B1 (ko) 생약재 미네랄 효모 발효액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효 흑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51608B1 (ko)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단삼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60037B1 (ko) 홍삼 혼합 농축액을 함유하는 스틱 형태의 홍삼 제품의 제조방법
KR101413283B1 (ko) 면역력 증강을 위한 면역증강복합물을 이용한 인삼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인삼 조성물
KR101375347B1 (ko) 홍삼약초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음료
KR100266740B1 (ko) 미백용 식품 조성물
KR102046878B1 (ko) 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CN104664195A (zh) 一种增强免疫力糖浆及其制备方法
CN105249153A (zh) 降糖降脂植物营养活化米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