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2997A -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2997A
KR20040002997A KR10-2003-7015221A KR20037015221A KR20040002997A KR 20040002997 A KR20040002997 A KR 20040002997A KR 20037015221 A KR20037015221 A KR 20037015221A KR 20040002997 A KR20040002997 A KR 20040002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ll
car
boarding point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2414B1 (ko
Inventor
히라데마사아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2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2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4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다수의 엘리베이터를 군관리하는 인디케이터부를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해 승객의 초조의 원인이 되는 카반전을 억제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최종 카호출보다 전방에 있는 빌딩 또는 엘리베이터 조건에 따라 규정된 층상범위에 있는 승차장에서의 호출등록에 대해 도착 예상시간이 가장 짧고, 상기 승차장호출을 가지고 있지 않고 엘리베이터에 대해 추가 할당을 실시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ELEVATOR GROUP SUPERVISORY CONTROL DEVICE}
다수의 엘리베이터를 1군으로 해서 관리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승객이 불안의 원인이 되는 카 반전이라는 것은 카 전방에 승차장호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비스하지 않고 카가 반전해 버리는 현상(이하 불쾌반전이라 기재)이다.
군관리제어에서 수송효율을 생각했을 때 도리어 카를 반전시키는 쪽이 전체의 수송효율이 향상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와 같은 제어를 하는 경우가 있다.
단, 인디케이터 부착의 군관리 제어장치에서 이와 같은 반전은 승객의 심리적인 초조함을 증대시키게 되고, 도리어 대기 시간이 길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이외에도 불쾌반전을 하는 원인으로 교통상황의 변화에 의한 것도 있다.
승차장호출 발생시의 할당 때에 가령 호출에 가장 가까운 카를 할당 했을때도 승차장호출 발생층에 도착할 때까지에 도중 다수의 승차장호출 카호출에 응답하는 경우는 결과적으로 할당한 카를 다른 카가 추월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할당을 갖지않는 다른 카는 최종호출에 응답후 반전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불쾌반전에 연결되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추월에 의한 불쾌반전을 삭감하는 방법으로 어느 일정시간 주기 또는 어느 타이밍에서 할당변경을 하고 가장 가까운 카에 할당변경을 하는 것이 있다.
할당변경에 관해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58 - 6883호 공보와 같이 다른 카에 추월 당한것을 조건으로 카의 할당변경을 하는 것이다.
또, 일본국 특개소 62 - 191383호 공보와 같이 카의 방향반전 결정시에 최종호출(반전층)보다도 멀리있는 승차장호출에 대해 자기 카가 다른 할당카 보다도 최적이라고 (예를 들면 승차장호출에 대해 가까운 위치에 있다)라고 판단한 경우에 할당변경을 하는 것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많은 경우 불쾌반전을 하는 것을 피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렇게해서 최종적으로 할당된 카가 반드시 호출 발생층에 가장 가까운 카라고는 할 수 없고 할당 방법(반드시 가까운 카를 할당하는 것은 아니다)이다.
또, 추월이 발생한 경우에는 불쾌반전이 발생하는 가능성도 있다.
불쾌반전을 더욱 삭감하기 위해서는 할당변경이 아니고, 승차장호출에 가까운 카를 여러대 할당하는 방법이 확실하나 이 경우 불필요한 추행 불필요한 정지가증가해 버림으로 전체로서의 수송효율이 저하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송효율과 불쾌반전의 밸런스를 고려해서 불쾌반전을 억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엘리베이터를 군관리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에 관해, 특히 카의 위치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부 군관리에서 승객이 초조함의 원인이되는 대기층 근방에서 카의 반전을 억제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장치의 전체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불쾌반전의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추가할당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불쾌반전을 검출해서 추가할당을 하는 처리의 개략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추가할당에 의한 불쾌반전의 억제효과를 종례예와 비교해서 표시하는 설명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의 전체 구성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표시한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장치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2A ~ 2F의 각 수단이 포함되어 있고, 이들 2A ~ 2F의 각 수단은 마이크로 컴퓨터상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는 각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각대 제어장치(1)과의 통신 데이터 전송을 하는 통신인터페이스(2A), 설정된 층상범위내에서 승차장호출을 검출하는 스코프내 승차장호출 검출수단(2B), 승객이 불쾌하다고 느끼는 승차장호출 근방층에서의 카 반전을 예측하는 불쾌반전 예측수단(2C), 불쾌반전 예측수단(2C)의 결과에 따라 추가 할당을 하는 추가 할당수단(2D), 승차장에서호출이 발생하면 최적한 할당카를 선택하는 할당 연산수단(2E), 상기 추가 할당수단(2D) 및 상기 할당 연산수단(2E)의 할당결과를 근거로 각 카에 운전지령을 하는 운전제어수단(2F)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불쾌반전을 표시한 예를 표시하고 ,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추가 할당을 행한 예를 표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불쾌반전을 검출하고 추가할당을 하는 처리의 개략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2와 도 3에 표시한바와 같은 빌딩내에서의 운전을 상정한다. 이들 도면에서 3은 빌딩내를 주행하는 엘리베이터, 4는 승차장에서 등록된 승차장호출, 5는 승차장호출(4)의 등록후에 할당 연산수단, 2E에 의해 선택된 엘리베이터(3)에 할당된 승차장호출을 표시하고, 6은 엘리베이터내에서 등록된 카호출을 표시한다.
도 2에 표시한 예에서는 승차장호출(4)에 대해 #A의 엘리베이터(3)가 할당되어 있다. 한편, #B의 엘리베이터(3)은 주행방향 전방의 카호출(6) 및 후방의 승차장호출(5)의 호출을 대기하고 있다. 즉, #B의 엘리베이터(3)은 주행방향 전방의 카호출(6)에 응답후 반전하고, 또 후방의 승차장호출(5)의 호출에 응답하게 된다.
인디케이터부 엘리베이터의 경우 도 2에 표시하는 예에서는 승차장호출(4)를 등록한 승객에서 가장 가까운 층에 존재하고 #B의 엘리베이터(3)가 직전에서 반전하게되어 이것이 불쾌반전이 된다.
이와 같은 불쾌반전은 도 1의 불쾌반전 예측수단(2C)에 의해 검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불쾌반전에 대해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추가 할당을 실시하고, 불쾌반전을 억제한다.
단, 주행방향 전방의 모든 층상을 대상으로해서 추가 할당을 실시하면 엘리베이터가 담당하는 호출수가 필요 이상으로 많아지고 대기시간이 악화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도면중 회색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층상범위(스코프 층상수 범위)에 대해 추가 할당을 한다.
여기서 스코프 층상수는 빌딩, 엘리베이터 등의 조건에 따라 결정된 수이고, 예를 들면 빌딩 층상수 ÷2와 같이 설정 해두면 좋다.
도 3에서는 2개의 승차장호출(4)에 대해 #4의 엘리베이터(3)가 할당되어 있으나, 스코프 층상범위내에 있는 하측의 승차장호출에 대해서는 승차장에서 기다리는 승객으로는 가까이를 주행하는 #B의 엘리베이터(3)에 추가 할당을 하고 있다.
다음, 불쾌반전을 검출하고 추가할당을 하는 처리의 순서에 대해 도 4에 표시하는 플로차트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또, 도 4에 표시한 플로차트로 표시하는 순서는 어느 일정주기에 따라 또는 각대 제어장치(1)에서 취득하는 카위치등의 정보가 변화한 타이밍으로 실행된다.
상기 타이밍으로 처리가 개시되면(스텝 S40), 우선, 스텝 S41에서 대상이 되는 카의 카위치를 각대 제어장치 1에서 취득한다.
그리고, 스텝 S42에서 대상 카의 카위치가 주행방향 최종 호출 응답의 감속개시 직전 위치에 있는 경우는 스텝 S43으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을때는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48).
스텝 S43에서 카방향이 UP인 경우는 스텝 S44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는 스텝 S45로 진행한다.
스텝 S44에서 최종 카호출층 +1층에서 최종카호출 + 스코프층상수까지의 범위내에서 승차장호출(4)이 있는 경우는 스텝 S4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48).
도 3의 예에서는 승차장호출(4)중 하측에 있는 승차장호출(4)가 스텝 S44의조건에 맞는다(#B의 엘리베이터 3)
스텝 S45에서 최종 카호출층 -1층에서 최종 카호출층 - 스코프층상수까지의 범위내에서 승차장호출(4)가 있는 경우는 스텝 S4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48).
상기 스텝 S43으로 부터 스텝 S45까지의 처리는 스코프내 승차장호출 검출수단 2B에 의해 실행한다.
다음에 스텝 S46에서 대상 카에 대해 가장 가까운 승차장호출층에의 도착 예상시간이 할당 가는 카중에서 가장 짧으면 스텝 S47은 그렇지 않은 경우는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48).
스텝 S46의 처리는 도 1의 불쾌반전 검출수단 2C에 의해 실행된다. 도 3의 예에서는 대상 카 #B의 엘리베이터 3은 하측의 승차장호출(4)에 대해 도착 예상시간이 #A, #B중 가장짧고, 스텝 S46의 조건에 들어 맞는다.
스텝 S47에서 스텝 S46의 승차장호출에 대해 추가할당수단(2D)에 의해 대상카에 추가 할당을 실시해서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48).
도 3의 예에서는 파선으로 표시된 #B의 엘리베이터(3)에의 승차장호출할당이 스텝 S47에서 결정된 추가 할당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추가할당에 의한 불쾌반전의 억제효과를 종래예와 비교해서 표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5(A)(불쾌반전을 예상하는 도면)에서 호출발생층에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B의 엘리베이터(3)가 반전하려고 하는 상황이면 종래에는 도 5(B)(종래예에 의한 할당변경을 표시하는 도면)과 같이 #B의 엘리베이터(3)에 할당이 변경되나 본 발명에서는 도 5(C)(본 발명에서의 추가 할당을 표시하는 도면)과 같이 추가할당에 의해 #A와 #B의 양쪽의 엘리베이터(3)에 할당을 한다.
따라서, 도 5(C)의 아래에 있는 도 5(E)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후의 상황에 불구하고 확실하게 호출 발생층에 도달할 수가 있다.
그런데, 종래예에서는 도 5(B)하에 있는 도 5(D)와 같이 #A의 엘리베이터(3)가 #B의 엘리베이터(3)을 추월하고, 또 하방호출을 담당하는 상황이 된 경우는 결과로서 불쾌반전이 발생해 버리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다시 한번 #A의 엘리베이터(3)에 할당변경이 되는 케이스도 있으나, 호출발생층 직전에서 #A의 엘리베이터(3)가 #B의 엘리베이터(3)을 추월한 경우에는 이미 #B의 엘리베이터(3)가 호출발생층에 대해 정지 결정하고 있는 케이스가 많고, 이 경우에는 할당변경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일본국 특개소 58 - 6883호 공보, 또는 일본국 특개소 62 - 191383 호 공보에서 실시하고있는 바와 같은 할당변경 방법에 더해서 스코프층상 범위에 존재하는 승차장호출에 대해 가장 가까운 승차장층에의 도착 예상시간이 할당 가능 카중에서 가장 짧다는 특정 조건을 층족 시키는 카를 대상카로해서 추가 할당 시킴으로서 더욱 불쾌한 반전을 억제할 수가 있다.
(발명의 개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는 특정층상 범위내에 있는 승차장호출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승객이 불쾌하다고 느끼는 승차장호출 근방층에서의 카 반전을 예측하는 불쾌반전 예측수단과, 승차장호출에 대해 최적한 할당카를 선택하는 할당 연산수단과, 상기 불쾌반전 예측수단의 결과에 따라 특정층상 범위내에 있는 승차장호출에 대해 특정조건에 일치하는 엘리베이터에 추가 할당을 실시하는 추가 할당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 상기 특정층상 범위는 최종 카호출 보다도 앞쪽에 있는 빌딩 또는 엘리베이터 조건에 따라 규정되는 층상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특정조건에 일치하는 엘리베이터 특정층상 범위내에 있는 승차장호출에 대해 도착 예상시간이 가장짧고 상기 승차장호출을 담당하고 있지 않은 엘리베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엘리베이터를 군관리 제어하는 인디케이터부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장치에서 최종 카호출보다 전방에 있는 빌딩, 엘리베이터 조건에 따라 규정된 층상 범위에 있는 승차장에서의 호출등록에 대해 도착 예상시간이 가장짧고 상기 승차장호출을 담당하고 있지 않는 엘리베이터에 대해 추가 할당을 실시함으로써 대기시간의 악화는 극력피하고 승객에 의해 초조함의 원인이 되는 엘리베이터의 직전에서의 반전을 억제할 수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다수의 엘리베이터를 군관리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장치에 있어서, 특정층상 범위내에 있는 승차장호출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승객이 불쾌하다고 느끼는 승차장호출 근방층에서의 카 반전을 예측하는 불쾌반전 예측수단과, 승차장호출에 대해 최적한 할당 카를 선택하는 할당 연산수단과, 상기 불쾌반전 예측수단의 결과에 따라 특정층상 범위내에 있는 승차장호출에 대해 특정조건에 일치하는 엘리베이터의 추가할당을 실시하는 추가 할당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에서 상기 특정층상 범위는 최종 카호출 보다 앞쪽에 있는 빌딩 또는 엘리베이터 조건에 따라 규정되는 층상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에서 상기 특정조건에 일치하는 엘리베이터는 특정층상 범위내에 있는 승차장호출에 대해 도착 예상시간이 가장짧고 상기 승차장호출을 담당하고 있지 않은 엘리베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
KR1020037015221A 2002-04-10 2002-04-10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 KR1005524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3577 WO2003084852A1 (fr) 2002-04-10 2002-04-10 Dispositif de commande superviseur d'un groupe d'ascen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997A true KR20040002997A (ko) 2004-01-07
KR100552414B1 KR100552414B1 (ko) 2006-02-16

Family

ID=2869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221A KR100552414B1 (ko) 2002-04-10 2002-04-10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05003B2 (ko)
JP (1) JPWO2003084852A1 (ko)
KR (1) KR100552414B1 (ko)
CN (1) CN1282595C (ko)
DE (1) DE10296695T5 (ko)
WO (1) WO20030848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1552A1 (en) * 2005-03-18 2006-09-2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ispatcher
WO2009024853A1 (en) 2007-08-21 2009-02-26 De Groot Pieter J Intelligent destination elevator control system
JP5094314B2 (ja) * 2007-10-02 2012-1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
CN102015506B (zh) * 2008-04-21 2013-11-2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系统、电梯控制装置以及目的地楼层受理终端装置
JP5351510B2 (ja) * 2008-12-26 2013-1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り場行先階予約式群管理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6292343B2 (ja) * 2015-03-11 2018-03-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US11209832B2 (en) * 2019-08-18 2021-12-28 Cobalt Robotics Inc. Elevator interactions by mobile robot
CN111931128B (zh) * 2020-07-15 2023-07-25 重庆锐云科技有限公司 基于伯努利模型的电梯配置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2826A (en) * 1963-01-03 1968-11-26 Otis Elevator Co Elevator control system
US3586133A (en) * 1969-04-25 1971-06-22 Reliance Electric Co Elevator control having restricted service
JPS586883A (ja) * 1981-07-06 1983-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群管理装置
JPS62191383A (ja) * 1986-02-19 1987-08-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装置
US5183981A (en) * 1988-06-21 1993-02-02 Otis Elevator Company "Up-peak" elevator channeling system with optimized preferential service to high intensity traffic floors
US4846311A (en) * 1988-06-21 1989-07-11 Otis Elevator Company Optimized "up-peak" elevator channeling system with predicted traffic volume equalized sector assignments
JP2666997B2 (ja) 1989-03-03 1997-10-22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H085596B2 (ja) * 1990-05-24 1996-01-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GB2266602B (en) * 1992-04-16 1995-09-27 Inventio Ag Artificially intelligent traffic modelling and prediction system
US5480005A (en) * 1992-05-26 1996-01-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wing car assignment to plural groups
JPH0885681A (ja) * 1994-09-20 1996-04-02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82595C (zh) 2006-11-01
US6905003B2 (en) 2005-06-14
US20040154872A1 (en) 2004-08-12
JPWO2003084852A1 (ja) 2005-08-11
DE10296695T5 (de) 2004-04-29
WO2003084852A1 (fr) 2003-10-16
CN1491178A (zh) 2004-04-21
KR100552414B1 (ko)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3217B1 (en) Elevator group control apparatus for multiple elevators in a single elevator shaft
JP4505901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FI121009B (fi) Hissijärjestelmä
US20110209950A1 (en) Elevator system
JP2012502863A (ja) エレベータ装置の近代化中のエレベータかごの動的出発管理
WO2007049342A1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US7549517B2 (en) Elevator car dispatching including passenger destination information and a fuzzy logic algorithm
EP2748092B1 (en) A method for allocating elevators and an elevator system
KR100552414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
JP4969540B2 (ja) 群管理エレベーター
JPWO2005121002A1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5710073B2 (ja) 乗客毎の停止回数を制限するエレベータかご割当方法
JP2007223765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CN113213286A (zh) 群管理控制电梯
KR101024799B1 (ko) 승강기 통행 제어
JP2003341946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3570272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CN115893126B (zh) 一种电梯群管理系统及方法
JPH05286652A (ja) エレベータの運行管理装置
JPH03272979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CN116161498A (zh) 电梯群管理方法
JP2005112503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H03133884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KR100548764B1 (ko) 엘리베이터의군관리제어장치
KR20000052085A (ko)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