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774Y1 - 개량 삽 - Google Patents

개량 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774Y1
KR200397774Y1 KR20-2005-0019596U KR20050019596U KR200397774Y1 KR 200397774 Y1 KR200397774 Y1 KR 200397774Y1 KR 20050019596 U KR20050019596 U KR 20050019596U KR 200397774 Y1 KR200397774 Y1 KR 200397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vel
blade
present
bent portion
impr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대
김병동
Original Assignee
김영대
김병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대, 김병동 filed Critical 김영대
Priority to KR20-2005-0019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7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7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22Attaching the blades or the like to handles; 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삽자루의 끝부분이 일측방향으로 꺽어진 형태를 갖는 개량 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삽자루에 형성된 꺾임부에 의해 지면에 닿는 삽의 기울기 각도가 달라짐은 물론, 작업자가 굽히는 허리각도 또한 작아져 허리 및 척추에 발생되는 피로도를 크게 줄이면서 작업의 능률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개량 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삽자루의 끝단에 일측방향으로 꺾인 꺾임부를 형성시키되, 상기 꺾임부의 끝단에는 삽날이 고정되며, 상기 꺾임부를 갖는 삽자루의 길이는 조정되어 삽날과 일체로 고정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개량 삽{Improved a scoop}
본 고안은 삽자루의 끝부분이 일측 방향으로 꺾어진 형태을 갖는 개량 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삽자루에 형성된 꺾임부에 의해 지면에 닿는 삽의 기울기 각도가 달라짐은 물론, 작업자가 굽히는 허리각도 또한 작아져 허리 및 척추에 발생되는 피로도를 크게 줄이면서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량 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삽은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삽자루와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삽날로 구성되어 있고, 이와 같이 구성된 삽은 상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삽자루와 삽날이 일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작업자는 상측 손잡이를 오른손으로 잡고 삽자루는 왼손으로 잡고 허리를 굽혔다, 폈다 하면서 삽질을 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허리를 굽혔다, 폈다의 행동을 반복하게 되므로 허리 및 척추에 많은 무리를 가하게 된다.
한편, 삽자루가 삽날과 결합되기 위하여는 삽자루가 삽날의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리벳 또는 나사결합에 의한 방법으로 고정함으로써 삽자루와 삽날의 분리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허리를 많이 굽히지 않으면서 작업할 수 있고, 작업 형태에 따라 삽자루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형태의 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삽자루의 끝단에 일측 방향으로 꺾인 꺾임부를 형성시키되, 상기 꺾임부의 끝단에는 삽날이 고정되며, 상기 꺾임부를 갖는 삽자루의 길이는 조정되어 삽날과 일체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개량 삽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고안의 개량삽은 철재 및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삽날(10)과 일체로 결합되는 삽자루(11)로 구성하되, 상기 삽자루(11)는 철재, 목재, 합성수지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 길이는 보다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삽자루(11)의 끝부분은 도 1과 같이 일측방향으로 꺾어진 형태의 꺾임부(12)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종래에 사용되는 삽자루는 일자형으로 형성되지만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삽자루 끝단의 형태는 꺾임부(12)를 갖고 있어 삽날(10)의 방향이 하방으로 향하게 된다.
즉, 도 1 및 도 3과 같이 작업자가 잡는 삽자루(11)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으면서 삽날(10)의 위치만 일측방향으로 꺾이게 되는 구성으로 인하여 작업자 허리는 평상시 삽자루(11)를 잡고 있는 위치보다 상측으로 올라가는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갖게 되며, 이때 삽날(10)의 위치는 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각도를 유지할 수 있고, 삽날(10)과 삽자루(11)의 고정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나사(미도시됨)를 이용하거나, 아니면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림직하다.
또한, 도 4와 같이 삽날(10)의 일측에 꺾임부(12)를 일체로 형성시킨 후, 별도의 일자형 삽자루(11)를 체결하는 방식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삽날(10)과 일체로 결합되는 삽자루(11)로 구성되며, 상기 삽자루(11)의 끝단은 일측방향으로 꺾어진 상태의 꺾임부(12)를 갖게 된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삽날(10)과 일체로 꺾임부(12)를 형성시킨 후, 별도의 일자형 삽자루(11)를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꺾임부(12)는 고정된 삽날(10)의 각도를 변경시키게 되며, 또한 삽자루(11)는 삽날(10)을 안전하게 지지하게 되면서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보조하게 된다.
특히, 작업자는 보다 편안한 자세로 삽자루(11)를 잡게 됨은 물론, 삽날(10)의 위치를 지면에 효과적으로 닿게 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신장이나 팔 길이에 따라 상기 삽지루의 길이를 도 1 및 도 2와 같이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즉, 양손으로 삽을 파지한 상태에서 꺾임부(12)를 갖는 삽날(10) 부분으로 삽질을 하기 때문에 기존에 왼손이 삽자루를 파지하는 것과는 달리, 허리를 많이 굽히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삽자루가 곧은 일자 형태로 이루어진 구조적인 특징과 비교하였을 때 본 고안의 개량 삽은 땅을 파거나 흙, 자갈 등을 퍼 담을 때 보다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개량삽에 의하면 작업자의 허리를 많이 굽히지 않고도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특징과 함께 작업자의 신장이나 팔 길이에 따라 상기 삽자루의 길이 및 손잡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농촌 및 각종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삽날 11. 삽자루
12. 꺾임부 13. 손잡이

Claims (3)

  1. 삽자루에 있어서,
    상기 삽자루의 끝단은 일측방향으로 꺾인 꺾임부로 형성시키되,
    상기 꺾임부의 끝단에는 삽날이 고정되며,
    상기 꺾임부를 갖는 삽자루의 길이는 조정되어 삽날과 일체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에 의해 지면에 닿는 삽의 기울기 각도가 변화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날 상측에 꺾임부을 일체로 형성하여 일자형 삽자루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삽.
KR20-2005-0019596U 2005-07-06 2005-07-06 개량 삽 KR2003977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596U KR200397774Y1 (ko) 2005-07-06 2005-07-06 개량 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596U KR200397774Y1 (ko) 2005-07-06 2005-07-06 개량 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774Y1 true KR200397774Y1 (ko) 2005-10-07

Family

ID=4369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596U KR200397774Y1 (ko) 2005-07-06 2005-07-06 개량 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7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703A (ko) 2017-07-17 2019-01-25 이대훈 삽자루 파손방지수단을 구비한 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703A (ko) 2017-07-17 2019-01-25 이대훈 삽자루 파손방지수단을 구비한 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98638S (en) Garden scissors
KR200397774Y1 (ko) 개량 삽
CA106882S (en) Faucet
JP4343843B2 (ja) グリップ
JP5083994B1 (ja) 熊手型除草器具
JP6318277B2 (ja) 除草用具
JP3122406U (ja) 取手付背かき棒
JP6447985B1 (ja) 手動具用補助具および手動具
JP3202957U (ja) 手作業用具
US20060168820A1 (en) Brick pliers saving manual work
US2561259A (en) Scraper
KR102386184B1 (ko) 삽가위
JP3217866U (ja) スコップ
CN212947533U (zh) 一种用于墙板拆换的起板工具
CN2796964Y (zh) 园艺工具手柄
KR200207103Y1 (ko) 개량삽
JP3180864U (ja) 農耕具の曲がり柄
JP3130610U (ja) へら
US7581469B1 (en) Clamp gripping and actuating tool assembly
JP3103701U (ja) 草刈り鎌
KR20220145479A (ko) 인체공학적인 주방칼
KR200423801Y1 (ko) 비대칭형 부채
JP3203015U (ja) 手作業用具
RU99111035A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языка
JP2006274534A (ja) 除雪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