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697Y1 - 탁상일기 - Google Patents

탁상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697Y1
KR200397697Y1 KR20-2005-0021048U KR20050021048U KR200397697Y1 KR 200397697 Y1 KR200397697 Y1 KR 200397697Y1 KR 20050021048 U KR20050021048 U KR 20050021048U KR 200397697 Y1 KR200397697 Y1 KR 2003976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 hole
support plate
fixing
long
fix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복
Original Assignee
이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복 filed Critical 이태복
Priority to KR20-2005-0021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6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6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6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03Note-pads
    • B42D5/005Supports for note-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03Note-pads
    • B42D5/008Note-pads with means for engaging sheet perforations or sl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42F13/18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on two bars relatively movable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0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for special documents or for special purposes
    • B42P2201/08Books or filing appliances for special documents or for special purposes for stationery, e.g. writing paper, envelop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탁상일기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중앙부에 제1장공부와 제2장공부가 이격져서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장공부의 좌측과 제2장공부의 우측에는 메모지가 놓여질 수 있을 정도의 받침부를 적어도 가지도록 형성되는 받침판; 단턱부를 경계로 제1부분과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부분으로 구분 형성되고, 상기 제1부분의 외경은 제2부분의 최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부분의 일단부는 상기 받침판의 제1장공부에 수직으로 끼워지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받침판의 제2장공부에 수직으로 끼워지는 제1고정구; 상기 제1고정구를 상기 받침판의 제2장공부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제1고정수단; 상기 제1고정구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구와 이격져서 설치되는 제2고정구; 및 상기 제2고정구를 상기 받침판의 제2장공부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제2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메모지의 크기나 그 일측에 형성한 구멍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는 다양한 종류의 메모지를 임의로 선정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탁상일기{Table diary}
본 고안은 탁상일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지의 크기나 그 일측에 형성한 구멍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는 다양한 종류의 메모지를 임의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탁상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상일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모지(1)가 놓여지는 받침판(10)의 중앙부 양쪽에 각 한쌍씩의 구멍(2, 3)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2, 3)들에는 메모지(1)를 끼우기 위한 고정봉(4, 5)을 상하로 설치하여 메모지(1)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넘기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위와 같은 탁상일기는 받침판(10)의 중앙부에 형성한 구멍(2, 3)들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은 구멍(2, 3)속에 끼우기 위한 메모지(1)도 상기 구멍(2, 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하므로 위와 같은 탁상일기는 메모지(1)를 교환해서 다른 메모지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항상 정해진 한정된 메모지만을 구입해서 사용하여야 하므로 메모지의 크기가 다르거나 구멍의 위치가 달리 형성되어 있는 것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메모지를 임의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메모지의 크기가 다르거나 구멍의 위치가 달리 형성되어 있는 것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메모지를 임의로 선정하여 메모지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메모지의 일측에 형성한 구멍의 위치에도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탁상일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탁상일기는 중앙부에 제1장공부와 제2장공부가 이격져서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장공부의 좌측과 제2장공부의 우측에는 메모지가 놓여질 수 있을 정도의 받침부를 적어도 가지도록 형성되는 받침판; 단턱부를 경계로 제1부분과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부분으로 구분 형성되고, 상기 제1부분의 외경은 제2부분의 최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부분의 일단부는 상기 받침판의 제1장공부에 수직으로 끼워지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받침판의 제2장공부에 수직으로 끼워지는 제1고정구; 상기 제1고정구를 상기 받침판의 제2장공부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제1고정수단; 상기 제1고정구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구와 이격져서 설치되는 제2고정구; 및 상기 제2고정구를 상기 받침판의 제2장공부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제2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수단과 제2고정수단은 각각, 상기 제2부분이 제2장공부 속으로 통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부분과 제2부분 사이에 형성된 단턱부와 상기 제2장공부의 상면 사이에 끼워지는 제1와셔; 상기 제2장공부의 하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2부분의 나사산부에 고정 체결되어 상기 제2부분이 상기 제2장공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장공부의 하면과 너트 사이에는 제2와셔가 제2부분의 나사산부에 더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탁상일기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탁상일기는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판(10), 제1고정구(20), 제1고정수단(30), 제2고정구(40), 제2고정수단(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판(10)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두개의 구멍 즉, 제1장공부(11)와 제2장공부(12)가 이격져서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장공부(11, 12)들은 가로는 좁고 세로로 길게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장공부(11)의 좌측과 제2장공부(12)의 우측에는 메모지(1)가 놓여질 수 있도록 받침부(13)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부(13)의 상단에는 상기 받침판(10)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하기 위한 지지판(14)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구(20)는 도 3,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턱부(21)를 경계로 제1부분(22)과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부분(23)으로 구분 형성되고, 상기 제1부분(22)의 외경(d1)은 제2부분(23)의 최대 외경(d2)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수단(30)은 상기 제1고정구(20)를 상기 받침판(10)의 제2장공부(12)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와셔(31)와 너트(32)를 구비한다.
상기 제1와셔(31)는 상기 제2부분(23)이 제2장공부(12) 속으로 통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부분(22)과 제2부분(23) 사이에 형성된 단턱부(21)와 상기 제2장공부(12)의 상면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너트(32)는 상기 제2부분(23)이 상기 제2장공부(12)에 수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2장공부(12)의 하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2부분(23)의 나사산부에 끼워져서 고정 체결된다.
한편, 상기 제2장공부(12)의 하면과 너트(32) 사이에는 제2와셔(33)가 제2부분(23)의 나사산부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와셔(33)는 상기 제2장공부(12)의 구멍보다 크게 형성되며 그 아래 체결되는 너트(32)를 작은 크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고정구(40)는 상기 제1고정구(20)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구(20)와 이격져서 설치되며, 상기 제2고정수단(50)도 상기 제1고정수단(30)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구(40)가 상기 제2장공부(12)에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고정구(20)와 제2고정구(40)는 상기 제1장공부(11)와 제2장공부(12)의 세로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위치를 임의로 변경해서 고정 설치할 수 있고, 상기 받침판(10)의 받침부(13)에 놓여지는 메모지(1)는 제1고정구(20)와 제2고정구(40)에 의해 끼워질 수 있도록 일측의 상단과 하단에 구멍(1a, 1b)이 뚫어져 있어 상기 제1부분(22, 42)을 따라 받침판(10)의 좌우 양측을 서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탁상일기에 메모지(1)를 끼워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고정구(20)의 제1부분(22)을 메모지(1)의 우측 상부에 형성한 구멍(1a)에 끼우고, 제2부분(23)에는 제1와셔(31)를 끼운 다음에 제1부분(22)과 제2부분(23)이 각각 제1장공부(11)와 제2장공부(12)에 수직으로 위치되도록 끼운다.
이러한 상태에서, 한 손으로 좌측의 메모지(1)와 우측의 제1와셔(31)가 끼워진 제1고정구(20)를 받침부(13)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붙잡고 다른 손으로 상기 받침판(10)을 뒤집어서 상기 받침부(13)의 하면에 위치한 제1고정부의 제2부분(23)에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장공부(12)보다 외경이 큰 제2와셔(33)를 끼우고 제2와셔(33)를 통과한 상기 제2부분(23)의 나사산부에 너트(32)를 끼워서 상기 제1고정구(20)가 받침판(10)에 고정 체결되도록 한다.
또한, 제2고정구(40)는 상기 제1고정구(20)와 이격져서 제2고정구(40)의 제1부분(22)의 일단부가 메모지(1)의 우측하단에 위치한 구멍(1b)을 통과하여 제1장공부(11)에 수직으로 끼워지고, 상기 제2고정구(40)의 제2부분(23)은 상기 제1고정구(20)의 제2부분(23)과 동일한 순서로 받침판(10)에 고정 체결시킨다.
상기와 같은 순서로 탁상일기에 끼워지는 메모지(1)는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10)의 좌측 받침부(13)에 고정 설치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메모지(1)를 우측 받침부(13)에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제1부분(22)을 따라 우측으로 순서대로 넘길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우측으로 넘겨진 메모지(1)를 다시 좌측으로 넘기며 사용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탁상일기는 메모지의 크기가 다르거나 구멍의 위치가 달리 형성되어 있는 것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메모지를 임의로 선정하여 메모지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메모지의 일측에 형성한 구멍의 위치에도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 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 들 또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탁상일기에 대한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탁상일기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탁상일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탁상일기에 메모지가 끼워져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탁상일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탁상일기의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받침판 11: 제1장공부
12: 제2장공부 14: 지지판
20: 제1고정구 30: 제1고정수단
40: 제2고정구 50: 제2고정수단

Claims (3)

  1. 중앙부에 제1장공부와 제2장공부가 이격져서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장공부의 좌측과 제2장공부의 우측에는 메모지가 놓여질 수 있을 정도의 받침부를 적어도 가지도록 형성되는 받침판;
    단턱부를 경계로 제1부분과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부분으로 구분 형성되고, 상기 제1부분의 외경은 제2부분의 최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부분의 일단부는 상기 받침판의 제1장공부에 수직으로 끼워지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받침판의 제2장공부에 수직으로 끼워지는 제1고정구;
    상기 제1고정구를 상기 받침판의 제2장공부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제1고정수단;
    상기 제1고정구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구와 이격져서 설치되는 제2고정구; 및
    상기 제2고정구를 상기 받침판의 제2장공부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제2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수단과 제2고정수단은 각각,
    상기 제2부분이 제2장공부 속으로 통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부분과 제2부분 사이에 형성된 단턱부와 상기 제2장공부의 상면 사이에 끼워지는 제1와셔;
    상기 제2장공부의 하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2부분의 나사산부에 고정 체결되어 상기 제2부분이 상기 제2장공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일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공부의 하면과 너트 사이에는 제2와셔가 제2부분의 나사산부에 더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일기.
KR20-2005-0021048U 2005-07-19 2005-07-19 탁상일기 KR2003976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048U KR200397697Y1 (ko) 2005-07-19 2005-07-19 탁상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048U KR200397697Y1 (ko) 2005-07-19 2005-07-19 탁상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697Y1 true KR200397697Y1 (ko) 2005-10-06

Family

ID=43698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048U KR200397697Y1 (ko) 2005-07-19 2005-07-19 탁상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6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634B1 (ko) 2008-06-11 2011-06-17 한지흠 위아래 따로 커튼
KR101049690B1 (ko) 2010-08-11 2011-07-20 한지흠 소형문이 달린 커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634B1 (ko) 2008-06-11 2011-06-17 한지흠 위아래 따로 커튼
KR101049690B1 (ko) 2010-08-11 2011-07-20 한지흠 소형문이 달린 커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7697Y1 (ko) 탁상일기
US20100148026A1 (en) Holder of display
US20060225317A1 (en) Calendar holder
JP6047377B2 (ja) 什器
KR101773569B1 (ko) 간판 설치용 브래킷
CN207179411U (zh) 一种嵌入式灯具
JP4071931B2 (ja) 部材取付構造
JP3155995U (ja) 折畳み式物載せ台
US9445682B2 (en) Adjustable mounting bracket for mounting a mailbox
NZ568876A (en) A luminaire reflector locating arrangement
JP3062744U (ja) 多機能型什器
JP7152851B2 (ja) スクリーン装置
KR200199569Y1 (ko) 벽면설치용 선반
KR200213474Y1 (ko) 다용도 실험용 스탠드
KR200167011Y1 (ko) 화장실칸막이 고정받침대
US11986087B1 (en) Utility tray
JP4375692B2 (ja) 配線締結具
KR200177898Y1 (ko) 공구걸이구
JP3219095U (ja) 棚板取付け具
JP4626589B2 (ja) サポート部材の支持装置
KR20170003427U (ko) 선박의 월 블록용 핀지그
KR200175150Y1 (ko) 모니터용기능성선반
KR200399025Y1 (ko) 무대용 테이블의 수평 조절구
JPS587543Y2 (ja) システム天井用照明器具
JP3602257B2 (ja) キャビネット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