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353Y1 - 용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353Y1
KR200397353Y1 KR20-2005-0019002U KR20050019002U KR200397353Y1 KR 200397353 Y1 KR200397353 Y1 KR 200397353Y1 KR 20050019002 U KR20050019002 U KR 20050019002U KR 200397353 Y1 KR200397353 Y1 KR 2003973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lectronic
cooking
cooker
electronic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0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꼬 마쯔모또
이꾸오 쯔유끼
가즈오 기따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to KR20-2005-00190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3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3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3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17Large-capacity pressure cookers; Pressure fr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하고 위생적인 전자 조리 장치 및 전자 조리기의 표면이나 그 조작부의 오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조리기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자 조리기(4)와 전용 용기(3)로 이루어지는 용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이며, 전자 조리기(4)의 본체를 형성하는 측판(43)의 외면(43c)과 용기(3)의 용기측부(3a)의 외면(3h)이 동일면이 되는 용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이다. 또한, 용기(3)의 용기측부(3a)의 상부 전체 주위에 걸쳐 설치된 손잡이(3f)와, 용기(3)의 바닥면(3b)에 설치된 도전체(3e)를 갖는 전자 조리기용 용기이다.

Description

용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 {ELECTROMAGNETIC INDUCTION COOKING DEVICE FOR COOKING WITH RECEPTACLE}
본 고안은 용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 및 이 전자 조리기에 적합한 전자 조리기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조리기는 불을 사용하지 않아 안전하고 열 효율이 우수하며, 가정 일반용(general home-use), 특히 고층 맨션(high-rise apartment) 등의 공동 주택(apartment house)용, 고령자 거주 주택(housing for the aged)용, 혹은 업무용으로서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조리기의 사용은 시스템 키친(custom kitchen)에 조립된 대소 복수구의 전자 조리기에, 그 크기에 적합한 금속제의 용기를 얹어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 전자 조리기의 보급에 수반하여, 전자 조리기를 이용하여 용기 요리(hotpot cooking)를 행하는 기회가 늘어나, 입구가 하나인 전자 조리기(compact electromagnetic induction cooking device)를 식탁에 놓고, 또한 이 입구가 하나인 전자 조리기와는 개별적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바닥면에 도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전자 조리기용 용기를 입구가 하나인 전자 조리기에 얹어 용기 요리가 행해지도록 되어 왔다.
그러나, 입구가 하나인 전자 조리기와 개별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사이즈(size)(외경)는 다양하다.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사이즈가 입구가 하나인 전자 조리기에 비해 클 경우에는,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적재 상태가 불안정해져, 전자 조리기용 용기가 뒤집힐 우려가 있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사이즈가 입구가 하나인 전자 조리기에 비해 작을 경우에는, 전자 조리기용 용기로부터의 끓어 넘침이 전자 조리기에 튀어, 전자 조리기의 표면이나 그 조작부를 오손시킬 우려가 있어 비위생적이었다.
그래서, 안전하고 위생적인 전자 조리 장치가 요망되고 있었다. 또한, 사이즈가 입구가 하나인 전자 조리기에 비해 작을 경우에도 끓어 넘침에 의한 전자 조리기의 오손을 억제할 수 있고, 특히 입구가 하나인 전자 조리기와 동일 사이즈인 경우에는, 보다 확실하게 전자 조리기의 표면이나 그 조작부의 오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조리기용 용기가 요망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안전하고 위생적인 전자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사이즈가 입구가 하나인 전자 조리기에 비해 작을 경우에도 끓어 넘침에 의한 전자 조리기의 오손을 억제하고, 특히 입구가 하나인 전자 조리기와 동일 사이즈인 경우에는, 보다 확실하게 전자 조리기의 표면이나 그 조작부의 오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조리기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하나의 태양에 따르면, 원통 형상의 외측판을 갖는 입구가 하나인의 전자 조리기와, 이 전자 조리기에 적재되어 사용되고, 바닥면에 도전체가 설치되고, 또한 원통 형상의 용기측부를 갖고 상기 전자 조리기에 이용하는 데 적합한 전자 조리기용 용기로 이루어지는 용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로서, 상기 전자 조리기의 본체를 형성하는 측판의 외면과 상기 용기의 용기측부의 외면이 동일면이 되는 동시에, 상기 용기는 용기측부의 상부 전체 주위에 걸쳐 플랜지(flange)형으로 설치된 손잡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전자 조리 장치는 안전하고 위생적이게 된다.
적당한 일예에서는, 상기 전자 조리기의 하부에는 전자 조리기에 출몰 가능하게 수납되어 방수 처리가 실시된 조작부가 설치된다. 이에 의해, 끓어 넘침에 의한 전자 조리기의 표면이나 그 조작부의 오손이 방지된다.
또한, 적당한 일예에서는 상기 조작부는 타이머 요리(timer-control cooking) 중은 전자 조리기 속에 수납하여 가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끓어 넘침에 의한 전자 조리기의 표면이나 그 조작부의 오손이 방지된다.
본 고안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전자 조리기에 적재되어 사용되는 전자 조리기용 용기에 있어서, 이 용기의 용기측부의 상부 전체 주위에 걸쳐 플랜지형으로 설치된 손잡이와,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설치된 도전체를 갖는 전자 조리기용 용기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사이즈가 입구가 하나인 전자 조리기에 비해 작은 경우에도, 끓어 넘침에 의한 전자 조리기의 오손을 억제할 수 있고, 특히 입구가 하나인 전자 조리기와 동일 사이즈인 경우에는, 보다 확실하게 전자 조리기의 표면이나 그 조작부의 오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적당한 일예에서는, 상기 손잡이에는 그 전체 주위에 걸쳐 외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팽출부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끓어 넘침에 의한 전자 조리기의 오손도 방지된다. 또한, 전자 조리기에 있어서의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사용을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관계되는 전자 조리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관계되는 전자 조리 장치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조리 장치(1)는 덮개(2)가 설치되어 본 고안에 관계되는 전자 조리기용 용기(이하, 간단히 용기라 함)(3)와, 이 용기(3)가 적재되는 입구가 하나인 전자 조리기(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3)는 세라믹스(ceramics)제이며, 또한 상기 전자 조리기(4)의 예를 들어 전용 용기이다. 용기(3)의 용기측부(3a)는 전자 조리기(4)의 측판(43)과 동일 직경(동일면)을 갖고, 용기측부(3a)와 측판(43)의 외면(43c)이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3)의 바닥면(3b)에는, 복수의 절결부(3c)가 형성된 링(ring) 형상의 다리부(3d)가 설치되어 있다. 다리부에는 절결부를 형성하여 통기성을 좋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닥면(3b)의 다리부(3d)에 둘러싸인 부위에는 도전체, 예를 들어 은전사막(3e)이 피착되어 있다. 도전체는 은전사막 이외에 은용사막 등 용기의 세라믹스와 열팽창율이 가까운 은막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은전사막과 용기의 세라믹스가 고온이 되어도, 은전사막과 용기의 세라믹스와의 열팽창율이 근접하므로, 막 박리 등이 발생하지 않고, 장시간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 도전체는 은전사막 및 은용사막 이외에도 은과 유리(glass) 가루의 혼합물을 용기의 바닥면에 도포 후, 가열하여 소부하는 등을 포함하여, 용기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평판형으로 도전체가 형성되어 있으면, 어떠한 도전 재질을 이용하거나, 또는 어떠한 방법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도전체를 세라믹스 및 유리층 등으로 덮어 도전체의 부착을 보다 견고하게 해도 좋다.
또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3)에는 손잡이(3f)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3f)는 외향 플랜지 형상을 이루고, 그 전체 주위에 걸쳐 외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팽출부(3g)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용기(3)는 가스불이나 전기 가열 히터(heater)에 의한 조리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조리기(4)는 대부분 편평한 원판 형상을 이루고, 복수의 다리부(41)가 설치된 바닥판(42)과, 이 바닥판(42)에 고정 부착된 편평한 원통 형상의 측판(43)과, 이 측판(43)에 고정 부착된 톱 플레이트(top plate)(44) 및 측판(43) 내에 수납된 전자파 발생 회로(45)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전자파 발생 회로(45)는 유도 가열 코일(coil)(45a), 인버터(inverter) 회로(45b), 제어 회로(45c) 등을 갖고, 또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42)에는 표시기(46a), 스위치(switch)(46b)가 조립되어 표면에 방수 처리가 실시된 조작부(46)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판(43)은 칼라(color) 강판에 의해 편평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 링 형상으로 돌출하는 내향 하부 플랜지(43a)가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링 형상으로 돌출하는 내향 상부 플랜지(43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내향 상부 플랜지(43b)는 측판(43)의 강성 강도를 늘리기 위해서와, 톱 플레이트(44)를 안정되게 측판(43)에 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 플레이트(44)는 결정화 유리제로, 링 형상을 이루고, 플레이트(plate) 주체(44a)의 주변부에는 다소 구배를 갖고 상승하는 급상승부(44b)와, 이 급상승부(44b)에 이어지는 플랜지부(44c)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톱 플레이트(44)를 측판(43)에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용기(3)가 톱 플레이트(44)에 적재된 상태에서는 용기(3)에 설치된 링 형상의 다리부(3d)는, 톱 플레이트(44)에 설치된 링 형상의 급상승부(44b)에 헐겁게 끼운다. 이 헐거운 끼움에 의해, 용기(3)가 톱 플레이트(44)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중 끓어 넘침이 있어도, 링 형상의 급상승부(44b)에 의해, 국물이 용기의 바닥면이나 톱 플레이트로 돌아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측판(43)의 외면(43c)과 용기(3)의 용기측부(3a)의 외면(3h)은 동일면이 된다. 이와 같이 외면(43c, 3h)이 동일면인 것에 따라, 미관이 향상되고, 또한 급상승부(44b)와 아울러 조리 중 끓어 넘침이 있어도, 국물이 용기의 바닥면이나 톱 플레이트로 돌아 들어가거나 하는 일이 없다.
다음에, 본 고안에 관계되는 용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의 실시 형태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1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3)를 식탁에 얹어 놓은 전자 조리기(1)에 적재한다. 이 때, 용기(3)의 링 형상의 다리부(3d)를 톱 플레이트(44)의 링 형상의 급상승부(44b)에 헐겁게 끼우도록 적재함으로써, 전자 조리기(1)의 외면(43c)과 용기(3)의 용기측부(3a)의 외면(3h)은 동일면이 된다. 또한, 요리 중, 용기(3)의 미끄러짐이 억제되어 용기(3)가 톱 플레이트(44)로부터 탈락되는 일이 없어 안전하다.
그 후, 용기(3)에 국물 및 조리 재료를 넣고,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자 조리기(1)의 바닥판(42)에 수납된 조작부(46)를 인출하여, 조리 시간, 출력 등을 설정한다(타이머 요리). 조작부(46)는 장시간의 끓이기 요리 등 약한 불의 경우에는, 설정 후 다시 바닥판(42)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조작부(46)에 의해, 전자파 발생 회로(45)가 작동 상태가 되면, 유도 가열 코일(45a)이 압박되어 전자파를 발생한다. 이 전자파가 용기(3)의 바닥면(3b)에 설치된 은전사막(3e)을 통과할 때에 이 은전사막(3e)에 와전류가 발생하여 발열한다. 이 발열에 의해, 전자 조리기용 용기(3)를 가열하고, 국물 및 요리 재료를 가열한다. 이 조리 중, 가령 국물이 끓어 넘치더라도, 플랜지 형상의 손잡이(3f)가 전체 주위에 걸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일시적으로는 용기(3) 밖으로 끓어 넘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예를 들어 국물이 손잡이(3f)를 돌아 들어가도, 용기(3)의 용기측부(3a)의 외면(3h)과 전자 조리기(1)의 측판(43)의 외면(43c)이 동일면이 되어 있으므로, 손잡이(3f)의 최외주연으로부터 넘친 국물은 그대로 직접 하방으로 낙하해도 전자 조리기(1) 본체와 용기의 측면으로 국물이 튀는 일이 없다. 따라서, 국물은 외면(43c)을 따라 흐르는 일 없이 직접 식탁 상으로 낙하되기 때문에, 전자 조리기(1)를 오손하는 일이 없어 위생적이다. 예를 들어 국물이 외면(43c)을 타고 흘렀다고 해도, 링 형상의 다리부(3d) 및 링 형상의 급상승부(44b)에 의해, 국물이 톱 플레이트(44)로 유입되는 것이 억제되어, 가열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46)를 수납한 상태에서 사용하면, 끓어 넘침이 있어도, 조작부(46)가 국물에 의해 오손되는 일이 없다.
또한, 조작부(46)를 수납한 상태에서 조리를 하는 경우에 있어서, 만일 국물이 손잡이(3f)를 돌아 들어가도 조작부(46)로는 튀기 어렵다. 또한, 가령 튀었다고 해도, 조작부(46)에는 방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으므로, 조작부(46)에 침수하여 고장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손잡이(3f)에는 팽출부(3g)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국물은 팽출부(3g)를 넘어서 낙하하기 때문에, 끓어 넘침에 의한 전자 조리기(1)의 오손이 한층 방지된다. 또한, 용기(3)의 전자 조리기(1)로의 착탈시에 팽출부(3g)에 손가락을 걸게 함으로써 용기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일이 없어져 안전하다.
또, 본 고안에 관계되는 전자 조리 장치는 이 전자 조리기에 이용하는 데 적합한 전자 조리기용 용기를 일체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이 전자 조리기 및 이 전자 조리기용 용기는, 각각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안전하고 위생적인 전자 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이즈가 입구가 하나인 전자 조리기에 비해 작을 경우에도 끓어 넘침에 의한 전자 조리기의 오손을 가능한 한 억제할 수 있고, 특히 전자 조리기와 동일 사이즈인 경우에는, 보다 확실하게 전자 조리기의 표면이나 그 조작부의 오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조리기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관계되는 용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의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2는 본 고안에 관계되는 용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에 이용되는 용기의 적재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3은 본 고안에 관계되는 용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에 이용되는 용기의 바닥면도.
도4는 본 고안에 관계되는 용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에 설치된 조작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 조리 장치
2 : 덮개
3 : 전자 조리기용 용기
3a : 용기측부
3b : 바닥면
3c : 절결부
3d : 다리부
3e : 은전사막(도전체)
3f : 손잡이
3g : 팽출부
3h : 외면
4 : 전자 조리기
41 : 다리부
42 : 바닥판
43 : 측판
43a : 내향 하부 플랜지
43b : 내향 상부 플랜지
43c : 외면
44 : 톱 플레이트
44a : 플레이트 주체
44b : 급상승부
44c : 플랜지부
45 : 전자파 발생 회로
45a : 유도 가열 코일
45b : 인버터 회로
45c : 제어 회로
46 : 조작부
46a : 표시기

Claims (3)

  1. 원통 형상의 외측판을 갖는 입구가 하나인 전자 조리기와, 이 전자 조리기에 적재되어 사용되고, 바닥면에 도전체가 설치되고, 또한 원통 형상의 용기측부를 갖고 상기 전자 조리기에 이용하는 데 적합한 전자 조리기용 용기로 이루어지는 용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이며, 상기 전자 조리기의 본체를 형성하는 측판의 외면과 상기 용기의 용기측부의 외면이 동일면이 되는 동시에, 상기 용기는 용기측부의 상부 전체 주위에 걸쳐 플랜지형으로 설치된 손잡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조리기의 하부에는 전자 조리기에 출몰 가능하게 수납되어 상면에 방수 처리가 실시된 조작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타이머 요리 중은 전자 조리기 중에 수납하여 가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
KR20-2005-0019002U 2001-12-26 2005-06-30 용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 KR2003973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002U KR200397353Y1 (ko) 2001-12-26 2005-06-30 용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93254 2001-12-26
KR20-2005-0019002U KR200397353Y1 (ko) 2001-12-26 2005-06-30 용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3016A Division KR20030055129A (ko) 2001-12-26 2002-12-24 토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 및 전자 조리기용 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353Y1 true KR200397353Y1 (ko) 2005-10-04

Family

ID=43698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002U KR200397353Y1 (ko) 2001-12-26 2005-06-30 용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3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82876A1 (en) Multifunctional pot
US6262398B1 (en) Electrical cooking appliance, in particular deep fryer, comprising a flat heating element with screen-printer resistor
JP2004192980A (ja) 電磁調理器用プレート
KR20030055129A (ko) 토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 및 전자 조리기용 토기
KR200397353Y1 (ko) 용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
JPH03136619A (ja) 遠赤外線加熱調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6302663A (ja) 電磁調理テーブル用鍋敷
JPH0453508A (ja) 加熱調理器
JPH05251169A (ja) 電磁調理用発熱体及び電磁調理用容器
KR101467530B1 (ko) 비금속조리용기를 이용한 화상, 화재방지용 자동 라면조리기
JP3797927B2 (ja) 土鍋料理用電磁調理装置
JPS642285A (en) Roast attachment for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er
JP3110038U (ja) 炊飯用土鍋
JP2001346695A (ja) 加熱調理器具
KR20170001961U (ko)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KR200407308Y1 (ko) 음식물 조리장치
JPS6236004Y2 (ko)
JPH08182617A (ja) 電磁調理器用容器の調理補助板および麺茹で器
JPS59123186A (ja) 電磁調理器を用いる高温調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80013586A (ko) 세라믹 조리 용기용 열전도 패드
JP2022076427A (ja) 電磁誘導加熱及び電子レンジ対応の加熱、保温用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22952Y2 (ja) 電磁調理装置
JP2002100464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9990023516U (ko) 전자렌지용 찜용기
JPS63311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