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184Y1 - 버섯 재배용 목침종균 - Google Patents

버섯 재배용 목침종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184Y1
KR200397184Y1 KR20-2005-0013875U KR20050013875U KR200397184Y1 KR 200397184 Y1 KR200397184 Y1 KR 200397184Y1 KR 20050013875 U KR20050013875 U KR 20050013875U KR 200397184 Y1 KR200397184 Y1 KR 2003971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wn
mushroom
medium
needle
saw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찬규
Original Assignee
최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찬규 filed Critical 최찬규
Priority to KR20-2005-0013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1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1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1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otan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섯재배용 원균인 버섯종균을 나무에 접종하여서 된 버섯재배용 목침종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길이를 갖는 봉상의 나무 끝을 뾰족하게 가공하여 목침을 형성하고, 이에 버섯종균을 접종 및 배양하여서되는 목침종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한쪽 끝을 뾰족하게 가공한 길이 50-150mm의 봉형태의 목침을 준비하고 이를 설탕등과 같은 수용성 영양물 10~20% 전분 1~2% 농도의 수용액에 담궈 목침에 영양분을 투여한 후 이를 고압멸균기를 사용하여 고압멸균 시킨 것을 상온으로 이를 고압멸균기를 사용하여 고압멸균 시킨것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목침을 액체종균 배양액에 담궈 액체종균을 접종한 것을 배양실에서 배양되는 과정으로 제조되는 목침종균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목참종균은 그 끝이 뾰족함으로 톱밥이나, 폐면,볏짚 배지 등의 가공 배지에 손으로 간단히 눌러 넣어 종균을 접종하게 되며, 배지 깊숙이에 종균이 접종됨으로 배지 겉과 속에서 동시에 버섯균이 활착되어 버섯발이가 빨라지며, 이로 인해 버섯 재배기간이 단축되어지는 잇점을 갖게 된다.
또한 목침종균은, 배지에 버섯균이 전이될시 배지로부터 분리한 후 세척과, 살균과정을 통해 재사용가능하게 되며, 배지에 버섯종균을 아주 간단히 접종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버섯 재배용 목침종균{wood meedle mushroom spawn}
본 고안은 버섯재배용 원균인 버섯종균을 나무에 접종하여서 된 버섯재배용 목침종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길이를 갖는 봉상의 나무 끝을 뾰족하게 가공하여 목침을 형성하고 이에 버섯종균을 접종, 배양하여서 된 목침종균에 관한 것이다.
버섯류는 생물의 분류체계상 담자균류에 속하는 미생물로 독성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대부분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버섯류는 고단백 식품으로서 미래의 육류대용 식품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의 각종연구보고에 의하면 버섯류에 함유된 글루칸(glucan)및 그 유도체가 항암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버섯류는 통상의 식품으로서의 사용뿐만 아니라 건강식품으로 발전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버섯류(담자균류)는 그 종류마다 재배방법 내지 재배조건이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버섯종균을 원목이나 버섯배지에 접종하여 버섯을 재배하게 된다.
버섯종균(spawn)은 버섯재배용 종자로 순수 배양한 균체와 배지를 포함하여 종균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사용된 배지의 재료나 그 형태에 따라 고체 형태와 액체 형태로 구분되며, 고체형태의 종균으로는 곡립종균, 톱밥종균 등이 있으며, 액체형태로의 액체 종균이 있다.
톱밥종균은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영지버섯, 뽕나무버섯등을 재배할때, 액체종균은 느타리버섯이나, 각종종균을 배양 제조할 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버섯종균은 버섯씨에 해당하므로 종은 우량 종균의 제조 및 사용은 버섯 재배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고체 종균인 톱밥 종균의 제조는 톱밥과 쌀겨(미강) 및 기타 첨가물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배지에 60-65%로 수분 조절한 것을 PP나 PE병에 주입하고 고압살균기에서 121℃ 고온에서 50-60분 살균한다음 상온 25℃로 냉각한 후, 병당 5~10g 정도의 종균을 투입하고 이를 배양실에서 20-25일 배양하여 톱밥종균을 생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고체종균 즉 톱밥종균은 종균생산 기간이 많이 소요되며, 오염여부를 쉽게 판별할 수 없는 단점을 갖게 된다.
액체종균의 제조 방법으로는 물에 녹는 수용성용액인 포도당, 설탕, 맥아즙, 효모즙 등으로 액체배지를 조성하고 이에 원균을 투여 배양하여 액체종균을 생산하고 있다.
상기 액체종균은 배양하고자하는 버섯류의 원균이나 버섯의 종류에 따라, 수
용성 액체 배지의 혼합비율이나 조성물에 차이를 갖게된다.
액체종균은 물에 잘 녹는 성질의 영양분을 갖는 액체배지에서 버섯균사가 배양되므로, 그 제조 기간이 고체 상태의 톱밥을 배지로 사용하는 것보다 단축되는 효과를 가지며 이로인해 버섯재배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잇점을 갖게 된다.
반면에 액체종균은 고체종균에 비해 보관이 쉽지 않으며 접종이 쉽지 않는 사용상의 단점을 가지며, 액체종균을 접종한 배지는 재배에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로 하는 재배상의 어려움을 갖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톱밥을 이용한 고체 배지나, 수용성 영양분을 이용하여 종균을 배양한 액체종균과는 달리 나무에 직접 종균을 배양하여서 되는 목침 종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버섯 재배에 있어서 나무를 팽이 형상으로 가공하고 이에 종균을 접종한 종목 종균이 일시적으로 사용된 바 있다. 이와같은 팽이 형상의 종목은 종균을 종목에 빨리 침투시키기 위하여 종목의 길이방향으로 장홈을 형성하고 이에 겔상의 배양액을 주입하고 종균을 배양액에 접종하여 종목 종균을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으나, 이는 종목에 길이 방향으로 일일이 장홈을 가공해야하는 단점을 가지며, 또한, 길이 방향으로 장홈을 뚫어야함으로 종목의 굵기가 커야하며, 굵기 굵은 대신 그 길이가 짧은 팽이 형상을 갖게된다.
이와같은 종래의 종목 종균은 길이가 짧아 배지 깊숙이 이를 삽입 할 수 없음으로 인해 버섯종균의 활착 기간이 길게되어 버섯 재배 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을 갖게된다.
또한 이와 같은 종목 종균은 버섯배지가 톱밥이나 볏짚등의 가공배지에는 사용되지 못하며, 원목버섯재배 시 드릴로 구멍을 뚫고 이에 종균을 투여 할 시 종목 종균을 사용한 예가 있으나, 종목에 종균의 활착기간이 길며, 제조가 어려우며, 버섯의 생산량이 떨어져 현재에 있어서는 사용되지 않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에반해 본 고안은 길이가 길고 굵기가 얇은 막대기 형상을 가지며 끝을 뾰족하게 가공한 봉상의 목침을 액체 종균 배양통에서 일정기간 배양하여, 목침에 종균이 침투 접종되도록 하고, 이를 버섯배지에 꼽아 버섯배지에 버섯을 발이토록 하는 목침형태의 버섯종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버섯배지에 버섯종균의 활착기간을 단축시켜 버섯의 재배기간을 단축하며, 버섯배지에 종균투여가 용이하며, 종균투여시 유해 세균의 침입등의 세균오염율을 낮출 수 있는 종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 사용되어 온 가루형태의 톱밥종균인 고체종균이나, 액체상태의 액체종균과는 달리, 길이가 길고 굵기가 얇으며 끝이 뾰족한 봉상의 목침 형태로, 배지안으로 연장의 도움없이 손으로 깊숙히 밀어 넣을 수 있으며, 이와같이 배지 깊숙이 박히게 됨으로, 배지 겉과 속에서 동시에 종균이 활착되며 이로인해 종균의 활착기간을 단축하게 되며 이로인해 버섯재배기간을 단축하게되는 목침종균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쪽 끝을 뾰족하게 가공한 길이(L)50~150mm 직경(D) 5~15mm 봉형태의 목침(11)을 영양물 10-20%농도와 전분 1~2% 농도의 수용액에 20-24시간 담궈, 수용액이 목침(11)에 충분이 침투되게 한 후, 이를 고압멸균기에 넣고 121℃에서 15-30분 가열멸균시킨것을 무균실에서 15-25℃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이를 액체종균 배양액에 담궈 액체 종균을 접종한 다음, 이를 20-28℃의 배양실에서 15-20일 배양되는 과정으로 제조하는 목침종균에 관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침종균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봄과 동시에 그 제조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목침으로 사용하는 나무는 목질이 무르거나 너무 단단하지 않는 미루나무 등과 같은 활엽수 계열의 목재가 적당하게 된다.
목질이 너무 무른 나무를 사용 할 경우 반복하여 재사용하지 못하게되며 목질이 너무 단단 할 경우에는 종균의 접종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을 갖게된다.
이와같은 미루나무등의 목재를 길이(L) 50-150mm 직경(D) 5~15mm의 봉상으로 가공한것을 끝을 뾰족하게하여 목침(11)을 조성하고 이에 종균을 접종하게된다.
목재에는 미생물이 증식하는 영양분이 부족하여 많은 양의 버섯종균이 단시간에 접종되지 않게된다. 따라서 목침에 미생물 즉 버섯균이 빠른 시간내에 활착되며 많은 양의 버섯균이 접종되기위해 목침(11)을 영양용액에 담궈 영양용액을 침투시키게 된다.
상기 영양물은 물에녹는 설탕, 맥아당, 과당, 포도당, 자당, 맥아추출물 물엿 중의 하나나 수개을 혼합사용한 것을 사용하게 된다.
설탕등의 영양물은 버섯균이 좋아하는 영양소로 버섯균이 빠르게 증식하며, 전분(옥수수전분,밀가루전분,감자전분)은 곰팡이가 쉽게 번식되지 않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영양물:전분의 비율을 10:1비율로, 전분과 영양물을 용해한 수용액을 사용하게된다.
즉,설탕등과 같은 영양물 10~20%와, 전분 1~2%로 구성한 수용액에 목침(11 )을 20-24시간(하루정도) 담궈 목침에 영양액을 침투시킨다. 상기 영양액의 비율을 보다 쉽게 설명하면 물 1000cc에 영양물 100~200g 전분 10-20g 정도를 비율로 수용액을 조성하게 된다.
목침(11)에 영양액을 충분히 침투시킨 후, 이를 고압멸균기에 넣고 121℃에서 15-30분 가열하여, 목침(11)을 멸균처리한 후, 이를 상온인 15℃-25℃로 냉각시키고 원하는 버섯종균을 접종하게 된다. 목침(11)에 버섯종균의 접종방법은 고체 종균인 톱밥종균으로 이를 접종시킬 수 있으나, 액체종균으로 접종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즉, 상기고온에서 멸균처리하고 상온까지 냉각한 목침(11)을 액체종균접종기에 넣고, 접종시킨 것을 20℃~28℃의 배양실에서 15-20일 배양하여, 목침종균을 제조하게 되며, 이를 보관시에는 3~5℃의 저온 저장고에서 휴면 보관시키게 된다.
상기 목침(11)에 버섯균을 최초에 접종시킴에 있어, 목침 속까지 깊숙히 버섯종균이 접종시키지 않고 그 두께의 정도만 1/3~1/5 접종되도록 할 때, 목침종균은 배지 접종을 완료시킨후, 배지로부터 분리한 후 세척, 멸균, 재접종 과정을 통해 적어도 3~5회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끝이 뾰족한 길이(L)50-150mm의 직경(D) 5~15mm의 봉형태의 목침종균은, 버섯을 재배하고자 하는 배지에 꼽아 넣은 후, 버섯종균이 활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배지에 버섯종균이 활착된 후, 버섯종균은 배지로부터 분리 수거한 후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목침종균은 버섯배지가 톱밥을 주 원료로 하는 톱밥배지나 볏짚배지, 폐면배지등과 같은 가공된 버섯배지에 요긴하게 사용 되어지게 된다.
본 고안의 목침종균는 그 끝이 뾰족함으로 인해 톱밥배지나 볏짚배지 등에 밀어 넣을 때 배지 깊숙이에 박히게 되며 이로 인해, 배지의 속과 겉에서 동시에 버섯종균이 활착되어 활착기일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목침종균은 특히, 톱밥 봉지 버섯재배시나, 톱밥봉버섯재배시 보다 요긴하게 사용되어지게 된다.
톱밥봉지 버섯재배란, 톱밥을 주원료로 한 버섯배지를 비닐봉지에 담아, 버섯배지를 조성하고, 봉지의 상방을 개구시켜 봉지상방에서 버섯이 발생되도록 하는 버섯재배방법이며, 톱밥 봉 버섯재배란 톱밥을 주 원료로 한 버섯배지를, 비닐봉지에 가압하여 단단단 주입한 후 주입구를 밀봉하여 봉(자루)형태로 된 것에 버섯종균을 비닐을 뚫고 접종하여, 버섯이 발이될 시 비닐봉지의 표면을 찢어주어 봉상의 톱밥배지 전체에서 버섯이 발생되도록 하는 버섯재배방법을 말한다.
이와 같은 톱밥봉지버섯재배나, 톱밥 봉 버섯재배시 목침종균을 톱밥배지에 찔러 넣어, 버섯배지 겉뿐만 아니라 속에서도 동시에 버섯균이 활착되도록 함으로, 버섯균의 활착 속도를 증진시켜 조기에 버섯을 수확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 톱밥봉 버섯재배시 비닐로 쌓인 톱밥배지에 종균을 투여할 시 비닐을 뚫고 이에 고체(톱밥)종균이나, 액체 종균을 투입하게 되나, 종균을 배지속까지 깊숙히 삽입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버섯배지의 종균 활착기간이 길어질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 톱밥봉지 버섯재배시, 역시 종균을 투여할 시 종균을 배지에 깊숙이 투여할 수 없음으로 인해, 배지에 종균활착 기간이 길게 되는 단점을 갖게 되나, 본 고안에서와 같이 일정길이(L) (50~150mm)를 가짐으로, 톱밥봉배지나, 톱밥봉지배지와 깊숙이에 종균을 투여할 수 있게 되어 배지에 버섯균 활착기간을 단축하게 되며, 목침의 끝이 뾰족함으로 인해 다른 도구의 필요없이 그냥 목침 종균을 손으로 누를 때 비닐봉지가 관통되어 삽입되는 접종의 간편함을 가지며, 목침종균의 버섯균이 배지에 전이 되어 버섯균이 활착된 후 목침종균을 배지로부터 분리수거하고 이를, 살균과 종균 재접종의 과정을 거쳐 목침을 3~5회 재 사용가능하게된다. 따라서,버섯재배에있어 목침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또한 갖게 된다.
도1 본 고안의 목침종균 사시도
도2 본 고안의 목침종균 단면도
도3 본 고안의 제조 공정도

Claims (3)

  1. 한쪽 끝을 뾰족하게 가공한 길이(L) 50-150mm 직경(D) 5-15mm 봉형태의 목침(11)에 버섯액체종균을 침투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하는 버섯재배용 목침종균
  2. 삭제
  3. 삭제
KR20-2005-0013875U 2005-05-17 2005-05-17 버섯 재배용 목침종균 KR2003971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875U KR200397184Y1 (ko) 2005-05-17 2005-05-17 버섯 재배용 목침종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875U KR200397184Y1 (ko) 2005-05-17 2005-05-17 버섯 재배용 목침종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261 Division 2005-05-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184Y1 true KR200397184Y1 (ko) 2005-09-30

Family

ID=43698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875U KR200397184Y1 (ko) 2005-05-17 2005-05-17 버섯 재배용 목침종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18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64Y1 (ko) 2012-04-17 2013-11-27 경상북도(승계청:경상북도농업기술원,관리청:경상북도 도지사) 톱밥봉지배지 배양용 대나무 목침 종균
KR101401791B1 (ko) 2014-03-18 2014-05-30 백성호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KR20150116120A (ko) * 2014-04-04 2015-10-15 김경환 목침종균을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64Y1 (ko) 2012-04-17 2013-11-27 경상북도(승계청:경상북도농업기술원,관리청:경상북도 도지사) 톱밥봉지배지 배양용 대나무 목침 종균
KR101401791B1 (ko) 2014-03-18 2014-05-30 백성호 표고버섯의 재배방법
KR20150116120A (ko) * 2014-04-04 2015-10-15 김경환 목침종균을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KR101634857B1 (ko) 2014-04-04 2016-06-30 김경환 목침종균을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98010B (zh) 桑黄原生态仿野生栽培方法
CN102301910B (zh) 利用杏鲍菇废菌渣栽培高品质姬松茸的方法
KR101629793B1 (ko) 모렐버섯의 생산을 위한 배지 조성물
CN102037849B (zh) 一种银耳菌种培育方法
CN102523912A (zh) 以家蚕幼虫为寄主的蛹虫草子实体及其培育方法
CN101491194A (zh) 一种高效环保茯苓的栽培方法
CN107691106B (zh) 一种海鲜菇培养基的接种方法
Kalaw et al.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secondary mycelial growth of wild macrofungi from selected areas in Central Luzon, Philippines
CN109168958B (zh) 一种桑黄栽培方法
KR101056952B1 (ko) 단목재배를 이용한 검은비늘버섯의 대량생산방법
CN103493685A (zh) 一种利用野生活树桩栽培桑黄的方法
KR200397184Y1 (ko) 버섯 재배용 목침종균
CN107853081B (zh) 一种香菇培养基的接种方法
KR100702270B1 (ko) 목침종균을 이용한 버섯 재배 방법
CN109234176A (zh) 冬虫夏草用母种培养基及其制备方法
CN109496692A (zh) 一种桑黄培养基及其应用
KR100925705B1 (ko) 굼벵이를 이용한 동충하초 효소의 생산방법
CN105296360B (zh) 桑黄母种组织分离转管培育方法
CN107099465B (zh) 用于促进扦插茶苗生根的促生菌株及其微生物育苗基质
CN106348888B (zh) 一种利用大葱葱叶废弃物生产木霉生物有机肥的方法
CN112772282B (zh) 一种蛹虫草的培育方法
KR200470064Y1 (ko) 톱밥봉지배지 배양용 대나무 목침 종균
CN107821013B (zh) 一种香菇培养基的打孔接种棒
CN107360852B (zh) 牛樟芝培养方法
KR100509686B1 (ko) 파리 유충을 기주로 한 동충하초 재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